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9079A1 -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9079A1
WO2014209079A1 PCT/KR2014/005790 KR2014005790W WO2014209079A1 WO 2014209079 A1 WO2014209079 A1 WO 2014209079A1 KR 2014005790 W KR2014005790 W KR 2014005790W WO 2014209079 A1 WO2014209079 A1 WO 20142090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esture
input
keyboard interfa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7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현중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2090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90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장치 및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및 연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문자 입력 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기기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의 키보드는 별도의 물리적 키보드 없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써 그 중요성이 크다. 그러나 종래의 가상의 키보드는 터치스크린 상에 한정된 면적에 키가 배치되어 오타가 자주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문자 입력 방식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문자 입력 방식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면적이 넓지 않고, 키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타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제스처 기반의 문자 입력 방식의 특성이 반영된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인터랙션 요소를 강화한 제스처 기반의 문자 입력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296324호(발명의 명칭: Avatars Reflecting User States)는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상태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 이모티콘 또는 장치의 상태를 기반으로 트리거 이벤트를 사용하여 규정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상태에 대하여 사용자 상태가 반영된 표정, 바디 랭귀지, 액세서리 및 프리젠테이션 설계를 가지는 특화된 아바타 사례가 생성될 수 있고, 특정 사용자 상태의 발생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 이벤트가 장치에서 감지되면, 장치에 표시된 아바타는 사용자 정의 아바타에 특정 사용자 상태가 업데이트 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제스처 입력을 통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장치 및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및 연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문자 입력 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한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문자 입력 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스처 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의 여분의 공간에 입력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인터랙션이 강화된 문자 입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 인터페이스 및 제스처 입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 인터페이스 및 캐릭터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광고 정보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광고 정보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한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들을 도시하였으나, 장치의 종류에 따라 이 외에도 다른 처리부(미도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기기일 수 있으며, 각 기기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상이한 처리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터치 및 제스처 수행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저장장치(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저장장치(110)는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및 연관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문자는 제스처 입력에 의해 삽입되는 정보로서, 캐릭터 및 연관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캐릭터는 입력된 문자에 따라 캐릭터의 표정, 자세, 색깔 등이 변화되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캐릭터는 어느 하나의 캐릭터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부가적으로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연관 정보는 입력된 문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광고 정보, 안내 정보 등의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저장장치(11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정보 처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와 더불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문자 입력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저장장치(110)로부터 독출하여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자판 인터페이스는 문자 입력창과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스처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 받은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제스처 입력 영역에 제스처 및 문자와 관련한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입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을 직접 터치 및 드래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스처 입력 영역을 한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 인터페이스, 제스처 입력 영역 및 캐릭터 영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 인터페이스 및 제스처 입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에 검색용 웹페이지를 표시하였을 경우, 문자 입력창(230)과 중첩되게 자판 인터페이스(21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판 인터페이스(210)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제스처 입력 영역(220)이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스처 입력 영역(220)을 통해 입력받은 제스처를 감지하고,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창(2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 인터페이스 및 캐릭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에는 자판 인터페이스(210) 및 문자 입력창(230)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 인터페이스(210)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캐릭터(2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캐릭터(240)는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특정 단어를 입력하거나 특정 제스처에 반응한 캐릭터(240)의 표정, 자세, 색깔 등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문자 입력 과정에서 보다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별화된 인터랙션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중심항목, 중심항목 주변에 상호 이격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주변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항목 각각으로부터 중심항목을 향하는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할당된 개별문자를 문자 입력창(230)의 문자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변항목이 중심항목으로 향하도록 입력하는 제스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경로일 수 있다.
또한,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제스처 입력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이 포함되거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자판 인터페이스(210)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이 생략된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직선 제스처를 통해 원하는 주변항목을 중심항목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라인이 생략될 경우, 가이드라인은 직선이라 가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선 제스처를 통해 원하는 주변항목을 중심항목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자판 인터페이스(210)에 대하여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자판 인터페이스(210)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아이템이 배치되는 하나의 중심항목(21)과 복수의 주변항목(22a~22j), 및 복수의 주변항목(22a~22j)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23i~23j)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자판 인터페이스(210)에 배치되는 복수의 아이템은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중심항목(21)은 복수의 주변항목(22a~22j)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기 전에 어떠한 아이템도 배치되지 않은 공란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표하는 어느 하나가 배치된 항목일 수 있다. 또한, 항목을 선택하는 제스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23a~23j) 중 선택할 주변항목에 대응한 가이드라인에 기초하는 드래그 동작, 또는 중심항목(21)에 대응하는 클릭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 인터페이스(210)의 주변항목(22a~22j)에 숫자가 배치된 경우에 숫자 ‘2’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숫자 ‘2’를 표시하는 주변항목(22b)에 대응한 가이드라인(23b)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직선 형태의 드래그 동작의 제스처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문자 입력창(230)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문자 입력창(23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자판 인터페이스(210)의 중심항목(21)은 문자 입력창(230)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자판 인터페이스(210)의 중심항목(21)은 커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입력할 문자의 삽입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인터페이스(210)의 위치는 반드시 중심항목(21)이 문자 입력창(210)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 입력창(210)의 배치에 따라 주변항목(22a~22j)이 문자 입력창(210)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매칭하는 캐릭터(240)를 저장장치(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캐릭터(240)는 표정, 자세, 색깔 등이 입력된 제스처 입력 및 문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드래그 입력의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따라 변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단어가 ‘사랑’일 경우, 캐릭터(240)의 얼굴이 붉은 색으로 변화하여 단어 ‘사랑’에 반응한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이상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저장장치(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릭터(240)를 상하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드래그할 경우 캐릭터(240)가 웃는 표정을 짓는 인터랙션을 제공하면서 문자 입력창(230)에 ‘^^’와 같은 이모티콘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240)를 좌우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드래그할 경우 캐릭터(240)가 슬픈 표정을 짓는 인터랙션을 제공하면서 문자 입력창(230)에 ‘ㅠㅠ’와 같은 이모티콘을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특별 문자 또는 특별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저장장치(11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특별 문자로 설정된 문자를 입력하면 이와 관련된 연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특별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알림 정보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캐릭터(240)를 이용한 알림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켜 특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캐릭터(240)를 이용하여 특별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특별 제스처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관 정보는 광고 정보가 될 수 있는데,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240)를 활용한 광고 정보의 표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스처 입력 영역(220) 위에 캐릭터(240)가 중첩되게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캐릭터(240)에 특별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캐릭터(240)의 색깔이 변하거나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에 기 설정된 특별 문자(410)인 ‘4월 30일 대전 싸이 콘서트’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별 문자(410)를 입력함으로써 알람 또는 캐릭터(240)의 변화를 중지시킬 수 있으며, 연관 정보인 광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캐릭터(240)와 중첩되게 표시된 특별 제스처 가이드(221)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특별 제스처 가이드(221)를 따라 입력된 특별 제스처가 감지되면 이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 정보는 광고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전 싸이 콘서트’라는 광고 정보와 함께 캐릭터(241)의 표정 등이 바뀐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자판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를 캐릭터(240)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자판 인터페이스(210)는 제스처에 따라 입력되므로 디스플레이(130)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판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바르게 입력되었는지 음성으로 안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캐릭터(240)의 음성으로 출력하여 보다 재미있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게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실행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240)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자를 통한 게임에서 캐릭터(240)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타자속도, 오타율 등을 타사용자와 비교할 수 있는 게임이나 타자를 활용한 SNS 게임 등과 연동되어 캐릭터(240)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한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 입력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판 인터페이스는 중심항목, 중심항목 주변에 상호 이격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주변항목, 복수의 주변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라인은 복수의 주변항목 각각으로부터 중심항목을 향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경로이고, 서로 다른 형태 또는 방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자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문자 선택 제스처가 입력되면, 문자 선택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할당된 개별문자를 문자 입력창의 문자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자판 인터페이스는 문자 입력창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문자 입력창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자판 인터페이스의 중심항목은 문자 입력창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자판 인터페이스의 중심항목은 커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입력할 문자의 삽입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반드시 중심항목이 문자 입력창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 입력창의 배치에 따라 주변항목이 문자 입력창의 커서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입력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자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이드라인에 따른 주변항목을 선택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창의 문자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이상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로 반복하는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캐릭터의 웃는 표정이 표시되면서 ‘^^’와 같은 이모티콘이 문자열에 삽입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문자 입력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입력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매칭하는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캐릭터의 표정, 자세 및 색깔 등의 변화가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 및 문자로 인하여 변화할 수 있으며, 이때 드래그 입력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특별 문자 또는 특별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특별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알림 정보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의 색깔이 변화하면서 알람을 울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면 기 설정된 특별 문자를 입력하여 알림 정보를 중지시키고 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별 제스처 가이드에 따라 특별 제스처를 입력하면 연관 정보와 관련되게 변화하는 캐릭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연관 정보는 광고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자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삽입되는 문자를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자판 인터페이스는 제스처 입력을 통해 입력되므로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캐릭터가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입력된 문자가 바르게 입력되었는지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게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실행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자를 통한 게임에서 캐릭터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타자속도, 오타율 등을 타사용자와 비교할 수 있는 게임이나 타자를 활용한 SNS 게임 등과 연동되어 캐릭터를 실행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장치 및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및 연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 기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문자 입력 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는
    중심항목;
    상기 중심항목 주변에 상호 이격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주변항목; 및
    서로 다른 형태 또는 방향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주변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주변항목 각각으로부터 상기 중심항목을 향하는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할당된 개별문자를 문자 입력창의 문자열에 삽입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매칭하는 캐릭터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이상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특별 문자 또는 특별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별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알림 정보를 먼저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게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실행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상기 캐릭터를 연동하여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한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제스처에 기반을 둔 자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문자 입력 시 수행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영역 외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는
    중심항목,
    상기 중심항목 주변에 상호 이격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주변항목 및
    서로 다른 형태 또는 방향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주변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주변항목 각각으로부터 상기 중심항목을 향하는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제스처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할당된 개별문자를 문자 입력창의 문자열에 삽입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드래그 입력의 방향, 입력 속도 또는 입력 단어에 매칭하는 캐릭터를 표시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횟수 이상 연속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매칭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특별 문자 또는 특별 제스처가 입력되면 이에 매칭하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특별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한 알림 정보를 먼저 출력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자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또는 연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게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실행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및 문자에 매칭하는 상기 캐릭터를 연동하여 실행하는 문자 및 캐릭터 제공 방법.
PCT/KR2014/005790 2013-06-28 2014-06-30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2090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195A KR101511132B1 (ko) 2013-06-28 2013-06-28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13-0075195 2013-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9079A1 true WO2014209079A1 (ko) 2014-12-31

Family

ID=5214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790 WO2014209079A1 (ko) 2013-06-28 2014-06-30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1132B1 (ko)
WO (1) WO2014209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82A1 (ko) 2015-06-12 2017-04-20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KR101643711B1 (ko) * 2015-06-12 2016-07-28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19A (ko) * 2001-11-09 2003-05-17 신선혜 문장 텍스트를 스피치로 실시간 변환하면서 3디 스캔한실제 얼굴 이미지에 음성 샘플링된 목소리를 적용하여립싱크 및 감정표현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이메일, 채팅,방송 및 외국어 학습방법
KR20080050895A (ko) * 2006-12-04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00033879A (ko) * 2008-09-22 2010-03-31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KR20110061433A (ko) * 2009-12-01 2011-06-09 박철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JP2011210002A (ja) * 2010-03-30 2011-10-20 Yahoo Japan Corp 携帯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033182A (ko) * 2011-09-26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19A (ko) * 2001-11-09 2003-05-17 신선혜 문장 텍스트를 스피치로 실시간 변환하면서 3디 스캔한실제 얼굴 이미지에 음성 샘플링된 목소리를 적용하여립싱크 및 감정표현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이메일, 채팅,방송 및 외국어 학습방법
KR20080050895A (ko) * 2006-12-04 2008-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00033879A (ko) * 2008-09-22 2010-03-31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KR20110061433A (ko) * 2009-12-01 2011-06-09 박철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JP2011210002A (ja) * 2010-03-30 2011-10-20 Yahoo Japan Corp 携帯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033182A (ko) * 2011-09-26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90A (ko) 2015-01-07
KR101511132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3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two-stage text input
US10503255B2 (en) Haptic feedback assisted text manipulation
US8966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con in portable terminal
Firtman Programming the Mobile Web: Reaching Users on iPhone, Android, BlackBerry, Windows Phone, and more
WO2014007437A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US10976922B2 (en) Data entry systems
US20130033447A1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CN111142747B (zh) 群组管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0128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WO2016161056A1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CN105630327A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CN107491502A (zh) 一种选择词条的方法及终端
US942394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WO2014209079A1 (ko)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6220847A (ja) メッセージ送信機能を備えたゲーム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コンピュータ端末
KR20140099832A (ko) 휴대 장치에서 플로팅 키들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31070A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EP311586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50126786A (ko) 핸드헬드 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308927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13398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CN107463274A (zh) 一种输入文字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60005388A (ko)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사생활 보호 방법
JP6364889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74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74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