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872A -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872A
KR20130085872A KR1020120007008A KR20120007008A KR20130085872A KR 20130085872 A KR20130085872 A KR 20130085872A KR 1020120007008 A KR1020120007008 A KR 1020120007008A KR 20120007008 A KR20120007008 A KR 20120007008A KR 20130085872 A KR20130085872 A KR 2013008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user interface
list
design application
graphic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872A/ko
Publication of KR2013008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모델의 개발에 있어서 모델 전체 또는 일부분의 테스트를 위한 시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여 부품 리스트를 작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부품 선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되어 동작하고, 설계된 차량의 전체 부품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선택된 부품들 각각의 형태와 결합 상태를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부품의 형태와 결합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분석이 완료된 부품들을 하나의 부품 리스트로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개발 비용과 개발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또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GRAPHIC USER INTERFACE FOR PARTS SELECTION AND PARTS SE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로운 모델의 차량을 개발할 때 설계가 완료된 차량의 시제품을 제작하기 전에 수행하는 가상 테스트 및 그 준비 작업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모델의 차량을 개발하는 과정은 기획과 설계, 테스트, 양산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테스트는 설계된 대로 시제품 차량을 제작하여 성능과 내구성, 기능 등을 테스트하고, 설계 오류 또는 개선의 여지가 발견되면 이를 설계 부서에 피드백하여 오류가 해소되고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테스트를 위한 시제품 차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 부품을 결정하고 이를 발주하여 부품을 확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부품 결정은 테스트 담당자의 판단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즉, 테스트 담당자가 자신의 판단에 따라 설계 과정에서 마련되는 차량 전체의 부품 리스트(Bill Of Material, BOM)로부터 시제품 제작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품을 선택한다, 이 방법은 전적으로 테스트 담당자의 경험에 의존해야 하는 것이어서 개발 차량에 대한 테스트 담당자의 이해도와 전문 지식의 정도에 따라 부품 선택의 정확도가 결정된다. 즉, 테스트 담당자의 이해도와 전문 지식이 부족하면 필요 부품과 불필요 부품의 결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곧 부품의 재결정 및 재발주 등으로 이어져서 개발 비용과 개발 시간이 늘어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잘못된 부품의 결정은 자칫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모델의 개발에 있어서 차량 전체 또는 일부분의 테스트를 위한 시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여 부품 리스트를 작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테스트하고자 하는 부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필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를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필드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선택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의 분석이 완료되면 선택된 부품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 형태 또는 애드-인 형태로 연동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오토 모드와,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테스트 담당자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모드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계용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부품 리스트를 공유한다.
또한, 상술한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는 BOM(Bill of Material)이다.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은,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에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부품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선택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를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선택된 부품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의 분석이 완료된 부품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 형태 또는 애드-인 형태로 연동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오토 모드와,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하고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테스트 담당자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모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설계용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부품 리스트를 공유한다.
또한, 상술한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는 BOM(Bill of Material)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모델의 개발에 있어서 모델 전체 또는 일부분의 테스트를 위한 시제품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부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하여 부품 리스트를 작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개발 비용과 개발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또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부품을 결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오토 모드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매뉴얼 모드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부품을 결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차량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테스트 담당자는 설계가 완료되어 디지털 데이터화 및 디지털 시각화가 이루어진 디지털 차량 전체에서 테스트할 부분을 결정한다(102). 예를 들면, 디지털 차량 전체에서 트랜스미션 또는 엔진 등과 같이 테스트할 어느 한 부분을 결정한다. 테스트 대상으로서 차량 전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테스트 대상이 결정되면, 테스트 담당자는 전체 부품 리스트(BOM)에서 테스트 대상을 구성하는 부품의 3D 데이터를 선택한다(104). 선택된 부품의 3D 데이터는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CATIA)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106). 부품을 선택하는 테스트 담당자는 자신이 선택한 부품이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선택한 각각의 부품에 대한 분석 작업을 실시하고, 만약 일부 부품을 잘 못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올바른 부품을 선택하는 등의 수정 작업을 실시한다(108). 분석 작업 및 수정 작업이 완료되면, 테스트 담당자는 현재까지 선택한 부품들의 부품 리스트를 확정하고, 확정된 부품 리스트대로 부품을 발주한다(110). 발주된 부품들은 차량 조립 부서에 전달되어 테스트용 시제 차량의 제작에 사용된다.
도 1에서, 필요한 부품의 선택(104)과 선택된 부품의 분석 및 수정(108)이 실제 부품 발주 전에 컴퓨터 상에서 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 선택의 정확도를 미리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플러그-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설계용 어플리케이션(202)에 플러그-인(또는 애드-인) 형태로 연동되어 사용된다. 이를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202)이 서로 호환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선택한 부품들 각각의 3D 형상 및 서로 결합된 상태가 설계용 어플리케이션(2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부품의 선택과 분석, 수정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모드 & 파일 선택(302) : 오토 모드와 매뉴얼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예를 들면 BOM 추출 파일)을 선택한다. 오토 모드에서는 테스트 담당자가 부품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부품 리스트로부터 최종 부품 리스트의 생성 및 업데이트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상에서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와 달리 매뉴얼 모드에서는 테스트 담당자의 부품 선택 이후 최종 부품 리스트의 생성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기 까지 테스트 담당자의 개입이 요구되는 수동적 작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입력 데이터 판독(308) : 현재까지 테스트 담당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판독하도록 한다.
디지털 TS(Test Support) 생성(310) : 테스트 대상을 구분하는 단위인 디지털 TS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테스트할 차량의 일부분을 하나의 디지털 TS로 묶어서 하나의 테스트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디지털 TS 불러오기(312) : 이미 생성되어 있는 디지털 TS 중에서 목적하는 디지털 TS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TS 오픈(314) : 불러 온 디지털 TS를 오픈한다.
부품 번호 선택(320) : 원하는 부품의 번호를 알고 있을 해당 부품 번호(Part No.)를 직접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섹션 값 편집(322) : 디지털 차량의 일부를 가상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섹션) 또는 그 절단 면을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보고자 할 때 가상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의 각 축(axis)의 좌표 값을 입력하고 또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섹션 생성 및 섹션 불러오기(324) : 새로운 섹션을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되어 있는 섹션을 불러온다(import).
적용 또는 섹션 전환(326) : 불러 온 섹션에 대해 현재까지 작업한 내용을 적용하거나, 또는 다른 섹션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 편집(328) : 매뉴얼 모드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330) : 현재까지의 변경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종료(332) : 플러그-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된 차량 전체의 3D 데이터 리스트를 불러온다(402).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실행시킨다(404).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에서 오토 모드와 매뉴얼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406). 설계된 차량 전체의 3D 데이터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부품에 대응하는 기능 별 묶음 번호(function number) 또는 해당 부품의 부품 번호 데이터를 입력한다(408). 기능 별 묶음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부품들의 3D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핸들을 부품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어를 선택하여 도어에 대응하는 부품들의 3D 데이터를 불러오고 불러온 3D 데이터에서 도어 핸들을 선택한다. 이는 원하는 부품의 번호를 모르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와 달리 부품 번호를 직접 입력하면 해당 부품 번호로 지정된 부품들의 3D 데이터를 곧바로 불러올 수 있다. 이는 원하는 부품의 번호를 알고 있을 때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부품의 3D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BOM 데이터를 입력한다(410). 입력된 데이터들을 읽어오기 위한 데이터 판독 명령을 발생시킨다(412). 이 명령을 통해 BOM 데이터로부터 앞서 선택한 부품들의 데이터 또는 해당 부품 번호로 지정된 부품들의 데이터를 읽어 온다. 읽어 온 데이터들을 결합(조립)하기 위한 컴포지션 명령을 생성한다(414). 읽어 온 각 부품 데이터들은 이 컴포지션 명령에 의해 서로 결합(조립)되어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그 결합된 상태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의 차량(또는 차량의 일부분)을 분석하여 테스트에 필요한 부품의 필요 유무를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오토 모드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오토 모드와 매뉴얼 모드 가운데 오토 모드를 선택한다(502). 오토 모드의 선택은 도 3에 나타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모드 선택(302)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BOM 추출 파일을 선택한다(504). 이 때 선택되는 BOM 추출 파일은 기능 BOM 추출 파일과 부품 번호 BOM 추출 파일이며, 도 3에 나타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BOM 추출 파일 선택(306)을 통해 이루어진다. 선택된 파일 정보를 불러와 데이터 판독을 수행한다(506). 데이터 판독은 도 3에 나타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입력 데이터 판독(308)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파일 정보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읽어온 부품들이 결합(조립)되어 그 결합(조립)의 결과물이 설계용 어플리케이션(2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508). 오토 모드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들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상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가상의 차량(또는 차량의 일부분)을 분석하여 테스트에 필요한 부품의 필요 유무를 판단한다(510).
본 발명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오토 모드는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로 구분된다. 제 1 모드에서는 기능 번호와 부품 번호의 맵핑이 이루어지고 최종 작업 결과가 반영되어 3차원 설계 결과물과 BOM의 기능 번호 목록이 업데이트되며, 제 2 모드에서는 부품 번호의 맵핑만이 이루어지고 최종 작업 결과가 반영되어 디지털 차량의 BOM의 기능 번호 목록이 업데이트됨과 더불어 이미지 파일의 업데이트도 함께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매뉴얼 모드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오토 모드와 매뉴얼 모드 가운데 매뉴얼 모드를 선택한다(602). 매뉴얼 모드의 선택은 도 3에 나타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모드 선택(302)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후 현재 선택하고자 하는 부품이 속하는 디지털 TS를 불러와 프로젝트 정보를 읽어온다(604). 불러온 디지털 TS를 오픈하여 설계용 어플리케이션(202)의 결과물을 오픈한다(606). 수동으로 섹션 제어를 수행한다(608). 여기서 섹션 제어는 설계된 차량의 3D 이미지에서 일부분을 가상으로 절단하여 가상 절단된 부분 또는 가상 절단된 절단 면을 보기 위한 절단 제어를 의미한다. 작업 내용이 반영된 이미지를 캡쳐한다(610). 지금까지의 작업 결과를 저장한다(612).
200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02 :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Claims (10)

  1.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는 부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필드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를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필드와;
    상기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의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부품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 형태 또는 애드-인 형태로 연동되는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오토 모드와;
    상기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하는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용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상기 부품 리스트를 공유하는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된 모델의 상기 전체 부품 리스트가 BOM(Bill of Material)인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설계된 모델의 전체 부품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품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부품들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를 설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부품 각각의 형태 및 상호 결합 상태의 분석이 완료된 상기 부품들의 리스트를 저장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설계용 어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 형태 또는 애드-인 형태로 연동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오토 모드와;
    상기 선택된 부품을 디스플레하고 상기 선택된 부품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용 어플리케이션과 호환되어 상기 부품 리스트를 공유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된 모델의 상기 전체 부품 리스트가 BOM(Bill of Material)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KR1020120007008A 2012-01-20 2012-01-20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KR20130085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08A KR20130085872A (ko) 2012-01-20 2012-01-20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08A KR20130085872A (ko) 2012-01-20 2012-01-20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72A true KR20130085872A (ko) 2013-07-30

Family

ID=4899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008A KR20130085872A (ko) 2012-01-20 2012-01-20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1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Bom 리스트 생성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1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Bom 리스트 생성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m et al. The product model and fourth dimension project
EP2216740A2 (en) Three-dimensional process planning
US20110098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CN111177825B (zh) 一种参数化建模方法和装置
CN101866379B (zh) 用于可视化计算机屏幕上显示的对象的方法、程序和产品编辑系统
US20080062195A1 (en) Method for coordinated drawing review of realted cad drawings
EP3923175A1 (en) Wysiwyg editor for creating and editing a feature control frame for 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in computer-aided design system
CN108133084A (zh) 一种数据质量检查方法、装置、控制器及系统
Stark et al. Cross-domain dependency modelling–how to achieve consistent system models with tool support
JP2004362558A (ja) 機構設計支援方法、機構設計支援システム並びに機構設計支援プログラム
KR20130085872A (ko) 부품 선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선택 방법
JP2003223468A (ja) 2次元図面間、2次元図面/3次元モデル間の連動方法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cadシステム
KR101073933B1 (ko) 부품 데이터의 지능형 조립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기기의 디자인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10984A1 (en) CAE Analysis Navigation System, CAE Analysis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AE Analysis Processing Program
JP2005044016A (ja) 製品の回路設計支援方法及び回路設計支援システム
JPH06187396A (ja) ネットワーク構成設計支援システム
Tching et al. IM-sgi: an interface model for shape grammar implementations
JP4374008B2 (ja) 汎用解析システム
FI20205053A1 (en) MODEL AND TECHNICAL DOCUMENTATION
JP5086975B2 (ja) 図面作成装置および図面作成プログラム
US8181149B1 (en) Interface for managing multiple implementations of a functional block of a circuit design
JP6005317B1 (ja) 2次元又は3次元の物体データを表示操作するシステムを用いた図面データ作成方法
Kondeva et al. The sfit tool: Supporting assembly planners to deal with new product variants
KR101612357B1 (ko) 2차원 도면화 방법
JP200232408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