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051A -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 Google Patents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051A
KR20130087051A KR1020137016426A KR20137016426A KR20130087051A KR 20130087051 A KR20130087051 A KR 20130087051A KR 1020137016426 A KR1020137016426 A KR 1020137016426A KR 20137016426 A KR20137016426 A KR 20137016426A KR 20130087051 A KR20130087051 A KR 20130087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electrode
center electrode
glass sealing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569B1 (ko
Inventor
고헤이 가츠라야
다츠노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4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electrodes in insulation, e.g. by embed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9Selection of materials for electrodes

Landscapes

  • Spark Plu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점화 플러그(1)는 축선(CL1)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구멍(4)을 가지는 절연애자(2)와, 축구멍(4) 내에 삽입된 전극(8)을 구비하며, 소정의 고주파 전원에 의해서 발생된 고주파 전력이 전극(8)에 공급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킨다. 전극(8)은 축구멍(4)의 선단측에 삽입된 중심전극(5)과, 축구멍(4)의 후단측에 삽입된 단자전극(6)을 구비하고 있다. 축구멍(4) 내에 있어서, 단자전극(6) 및 중심전극(5)은 유리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밀봉부(7)에 의해서 절연애자(2)에 고정되며, 중심전극(5) 및 단자전극(6)은 직접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착화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HIGH-FREQUENCY PLASMA SPARK PLUG}
본 발명은 고주파 전력이 공급됨에 의해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등의 연소장치에 사용되는 점화 플러그는, 예를 들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구멍을 가지는 절연체와, 축구멍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중심전극과, 축구멍의 후단측에 설치되며 도전성의 유리 밀봉부를 통해서 중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전극과, 절연체의 외측에 조립된 통형상의 금속쉘과, 금속쉘의 선단부에 접합된 접지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심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심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서 불꽃방전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연료가스에 대한 착화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착화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기 위해서, 고전압 대신에 고주파 전력을 상기 간극에 투입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점화 플러그(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소51-77719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배기가스 규제에 대한 대응이나 연비 향상의 관점에서, 린번 엔진이나 직분 엔진 등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보다도 우수한 착화성이 요구되고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착화성이 우수한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도 착화성의 향상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화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데 적합한 각 구성에 대해서, 항목별로 나눠서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대응하는 구성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구성 1.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구멍을 가지는 절연체와, 상기 축구멍 내에 삽입된 전극을 구비하며, 소정의 고주파 전원에 의해서 발생된 고주파 전력이 상기 전극에 공급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로서,
상기 전극은 상기 축구멍의 선단측에 삽입된 중심전극과, 상기 축구멍의 후단측에 삽입된 단자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축구멍 내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 및 상기 중심전극은 유리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절연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전극 및 상기 단자전극이 직접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에 의하면, 유리 밀봉부 등을 통하는 일 없이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이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된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한층 더 큰 전력을 가지고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 1에 의하면,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이 유리 밀봉부에 의해서 절연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을 절연체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등에 수반되는 절연체에 대한 단자전극의 느슨함(looseness) 등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장기간에 걸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상기한 착화성의 향상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내진동성의 향상이 도모됨으로써, 단자전극과 절연체 사이에 있어서 우수한 기밀성을 실현할 수 있다.
구성 2.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축구멍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의 부위 중,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위의 최소 단면적(S1)을 0.2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2에 의하면, 전극의 최소 단면적(S1)이 0.20㎟ 이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의 전달경로의 저항값을 충분히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착화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성 3.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1 또는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중심전극은 선단측에 위치하는 중심전극 본체부와,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에서 상기 축선을 따라 후단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된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전극은 선단측에 개구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리 밀봉부가 적어도 상기 접속부의 외주면, 상기 축구멍의 내주면, 상기 단자전극의 선단면 및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3에 의하면,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직접 접촉시키면서 유리 밀봉부에 의해서 양 전극을 절연체에 고정하는 구성(상기 구성 1)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중심전극의 접속부가 단자전극의 구멍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을 한층 더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전력 손실의 억제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구성 4.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3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접속부의 단면적을 S2(㎟)라 하고,
상기 단자전극 중 표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 중, 외경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통과하며 또한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의 외주면의 외형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단면적을 S3(㎟)라 하였을 때,
S3-S2≥1.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4에 의하면, 단자전극 중 축선방향을 따라서 유리 밀봉부에 접촉(압접)되어 있는 부위(단자전극을 유리 밀봉부, 더 나아가서는 절연체에 고정할 때에 특히 중요하게 되는 부위)를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하였을 때의 투영면적(S3-S2)이 충분히 큰 것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 밀봉부, 더 나아가서는 절연체에 대해서 단자전극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진동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 효과를 더욱더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단자전극과 절연체 사이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성 5.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3 또는 구성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Cu), 은(Ag), 금(Au), 아연(Zn), 혹은 알루미늄(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5에 의하면, 접속부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즉,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전력 손실의 발생이 특히 염려되는 부위)는 Cu나 Ag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착화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성 6.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3 내지 구성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주파는 주로 도전성 물질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성질(표피 효과)을 가지는 바, 상기 구성 6에 의하면, 접속부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Cu나 Ag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덮여져 있다. 따라서, 접속부의 표면을 따라 전달되는 고주파 전력의 도전 경로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저항값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구성 7.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3 내지 구성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7에 의하면, 단자전극에 대한 중심전극(접속부)의 접촉면적을 보다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어, 양 전극 간에 있어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착화성을 실현할 수 있다.
구성 8.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3 내지 구성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8에 의하면, 상기 구성 7과 마찬가지로, 단자전극에 대한 중심전극(접속부)의 접촉면적을 보다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어, 양 전극 간에 있어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착화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성 9.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1 또는 구성 2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은 후단측에 위치하는 단자전극 본체부와,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에서 상기 축선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전극은 후단측에 개구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리 밀봉부가 적어도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상기 축구멍의 내주면,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의 선단면 및 상기 중심전극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9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구성 3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구성 9에 의하면, 단자전극의 연장부의 외주에 유리 밀봉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체에 대해서 단자전극을 한층 더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진동성, 더 나아가서는 기밀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구성 10.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9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Cu), 은(Ag), 금(Au), 아연(Zn), 혹은 알루미늄(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0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구성 5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구성 11.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9 또는 구성 10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1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구성 6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구성 12.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9 내지 구성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2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구성 7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구성 13.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9 내지 구성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3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구성 8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구성 14. 본 구성의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는, 상기 구성 1 내지 구성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밀봉부에 금속 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14에 의하면, 유리 밀봉부에 금속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밀봉부의 저항값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점화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2는 중심전극이나 단자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b)는 구멍부에 대한 접속부의 삽입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의 (a),(b)는 중심전극 본체부와 접속부를 별체로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심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심전극이나 단자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b)는 오목부에 대한 연장부의 삽입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상당하는 샘플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소정의 고주파 전원(도시생략)으로부터 고주파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고주파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프라즈마 점화 플러그(이하, "점화 플러그"라 한다)(1)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점화 플러그(1)의 축선(CL1)방향을 도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으로 하되, 하측을 점화 플러그(1)의 선단측, 상측을 점화 플러그(1)의 후단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점화 플러그(1)는 절연체로서의 절연애자(2), 이것을 유지하는 통형상의 금속쉘(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절연애자(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알루미나 등을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형부에 있어서, 후단측에 형성된 후단측 몸통부(10)와, 상기 후단측 몸통부(10)보다도 선단측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대경부(大徑部)(11)와, 상기 대경부(11)보다도 선단측에 있어서 이것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중간 몸통부(12)와, 상기 중간 몸통부(12)보다도 선단측에 있어서 이것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긴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절연애자(2)에 있어서의 대경부(11), 중간 몸통부(12) 및 대부분의 다리부(13)는 금속쉘(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 중간 몸통부(12)와 다리부(13) 사이의 연접부에는 테이퍼형상의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21)에 의해서 절연애자(2)가 금속쉘(3)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절연애자(2)에는 축선(CL1)을 따라서 축구멍(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구멍(4)에는 전극(8)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전극(8)은 축구멍(4)의 선단측에 삽입된 중심전극(5)과 축구멍(4)의 후단측에 삽입된 단자전극(6)을 구비하고 있다.
중심전극(5)은 전체적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니켈(Ni)을 주성분으로 하는 Ni 합금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중심전극(5)은 그 선단이 절연애자(2)의 선단에서 축선(CL1)방향 선단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축구멍(4)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전극(6)은 저탄소강 등의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자신의 후단부가 절연애자(2)의 후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축구멍(4)에 삽입되어 있다{또한, 전극(8)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중심전극(5) 및 단자전극(6)은, 축구멍(4) 내에 있어서, 금속 분말(예를 들면, 구리나 놋쇠, 철 등의 분말)이나 유리 분말 등의 혼합물이 소결되어 이루어지는 유리 밀봉부(7)에 의해서 절연애자(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리 밀봉부(7)는 단자전극(6)에 의해서 후단측에서부터 압압된 상태로 소성된다. 따라서, 단자전극(6)의 선단부는 유리 밀봉부(7)에 대해서 압접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금속쉘(3)은 저탄소강 등의 금속에 의해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점화 플러그(1)를 연소장치(예를 들면, 내연기관이나 연료전지 개질기 등)의 부착구멍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부(수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나사부(15)의 후단측의 외주면에는 시트부(16)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부(15)의 후단의 나사 목부(17)에는 링형상의 개스킷(18)이 끼워져 있다. 또한, 금속쉘(3)의 후단측에는, 금속쉘(3)을 상기 연소장치에 부착할 때에 렌치 등의 공구를 걸어맞추기 위한 단면 육각형상의 공구 걸어맞춤부(19)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단부에 있어서 절연애자(2)를 유지하기 위한 클림핑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쉘(3)의 내주면에는 절연애자(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테이퍼형상의 단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애자(2)는 금속쉘(3)의 후단측에서 선단측으로 향해서 삽입되되 자신의 단차부(21)가 금속쉘(3)의 단차부(14)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금속쉘(3)의 후단측의 개구부를 직경방향 내측으로 클림핑(crimping)함으로써, 즉 상기 클림핑부(20)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쉘(3)에 고정된다. 또한, 절연애자(2)의 단차부(21)와 금속쉘(3)의 단차부(14) 사이에는 원환형상의 시트 패킹(22)이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소실 내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연소실 내에 노출되는 절연애자(2)의 다리부(13)와 금속쉘(3)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으로 흘러 들어오는 연료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림핑에 의한 밀폐를 보다 완전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금속쉘(3)의 후단측에 있어서는 금속쉘(3)과 절연애자(2) 사이에 환형상의 링부재(23,24)가 개재되고, 이들 링부재(23,24) 사이에는 탈크(활석)(25) 분말이 충전되어 있다. 즉, 금속쉘(3)은 시트 패킹(22), 링부재(23,24) 및 탈크(25)를 통해서 절연애자(2)를 유지하고 있다.
또, 금속쉘(3)의 선단부(26)에는, Ni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며, 대략 중간부분에서 굴곡된 접지전극(27)이 접합되어 있다. 접지전극(27)은 그 선단측 측면이 전극(8){중심전극(5)}의 선단부와 대향하고 있어, 전극(8)의 선단부와 접지전극(27) 사이에는 간극(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극(28)에 대해서 고주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전극(8){중심전극(5) 및 단자전극(6)} 등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전극(5)은 축선(CL1)방향 선단측에 위치하는 중심전극 본체부(5A)와, 축선(CL1)방향 후단측에 위치하며 중심전극 본체부(5A)와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5B)를 구비하고 있다.
중심전극 본체부(5A)는, 자신의 선단부가 접지전극(27)과의 사이에서 상기 간극(28)을 형성하도록 절연애자(2)의 선단에서 돌출되어 있고, 또 자신의 후단측에 형성된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형상 부분에 의해서 축구멍(4)의 내주면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접속부(5B)는 봉형상을 이루며, 중심전극 본체부(5A)의 후단부의 중앙위치에서 축선(CL1)을 따라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접속부(5B)는 중심전극 본체부(5A){특히, 중심전극 본체부(5A) 중 가장 큰 직경이 되는 부분}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상기 유리 밀봉부(7)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6)은, 자신의 선단부에 축선(CL1)방향 선단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구멍부(6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멍부(6A)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약간의 간극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접속부(5B)가 삽입되어 있으며, 중심전극(5){접속부(5B)}의 적어도 후단부와 단자전극(6)이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유리 밀봉부(7)는 접속부(5B)의 외주면, 축구멍(4)의 내주면, 단자전극(6)의 선단면 및 중심전극 본체부(5A)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멍부(6A)에 대해서 접속부(5B)를 압입함으로써, 접속부(5B) 중 구멍부(6A) 내에 배치된 부위의 외주면 전역(全域)을 단자전극(6)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6A)에 암나사를 형성함과 아울러 접속부(5B)의 후단측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구멍부(6A)에 대해서 접속부(5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속부(5B) 중 구멍부(6A) 내에 배치된 부위의 외주면을 단자전극(6)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축구멍(4) 내에 위치하는 전극(8){중심전극(5) 및 단자전극(6)}의 부위 중, 축선(CL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위{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5B)}의 최소 단면적(S1)이 0.2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6A)의 개구에 있어서의 축선(CL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접속부(5B)의 단면적을 S2(㎟)라 하고, 단자전극(6) 중 표면이 유리 밀봉부(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 중, 외경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통과하며 또한 축선(CL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단자전극(6)의 외주면의 외형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단면적{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전극(6) 중 표면이 유리 밀봉부(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의 축선(CL1)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최대 단면적"이 된다}을 S3(㎟)라 하였을 때, S3-S2≥1.2를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단자전극(6)을 유리 밀봉부(7), 더 나아가서는 절연애자(2)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단자전극(6) 중 축선(CL1)방향을 따라서 유리 밀봉부(7)에 압접되는 부위를 충분히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는 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CL1)을 따라서 상기 부위를 축선(CL1)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하였을 때에, 상기 부위의 투영면적(즉, S3-S2)이 충분히 큰 것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5B)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Cu), 은(Ag), 금(Au), 아연(Zn), 혹은 알루미늄(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져 있다.
또한, 접속부(5B)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를 Cu, Ag, Au, Zn, 혹은 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전극 본체부(35A)와 Cu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35B)를 별체로 형성하고, 용접에 의해서 중심전극 본체부(35A)에 접속부(35B)를 접합함으로써 중심전극(35)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전극 본체부(45A)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45C)에 접속부(45B)를 압입함으로써, 접속부(45B)가 중심전극 본체부(45A)에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중심전극(45)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삽입구멍(45C)에 암나사를 형성함과 아울러 접속부(45B)의 선단측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삽입구멍(45C)에 접속부(45B)의 수나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속부(45B)를 중심전극 본체부(45A)에 접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리 밀봉부(7)를 통하는 일 없이 중심전극(5)과 단자전극(6)이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된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한층 더 큰 전력을 가지고서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중심전극(5)과 단자전극(6)이 유리 밀봉부(7)에 의해서 절연애자(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5,6)을 절연애자(2)에 대해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장치의 동작 등에 수반되는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서도, 단자전극(6)의 느슨함 등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전극(5)과 단자전극(6)을 장기간에 걸쳐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내진동성의 향상이 도모됨으로써, 단자전극(6)과 절연애자(2) 사이에 있어서 우수한 기밀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극(8){중심전극(5) 및 단자전극(6)}의 최소 단면적(S1)이 0.20㎟ 이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착화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전극(5)의 접속부(5B)가 단자전극(6)의 구멍부(6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양 전극(5,6)을 한층 더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전력 손실의 억제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멍부(6A)에 접속부(5B)를 압입시키거나 나사 결합함으로써, 단자전극(6)에 대한 중심전극(5){접속부(5B)}의 접촉면적을 보다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어, 양 전극(5,6) 간에 있어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착화성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접속부(5B)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Cu나 Ag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덮여져 있다. 따라서, 접속부(5B)의 표면을 따라 전달되는 고주파 전력의 도전 경로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저항값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어,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또, 단자전극(6) 중 축선(CL1)방향을 따라서 유리 밀봉부(7)에 접촉(압접)되어 있는 부위를 축선(CL1)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하였을 때의 투영면적(S3-S2)이 충분히 큰 것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 밀봉부(7), 더 나아가서는 절연애자(2)에 대해서 단자전극(6)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진동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전극(5)과 단자전극(6)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 효과를 더욱더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단자전극(6)과 절연애자(2) 사이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밀봉부(7)에는 금속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밀봉부(7)의 저항값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전력을 전달할 때에 있어서의 전력 손실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상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의 접속형태가 특히 상이하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전극(56)은 축선(CL1)방향 후단측에 위치하는 단자전극 본체부(56A)와, 단자전극 본체부(56A)의 선단부에서 축선(CL1)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6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중심전극(55)의 후단부에는 축선(CL1)방향 후단측을 향해서 개구되는 오목부(5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55A)에 대해서 연장부(56B)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부(56B)는 단자전극 본체부(56A)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리 밀봉부(57)는 연장부(56B)의 외주면, 축구멍(4)의 내주면, 단자전극 본체부(56A)의 선단면 및 중심전극(55)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55A)에 대해서 연장부(56B)를 압입함으로써, 연장부(56B) 중 오목부(55A) 내에 배치된 부위의 외주면 전역을 중심전극(55)에 대해서 접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55A)에 암나사를 형성함과 아울러 연장부(56B)의 선단측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오목부(55A)에 대해서 연장부(56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연장부(56B) 중 오목부(55A) 내에 배치된 부위의 외주면을 중심전극(55)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연장부(56B)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5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Cu, Ag, Au, Zn, 혹은 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져 있다. 또한, 연장부(56B) 중 외주면이 유리 밀봉부(57)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를 Cu, Ag, Au, Zn, 혹은 Al,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단자전극(56)의 연장부(56B)의 외주에 유리 밀봉부(57)가 배치되기 때문에, 절연애자(2)에 대해서 단자전극(56)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밀성이나 내진동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전극과 단자전극 사이에 유리 밀봉부를 형성하고, 이 유리 밀봉부를 통해서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A(비교예에 상당한다)와,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직접 접촉시킴과 아울러 축구멍 내에 위치하는 중심전극 및 단자전극 중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위의 최소 단면적(S1)을 여러 가지로 변경한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B, C, D, E(각각 실시예에 상당한다)를 제작하고, 각 샘플에 대해서 착화성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착화성 평가시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즉, 배기량 2000㏄의 4기통 DOHC 엔진에 샘플을 조립한 후 공연비(A/F)를 20으로 하고, 샘플에 대해서 발진 주파수 13㎒, 출력 300W의 고주파 전력을 1000회 공급하여, 1000회 중에 발생한 실화의 회수{실화회수(失火回數)}를 계측하였다. 여기서, 실화회수가 0회로 된 샘플은 착화성이 극히 우수한 것으로서 "◎"의 평가를 내리고, 실화회수가 1∼4회로 된 샘플은 착화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의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실화회수가 5회 이상으로 된 샘플은 착화성이 떨어지는 것으로서 "×"의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하였다.
표 1에 상기 시험의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에 상당하는 샘플에 있어서, 최소 단면적(S1)은 중심전극의 접속부의 외경을 조절함에 의해서 변경하였다(표 1에는 접속부의 외경을 함께 나타낸다).
접속부의 외경(㎜) 최소 단면적(S1)(㎟) 착화성 평가
샘플 A - - ×
샘플 B 1. 5 1. 77
샘플 C 1. 0 0. 79
샘플 D 0. 5 0. 20
샘플 E 0. 3 0. 0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유리 밀봉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샘플 A는 실화가 발생하기 쉬워 착화성이 떨어지는 것이 분명하였다. 이것은 유리 밀봉부의 존재에 의해서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는 중심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의 간극에 투입되는 전력이 불충분하게 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에 대해서,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직접 접촉시킨 샘플 B∼E는 우수한 착화성을 가지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양 전극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전력 손실을 극력 억제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간극에 대해서 충분히 큰 전력이 투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특히 최소 단면적(S1)을 0.20㎟ 이상으로 한 샘플 B∼D는 한층 더 우수한 착화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전력의 도전 경로(단자전극의 후단에서 중심전극의 선단까지)의 저항값이 충분히 작아지게 되어, 전력 손실이 보다 적어지게 된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투입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는, 착화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중심전극 및 단자전극을 직접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착화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축구멍 내에 위치하는 전극의 최소 단면적(S1)을 0.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어서, 단자전극의 구멍부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로 중심전극의 접속부를 삽입함에 의해서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접촉시킨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F와, 구멍부에 대해서 접속부를 압입함에 의해서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접촉시킨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G와, 구멍부에 대해서 접속부를 나사 결합함에 의해서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접촉시킨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H를 제작하고, 각 샘플에 대해서 공연비(A/F)를 21로 한 상태에서(즉, 실화가 더욱 발생하기 쉬운 조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한 착화성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2에 상기 시험의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 샘플 모두 접속부의 외경을 1.0mm{최소 단면적(S1)을 약 0.79㎟}로 하였다.
샘플 F 샘플 G 샘플 H
착화성 평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에 대해서 접속부를 압입한 샘플 G나 구멍부에 대해서 접속부를 나사 결합한 샘플 H는, 연료가 희박하여 실화가 더욱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서도 매우 우수한 착화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단자전극에 대한 접속부의 접촉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양 전극 간에 있어서의 접촉저항이 저감되고, 더 나아가서는 전력 손실이 한층 더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시험의 결과로부터, 착화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기 위해서, 중심전극과 단자전극을 접합할 때에는 압입이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양 전극을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면적(S3)(㎟)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구멍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접속부의 단면적(S2)(㎟)을 변경함으로써, "S3-S2"를 여러 가지로 변경한 스파크 플러그의 샘플 I, J, K, L을 제작하고, 각 샘플에 대해서 내진동성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내진동성 평가시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즉, 각 샘플을 소정의 시험장치에 부착한 후, JIS B8031에 규정되는 내충격성 시험에 준하여, 충격정도 22mm의 충격을 매분 400회의 비율로 10분간 샘플에 가했다. 그 후, 각 샘플의 단자전극에 느슨함(looseness)이 발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단자전극의 느슨함이 확인되지 않은 샘플은 내진동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의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하고, 한편 단자전극에 느슨함이 발생한 샘플은 내진동성이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서 "△"의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하였다. 표 3에 상기 시험의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단면적(S2)은 접속부의 외경을 조절함으로써 변경하였다(표 3에는 접속부의 외경을 함께 나타낸다). 또, 축구멍에 있어서의 단자전극의 선단부나 유리 밀봉부가 배치되는 부위의 내경을 3.9mm로 하였다.
접속부의 외경(㎜) S3-S2(㎟) 착화성 평가
샘플 I 3.0 4.9
샘플 J 3.5 2.3
샘플 K 3.7 1.2
샘플 L 3.8 0.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3-S2를 1.2㎟ 이상으로 한 샘플 I, J, K는 단자전극에 느슨함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내진동성이 우수한 것이 분명하였다. 이것은 단자전극 중 축선방향을 따라서 유리 밀봉부에 압접되는 부위의 면적이 충분히 크게 확보되어, 유리 밀봉부, 더 나아가서는 절연애자에 대한 단자전극의 접합강도가 향상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시험의 결과로부터, 내진동성이나 기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S3-S2≥1.2㎟를 만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기재내용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하여도 좋다. 물론 이하에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유리 밀봉부(7)를 구성하는 금속 분말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밀봉부(7)를 구성하는 금속 분말에 Cu나 Ag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을 함유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력 손실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착화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b)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기재하지 않았으나, 단자전극(6,56)의 선단측 외주면{유리 밀봉부(7)에 접촉하는 면}에 수나사나 널링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자전극(6,57)을 유리 밀봉부(7,57){더 나아가서는 절연애자(2)}에 대해서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진동성 더 나아가서는 기밀성의 향상을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c)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전극(5)이 Ni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나, 중심전극(5)의 내부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나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중심전극(5)의 열전도성이 향상되어 내소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내소모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중심전극(5)이나 접지전극(27) 중 간극(28)을 형성하는 부위에, 백금이나 이리듐 등의 귀금속 또는 귀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귀금속 팁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d)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쉘(3)의 선단부(26)에 접지전극(27)이 접합되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있으나, 금속쉘의 일부(또는 금속쉘에 미리 용접되어 있는 선단 금구의 일부)를 깎아내도록 하여 접지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6-236906호 공보 등).
(e)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걸어맞춤부(19)가 단면 육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공구 걸어맞춤부(19)의 형상에 관해서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Bi-HEX(변형 12각)형상〔ISO22977:2005(E)〕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1 -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점화 플러그)
2 - 절연애자(절연체) 4 - 축구멍
5,55 - 중심전극 5A - 중심전극 본체부
5B - 접속부 6,56 - 단자전극
6A - 구멍부 7 - 유리 밀봉부
8 - 전극 55A - 오목부
56A - 단자전극 본체부 56B - 연장부
CL1 - 축선

Claims (14)

  1.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구멍을 가지는 절연체와, 상기 축구멍 내에 삽입된 전극을 구비하며,
    소정의 고주파 전원에 의해서 발생된 고주파 전력이 상기 전극에 공급됨으로써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로서,
    상기 전극은 상기 축구멍의 선단측에 삽입된 중심전극과, 상기 축구멍의 후단측에 삽입된 단자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축구멍 내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 및 상기 중심전극은 유리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밀봉부에 의해서 상기 절연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전극 및 상기 단자전극이 직접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구멍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의 부위 중,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위의 최소 단면적(S1)을 0.2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전극은 선단측에 위치하는 중심전극 본체부와,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에서 상기 축선을 따라 후단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된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전극은 선단측에 개구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리 밀봉부가 적어도 상기 접속부의 외주면, 상기 축구멍의 내주면, 상기 단자전극의 선단면 및 상기 중심전극 본체부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접속부의 단면적을 S2(㎟)라 하고,
    상기 단자전극 중 표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 중, 외경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통과하며 또한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의 외주면의 외형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단면적을 S3(㎟)라 하였을 때,
    S3-S2≥1.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 대해서 상기 접속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전극은 후단측에 위치하는 단자전극 본체부와,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에서 상기 축선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전극은 후단측에 개구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리 밀봉부가 적어도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상기 축구멍의 내주면, 상기 단자전극 본체부의 선단면 및 상기 중심전극의 후단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중 외주면이 상기 유리 밀봉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는 구리, 은, 금, 아연, 혹은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연장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밀봉부에 금속 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KR1020137016426A 2010-11-25 2011-08-23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KR101476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2063 2010-11-25
JP2010262063 2010-11-25
PCT/JP2011/068907 WO2012070288A1 (ja) 2010-11-25 2011-08-23 高周波プラズマ点火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051A true KR20130087051A (ko) 2013-08-05
KR101476569B1 KR101476569B1 (ko) 2014-12-24

Family

ID=4614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426A KR101476569B1 (ko) 2010-11-25 2011-08-23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1635B2 (ko)
EP (1) EP2645497B1 (ko)
JP (1) JP5227465B2 (ko)
KR (1) KR101476569B1 (ko)
WO (1) WO2012070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4780B2 (ja) * 2015-06-19 2017-04-1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点火プラグおよび点火装置
JP2017135034A (ja) * 2016-01-28 2017-08-0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点火プラグ
US9863330B2 (en) * 2016-05-05 2018-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valve timing in a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5632A (en) * 1927-03-08 1928-12-18 Charles C Campbell Spark plug
US1976294A (en) * 1933-06-22 1934-10-09 Gen Motors Corp Spark plug
US2106578A (en) * 1936-05-04 1938-01-25 Gen Motors Corp Sealing composition, method of using same,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3417275A (en) 1967-05-22 1968-12-17 Fay Dyn Products Ltd Spark plug having a sectional center electrode and a thin metallic sleev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thereof
US3934566A (en) 1974-08-12 1976-01-27 Ward Michael A V Combus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214119A (ja) * 1998-01-28 1999-08-06 Ngk Spark Plug Co Ltd 抵抗体入りスパークプラグ
KR100842997B1 (ko) * 2003-05-20 2008-07-01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파크 플러그 및 그 제조방법
US7443088B2 (en) * 2004-10-20 2008-10-28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Coaxial twin spark plug
FR2881281B1 (fr) * 2005-01-26 2011-04-22 Renault Sas Bougie a generation de plasma
JP4948515B2 (ja) 2008-12-26 2012-06-0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プラズマジェット点火プラグ
US8707922B2 (en) * 2009-12-15 2014-04-29 Federal Mogul Ignition Company Spark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entral electrode assembl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8477A1 (en) 2013-12-12
JP5227465B2 (ja) 2013-07-03
EP2645497A1 (en) 2013-10-02
JPWO2012070288A1 (ja) 2014-05-19
EP2645497A4 (en) 2014-12-03
WO2012070288A1 (ja) 2012-05-31
EP2645497B1 (en) 2019-11-20
US8981635B2 (en) 2015-03-17
KR101476569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8560B2 (en) Spark plug
JP5249385B2 (ja) プラズマジェット点火プラグ
KR101371910B1 (ko) 스파크 플러그
US11456578B2 (en) Spark plug
JP2011175980A5 (ko)
US20220360051A1 (en) Spark plug
US8237342B2 (en) Plasma jet ignition p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23011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6611769B2 (ja) 点火プラグ
EP2538506B1 (en) Spark plug
JP5064587B2 (ja) 高周波プラズマスパークプラグ
KR20130087051A (ko) 고주파 플라즈마 점화 플러그
JP5296677B2 (ja) スパークプラグ
US7847473B2 (en) Spark plug
JP2016072104A (ja) スパークプラグ
JP6411433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2021015670A (ja) 点火プラグ
JP7227933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7039519B2 (ja) 点火プラグ
JP2006153338A (ja) グロープラグ
WO2019069640A1 (ja) 点火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