KR20130087745A -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45A
KR20130087745A KR1020120008844A KR20120008844A KR20130087745A KR 20130087745 A KR20130087745 A KR 20130087745A KR 1020120008844 A KR1020120008844 A KR 1020120008844A KR 20120008844 A KR20120008844 A KR 20120008844A KR 20130087745 A KR20130087745 A KR 2013008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haracter
displayed
box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241B1 (ko
Inventor
최병진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최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진 filed Critical 최병진
Priority to KR102012000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화면에 문자가 복수개 표시될 때, 상기 문자중에서 적어도 1 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에 광고가 연결되어 표시되므로서,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 내에서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고, 또한 광고가 표시되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광고의 크기와 위치가 지정되므로서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ADVERTISEMENT-SYSTEM IN THE MOBILE MESSENGER SCREEN}
본 발명은 모바일메신저에 사용되는 광고 시스템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작으며 이러한 작은 화면에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무선인터넷 접속, mp3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모바일 단말에서는 모바일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그 이용자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이 발달되고 있으며,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광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11-0103211)를 보면, 전자 메시지에 광고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은 휴대용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또 다른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8-0111175)에서도 발신 메시지에 광고 문자를 추가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작은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시하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이 제시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고방법은 서비스 화면 내의 특정부분을 광고노출과 같은 법을 채택하고 있어, 서비스이용자들은 해당 광고의 위치를 인지하게 되어 의도 적으로 광고를 외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3211호, 공개일 인용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1175호, 공개일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이나 데스크 탑 PC처럼 큰 화면을 가지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할 때 효과적인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화면에 문자가 복수 개 표시될 때, 상기 문자 중에서 적어도 1 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에 광고가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고가 연결된 문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변하고, 상기 광고가 연결된 문자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또한,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경우에는 고객이 선택하거나 입력한 문자가 최 우선적으로 표시되며,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성별 나이,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 등이 고려되어 광고가 표시된다.
아울러, 광고가 문자 아래에 연결되고, 광고가 문자 옆에 연결된다.
그리고, 문자가 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광고도 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가 작게 된다, 이러한 작은 화면 크기 내에서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고, 또한 광고가 표시되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광고의 크기와 위치가 지정되므로서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은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7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내지 11은 광고 위치가 지정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광고의 크기와 내용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과 도 20은 키 입력부(5)가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될 경우에도 광고가 표시될 수 있음은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내지 도 26은 문자가 이동함에 따라 광고도 이동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내지 도 30은 광고가 표시되는 본 발명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내지 도 36은 광고를 선택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문자와 광고의 배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5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5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65),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67),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55) 및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6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5),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50) 내에는 제어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61), 데이터 처리부(6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6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55)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55)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56), 각각의 정보 코드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57)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58)로 구성된다.
한편, 서버(50)의 제어부(60)에서는 사이트 운영부(63)가 접속자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61)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55)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6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모듈)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물론, 도 1의 블록도 설명은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서버는 반드시 회원 접속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을 원하는 모든 접속자를 대상으로 할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CPU)(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인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35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35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35c)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7)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중앙처리장치(2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2)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31)를 통해서 입력장치(30)를 제어한다.
한편, 입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당연히 여기에는 스피커와 진동부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입력부에는 카메라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의 제어와 입력장치(30)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30)는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을 가하거나 접촉할 수도 있지만, 압력을 가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지 않고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입력장치로는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있으나, 거기에 한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대한 발명이 아니라 통상에 사용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4내지 도 7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송수신 되는 문자의 내용이 박스(말풍선) 내에 존재하는 실시예이 도면으로서, 왼편의 문자 박스(1)는 수신되는 내용이 오른편의 문자 박스(2)는 송신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송수신 되는 문자의 왼편 오른편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도 5는 송수신 되는 문자의 내용이 리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당연히 수신되는 문자 영역(1)과 송신되는 문자 영역(2)이 교대 교대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화면에 키 입력부(5)가 표시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 6은 문자 박스가 있는 경우에 기입력부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7은 문자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에 키입력부(5)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 실시예 1 -
도 8내지 11은 광고 위치가 지정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 보면 송수신되는 문자(1)(2) 사이에 광고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알수 있고,, 디스플레이(21) 화면 중간 부분에 광고 박스(3)가 구비되고 상기 광고 박스 내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광고는 이미지 혹은 글자로 표시될 수 있으나 때로는 동영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의(B)에서처럼, 문자의 위치가 고정될 경우 문자 영역(3a)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영역(3a)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문자 영역내에 문자 박스 (3) 위치도 고정되게 된다.
이때, 문자 영역(3a)의 크기가 항상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문자 영역(3a)의 길이 "AL"의 크기가 더 커지거나 작아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문자 영역(3a)의 크기와 광고 박스(3)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문자 영역(3a)의 크기보다 광고 박스(3)의 크기가 작은 것이 시각적으로 보기 좋다. 만일 작더라도, 광고 박스(3)의 크기가 문자 영역(3a)의 크기보다 1/2 이상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의 효과적인 이용 때문이다.
그리고,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의 거리(문자 박스와 L1혹은 L2 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하고, 문자 박스와 문자 박스의 거리를 "G"라고 할 때, "L"과 "G"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L"은 "1/2G" 보다 같거나 크고 "2G" 보다는 같거나 작다. 다른 문자 박스와 문자 박스 사이의 거리가 고려되어 문자와 광고 박스의 거리도 고려되어 시인성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도 9은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A)도를 보면, 수신 광고 박스(1)의 측면에 광고 박스(3)가 위치하게 된다.(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 광고 박스(2)의 측면에 광고 박스(3)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당연히 (B)도에서처럼, 광고 박스 영역(3a)이 존재하고 그 안에 광고 박스(3)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광고 박스 영역(3a)의 크기가 고정될 수 있지만, 광고 박스(3) 측면에 위치하는 문자 박스(1)(2)의 길이 "ML"에 따라 광고 영역의 길이 "AL"(혹은 광고 박스의 길이 "BL")이 변할 수가 있다. 즉 문자 박스(1)(2)의 길이가 커지거나 작아짐에 따라 광고 영역(3a)(혹은 광고 박스)의 길이도 커지거나 작아 질 수 있다.
물론, 문자 박스가 아무리 커져도 광고는 디스플레이 화면 보다 커질 수는 없으며, 디스플레이 내에서 광고가 표시되기로 한 영역보다도 커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AL"과 "BL"의 크기는 같을 수도 있지만, "BL"이 1/2 까지 작을 수도 있다. 즉, "BL"◎ 크기는 "AL"의 1/2이상에서 "AL"의 크기까지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광고 박스와 문자 박스와의 크기 관계는 도 8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문자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광고 영역(3a) 위에 위치하게 되는 문자 박스(1)(2)의 크기가 커질 경우 광고 자연스럽게 광고 영역(3a)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물론 광고 영역(3a) 아래에 위치하는 문자 박스(1)(2)가 커질 경우 자연스럽게 광고 영역(3a)의 위치도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광고의 위치가 지정되더라도 문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위 혹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만일 문자 박스(1)(2)의 크기가 상당히 커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 오게 되어서 광고 영역(3a)이 위치할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면 광고 영역(3a)도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최소한의 광고 영역(3a)을 정하고 문자 박스가 더 이상 커지지 않게 한다면, 문자가 아무리 커져도 광고는 항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고 영역이 크기도 정해지고, 광고 영역내에 광고 박스의 크기도 정해지고, 문자와 광고 영역 사이의 거리도 정해지지만, 실시예 1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라면 광고 박스의 크기도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광고 박스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표시될 수 있는 광고의 내용도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문자의 형태가 박스의 형태가 아닌 경우(도 5와 도7)에도 실시예 1 의 규칙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1은 실시예 1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 된다. 시작하고 문자 입력을 선택하였다(S320 - S325)는 것은 문자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순서도에서는 별도로 도시 생략되었지만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단말기(20)가 서버(50)와 유무선 통신 혹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문자 측면에 광고가 위치하게 되면(도 9의 실시예) 측면에 위치한 문자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크기도 정해지게 된다.(S330 - S335), 즉, 도 9의 실시예에서 처럼 광고 측면에 위치한 문자의 길이에 따라 광고의 길이의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
또한, 광고 영역과 문자 사이거리 혹은광고 영역과 광고 박스 사이의 거리도 고려되어 광고 박스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S340) 아울러, 광고의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한 문자의 크기가 고려되어 광고의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S345)
상기와 같이 광고의 위치와 크기가 정해지면, 광고 크기에 따라 선택된 광고 표시내용을 정하여 단말기(20)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게 된다.
당연히 상기의 흐름도는 서버(50)의 제어부(60)가 데이터 베이스(55)에 미리 정장된 프로그램 혹은 방법에 의해 수행하고 실행하게 된다. 또는 단말기(20)의 CPU(25)가 메모리부(35)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방법에 의해 실행하게 된다,
- 실시예 2 -
도 12 내지 도 17은 광고의 크기와 내용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에서처럼 디스플레이(21)내에 광고 박스(3)가 두 개 이상 표시될 수가 있다,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3)가 인접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광고(3)가 문자의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광고 (3)가 문자(1)(2)의 위에 연결될 수도 있고, 문자의 왼편 혹은 오른편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도면에서처럼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3)는 상호 붙어 있는 경우가 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디자인 형상을 고려해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분리되는 간격이 너무 크면 공간 사용이 비효율적으므로 너무 분리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때, 광고와 문자 사이의 거리는 도 8과 도 9의 실시예에 준하여 정해지면 바람직하다. 즉, 광고와 문자 사이의 거리도 문자와 문자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서 보면에서 보면 광고 박스(3)의 크기도 문자 박스(통상적으로 는 말풍선이라고도 함.)(1)(2)의 크기에 따라 커질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즉, 광고가 두 개 이상 표시될 때, 위에 있는 광고와 연결된 문자 박스(1)의 길이를 "ML1"이라고 하고, 아래에 있는 광고와 연결된 문자 박스(1)의 길이를 "ML2"라고 할 때, "ML2"가 "ML1 보다 크면 위에 있는 광고의 길이 "BL1"도 아래에 있는 광고의 길이 "BL2"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ML2"와 비교해 "ML1"이 커진 비율 만큼 "BL1"도 "BL2" 비교해 커지게 된다. 작아지게 되는 경우도 같은 비율만 큼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두 개 이상으로 표시될 때, 표시되는 광고의 크기가 같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광고의 내용은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4는 표시될 수 있는 광고 박스(3)의 크기에 따라 광고로 표시하는 내용을 달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55) 혹은 모바일 단말기(20)의 메모리부(35)에 광고 박스(3)의 크기에 따라 표시될 광고의 내용이 미리 정해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즉, 도 10의 타입 1은 광고 박스(3)가 가장 적을 때 표시될 광고의 내용(물론 이미지도 사용될 수 있다.)이고, 타입 4는 광고 박스(4)가 클 때 표시될 광고의 내용이다.
즉, 서버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25)(60)는 문자 박스(1)(2)의 크기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판단하고, 문자 박스의 크기에 해당되는 광고의 표시내용을 데이터 베이스 혹은 메모리부에서 검색하거나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디스플레이(21)에 광고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도 15는 다양한 광고가 저장된 실시예이다. 즉, 타입 1은 광고 면적의 크기가 적을 때 이고 타입 4 쪽으로 갈수록 광고 면적의 크기가 클 때 각각 표시될 내용이 저장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시이며, 광고의 크기를 반드시 4 개의 타입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K개 타입으로 수십 수백개도 될 수 있고 이미지나 동영상등이 포함될 경우 광고 면적에 따라 구별되는 타입의 수는 더 많아 질 것이다.
그리고, 광고의 종류도 다양하게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에서처럼 N 종류의 광고가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든 광고도 광고 면적의 크기에 따라 미리 표시될 광고 내용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디스플레에(21) 내에 표시되는 광고의 수가 2 개 이상이이서 제1 광고와 제 2 광고가 있을 때, 제 1 광고와 제2 광고의 크기가 다를 수도 있지만 제1 광고와 제 2 광고의 크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다, 그리고, 크기가 서로 같을 때에도 제 1 광고에 표시될 내용과 제 2 광고에 표시될 내용이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N개의 광고와 K 개이 타입이 있다면, N X L 개 수중에서 2 개 혹은 3개 이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것이다.
도 16은 광고가 2 개 이상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21) 화면 내에서 광고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A)에서처럼 광고와 연결된 문자가 서로 위 아래로 이웃할 수도 있고, 도 (B)에서 처럼 광고가 연결된 문자가 서로 위 아래로 이웃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 (C)에서처럼, 수신 문자(1)에 만 광고가 연결될 수도 있고, 도 (D)에서처럼 송신 문자(2)에 만 광고가 연결 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2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작하고 문자입력을 선택하게(S380-S385) 되면, 단말기(20)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선택은 입력장치(30)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당연히 단말기(20)는 통신을 통해 서버(50)와 연결되게 된다.
표시할 광고가 1개 이면, 광고 위치를 지정하고, 광고로 표시할 광고를 선택 한 후, 광고 박스 크기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게 된다.(S390 - S400).(도8, 도9, 도10 실시예 참조)
그리고 표시할 광고가 2 개 이상 이면, 광고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S390, S400) 그리고, 광고의 크기가 다르면 그에 맞게 광고의 크기가 같으면 그에 맞게 표시할 광고의 내용을 선택하고 광고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수행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버의 제어부 혹은 단말기의 CPU가 수행하게 되고,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 실시예 3 -
도 18과 도 19는 키 입력부(5)가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될 경우에도 광고가 표시될 수 있음은 나타내는 도면이다.
키입력부(5)가 표시 되면 디스플레이(21) 화면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므로, 광고 박스(3)의 크기도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도 18은 광고 박스(3)가 문자의 측면에 위치한 형태의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9는 광고 박스(3)가 문자 박스(1)(2)와 연결된 형태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키입력부(5) 구비된 경우에도 앞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가 문자 아래에 있을 경우에는 문자 박스(1)(2)가 커져도 광고 박스(3)는 정해진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고 박스의 개수도 1 개 정도가 적당하다.
물론 광고 박스가 문자 측면(도 18)에 있을 경우에는 문자의 크기가 커지면 광고의 크기도 커질 수는 있다. 그러나 광고의 크기가 키보드를 제외한 화면 표시 영역보다 커질 수 없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크기가 일정크기(예를들면 5 인치)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21)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키입력부(5)가 표시되어도, 문자 박스(1)(2)의 크기가 커지면 광고 박스(3)의 크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1)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키입력부(5)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0은 실시예 3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작하고, 문자 입력을 선택하고 키 입력부(5)를 화면에 표시하게 되면, 키입력부(5)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화면 크기가 일정 크기(◎"인치, 예를 들면 5 인치) 이상이면, 키입력부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앞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광고 표시를 한다.(S450 - S 455)
그리고, 일정 크기 이하이고, 문자 측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문자 크기와 키입력부 제외한 화면 표시영역을 고려해 광고 크기를 정하고, 광고 표시를 하게 된다.(S465) 문자 크기에 따라 광고 크기 영역이 커지지만, 그 커지는 정도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키입력부를 제외한)을 넘어설 수는 없다는 것이다.
문자 측면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으면, 광고가 표시되는 크기가 정해지고, 정해진 크기에 맞는 광고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S470)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수행한 후에 문자 입력을 종료를 선택하게 되면 문자 송수신 프로그램은 종료하게 된다.(475)
- 실시예 4 -
도 21내지 도 25는 문자가 이동함에 따라 광고도 이동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1은 문자가 이동함에 따라 광고도 이동함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키입력부(5)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동안 주고 받은 문자의 내용을 검색할 경우도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단말기(20)의 입력장치(30)을 통해서 제어 명령을 하므로서 화면을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화살표 방향(M)인 위 방향으로 이동함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화면을 화살표 방향(M)으로 이동함에 따라 문자 박스(1)(2)도 위로 이동하게 되고, 문자 박스(1)(2)와 연결된 광고 박스(3)도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문자 박스(1)(2)가 계속 위로 이동하여, 화면에서 표시되지 않게 되면, 화면에서 사라지게 되는 문자 박스(1)(2)와 연결된 광고 박스(3)도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문자 박스(1)(2)는 사라져도 광고 박스(3)는 화면에서 사라지지 않게 된다. 즉. 화면이 위로 이동함에 따라 사라진 광고 박스(3)는 화면 아래에서 다시 나타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광고 박스(3)와 연결된 문자 박스도 바뀌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광고 박스(3)가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2개 이상일 수도 있게 된다. 예를들어 제 1 광고 박스와 제 2 광고 박스가 존재할 경우, 도 13에서처럼 제 1 광고 박스와 제 2 광고 박스의 광고 내용이 같을 필요는 없다,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 박스가 3개 이상이어도 모두 다를 수가 있다는 것이다.
도 22는 광고가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광고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영역을 ◎A"라고 하고 그 길이를 "AAL"이라고 할 때, 상기 "AAL"의 길이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길이 ◎AL"과 동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작을 수도 있다. 광고를 디스플레이 가운 데 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므로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AAL"은 ◎AL/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작으면 광고의 이동 효과가 작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AAL"의 길이와 ◎AL"이 다르게 되면, 광고는 ◎A"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벗어나는 광고는 ◎A" 영역 아래쪽에서 다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도 23은 광고 영역(3a)와 광고 박스(3)를 구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광고 박스와 광고 영역이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문자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광고 영역(3a)이 위로 이동하고, 광고 영역(3a) 내에 있는 광고 박스(3)도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는 앞의 도 5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도 24는 문자가 이동함에 따라 문자와 연결된 광고 박스(3)가 이동함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5는 광고가 문자 측면에 위치할 때, 문자가 위로 이동하면 광고 영역(3a)과 광고 박스(3)가 위로 이동함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6은 광고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A)와 도(B)는 문자 아래에 광고가 위치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광고가 위위치하게 되는 문자는 전체 화면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문자가 된다, 즉, 전체 화면의 중간 부분에 일 부분이라도 위치하는 문자의 아래에 광고가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도(C)와 도(D)는 전체 화면에서 중간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문자 측면에 광고가 위치하게 되는 도면이다, 그리고 광고의 크기에 따라 문자도 커지게 된다,
도 (A),(B),(C),(D) 도 모두 문자의 크기가 커지면 광고의 크기도 커질 수도 있지만, 문자의 크기가 커져도 광고의 크기는 그대로 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5 -
도 27내지 도 30은 광고가 표시되는 본 발명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흐름도는 서버의 제어부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가 데이터 베이스 혹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수행하게 된다.
도 27에서처럼 시작이 되고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S105), 키입력부가 표시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110)
즉, 서버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는 키입력부(5)가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되어 있으면, "S200" 단계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키입력부(5)가 표시되어 있으면, 제어부는 광고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인가를 판단한다. 즉, 앞의 실시예에서처럼, 광고 박스(3)가 문자 박스(1)(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이동하는 경우이면 S140"단계로 이동하고, 이동하지 않으면 정해진 위치에 따라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S115) 그리고, 문자 입력을 종료하게 되면 문자 사용 프로그램은 종료되게 된다.(S125-S130)
도 28은 도 27의 "S140" 이후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광고 박스(3)의 크기가 고정되게 정해져 있을 수도 있고, 크기가 변화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이때, 광고의 크기가 정해져 있으면 정해진 크기에 맞도록 광고를 표시한다.(S150) 광고의 크기가 정해지지 않았으면 문자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크기도 정해지게 된다.(S145)
그리고 디스플레이(21) 화면이 이동하여 문자의 위치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화면이 위로 이동하여 문자 박스(1)(2)의 위치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광고 박스(3)의 위치도 위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문자 박스(1)(2)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광고 박스(3)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문자 박스(1)(2)의 이동 방향에 맞도록 광고 박스(3)의 이동 방향도 같도록 하여 광고 박스의 이동이 끝나면, S180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도 29는 광고 박스의 이동에 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화면이 계속 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일부 문자는 화면 밖으로 사라지게 되고, 화면 밖으로 사라지게 되는 문자 박스(1)(2)와 연결된 광고 박스(3)도 화면 밖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화면 밖으로 사라진 문자 박스(1)(2)와 달리 광고 박스(3)는 화면에 다시 나타나도록 하여야 한다.
광고가 계속 이동하여 영역 밖으로 벗어 날 때, 광고 박스(3)가 위로 이동하여 영역 밖으로 벗어나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S180) 그리고, 광고 박스(3)가 위로 이동하여 영역위로 사라지면 사라진 광고 박스는 영역 아래에서 다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도22 실시예 참도)
그리고, 광고 박스(3)가 아래로 이동하여 영역 밖으로 벗어나면, 사라진 광고 박스(3)는 영역 위에서 다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도22 실시예 참조)
여기서 영역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를 의미하지만, 디스플레이(21) 화면 내에서 광고가 이동하면서 표시될수 있는 영역(area)을 정하게 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즉, 광고가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21) 화면의 크기와 같을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영역이 디스플레이 크기의 50% 100 %까지가 될 수 있다.)
도 30는 도 27에서 키입력부(5)가 표시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광고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 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광고의 위치가 이동하기 않게 되면 정해진 디스플레이(21)내의 정해진 위치에 광고가 표시되게 된다.(S200- S205)
그리고, 광고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 도 28의 "S155" 단계로 이동하여 알고리즘은 수행되게 된다. 한편, 문자 입력의 종료를 선택하면 문자 입력 프로그램은 종료되게 된다.
- 실시예 6-
도 31내지 도 36은 광고를 선택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서 문자입력을 선택하면, 서버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 광고를 선택하는 알고리즘 구현하게 된다,(S230 - 240) 즉, 고객 분류 기준, 선호도, 과거 선택 광고 및 과거 선택 광고 유형 고려하여 표시 광고 선택하게 된다. (S245)
여기서 고객 분류는 성별, 직업, 나이 등을 의미하며, 문자 입력시 고객의 답 내용에 따른 선호도도 고려하게 된다, 그리고,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의 종류 및 유형도 고려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광고가 선택되면, 문자 송수신시에 광고 박스(3)에 선택된 광고가 표시되게 된다.
도 32은 도 31의 흐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고객이 서버와 연결하여 회원을 가입하면, 고객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 혹은 지력에 따라 고객을 분류하고, 분류된 고객의 일반적인 광고 선호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00 영역 00조라는 것도 이러한 것을 의미하는 표시이다.
또한, 과거에 고객이 선택한 광고의 시간 혹은 광고 분류별 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되고, 해당 고객이 문자 입력을 하게 될 경우 고객이 선호하는 광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행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게 되는 것이며, 서버의 제어부가 고객에 맞는 광고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가 설명은 생랙하였지만,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을 선택하면, 광고 내용이 더 자세하게 표시되거나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또 다른 사이트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된다.
도 33과 도 34는 고객에게 쿠폰값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문자 입력 프로그램 시작후 문자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고객에게 쿠폰값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이 구현되게 된다.(S280 - S 295) 알고리즘 수행후 고객에게 쿠폰값은 제공된다.(S300)
고객문자 서비스를 접속하면 서버의 제어부(60)는 데이터 베이스(55)를 검색하여 고객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객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문자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어야 수행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따라서 매번 그러한 설명을 하는 것은 편의상 생략한 것이다.
그리고, 도 34는 고객에 쿠폰값을 제공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 메모리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고객이 문자를 하는 동안 광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또한, 광고를 선택(크릭)한 수도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광고 시간을 초로 표시하고 임의의 정해진 값 A(예를들면 60)로 나누어 쿠폰 값을 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고를 선택한 수를 임의의 정해진 값 B(예를들면 2)로 나누어 쿠폰값을 정할 수가 있다.
이때 A 값은 B 값보다 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쿠폰값이 정해지면 정해진 쿠폰값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해당 고객에 쿠폰값을 정하기 위한 데이터는 단말기의 메모리부(35)에 저장될 수도 있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55)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35는 고객이 광고를 선택한 경우를 포함한 광고 선정 흐픔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작하고 문자 입력을 선택하고(S480- S 485)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였으면 최우선적으로 고객이 선택하고나 입력한 광고를 선정하게 된다, (S490 - S495)
이때, 광고를 입력하였다는 것은 원하는 광고의 검색어를 입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강남 지역의 중국집을 광고 검색어로 하였다면, 강남 지역의 중국집에 대한 광고가 선정되어 고객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광고를 선택하였다는 것은 본 발명의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제 광고 리스트에서 광고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광고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고객의 나이나 성별에 대한 분류 기준에 근거하거나,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를 고려하여 광고를 선정하고 선정된 광고를 고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S500)
도 36은 광고를 선택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A)에서처럼 광고 유형을 선택할 수 있고, 도(B)에서처럼 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이 선택한 광고가 최우선적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에 의해 종료되면 문자 제공 서비스는 종료되게 된다. (S505 - S510)
- 실시예 7-
도 37은 문자와 광고의 배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문자(혹은 문자 박스)의 아래, 옆 혹은 위에 광고(혹은 광고 박스 또는 광고 영역)가 붙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또는 문자(혹은 문자 박스)의 아래, 옆 혹은 위에 광고(혹은 광고 박스 또는 광고 영역)가 인접되어 위치한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도 37은 하나의 박스 내에 문자 영역과 광고 영역이 분리된 경우의 실싱예이다. 도(A)와 도(B)에서처럼, 다수의 문자 박스(1)(2)에서 임의의 문자 박스를 한개 혹은 두개 이상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박스(1)(2) 내에 광고 영역(3b)을 위치하게 하고, 상기 광고 영역(3b)에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문자 박스(1)(2) 중에서 광고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박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 박스 내에(1)(2)광고 영역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도(C), 도(D), 도(E), 도(F)는 이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광고 역역(3b)이 문자 박스 내에 양 가장자리(도 C) 일 수도 있고, 가운데(도 D) 일수도 있으며, 문자 박스 내에 특정 영역(도 E, 도 F)일 수도 있다.
아울러, 도 37에서 광고 영역의 이동과 광고 영역의 크기 관계는 앞에서 설명된 도 1에서 도 6까지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됨은 당연하다.
1, 2: 송수신 문자 박스 3: 광고 박스
20: 단말기 21: 디스플레이부
25: 중앙처리장치(CPU) 30; 입력장치
35: 메모리부 50: 서버
55:데이터 베이스 60: 제어부

Claims (7)

  1.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화면에 문자가 복수개 표시될 때, 상기 문자중에서 적어도 1 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에 광고가 연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가 연결된 문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가 연결된 문자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경우에는 고객이 선택하거나 입력한 문자가 최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의 성별 나이,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가 고려되어 광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광고가 문자 아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광고가 문자 옆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20120008844A 2012-01-30 2012-01-3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174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44A KR101744241B1 (ko) 2012-01-30 2012-01-3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44A KR101744241B1 (ko) 2012-01-30 2012-01-3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45A true KR20130087745A (ko) 2013-08-07
KR101744241B1 KR101744241B1 (ko) 2017-06-07

Family

ID=4921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44A KR101744241B1 (ko) 2012-01-30 2012-01-3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5153B2 (ja) * 2007-05-08 2014-12-24 俊彦 岡部 チャットシステム、リンク情報付きログの提供方法、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リンク情報付きロ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41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453B1 (ko) 텍스트 예측용 이모지
KR100886066B1 (ko) 디지털 콘텐츠 배신 시스템, 디지털 콘텐츠 배신 방법, 및휴대 단말기
CN102395946A (zh) 可变速率滚动
CN102640104A (zh) 提供便携式装置的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
US20120159381A1 (e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item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in media reel
US97231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business dialing
US20230325446A1 (en) Visual search refinement
KR20130142395A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JP6498798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利用者端末制御プログラム
JP20172240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498799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利用者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101744241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1712873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2617269B1 (ko) 스마트폰 내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238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JP2015038779A (ja) 端末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US10137373B2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82163B1 (ko) 광고 웹 페이지 내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30085898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CN103034468A (zh) 一种显示文本的方法及装置
KR101363523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WO2014209079A1 (ko)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96066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2123486B1 (ko)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20130096075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