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066A -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066A
KR20130096066A KR1020120017587A KR20120017587A KR20130096066A KR 20130096066 A KR20130096066 A KR 20130096066A KR 1020120017587 A KR1020120017587 A KR 1020120017587A KR 20120017587 A KR20120017587 A KR 20120017587A KR 20130096066 A KR20130096066 A KR 2013009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put
character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진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최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진 filed Critical 최병진
Priority to KR102012001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066A/ko
Publication of KR2013009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광고에 표시되는 내용이 단말기 메모리부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때, 상기 광고는 계층 구조의 형식을 가지고 저장되고, 문자 입력 사용자는 광고를 선택 하거나 입력할 수 있으므로서,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 내에서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고, 또한 광고가 표시되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광고의 크기와 위치가 지정되므로서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ADVERTISEMENT-SYSTEM IN THE MOBILE MESSENGER SCREEN}
본 발명은 모바일메신저에 사용되는 광고 시스템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작으며 이러한 작은 화면에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무선인터넷 접속, mp3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모바일 단말에서는 모바일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그 이용자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이 발달되고 있으며,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광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11-0103211)를 보면, 전자 메시지에 광고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은 휴대용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또 다른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8-0111175)에서도 발신 메시지에 광고 문자를 추가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작은 화면에서 효과적으로 광고를 표시하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이 제시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고방법은 서비스 화면 내의 특정부분을 광고노출과 같은 법을 채택하고 있어, 서비스이용자들은 해당 광고의 위치를 인지하게 되어 의도 적으로 광고를 외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3211호, 공개일 인용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1175호, 공개일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이나 데스크 탑 PC처럼 큰 화면을 가지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할 때 효과적인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광고에 표시되는 내용이 단말기 메모리부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때, 상기 광고는 계층 구조의 형식을 가지고 저장되고, 문자 입력 사용자는 광고를 선택 하거나 입력할 수 있으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존재하며 상기 입력창에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 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위치하는 광고가 표시되며, 또한,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가 존재하며, 문자 입력 사용자가 리스트에 있는 광고의 단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있는 광고 단어가 광고로서 표시된다.
아울러,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존재하며 상기 입력창에 단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단어가 상품이면, 입력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광고로서 표시되고,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가 존재하며, 문자 입력 사용자가 리스트에 있는 광고의 단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단어가 상품이면, 입력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광고로서 표시된다.
한편, 상기 입력창이 문자와 문자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입력창이 문자와 디스플레이 경계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입력창이 문자를 주고 받는 사람에 대한 리스트 사이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가 작게 된다, 이러한 작은 화면 크기 내에서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고, 또한 광고가 표시되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광고의 크기와 위치가 지정되므로서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은 광고 위치가 지정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광고의 크기와 내용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광고를 선택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문자와 광고의 배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9는 문자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광고 영역으로 할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는 광고가 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5은 문자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8은 입력창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5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5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65),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67),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55) 및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6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5),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50) 내에는 제어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61), 데이터 처리부(6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6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55)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55)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56), 각각의 정보 코드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57)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58)로 구성된다.
한편, 서버(50)의 제어부(60)에서는 사이트 운영부(63)가 접속자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61)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55)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6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모듈)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물론, 도 1의 블록도 설명은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서버는 반드시 회원 접속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을 원하는 모든 접속자를 대상으로 할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서버가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다, 데이터 베이스 운영 관리자 제어부 등을 각각 분리된 별도으 서버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시행하기 위해서 하나의 서버 혹은 그 이상의 숫자의 서버나 별도 데이터 베이스가 사용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CPU)(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인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35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35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35c)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7)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중앙처리장치(2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2)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31)를 통해서 입력장치(30)를 제어한다.
한편, 입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당연히 여기에는 스피커와 진동부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입력부에는 카메라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의 제어와 입력장치(30)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30)는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을 가하거나 접촉할 수도 있지만, 압력을 가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지 않고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입력장치로는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있으나, 거기에 한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대한 발명이 아니라 통상에 사용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4내지 도 7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송수신 되는 문자의 내용이 박스(말풍선) 내에 존재하는 실시예이 도면으로서, 왼편의 문자 박스(1)는 수신되는 내용이 오른편의 문자 박스(2)는 송신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송수신 되는 문자의 왼편 오른편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도 5는 송수신 되는 문자의 내용이 리스트 형태로 존재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당연히 수신되는 문자 영역(1)과 송신되는 문자 영역(2)이 교대 교대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화면에 키 입력부(5)가 표시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 6은 문자 박스가 있는 경우에 기입력부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7은 문자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에 키입력부(5)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 실시예 1 -
도 8내지 11은 광고 위치가 지정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 보면 송수신되는 문자(1)(2) 사이에 광고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알수 있고,, 디스플레이(21) 화면 중간 부분에 광고 박스(3)가 구비되고 상기 광고 박스 내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광고는 이미지 혹은 글자로 표시될 수 있으나 때로는 동영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의(B)에서처럼, 문자의 위치가 고정될 경우 문자 영역(3a)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영역(3a)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문자 영역내에 문자 박스 (3) 위치도 고정되게 된다.
이때, 문자 영역(3a)의 크기가 항상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문자 영역(3a)의 길이 "AL"의 크기가 더 커지거나 작아 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문자 영역(3a)의 크기와 광고 박스(3)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문자 영역(3a)의 크기보다 광고 박스(3)의 크기가 작은 것이 시각적으로 보기 좋다. 만일 작더라도, 광고 박스(3)의 크기가 문자 영역(3a)의 크기보다 1/2 이상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의 효과적인 이용 때문이다.
그리고,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의 거리(문자 박스와 L1혹은 L2 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하고, 문자 박스와 문자 박스의 거리를 "G"라고 할 때, "L"과 "G"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L"은 "1/2G" 보다 같거나 크고 "2G" 보다는 같거나 작다. 다른 문자 박스와 문자 박스 사이의 거리가 고려되어 문자와 광고 박스의 거리도 고려되어 시인성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도 9은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A)도를 보면, 수신 광고 박스(1)의 측면에 광고 박스(3)가 위치하게 된다.(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 광고 박스(2)의 측면에 광고 박스(3)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당연히 (B)도에서처럼, 광고 박스 영역(3a)이 존재하고 그 안에 광고 박스(3)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광고 박스 영역(3a)의 크기가 고정될 수 있지만, 광고 박스(3) 측면에 위치하는 문자 박스(1)(2)의 길이 "ML"에 따라 광고 영역의 길이 "AL"(혹은 광고 박스의 길이 "BL")이 변할 수가 있다. 즉 문자 박스(1)(2)의 길이가 커지거나 작아짐에 따라 광고 영역(3a)(혹은 광고 박스)의 길이도 커지거나 작아 질 수 있다.
물론, 문자 박스가 아무리 커져도 광고는 디스플레이 화면 보다 커질 수는 없으며, 디스플레이 내에서 광고가 표시되기로 한 영역보다도 커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AL"과 "BL"의 크기는 같을 수도 있지만, "BL"이 1/2 까지 작을 수도 있다. 즉, "BL" 크기는 "AL"의 1/2이상에서 "AL"의 크기까지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광고 박스와 문자 박스와의 크기 관계는 도 8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문자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수신 문자 사이와 수신문자 사이에 혹은 송신 문자와 송신 문자 사이에 혹은 수신 문자와 송신 문자 사이에 광고의 위치가 존재하게 된다.
즉, 광고 영역(3a) 위에 위치하게 되는 문자 박스(1)(2)의 크기가 커질 경우 광고 자연스럽게 광고 영역(3a)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물론 광고 영역(3a) 아래에 위치하는 문자 박스(1)(2)가 커질 경우 자연스럽게 광고 영역(3a)의 위치도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광고의 위치가 지정되더라도 문자의 위치에 따라 광고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위 혹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만일 문자 박스(1)(2)의 크기가 상당히 커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 오게 되어서 광고 영역(3a)이 위치할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면 광고 영역(3a)도 표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최소한의 광고 영역(3a)을 정하고 문자 박스가 더 이상 커지지 않게 한다면, 문자가 아무리 커져도 광고는 항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고 영역이 크기도 정해지고, 광고 영역내에 광고 박스의 크기도 정해지고, 문자와 광고 영역 사이의 거리도 정해지지만, 실시예 1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라면 광고 박스의 크기도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광고 박스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표시될 수 있는 광고의 내용도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문자의 형태가 박스의 형태가 아닌 경우(도 5와 도7)에도 실시예 1 의 규칙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1은 실시예 1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 된다. 시작하고 문자 입력을 선택하였다(S320 - S325)는 것은 문자를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순서도에서는 별도로 도시 생략되었지만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단말기(20)가 서버(50)와 유무선 통신 혹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문자 측면에 광고가 위치하게 되면(도 9의 실시예) 측면에 위치한 문자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크기도 정해지게 된다.(S330 - S335), 즉, 도 9의 실시예에서 처럼 광고 측면에 위치한 문자의 길이에 따라 광고의 길이의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
또한, 광고 영역과 문자 사이거리 혹은광고 영역과 광고 박스 사이의 거리도 고려되어 광고 박스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S340) 아울러, 광고의 위 혹은 아래에 위치한 문자의 크기가 고려되어 광고의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S345)
상기와 같이 광고의 위치와 크기가 정해지면, 광고 크기에 따라 선택된 광고 표시내용을 정하여 단말기(20)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게 된다.
당연히 상기의 흐름도는 서버(50)의 제어부(60)가 데이터 베이스(55)에 미리 정장된 프로그램 혹은 방법에 의해 수행하고 실행하게 된다. 또는 단말기(20)의 CPU(25)가 메모리부(35)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방법에 의해 실행하게 된다,
- 실시예 2 -
도 12 내지 도 17은 광고의 크기와 내용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에서처럼 디스플레이(21)내에 광고 박스(3)가 두 개 이상 표시될 수가 있다, 송수신되는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3)가 인접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광고(3)가 문자의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광고 (3)가 문자(1)(2)의 위에 연결될 수도 있고, 문자의 왼편 혹은 오른편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도면에서처럼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3)는 상호 붙어 있는 경우가 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디자인 형상을 고려해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분리되는 간격이 너무 크면 공간 사용이 비효율적으므로 너무 분리되는 것은 좋지 않다.
이때, 광고와 문자 사이의 거리는 도 8과 도 9의 실시예에 준하여 정해지면 바람직하다. 즉, 광고와 문자 사이의 거리도 문자와 문자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서 보면에서 보면 광고 박스(3)의 크기도 문자 박스(통상적으로 는 말풍선이라고도 함.)(1)(2)의 크기에 따라 커질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즉, 광고가 두 개 이상 표시될 때, 위에 있는 광고와 연결된 문자 박스(1)의 길이를 "ML1"이라고 하고, 아래에 있는 광고와 연결된 문자 박스(1)의 길이를 "ML2"라고 할 때, "ML2"가 "ML1 보다 크면 위에 있는 광고의 길이 "BL1"도 아래에 있는 광고의 길이 "BL2"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ML2"와 비교해 "ML1"이 커진 비율 만큼 "BL1"도 "BL2" 비교해 커지게 된다. 작아지게 되는 경우도 같은 비율만 큼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두 개 이상으로 표시될 때, 표시되는 광고의 크기가 같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광고의 내용은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면12와 도 13에서 보면, "주식회사 새로구두" 에 밑줄이 그어졌으며, 상기와 같이 밑줄을 그은 이유는 상기 밑줄 그은 부분을 선택하여 크릭(입력장치를 통해 가능하다.)하면, 상기 맡줄 그은 광고와 관련된 싸이트에 연결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관련된 사이트와 연결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광고 내에서 다른 사이트와 연결되도록 선택되는 영역은 상기와 같이 글자(주식회사 새로 구두)일 수도 있지만, 다양한 이미지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4는 표시될 수 있는 광고 박스(3)의 크기에 따라 광고로 표시하는 내용을 달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55) 혹은 모바일 단말기(20)의 메모리부(35)에 광고 박스(3)의 크기에 따라 표시될 광고의 내용이 미리 정해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즉, 도 10의 타입 1은 광고 박스(3)가 가장 적을 때 표시될 광고의 내용(물론 이미지도 사용될 수 있다.)이고, 타입 4는 광고 박스(4)가 클 때 표시될 광고의 내용이다.
즉, 서버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25)(60)는 문자 박스(1)(2)의 크기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판단하고, 문자 박스의 크기에 해당되는 광고의 표시내용을 데이터 베이스 혹은 메모리부에서 검색하거나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기 디스플레이(21)에 광고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도 15는 다양한 광고가 저장된 실시예이다. 즉, 타입 1은 광고 면적의 크기가 적을 때 이고 타입 4 쪽으로 갈수록 광고 면적의 크기가 클 때 각각 표시될 내용이 저장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시이며, 광고의 크기를 반드시 4 개의 타입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K개 타입으로 수십 수백개도 될 수 있고 이미지나 동영상등이 포함될 경우 광고 면적에 따라 구별되는 타입의 수는 더 많아 질 것이다.
그리고, 광고의 종류도 다양하게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에서처럼 N 종류의 광고가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든 광고도 광고 면적의 크기에 따라 미리 표시될 광고 내용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디스플레에(21) 내에 표시되는 광고의 수가 2 개 이상이이서 제1 광고와 제 2 광고가 있을 때, 제 1 광고와 제2 광고의 크기가 다를 수도 있지만 제1 광고와 제 2 광고의 크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다, 그리고, 크기가 서로 같을 때에도 제 1 광고에 표시될 내용과 제 2 광고에 표시될 내용이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N개의 광고와 K 개이 타입이 있다면, N X L 개 수중에서 2 개 혹은 3개 이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것이다.
- 실시예 3 -
도 16내지 도 21은 광고를 선택하고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문자입력을 선택하면, 서버 혹은 단말기의 제어부는 표시 광고를 선택하는 알고리즘 구현하게 된다,(S230 - 240) 즉, 고객 분류 기준, 선호도, 과거 선택 광고 및 과거 선택 광고 유형 고려하여 표시 광고 선택하게 된다. (S245)
여기서 고객 분류는 성별, 직업, 나이 등을 의미하며, 문자 입력시 고객의 답 내용에 따른 선호도도 고려하게 된다, 그리고,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의 종류 및 유형도 고려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광고가 선택되면, 문자 송수신시에 광고 박스(3)에 선택된 광고가 표시되게 된다.
도 17은 도 16의 흐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고객이 서버와 연결하여 회원을 가입하면, 고객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 혹은 지력에 따라 고객을 분류하고, 분류된 고객의 일반적인 광고 선호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00 영역 00조라는 것도 이러한 것을 의미하는 표시이다.
또한, 과거에 고객이 선택한 광고의 시간 혹은 광고 분류별 시간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되고, 해당 고객이 문자 입력을 하게 될 경우 고객이 선호하는 광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행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게 되는 것이며, 서버의 제어부가 고객에 맞는 광고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가 설명은 생랙하였지만,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을 선택하면, 광고 내용이 더 자세하게 표시되거나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또 다른 사이트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통상의 방법이 된다.
도 18과 도 19는 고객에게 쿠폰값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문자 입력 프로그램 시작후 문자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고객에게 쿠폰값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이 구현되게 된다.(S280 - S 295) 알고리즘 수행후 고객에게 쿠폰값은 제공된다.(S300)
고객문자 서비스를 접속하면 서버의 제어부(60)는 데이터 베이스(55)를 검색하여 고객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객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문자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되어야 수행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따라서 매번 그러한 설명을 하는 것은 편의상 생략한 것이다.
그리고, 도 19는 고객에게 광고 서비스에 대한 쿠폰값을 제공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 메모리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고객이 문자를 하는 동안 광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또한, 광고를 선택(크릭)한 수도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광고 시간을 초 단위로 환산하여 표시할 때 임의의 정해진 값 A(예를들면 60)로 나누어 쿠폰 값을 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고를 선택한 수를 임의의 정해진 값 B(예를들면 2)로 나누어 쿠폰값을 정할 수가 있다. 당연히, 광고를 보는 시간보다 광고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경우 쿠폰 발행의 가중치가 더 높을 수가 있다. 이때 A 값은 B 값보다 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쿠폰값이 정해지면 정해진 쿠폰값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해당 고객에 쿠폰값을 정하기 위한 데이터는 단말기의 메모리부(35)에 저장될 수도 있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55)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0은 고객이 광고를 선택한 경우를 포함한 광고 선정 흐픔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작하고 문자 입력을 선택하고(S480- S 485) 고객이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였으면 최우선적으로 고객이 선택하고나 입력한 광고를 선정하게 된다, (S490 - S495)
이때, 광고를 입력하였다는 것은 원하는 광고의 검색어를 입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강남 지역의 중국집을 광고 검색어로 하였다면, 강남 지역의 중국집에 대한 광고가 선정되어 고객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광고를 선택하였다는 것은 본 발명의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제 광고 리스트에서 광고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광고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고객의 나이나 성별에 대한 분류 기준에 근거하거나, 고객이 과거 선택한 광고를 고려하여 광고를 선정하고 선정된 광고를 고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S500)
도 21은 광고를 선택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A)에서처럼 광고 유형을 선택할 수 있고, 도(B)에서처럼 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이 선택한 광고가 최우선적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에 의해 종료되면 문자 제공 서비스는 종료되게 된다. (S505 - S510)
- 실시예 4 -
도 22는 문자와 광고의 배치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문자(혹은 문자 박스)의 아래, 옆 혹은 위에 광고(혹은 광고 박스 또는 광고 영역)가 붙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또는 문자(혹은 문자 박스)의 아래, 옆 혹은 위에 광고(혹은 광고 박스 또는 광고 영역)가 인접되어 위치한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도 22는 하나의 박스 내에 문자 영역과 광고 영역이 분리된 경우의 실싱예이다. 도(A)와 도(B)에서처럼, 다수의 문자 박스(1)(2)에서 임의의 문자 박스를 한개 혹은 두개 이상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자 박스(1)(2) 내에 광고 영역(3b)을 위치하게 하고, 상기 광고 영역(3b)에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문자 박스(1)(2) 중에서 광고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박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 박스 내에(1)(2)광고 영역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도(C), 도(D), 도(E), 도(F)는 이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광고 역역(3b)이 문자 박스 내에 양 가장자리(도 C) 일 수도 있고, 가운데(도 D) 일수도 있으며, 문자 박스 내에 특정 영역(도 E, 도 F)일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2에서 광고 영역의 이동과 광고 영역의 크기 관계는 앞에서 설명된 도 1에서 도 6까지의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됨은 당연하다.
- 실시예 5 -
도 23내지 도 29는 문자 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광고 영역으로 할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 23은 광고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게 된다. 디스플레이(21) 화면 내에 문자 박스(1)(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전부 광고가 존재할 수 있으면,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고 영역((3a-1)에서 (3a-7)까지)이 7개가 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 작을 수도 있고 더 많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문자가 이동하게 되면 광고도 이동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3a-6' 광고 영역에 광고(3)가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문자가 이동하게 되면 '3a-6' 광고 영역도 함께 이동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문자가 이동하면 광고 영역도 이동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도 24는 키 입력부(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 광고 영역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수신부 문자(1)와 수신부 문자(1) 사이의 거리가‘L1-1’이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경계와 송신부 문자(2)의 측면까지의 거리가 ‘L2'이면, 상기‘L1-1’와 ‘L2’의 크기에 의해 광고 영역의 크기가 정해진다. 그리고, 송신부 문자(2)와 송신부 문자 사의의 거리가 ‘L1-2'(L1-2 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었다.)이고, 디스플레이 화면 경계와 수신부 문자(1)의 측면 까지의 거리가 'L2' 이면, 상기 ‘L2-1’ 와 ‘L2'의 크기에 의해 광고 영역의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도 25에서는 키입력부(5)가 존재하였을 때의 광고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신 문자 아래 혹은 위에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의 거리와 송신 문자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의 거리 내에 광고 영역이 만들어 질 수가 있다. 혹은 송신 문자 아래 혹은 위에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의 거리와 수신 문자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의 거리에 광고 영역이 만들어 질 수가 있다.
송신부 문자(2)와 키입력부(5) 사이의 거리를 ‘L4'라고 했을 때, 상기 'L4' 값과 수신부 문자 측면(1)과 디스플레이 경계가지의 거리의 값에 의해 광고 영역(3a-n)의 크기가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수신부 문자(1)와 키입력부(5) 사이의 거리를 ‘L4'라고 했을 때, 상기 L4 값과 송신부 문자(2) 측면과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의 거리의 값에 의해 광고 영역(3a-n)의 크기가 정해진다.
한편, 수신부 문자 혹은 송신부 문자가 연속해서 존재하고, 문자의 크기도 서로 다를 수가 있게 된다. 도 40에서 ‘L2-1'과 'L2-2'의 값이 보여주듯이 연속해서 존재하는 문자 크기가 다르게 되므로, 문자 박스 측면과 디스플레이 경계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된다. 이경우에는 광고 영역의 모양도 계단 모양처럼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모양에 맞게 광고 내용도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6은 송신부 혹은 수신부 문자만 존재하였을 때 광고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1) 화면 위에서 키입력부까지의 거리(L5)와 문자 박스(1) 측면에서 화면 경계까지의 거리(L2)에 의해 광고 영역이 정해지게 된다.
당연히, 키입력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서 아래까지의 거리와 문자 박스 측면에서 하면 경계까지의 거리에 의해 광고영역이 정해지게 된다.
도 27는 광고 영역의 크기와 광고의 크기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A)와 도(B)에서처럼 광고 영역(3a-n)의 크기가 정해지만, 각 크기에 맞는 정보를 알고리즘적으로 선택하여 광고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광고 영역(3a-n)이 크면 광고 박스(3)의 크기도 커져서 광고 표시 내용이 많아지거나 광고 이미지의 크기가 커지고, 광고 영역(3a-n)이 작아지면 광고 박스(3)도 작아져서 광고 이미지가 작아지거나 표시 내용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C)에서처럼 광고 영역(3a-n)의 크기와 상관없이 광고 박스(3)의 크기가 일정할 수도 있다.
도 28과 도 29는 광고 영역의 크기가 정해지는 흐름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문자 입력을 선택하고 광고를 표시하게 되면, 광고를 표시하는 위한 광고 영역를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광고 영역이 수신문자 사이인 경우를 판단하게 된다.(S600 - S610) 이러한 선택은 소비자가 아니라 서버(50)의 제어부(60) 혹은 단말기(20)의 CPU(25)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각 단계(S)를 실행하게 된다.
광고 영역(3a-n)이 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 문자(1)와 수신 문자(1) 사이의 거리(L1-1)와 송신 문자(2) 측면과 디스플레이 화면 경계까지 거리(L2)에 의해 광고 영역의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 (S615 - S620)
그리고, 수신 문자 사이가 아닌 경우에는, 송신 문자(2)와 송신 문자(2) 사이의 거리와 수신 문자(1) 측면과 디스플레이 화면 경계까지 거리에 의해 광고 영역의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S625 - S630)
그리고, 광고 영역(3a-n)이 정해지게 되면, 정해진 광고 영역에 맞는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광고 영역의 크기에 따라 광고의 크기가 비례할 수도 있지만 광고 영역의 크기와 상관 없이 광고의 크기가 일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광고 영역이 송수신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S660으로 진행하게 되며, 그에 대한 흐름도는 다음도에 나타낸다.
문자와 화면 경계 사이에 광고 영역이 선택되게 되면, 문자와 화면 경계 사이 거리 (L3-2)와 문자 측면과 화면 경계까지 거리(L2)에 의해 광고 영역이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문자와 화면 경계 사이에 광고 영역이 선택되어지지 않게 되면, 문자와 키입력부사이 거리(L4)와 문자 측면과 화면 경계까지 거리(L2)에 의해 광고 영역이 정해지게 된다.(S660- S680)
그리고, 상기의 방법으로 광고 영역(3a-n)이 정해지게 되면, S640(64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 실시예 6-
도 30은 광고가 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될 경우 문자를 주고 받은 내용에 대한 리스트(5)가 디스플레이(21)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리스트(5)와 리스트 중간에 광고(3)가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광고가 하나만 표시될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 표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7-
도 31 내지 도 35는 문자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1은 광고 입력이나 광고 선택을 위한 명령을 실행하였을 때의 표시화면 실시예이다. 즉, 문자 입력자는 입력장치(30)나 기타 입력수단을 통해 보고 싶은 광고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광고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명령한 경우이다.
그렇게 되면, 원하는 광고의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7)과 선택이 가능한 광고 리스트(6)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광고 선택이나 r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 실행 방법은 생략하였다, 통상의 방법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32처럼, 광고 리스트(6)에서 특정한 광고 내용을 선택(6b)하게 되면, 선택된 광고 내용(6a)이 더 자세(하부 계층에 존재하는 광고 내용 표시)하게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도 33에서처럼 입력창(7)에 광고 단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단어와 관련된 광고 내용이 광고 표시창(7a)에 표시되게 된다.
도 34는 광고 내용이 저장된 계층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광고에 대한 정보는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55) 혹은 단말기의 메모리부(35)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34는 광고의 내용이 저장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각각 최 상위 계층(10), 두 번 째 상위 계층(10a), 그리고 최 하위 계층(10b)으로 각각 구별되어 저장되게 된다. 당연히 두 번 째 상위 계층과 최 하위 계층 사이에 1개 혹은 2개 이상의 단계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34는 광고 저장의 계층을 나타낸 개념이므로 모든 과정을 다 표시하지 않았고, 중간 부분은 타원 표시로 생략하였다.
그리고, 앞의 도면의 실시예에서 광고 리스트(6) 중에서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단어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광고의 내용(6a)이 표시되게 된다. 즉 앞의 실시예 도면의 리스트(6)에 10의 리스트 내용이 표시되고, 상기 10의 리스트 내용 중에서 1번 패션 브랜드를 선택하게 되면, 패션 브랜드의 하위 계층 광고 내용(1-1단계에서 1-9단계까지의 리스트)(6a)이 별도 창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앞의 도면의 실시예의 단어 입력창(7)에 단어를 입력하게 될 경우에서, 상기 입력 단어의 하위 계층의 광고 내용이 광고 표시창(7a)에 표시되게 된다. 즉, 계층 10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단어인 컴퓨터 전자(4 단계)의 하위 계층 단어에는 노트북 악세사리(4-3 단계)가 있다. 그리고 만일 노트북 악세사리(403단계)를 입력하게 되면, 노트북 악세사리의 하위 계층에 관련된 광고 내용(4-3-1에서 4-3-10 까지)이 표시창(7a)에 표시가 되게 된다.
그리고, 선택된 단어나 입력된 단어가 최 하위 계층과 관련된 단어라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가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에 표시가 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계층 구조를 단어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이미지로도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어, 4-3의 단계(10b)에서 밧테리, 어댑터, 액정 보호 필름 등을 이미지로 나타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단어와 이미지를 같이 나타낼 수 있음도 당연하다, 즉 광고 박스 혹은 광고 영역 내에 단어, 이미지 혹은 단어와 이미지 결합의 형태로 계층 구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5는 광고 입력 혹은 선택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광고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S520 - S525) 그리고 이러한 실행은 문자 사용자가 입력장치(30) 혹은 입력 수단을 통해 명령하게 되고, 단말기 CUP(25)혹은 서버(50)의 제어부(60)가 알고리즘 실행을 하게 된다.
입력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게 되면, 리스트(6)에서 단어(한개 혹은 두 개로 이루어진 단어)를 선택한 것이 된다.(S530 - S535) 그리고,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 단어(한개 혹은 두 개 이상의 광고 단어)가 상품에 관련된 단어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530, S540)
입력 단어가 상품이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면 되고, 상품이 아니면 입력 단어와 관련되고 입력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있는 단어(광고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S550, S570)
한편, 리스트(6) 중에서 선택된 단어가 상품이면 상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품이 아니면 선택된 단어와 관련되고 선택된 단어의 하부 계층구조에 있는 단어가 표시되게 된다.(S560 - S570)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광고 선택 혹은 입력이 되었으면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하게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게 되면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종료되게 된다. (S575 - S 580)
이때, 도 31에서 도 35의 광고 선택 혹은 광고 입력에 대한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모든 광고 박스(3)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문자 박스(1)(2)와 연결된 광고 박스(3), 문자와 문자 사이의 존재하는 광고(3) 혹은 문자의 측면에 존재하는 광고 영역(3a-n)에서 표시되는 광고(3)의 내용은 도 31과 도 35의 실시예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즉,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거나 광고 내용을 입력할 때, 그 내용이 상품과 관련된 것이라면 상품 정보가 광고로 표시되고, 상품 정보가 아니라면 선택되거나 입력된 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존재하는 광고 내용들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광고 박스(3)가 하나이고, 광고로 표시될 리스트가 여러개이면 상기 리스트의 단어들이 순차적으로 돌려가면서 광고 박스(3)에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광고 선택을 하거나 광고 입력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고객에 대한 분류 기준에 따라 혹은 고객의 과거 입력 단어 등이 참고가 되어 광고가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8-
도 36내지 도 38은 입력창 위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광고 내용을 입력하는 입력창(7)이 문자 입력을 하기 전 단계의 화면에 존재하는 실시예이다. 그러나 문자를 주고 받는 도중에라도 광고 내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문자를 주고 받는 화면에 입력창(7)이 존재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6은 문자를 주고 받은 사람에 대한 리스트(5)를 표시할 때, 상기 리스크(5) 중간에 입력창(7)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37는 문자 박스(1)(2)와 광고 박스(3)가 연결될 때, 문자 박스에 입력창(7)도 연결될 수 있음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또한, 도 38은 임의의 광고 역역(3a-n)에 입력창(7)이 구비될 수 있음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입력창(7)은 광고가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존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즉, 입력창은 문자와 문자 사이, 문자와 디스플레이 경계 사이, 문자와 키입력부 사이의 어디에든 존재할 수가 있다.
1, 2: 송수신 문자 박스 3: 광고 박스
5 : 리스트 7 : 입력창
20: 단말기 21: 디스플레이부
25: 중앙처리장치(CPU) 30; 입력장치
35: 메모리부 50: 서버
55:데이터 베이스 60: 제어부

Claims (8)

  1.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고가 표시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에서,
    상기 광고에 표시되는 내용이 단말기 메모리부 혹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때, 상기 광고는 계층 구조의 형식을 가지고 저장되고, 문자 입력 사용자는 광고를 선택 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존재하며 상기 입력창에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 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위치하는 광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가 존재하며, 문자 입력 사용자가 리스트에 있는 광고의 단어를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의 하부 계층 구조에 있는 광고 단어가 광고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존재하며 상기 입력창에 단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단어가 상품이면, 입력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광고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가 존재하며, 문자 입력 사용자가 리스트에 있는 광고의 단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단어가 상품이면, 입력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광고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이 문자와 문자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이 문자와 디스플레이 경계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이 문자를 주고 받는 사람에 대한 리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20120017587A 2012-02-21 2012-02-21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96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87A KR20130096066A (ko) 2012-02-21 2012-02-21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87A KR20130096066A (ko) 2012-02-21 2012-02-21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066A true KR20130096066A (ko) 2013-08-29

Family

ID=4921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587A KR20130096066A (ko) 2012-02-21 2012-02-21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60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066B1 (ko) 디지털 콘텐츠 배신 시스템, 디지털 콘텐츠 배신 방법, 및휴대 단말기
CN1556944B (zh) 用于排列和显示图标的方法和设备
US7299406B2 (en) Representing spreadsheet document content
CN1430744B (zh) 组织信息以供在电子设备上的可视界面中显示的方法
US20100023387A1 (en) Hierarchical User Interfaces for Advertisement Messages in a Mobile Device
CN102640104A (zh) 提供便携式装置的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
CN110457034A (zh) 生成用于第三方应用程序的导航用户界面
TW201109623A (en) Navigation indicator
EP2573663B1 (en) Method for selecting area of content for enlargement,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97231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business dialing
KR101712873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1444238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1363523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96066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96075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JP4301891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自発的情報伝搬管理システム
KR20170072838A (ko) 웹 서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10945B (zh) 一种商业系统
KR20130096076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85898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96134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20130096135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CN112464079A (zh) 推送信息展现方法、装置以及系统
KR20130087745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광고 시스템
KR102391255B1 (ko) 관심 상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