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566A -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566A
KR20130086566A KR1020130008028A KR20130008028A KR20130086566A KR 20130086566 A KR20130086566 A KR 20130086566A KR 1020130008028 A KR1020130008028 A KR 1020130008028A KR 20130008028 A KR20130008028 A KR 20130008028A KR 20130086566 A KR20130086566 A KR 2013008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smartphone
component
displa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히로 히가시
게이따 니시무라
게이스께 쯔까모또
겐따로 에또
히데또시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푸나이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원격 제어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단말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은 제1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제1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갖는다. 제어 단말은 휴대용 단말과 무선 통신한다. 제어 단말은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제2 터치 패널, 및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무선 송신하는 무선 전송 컴포넌트를 갖는다. 휴대용 단말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 실행 컴포넌트, 및 동작의 실행 스크린의 이미지를 전송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제1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를 더 갖는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TERMINAL}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1341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13418호의 전체 명세서는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 및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텔레비전 수신기(이하, TV 수신기라고 함)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들이 최근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은 자신이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비디오를 MHL 케이블을 통해 TV 수신기에 송신하고, 따라서 자신이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비디오를 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은 사용자로 하여금 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스마트폰 비디오를 볼 수 있게 해 준다.
<발명의 개요>
그러나, MHL 케이블 및 다른 그러한 전송 케이블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길지는 않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TV 수신기 상에서 디스플레이를 보고 있는 동안 스마트폰이 다양한 커맨드를 제공하도록 직접 조작될 때의 문제는,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전송 케이블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임이 밝혀졌다.
반면에, 종래의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2009-130857호 참조)에서, 휴대용 전화기는 텔레비전 세트의 적외선 전송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의 저속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 컴포넌트를 갖는다. 휴대용 전화기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 원격 조작되며, 휴대용 전화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고속 적외선 통신에 의해 텔레비전 세트에 송신된다. 이러한 적외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면, 휴대용 전화기는 저속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덜 제한된다. 그러나,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 휴대용 전화기 간에서 제어 버튼의 레이아웃 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화기를 조작하기가 어렵고, 이것은 제품의 사용을 덜 편리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691,741호 참조)을 이용하면, 휴대용 전화기는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은 휴대용 전화기와 통신하고, 스캐너 원격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캐너 원격 제어기가 휴대용 전화기를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한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은 AV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AV 디바이스가 휴대용 전화기를 위한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그 AV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은 또한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원격으로 쉽게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 크레이들과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에서도 불편함의 문제가 남아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인터넷: <URL:http:// www.sonyericsson.co.jp/product/accessories/liveview/>로부터 검색되는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의 LiveView™ MN800의 주요 특징[온라인] 참조)를 이용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시에, 블루투스 표준을 준수하는 무선 신호를 휴대용 전화기에 송신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를 조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도, 제어 버튼의 레이아웃 등이 휴대용 전화기의 것과 매우 다르기 때문이 불편함의 문제는 역시 해결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사용자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단말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지된 최신 기술을 고려하여, 원격 제어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단말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은 제1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제1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송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단말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단말은 휴대용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단말은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터치 패널, 및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송 컴포넌트를 갖는다. 휴대용 단말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동작 실행 컴포넌트, 및 동작의 실행 스크린의 이미지를 전송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를 더 갖는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보고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을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최초 명세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TV 수신기, 스마트폰 및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시스템의 TV 수신기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시스템의 스마트폰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시스템의 터치 패드의 내부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TV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시스템 내의 터치 패드의 조작 동안의 프로세싱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패드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도 8a는 수정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도 8b는 수정된 터치패드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의 개략도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이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일 뿐이며,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목적은 없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텔레비전 수신기(1)(예를 들어,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하, TV 수신기라고 함), 스마트폰(2)(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 및 터치 패드(3)(예를 들어, 제어 단말)를 포함한다. 도 2는 TV 수신기(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2)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터치 패드(3)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TV 수신기(1) 및 스마트폰(2)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과 호환가능한 디바이스들이다. TV 수신기(1)와 스마트폰(2)은 MHL 호환형 전송 케이블(50)(예를 들어, 전송 케이블)(이하, MHL 케이블이라고 함)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MHL 케이블(50)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제어 커맨드를 전달하기 위한 CBUS(제어 버스) 라인, 디바이스들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 라인 등을 갖는다.
스마트폰(2)은 터치 패널(21a)(예를 들어, 제1 터치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기초하는 비디오 신호를 MHL 케이블(50)을 통해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스마트폰(2)은 MHL 케이블(50)로 TV 수신기(1)에 전기 접속된다. TV 수신기(1)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스마트폰(2) 및 터치 패드(3)는 둘 다 블루투스와 호환가능하고,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 신호를 교환한다. 스마트폰(2) 및 터치 패드(3)는 무선으로 서로 접속되어 무선으로 서로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수신기(1)는 안테나(11)에 접속되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12), 디코더(1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4), 오디오를 출력하는 한 쌍의 스피커(15)(도 1을 참조), 복수의 제어 버튼(16), MHL 인터페이스(17) 및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를 포함한다.
튜너(12)는 방송국들로부터 송출된 다양한 채널들에 대한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안테나(11)를 통해 수신한다. 디코더(13)는 튜너(12)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복조 프로세싱, 에러 정정 프로세싱 등에 종속시킨다. 디코더(13)는 다중화된 신호로부터 요구되는 TS(transport stream)를 분리하는 TS 변환 회로(도시되지 않음), 각각의 분리된 TS를 디코딩 프로세싱에 종속시키는 비디오 디코딩 회로(도시되지 않음), 오디오 디코딩 회로(도시되지 않음), 데이터 디코딩 회로(도시되지 않음) 등도 갖는다.
비디오 디코딩 회로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TS 패킷을 디코딩 프로세싱에 종속시키고,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디오 신호를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딩 회로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TS 패킷을 디코딩 프로세싱에 종속시키고,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출력한다.
데이터 디코딩 회로는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TS 패킷을 디코딩 프로세싱에 종속시키고, SI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SI 데이터를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4)는 튜너(12)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비디오, 또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들(15)은 튜너(12)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출력한다. 제어 버튼들(16)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다양한 커맨드들을 TV 수신기(1)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MHL 인터페이스(17)는 MHL 케이블(50)에 접속되고, 스마트폰(2)으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신호 및 제어 커맨드를 MHL 케이블(50)을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전달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TV 수신기(1)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비디오가 MHL 인터페이스(17)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TV 수신기(1)가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기들에 제공된 종래의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매우 평범하기 때문에, 간단함을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은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메뉴 버튼(22), MHL 인터페이스(23)(예를 들어, 제1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 또는 제1 비디오 전송 수단), 무선 통신 컴포넌트(24)(예를 들어, 제2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 또는 제2 비디오 전송 수단), 및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예를 들어, 조작 결정 컴포넌트 또는 조작 결정 수단, 동작 실행 컴포넌트 또는 동작 실행 수단)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는 제어 키로서 기능하는 터치 패널(21a)을 갖는다. 터치 패널(21a)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의 스크린을 커버하도록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다양한 조작들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 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실행 키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이하, 아이콘 이미지들이라고 함)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에 의해 실행이 지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스크린(예를 들어, 실행 스크린 또는 실행 결과 스크린)도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아이콘 이미지들을 터치함으로써 다양한 커맨드들을 입력할 수 있다.
메뉴 버튼(22)은 아이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MHL 인터페이스(23)는 MHL 케이블(50)에 접속되고,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제어 커맨드를 MHL 케이블(50)을 통해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는 블루투스 표준에 의해 터치 패드(3)와 무선 신호를 교환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스마트폰(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에 기초한 비디오 신호를 MHL 인터페이스(23)를 이용하여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스크린의 이미지를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또한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3)로부터의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또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예를 들어, 그에 기초하는 비디오 신호)를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에 의해 터치 패드(3)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의 이미지를 터치 패드(3)에 송신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터치 패드(3)로부터 송신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터치했음을 결정한다. 즉,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터치 패드(3)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조작)이 발생했음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그와 같이 터치된 것으로 결정된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즉,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한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스마트폰(2)이 종래의 스마트폰들에 제공되는 종래의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매우 평범한 것이므로, 간단함을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3)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수단), 무선 통신 컴포넌트(32)(예를 들어, 무선 전송 컴포넌트 또는 무선 전송 수단), 및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예를 들어, 비디오 출력 컴포넌트 또는 비디오 출력 수단)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는 제어 키로서 기능하는 터치 패널(31a)(예를 들어, 제2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갖는다. 터치 패널(31a)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의 스크린을 커버하도록 제공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스마트폰(2)으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비디오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는 블루투스 표준에 의해 스마트폰(2)과 무선 신호를 교환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터치 패드(3)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으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또한 터치 패널(31a)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때에,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터치 패널(31a) 상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결정하고, 터치 패널(31a) 상에서의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 좌표 정보는 터치된 위치를, 터치 패널(31a)의 좌측 상부 위치와 같은 원점에 대한 XY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좌표 정보가 터치된 위치를 상이한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물론,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터치 패드(3)가 종래의 터치 패드들에 제공되는 종래의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매우 평범한 것이므로, 간단함을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다음으로,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 및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이 도 5a 및 도 5b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도시하는 한편, 도 5b는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미지들 A1 내지 A6이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스마트폰(2)은 이들 이미지들에 기초하는 비디오 신호를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이미지들 A1 내지 A6에 대응하는 아이콘 이미지들 B1 내지 B6이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서와 동일한 이미지들이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 시스템(100) 내의 터치 패드(3)를 이용한 스마트폰(2)의 조작 프로세싱이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터치 패드(3)를 이용한 스마트폰(2)의 조작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를 도시한다. 도 7b는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어떠한 이미지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6의 단계 S1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미지들 A1 내지 A6이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 F1으로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의 위치 P를 터치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2에서, 터치 패드(3)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는 사용자의 손가락 F1으로 터치된 위치 P에 관한 좌표 정보를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단계 S3에서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3)로부터 송신된 좌표 정보를 수신한 다음, 단계 S4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3)로부터 수신된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터치했음을 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들은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들과 일대일 대응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대응은 예를 들어 테이블로서 스마트폰(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터치 패널(31a) 상에서의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31a) 상에서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한,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들은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들과 다대일 대응으로 연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미지 A1은 사용자의 손가락 F1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 P에 대응하는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사용자가 아이콘 이미지 A1을 터치했음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단계 S5에서 아이콘 이미지 A1에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한 다음, 단계 S6에서 MHL 인터페이스(23)를 이용하여 TV 수신기(1)에 실행 결과의 이미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아이콘 이미지 A1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지시할 때,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프로세싱(위의 단계 S5에 대응)을 실행하고,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위의 단계 S6에 대응) 후의 비디오를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TV 수신기(1)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단계 S7에서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비디오(예를 들어, 실행 스크린)를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원격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을 터치할 때, 터치 패드(3)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무선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스마트폰(2)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결정된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 다음, 실행 결과 스크린의 이미지를 MHL 케이블(50)을 통해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원하는 위치를 터치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이러한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를 터치한다. 결과로서,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에서 원하는 위치가 직접 터치되었을 때와 동일한 동작이 스마트폰(2)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TV 수신기(1)를 보고 있는 위치가 스마트폰(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사용자는 스마트폰(2)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TV 수신기(1)를 보면서 터치 패드(3)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결과의 이미지가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TV 수신기(1)의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가 스마트폰(2)에 의해 완료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는 어떠한 이미지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3)(예를 들어, 수정된 터치 패드)는 스마트폰(2)(예를 들어, 수정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는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를 도시한다. 도 8b는 수정된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를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마트폰(2)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이것은 간단함을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2)의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기초하는 비디오 신호를 터치 패드(3)에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를 이용한다.
터치 패드(3)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이미지들 A1 내지 A6에 대응하는 아이콘 이미지들 C1 내지 C6이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아이콘 이미지들 C1 내지 C6을 보면서 원하는 아이콘 이미지들 C1 내지 C6을 터치함으로써 스마트폰(2)을 조작한다.
스마트폰(2)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터치 패드(3)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터치 패드(3)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을 훨씬 더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의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TV 수신기(1)는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례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일한 선택사양이 아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수신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떠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도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2)은 본 출원의 휴대용 단말의 일례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일한 선택사양이 아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터치 패널을 가지며 제어 단말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디오를 송신할 수 있는 어떠한 휴대용 단말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터치 패드(3)는 본 출원의 제어 단말의 일례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일한 선택사양이 아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터치 패널을 가지며 터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송신할 수 있는 어떠한 제어 단말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MHL 케이블(50)이 전송 케이블의 일례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일한 선택사양이 아니다. 예를 들어, 그것은 HDMI 케이블, 또는 비디오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다른 그러한 전송 케이블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원격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21a)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를 갖는 스마트폰(2), 스마트폰(2)으로부터 MHL 케이블(50)을 통해 송신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TV 수신기(1), 및 스마트폰(2)과 무선 통신하는 터치 패드(3)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3)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31a), 및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채 패널(31a) 상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무선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2)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를 갖는다. 스마트폰(2)은 사용자가 터치 패드(3)의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로부터 송신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는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를 터치했음을 결정하기 위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갖는다.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결정된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스마트폰(2)은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의해 동작을 실행한 결과의 스크린을 MHL 케이블(50)을 통해 TV 수신기(1)에 송신하기 위한 MHL 인터페이스(23)를 갖는다.
원격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스마트폰(2)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21) 상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를 무선 신호에 의해 터치 패드(3)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를 더 갖는다. 터치 패드(3)는 터치 패널(31a)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및 스마트폰(2)의 무선 통신 컴포넌트(24)로부터 송신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를 더 갖는다.
터치 패드(3)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31a), 및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무선 신호에 의해 스마트폰(2)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컴포넌트(32)를 갖는다.
터치 패드(3)에 있어서, 터치 패드(3)는 터치 패널(31a)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및 스마트폰(2)으로부터 송신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컴포넌트(31)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30)를 더 갖는다.
원격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을 터치할 때, 터치 패드(3)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에 관한 좌표 정보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스마트폰(2)은 터치 패드(3)로부터 송신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것으로 결정된 터치 패널(21a)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스마트폰(2)은 실행 결과의 스크린을 MHL 케이블(50)을 통해 TV 수신기(1)에 송신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스마트폰(2)의 터치 패널(21a) 상의 원하는 위치를 터치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이러한 원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패드(3)의 터치 패널(31a) 상의 위치를 터치한다. 결과로서, 터치 패널(21a) 상에서 원하는 위치가 직접 터치될 때와 동일한 동작이 스마트폰(2) 상에서 실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TV 수신기(1)를 보고 있는 위치가 스마트폰(2)으로부터 멀더라도, 사용자는 스마트폰(2)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TV 수신기(1)를 보면서 터치 패드(3)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을 원격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원격 제어 시스템(100)의 터치 패드(3)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MHL 케이블(50)에 의해 접속된 TV 수신기 상에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2)의 조작에서 터치 패드(3)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의 원격 제어가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여기에서 이용되는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그것의 파생어들은 언급되지 않은 다른 특징, 요소, 컴포넌트,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언급된 특징, 요소, 컴포넌트,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명시하는 개방적인 용어로 의도된 것이다. 상기 내용은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갖는(having)" 및 그들의 파생어와 같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들에도 적용된다. 또한, 단수 형태로 사용될 때의 용어 "부분", "섹션", "일부분", "부재" 또는 "요소"는 단일 부분 또는 복수의 부분의 이중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선정된 실시예들만이 선택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명세서로부터,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한 이하의 설명이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일 뿐이며,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목적은 없다.

Claims (10)

  1.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1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제1 디스플레이 컴포넌트를 갖는 휴대용 단말;
    전송 케이블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용 단말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말은,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에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송 컴포넌트
    를 갖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동작 실행 컴포넌트, 및
    상기 동작의 실행 스크린의 이미지를 상기 전송 케이블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
    를 더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상의 이미지를 상기 제어 단말에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를 더 갖고,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제2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제2 비디오 전송 컴포넌트로부터 송신된 이미지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출력 컴포넌트
    를 더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제어 단말의 상기 무선 전송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좌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터치 조작이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서 발생했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조작 결정 컴포넌트를 더 갖는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조작 결정 컴포넌트는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조작 결정 컴포넌트는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와 일대일 대응으로 연관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동작 실행 컴포넌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조작 결정 컴포넌트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1 터치 패널 상의 위치에 연관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기 접속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어 단말로서,
    사용자 터치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터치 조작의 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송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제어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및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출력 컴포넌트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단말.
KR1020130008028A 2012-01-25 2013-01-24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 KR20130086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3418 2012-01-25
JP2012013418A JP2013153346A (ja) 2012-01-25 2012-01-25 遠隔操作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66A true KR20130086566A (ko) 2013-08-02

Family

ID=4760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028A KR20130086566A (ko) 2012-01-25 2013-01-24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88098A1 (ko)
EP (1) EP2621186A3 (ko)
JP (1) JP2013153346A (ko)
KR (1) KR20130086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1329B1 (en) 2012-07-27 2015-09-22 D.R. Systems, Inc. Combining electronic displays
KR20140029049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신호 처리 방법
US20150029398A1 (en) * 2013-07-24 2015-01-2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outputting a charging status
US20150334333A1 (en) * 2013-07-30 2015-11-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53890A1 (en) 2014-04-02 2015-10-08 Hillcrest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s associated with a display
CN105307005B (zh) * 2014-07-30 2018-08-31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方法及装置
US20170242562A1 (en) * 2016-02-19 2017-08-24 Analogix Semiconductor, Inc. Remote Controller
US10558288B2 (en) * 2016-07-07 2020-02-11 Samsung Display Co., Ltd. Multi-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19208323A1 (ja) * 2018-04-23 2020-10-01 仁也 中島 携帯端末の遠隔操作用デバイス
JP2021096759A (ja) * 2019-12-19 2021-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4450B (en) * 2006-03-01 2010-05-01 Compal Electronics Inc A remote controller and its content downloading and executing method
US20070230910A1 (en) * 2006-03-04 2007-10-04 Innosy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wo-Way Remote Control and Cradle or Adaptor to Control an A/V Media Player
CN101507268A (zh) * 2006-09-06 2009-08-12 诺基亚公司 具有增强型视频显示接口的移动终端设备、外挂装置和外部显示设备
KR101428730B1 (ko) * 2007-01-04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검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JP2009130857A (ja) 2007-11-27 2009-06-11 Sharp Corp 携帯機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
US8873722B2 (en) * 2008-04-04 2014-10-28 Kenji Yoshida Cradle for mobile telephone, videophone system, karaoke system, car navigation system, and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DE102009006661B4 (de) * 2009-01-29 2011-04-14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GmbH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einen Bildinhalt wiedergebenden Gerä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8098A1 (en) 2013-07-25
EP2621186A3 (en) 2015-04-08
JP2013153346A (ja) 2013-08-08
EP2621186A2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566A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단말
EP31907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7295378B (zh) 图像显示装置
EP25213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738374B (zh) 图像显示装置
EP3141986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US9038122B2 (en) Device and method to limit operations from an AV device or external terminal
EP3352465B1 (en) System including a digital tv,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ser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system
US2013025018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to control digital television receiving terminal
US8949904B2 (en) Channe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13141181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JP2013141179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アドレス送信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08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59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17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3141180A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101512007B1 (ko) 싱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싱크 컴퓨팅 장치
KR20120078978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4003378A1 (ko) 화면 동기화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
KR2011005663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42997B1 (ko) 영상표시 시스템 및 이벤트 공유 방법
JP6091800B2 (ja) 電子機器、及び放送信号の送信装置
KR201400290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신호 처리 방법
JP2013005409A (ja) 携帯端末
KR20130016934A (ko) 전화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스마트 tv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