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758A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758A
KR20130085758A KR1020120006801A KR20120006801A KR20130085758A KR 20130085758 A KR20130085758 A KR 20130085758A KR 1020120006801 A KR1020120006801 A KR 1020120006801A KR 20120006801 A KR20120006801 A KR 20120006801A KR 20130085758 A KR20130085758 A KR 2013008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rrent data
base station
message
data through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진
한태웅
서혜영
장백철
김기환
이준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758A/ko
Publication of KR2013008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 이동통신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현재 데이터 쓰루풋(throughput)을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제 1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메뉴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의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변경을 요청 또는 거절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 2 메뉴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된 제 1 및 제 2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The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통신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개의 캐리어(Carrier)를 사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하였다. 또한, 여러 개의 캐리어를 보내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대역폭 안에서 분리하여(discrete) 캐리어를 전송하였고, 이러한 멀티캐리어 방식은 이미 많은 기술에서 적용이 되어 있다. 이런 방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 규격 등에서는 이미 소개가 된 방식이다. 이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수신 RF 칩셋(Radio Frequency(RF) chipset)(RF 칩, RFIC 등 다양한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을 하나만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경우에 RF 칩셋이 커버를 대역폭의 모든 수신신호를 받게 되어 있다. 몇몇 통신 방식에서 소개를 하는 멀티캐리어 방식도 지원하는 대역폭 안에서 여러 개의 캐리어를 수신하는 방식도 있다. RF 칩셋 하나를 사용하여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와 멀티 캐리어(Multi Carrier)를 수신하였다. 여기서 캐리어라고 함은 송수신 되는 신호의 범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RF 칩셋이 최대 수신을 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시스템 대역폭이라고 부른다.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을 'LTE-A'라고 지칭한다.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시스템 대역폭의 차이와 중계기 도입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캐리어는 LTE-A 시스템에서 설명을 할 콤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의미한다.
먼저, 속도 차원에서 CC를 여러 개 쓰는 경우보다 한 개의 CC를 사용하면 성능이 잘 나올 수가 없다. 2개의 CC를 단말이 활용하는 경우 우선은 RF 칩셋을 두 개 사용해야 한다. 물론 특별한 경우 한 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대체로 지원되는 CC 개수만큼 RF 칩셋이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수신 방식에서 멀티 셀(Multi Cell)로부터 전송을 받는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셀(혹은 기지국)로부터 캐리어 각각을 받는 방식이다. 이는 하나의 캐리어에는 최대 대역폭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서 최대 대역폭을 여러 번 송수신을 해서 쓰루풋(Throughput)을 몇 배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멀티 CC를 사용하면 성능이나 속도 차원에서 사용자는 장점이 많다.
그러나, CA 기술이 LTE-A에서 적용을 하려고 하면 우선 사업자는 주파수 경매를 통해서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주파수를 확보해야 한다. 즉 CA 기술은 사업자로서 많은 투자를 해야 하는데 기존의 데이터 무제한 같은 3G에서 적용했던 과금체계를 가지고는 수조원의 비용을 들기 때문에 CA기술의 적극적인 보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통신 기술로서 속도를 올리는 방법은 주파수 대역을 넓히는 방법과 MIMO 안테나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안테나 수를 늘리는 기술은 안테나 수에 정비례해서 쓰루풋이 올라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안테나가 수가 늘어 날수록 안테나 간 간섭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급격히 발생한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을 늘려서 속도와 데이터 전송량을 늘려주는 방식은 앞에서 안테나 수를 늘리는 방법에 비해서 그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고 대역의 증가분만큼 속도와 전송량이 늘어나지만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LTE-A 시스템에서 도입된 CA 기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단말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CA 기술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현재 데이터 쓰루풋(throughput)을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제 1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메뉴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의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변경을 요청 또는 거절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 2 메뉴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 1 및 제 2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향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향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양이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를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감소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감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받는 서비스의 품질을 선택할 수 있고 사업자는 주파수 투자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새로운 요금 창출의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등 사용자 및 사업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E-UMTS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평면 프로토콜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의 멀티 셀 MIMO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5는 LTE-A 시스템에서의 CA(Carrier Aggregation)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LTE-A 시스템에서의 연속적 CA(Carrier Aggregation)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LTE-A 시스템에서의 비연속적 CA(Carrier Aggregation)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LTE-A 시스템에서의 CA(Carrier Aggregation)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9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추가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추가를 요청하는 과정을 시그널링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감소를 요청하는 과정을 시그널링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CA 요청 또는 CA 거절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13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CC 거절(혹은 CA 거절)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예시적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IEEE 802.16 시스템, 3GPP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S(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단지 도면에 도시된 전화기로서의 휴대폰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100)과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단말(10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100)의 개폐 상태,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단말(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1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단말(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송수신 메시지 히스토리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E-UMTS는 LTE 시스템과 같이 호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음성 ALV패킷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하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개시할 다양한 기술들에 기반하여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E-UMTS 네트워크는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C(Evolved Packet Core) 및 하나 이상의 단말(100)을 포함한다. E-UTRAN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200)을 포함한다. EPC와 관련하여, MME/SAE 게이트웨이(300)는 단말(100)에 대해 세션의 종단점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기지국(200) 및 MME/SAE 게이트웨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는 장치이고 mobile station(MS), user terminal(UT), user equipment(UE),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또는 무선 장치로서 또한 호칭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일반적으로 단말(100)과 함께 통신하는 고정국(fixed station)이다. base station으로 호칭되는 것 외에,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호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사용자 평면(user plane)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종단점들(end points)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송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고 있는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단말(100)이 한 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한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셀 별로 배치된다.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기지국들(200) 간에 사용될 수 있다.
MME/SAE 게이트웨이(300)는 기지국들(200)로 페이징 메시지들의 분포(distribution), 보안 제어, 유휴 상태 이동성 제어, SAR 베어러 제어 및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의 암호(ciphering) 및 보전(integrity protect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SAE 게이트웨이(300)은 페이징 이유들을 위한 U-플랜 패킷들의 종료(termination), 단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U-플랜의 스위칭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MME/SAE 게이트웨이(300)는 본 명세서에서 간단히 "게이트웨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MME 게이트웨이 및 SAE 게이트웨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들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200) 및 게이트웨이(300) 간에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웃 기지국들은 X2 인터페이스를 가진 메쉬된(meshed)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E-UMTS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평면 프로토콜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토콜 레이어들은 오픈 시스템 상호접속(OSI) 표준 모델의 3개 하위 계층에 기초하여 제 1 계층(L1), 제 2 계층(L2) 및 제 3 계층(L3)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 1 계층(L1)(또는 물리 계층(PHY))은 물리 채널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전송 채널을 통해 상위 레벨에 위치한 MAC 계층과 연결되고, MAC 계층 및 물리 계층 간의 데이터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서로 다른 물리 계층들 간에 즉 송신 측 및 수신 측(예를 들어, 단말(100) 및 기지국(200의 물리 계층들 간에)의 물리 계층들 간에 데이터는 물리 채널(21)을 통해 전송된다.
계층 2(L2)의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더 높은 계층인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계층 2(L2)의 MAC 계층은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RLC 계층은 MAC RLC 기능들이 구현되고 MAC 계층에서 수행되면, RLC 계층 그 자체는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3a를 참조하면, 계층 2의 PDCP 계층은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을 갖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IPv4 또는 IPv6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채용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에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이기 위하여 헤더 압축을 수행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3 계층(L3)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한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고 논리 채널들, 전송 채널들, 물리 채널들을 구성, 재구성, 무선베어러들(RBs)의 해제 관계에서 제어한다. 여기서, 무선베어러들은 단말(terminal) 및 E-UTRAN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 2 계층(L2)에 제공된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들(네트워크 측 상에서 기지국(200)에서 종료된)은 스케줄링, ARQ(Automatic Repeat reQuest),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PDCP 계층(네트워크 측 상에서 기지국에서 종료된)은 헤더압축, 인티그레티 보호(intergrity protection), 및 계산(ciphering)과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들(네트워크 측 상에서 기지국(200)에서 종료된)은 제어 평면과 같은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시한 바와 같이, RRC 계층(네트워크 측 상에서 기지국(200)에서 종료된)은 방송, 페이징, RRC 연결 관리, 무선 베이러(RB) 제어, 이동성 기능 및 단말 측정 보고와 제어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상에서 MME 게이트웨이(300)에서 종료되는 NAS 제어 프로토콜은 SAE 베어러 관리, 인증, LTE_IDLE 이동성 핸들링, LTE_IDLE에서 페이징 시작 및 게이트웨이들 및 단말(100)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보안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AS 제어 프로토콜은 3개의 서로 다른 상태(state)를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RRC 엔티티(entity)가 없다면, LTE_DETACHED 상태, 두 번째로 RRC 연결이 없지만 최소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면 LTE_IDLE 상태, 세 번째로 RRC 연결이 설정되면 LTE_ACTIVE 상태이다.
또한, RRC 상태는 RRC_IDLE 및 RRC_CONNECTED와 같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RRC_IDLE 상태에서, 단말(100)은 페이징 정보 및 시스템의 정보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한편 단말(100)은 NAS에 의해 구성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를 명기하고, 단말(100)은 트래킹(tracking) 지역에서 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할당받는다. 또한, RRC_IDLE 상태에서, 기지국(200)에 저장된 RRC 콘텍스트(context)는 없다.
RRC_IDLE 상태에서, 단말(100)은 페이징 DRX 주기(cycle)를 명기한다. 특히, 단말(100)은 매 단말 특정 페이징 DRX 주기의 특정 페이징 경우에서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단말(100)은 E-UTRAN에서 E-UTRAN RRC 연결 및 콘텍스트를 구비하여, 가능하게 되는 네트워크(기지국)으로/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또한, 단말(100)은 채널 품질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200)으로 보고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E-UTRAN은 단말(100)이 속한 셀을 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단말(100)로/으로부터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단말(100)의 이동성(핸드오버)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이웃 셀에 대한 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에서 RRC라는 모듈은 3G의 WCDMA 때부터 모든 레이어(Layer)를 관장하고 제어하는 곳이다. 기지국과 단말 모두 RRC라는 모듈이 있다. 여기에 기지국은 셀을 내부적으로 여러 개 둘 수 있다. 즉 RRC 모듈은 각 셀에 해당 단말이 여러 셀을 통한 CC를 여러 개 사용하게 제어 및 통제를 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의 멀티 셀 MIMO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LTE-A 시스템에서는 CA 이외에 CoMP(Coordinate Multi-Point), 중계기(Relay Node, RN) 등의 기술이 도입되었다. 여기서 CoMP 기술과 CA 기술은 구분되는데, CA는 단말이 한 개의 기지국과 복수의 CC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며, CoMP는 MIMO의 일종으로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오는 신호를 MIMO 개념을 적용해서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oMP 방식은 다중 셀 환경에서 개선된 MIMO 전송을 적용함으로써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CoMP 방식을 적용하면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간의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CoMP 방식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셀 기지국(Multi-cell base-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자원(Same Radio Frequency Resource)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MS1, MS2, … MSK)에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CoMP 방식은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적 MIMO 형태의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과 협력 스케줄링 방식/빔포밍 방식(coordinated scheduling scheme/beamforming scheme)으로 나눌 수 있다.
CoMP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들은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스케줄러(scheduler)에 연결된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하여 각 기지국(BS1, BS2, … BSM)이 측정한 각 단말(MS1, MS2, … MSK) 및 협력 기지국 간의 채널 상태에 관한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정보를 스케줄링한다. 즉 스케줄러에서 각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동작에 대한 지시를 직접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송신과 수신의 경우에, 단말의 RF 칩셋은 특정 대역(Band)(즉,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만큼의 주파수 영역을 송신하고 수신하게 되어 있다. 다음 표 1은 각 대역 별 주파수 구간을 표시한 것인데 Band 1~20까지의 FDD 구간인 경우 Tx와 Rx가 나누어져 있고 TDD인 경우 송수신의 주파수 구간이 같고 시간에 의해서 분할 사용을 하게 된다.
E-UTRA Operating
Band
Downlink Uplink
FDL _ low (MHz) NOffs - DL Range of NDL FUL _ low (MHz) NOffs - UL Range of NUL
1 210 0 0-599 1920 18000 18000-18599
2 1930 600 600-1199 1850 18600 1860-19199
3 1805 1200 1200-1949 1710 19200 19200-19949
4 2110 1950 1950-2399 1710 19950 19950-2039
5 869 2400 2400-2649 824 20400 20400-20649
6 875 2650 260-274 830 20650 20650-20749
7 2620 2750 2750-3449 2500 20750 20750 -21449
8 925 3450 3450-3799 880 21450 21450-21799
9 1844.9 3800 3800-4149 1749.9 21800 21800-22149
10 2110 4150 4150-4749 1710 22150 22150 -22749
11 1475.9 4750 4750-4949 1427.9 22750 22750 -22949
12 729 5010 5010-5179 699 23010 23010 -23179
13 746 5180 5180-5279 777 23180 23180 -23279
14 758 5280 5280-5379 788 23280 23280 -23379
17 734 5730 5730-5849 704 23730 23730 -23849
33 1900 36000 36000-36199 1900 36000 36000-36199
34 2010 36200 36200-36349 2010 36200 36200 -36349
35 1850 36350 36350-36949 1850 36350 36350 -36949
36 1930 36950 36950-37549 1930 36950 36950 -37549
37 1910 37550 37550-37749 1910 37550 37550 -37749
38 2570 37750 37750-38249 2570 37750 37750 -38249
39 1880 38250 38250-38649 1880 38250 38250-38649
40 2300 38650 38650-39649 2300 38650 38650-39649
도 5는 LTE-A 시스템에서의 CA(Carrier Aggregation)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TE-A 시스템은 최대 100MHz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CA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CA 기술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각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CC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RF 칩은 대역폭이 최대 20MHz까지 수신이 가능하다. 수신해야할 대역폭이 20MHz 를 넘는 경우에는 캐리어들이 대역(Band) 안에서 붙어 있거나 서로 다른 대역(Band)들의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서 RF 칩셋을 두 개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은 특히 한 개의 기지국에서는 LTE-A인 경우에만 현재 가능하게 구현이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한 개의 RF 칩셋이 수신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 범위를 시스템 대역폭이라고 부르고 이것에 대한 캐리어를 CC라고 칭한다. 대역폭은 기지국이 송신을 할 때의 송출 RF의 최대범위하고도 같게 된다.
도 6은 LTE-A 시스템에서의 연속적 CA(Carrier Aggregation)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LTE-A 시스템에서의 비연속적 CA(Carrier Aggregation)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LTE-A에서 소개를 하는 CA(Carrier Aggregation)에 4가지가 있다. 연속적 CA(Continuous CA)와 비-연속적 CA(Non-Continuous CA)로 나눌 수 있고, 인트라-밴드 CA(intra-Band CA)와 인터-밴드 CA(Inter-Band CA)로도 나눌 수 있다. Inter-Band CA의 경우는 모두 Non-Continuous CA라고 볼 수 있다. 연속적 CA는 연속적으로 캐리어가 붙어서 단말에게 서비스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 규격에서는 최대 20MHz씩 5개의 CC까지 지원하고 도 6에서와 같이 5개의 CC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단말은 5개의 RF 칩셋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는 대체로 Intra-Band(서로 다른 Band)인 경우가 많다. 실제적으로는 CA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연속적으로 CC의 주파수 사업 권을 따기가 쉽지가 않다. 연속적으로 20MHz 이상을 확보하기는 각 국가의 주파수 정책상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LTE-A의 CA 경우 Inter-Band의 비-연속적 CA가 대다수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경우에는 RF 칩 셋이 CC 수만큼 필요할 수 있다. RF 칩셋이 차후에 40MHz까지 대역폭이 지원이 되는 경우 20MHz 2개가 연속이면 한 개의 RF 칩으로 지원가능하지만 이것은 예외적인 경우이고 일반적인 경우는 CC 숫자만큼 RF 칩셋이 필요하다.
도 8은 LTE-A 시스템에서의 CA(Carrier Aggregation)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GPP의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기지국은 여러 개의 섹터나 셀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CA 기술은 한 개의 셀에서 서로 다른 CC를 전송을 해주고, 단말이 그것을 수신하는 방식이다. 물론 송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해당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F1은 하나의 주파수 개념으로 CC가 한 개인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페어(pair)로 있으니깐 도 8과 같이 도시되어 있고 F2은 다른 셀(혹은 섹터)에서 F1처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서로 있어서 CA는 두 개의 셀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즉 각각의 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을 통해서 기존의 LTE에서 20MHz 대역폭보다 휠씬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LTE-A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LTE-A 시스템에서 도입된 CA 기술은 대역폭을 확장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단말이 CA를 요청한다는 것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CC를 추가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멀티 CC를 이용하다가 CA를 거절한다는 것은 배터리 용량, 요금 문제 등을 이유로 하나의 CC를 통해서만(즉, 기존의 한 개의 시스템 대역폭 캐리어만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감소시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형태로 단말에게 CA 상황(예를 들어, 남은 배터리 량 등을 이유로 CA를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메시지 또는 CA가 가능한 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을 알려줄 수 있으며, 단말의 제어부(180)는 이러한 CA 상황에 따라 CA를 요청하거나 또는 CA를 거부하는 메뉴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로부터 CA 요청 또는 CA 거절 메뉴를 통해 요청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높은 전송 속도 또는 많은 양의 데이터 송수신을 원하는 경우 선택에 의해 CA를 요청(예를 들어, 하나의 CC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다가 2개 이상의 CC로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를 요청(CC 추가 요청))하거나 배터리 부족, 요금 문제 등으로 단말이 기지국에 신호를 보내서 CA 스케줄링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기본 내용으로 한다. 이동통신 사업자(예를 들어, LTE 사업자)는 대체로 LTE를 위해서 많은 거금을 주고 주파수 경매를 통해 주파수 대역을 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때, 대역폭은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비용이기 때문에, 기본 시스템 대역폭이라고 알려진 10MHz와 20MHz 대해서는 안에서 트래픽 서비스는 LTE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사용자가 빠른 속도를 통해서 많은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받기를 원하면, 한 개의 CC이외에 다른 CC 추가가 필요하다. 이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주 CC(Main Component Carrier)에 다른 하나 이상의 CC에 대한 추가 요청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메뉴(혹은 입력창)에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CC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경우 PAM(Power Amplifier Module)과 RF 칩셋의 전력 소비는 CC 수만큼 소비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경우 전력 소모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 PAM과 RF 칩셋이다. 만일 단말의 배터리 량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단말이 CA 거절 또는 CC 수의 감소 요청을 기지국에 전달하고 이를 승인받으면, 제어부(180)는 현재의 PAM 들과 RF 칩셋 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 파워 오프(power off)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은 반대로 사업자한테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Inter-Band CA가 2개인 경우 한 개의 CC는 800MHz 이고 다른 CC는 2100MHz라고 하면 각 각에 대해서 사업자는 과금을 달리 부과를 할 수 있다. 사용 요금을 CC에 따라 요금을 차등 부과도 가능하다. CC를 하나 더 사용을 할 때마다 단말이 서비스 속도는 배수 단위로 증가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추가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RRC 연결 설정(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통해 F1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한 개의 서빙 셀(혹은 서빙 셀에 해당하는 CC)을 단말에게 스케줄링하면, 단말은 스케줄링된 서빙 셀에 해당하는 CC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을 요청하는(즉, CA 요청 또는 CC 추가 요청) 선택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입력하면, 단말은 기지국에 CC 추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활성화된 PCell 외에 SCell을 추가하는 RRC 재구성 과정을 수행하고, 단말은 SCell에 해당하는 C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어 데이터 쓰루풋이 향상되게 된다.
기지국은 현재 서비스 가능한 CC의 수(예를 들어, 현재 지원가능한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 등과 같이 다른 표현으로 표시될 수 있음), 그리고 단말이 현재 스케줄링 받고 있는 CC의 수(예를 들어, 현재 스케줄링 받고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 등과 같이 다른 표현으로 표시될 수 있음)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현재 데이터 쓰루풋(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단말의 제어부(180)는 이러한 현재 서비스 가능한 CC의 수, 현재 스케줄링을 받고 있는 CC의 수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 CC 추가 요청을 입력받으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CC 추가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전력 소모 또는 요금 등을 절약하기 위해 CC 수를 감소시켜 달라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단말은 현재 서비스되는 2개 이상의 CC에서 CC 수를 감소시켜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추가를 요청하는 과정을 시그널링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을 요청하는(즉, CA 요청 또는 CC 추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단말은 기지국에 RRC 연결 재구성 요청(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 등을 통해 CC 추가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10).
그러면, CC 추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 등을 통해 CC 추가를 승인해 주는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020). 그리고, 기지국은 추가된 CC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고(S1030), 이후 추가된 CC를 통해서도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해 줌으로써(S1040),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단말의 쓰루풋이 증가하게 된다.
도 1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LTE-A 시스템에서 CC 감소를 요청하는 과정을 시그널링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로부터 전력 소모 또는 요금 등을 절약하기 위해 CC 수를 감소시켜 달라는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구성 요청(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 등을 통해 CC 감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10).
그러면, CC 감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 등을 통해 CC 감소를 승인해 주는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120). 이 후, 기지국은 남은 CC에 대해서만 단말에게 스케줄링을 수행하고(S1130), 남은 CC를 통해서도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S1140). 단말은 남은 CC를 통해서 감소된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쓰루풋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S1140).
도 12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CA 요청 또는 CA 거절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예시적 도면이다.
LTE-A 서비스가 시행이 되더라도 모든 지역에서 CA를 적용을 해서 서비스가 이루어 지지 않을 수가 있다. 또한 CA가 지원을 한다고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CC의 지원 개수가 다를 수가 있고 대역(Band) 또한 같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지국(혹은 셀) 내에서 단말이 이동하더라도 주파수 상황이 변경될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이 CA 지원가능한 지역으로 진입하면 CA 지원가능함을 단말에게 메시지로 알려줄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단말이 한 개의 CC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다가, CA 지원가능한 지역으로 진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단말에게 CA 지원가능함을 메시지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핸드오버를 하면 기지국에서 PCell(Main CC)만 지원을 할지 몇 개의 이상의 CC를 지원할지는 단말이 들어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현재의 위치에서 서비스 지원 가능한 CC의 개수(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개), CA 가능한 지역임을 표시 등을 위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의 제어부(180)는 일 예로서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 지원가능한 지역으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콘텐츠 및 지원가능한 CC 수에 관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메뉴(1210), CA 요청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220) 등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메뉴들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로부터 CA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80)는 CA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요금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을 알리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230)와 CA 거절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240)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뉴의 일 예로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CA 요청을 지시하는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서비스되는 CC가 증가하기 때문에 증가하는 CC에 대응되는 RF 칩셋과 PAM 전원이 온(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CC 거절(혹은 CA 거절)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예시적 도면이다.
단말의 배터리 량은 모뎀 칩(즉, RF 칩셋)에서 측정이 가능하다. 배터리 상태는 문자로 알려 주고, 제어부(180)가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는 동작 외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에 있는 배터리 표시 UI의 상태를 통해서도 배터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CC 추가할 것인지 또는 CC 감소 요청할 것인지 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말의 남은 배터리량이 적은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서비스되거나 서비스받고 있는 CC의 수(또는 서비스 지원 가능한 CC의 수) 및 무선통신 방식(일 예로 LTE-A)을 나타내는 메뉴(1310, 1340), 배터리 용량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20),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낮출 것을 요청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메뉴(CA 거부를 표시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30)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이러한 메뉴들을 일 예로서 도 13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배터리 용량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사용 CC(또는,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1개로 줄일 필요가 있으면,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50)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생성된 메뉴를 일 예로서 도 13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CA 거부를 지시하는 신호의 입력이 없더라도 배터리 용량이 특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180)는 강제적으로 단말에서 CC 개수를 줄이도록 제어하며, 배터리 용량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사용 CC를 줄인다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50)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이 너무 많은 CC를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요금 절약 차원에서 CA를 거부하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 VoIP의 경우에 2개 이상의 CC를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현재 데이터 속도가 많은 CC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60)와 CA 거부를 표시하는 메뉴(1370)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메뉴들을 일 예로서 도 13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CA 거부를 지시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면, 제어부(180)는 서비스할 CC가 줄어들기 때문에 줄어드는 CC에 대응되는 RF 칩셋과 PAM 전원을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예를 들어 1개의 C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는, 제어부(180)는 현재 서비스되거나 서비스받고 있는 CC의 수 및 무선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메뉴(1380), 한 개의 CC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1385), 현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것을 요청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메뉴(1390)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이러한 메뉴들을 일 예로서 도 13d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고속의 데이터를 원하는 경우, 단말은 디폴트 CC(Default Component Carrier)를 통해서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사업자에게 CC를 추가 요청을 할 경우, 사업자 입장에서는 추가 CC를 사용하는 사용자한테 더 많은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즉 충분한 요금 지불의 의사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질의 고속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고 사업자는 새로운 요금 창출을 할 수 있어서 부과 수입이 가능해 진다.
사업자는 MIMO의 안테나 수를 늘려서 속도와 데이터 전송량을 늘려주는 방식에 비해서 주파수 대역을 늘리는 방식이 효과가 좋고 사용자에게 좋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사업자가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주파수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멀티 CC를 사용자에게 특별한 요금 체계를 적용을 시켜서 주파수 확보 비용을 어느 정도 상쇄시킴으로 초기 LTE-A에 대한 투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LTE와 LTE-A로 가면서 이러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들의 전력 소비 문제가 많이 대두가 된 게 현실이다. CA와 2이상의 MIMO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술에서 배터리 사용량이 더 증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에게 배터리 사용에 대한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남아있는 배터리 량이 적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은 기지국에 세컨더리 CC(Secondary Component Carrier)에 대한 스케줄링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요구를 해서 그 CC에 관련된 RF 칩셋이나 PAM의 소모 전류를 없애기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현재 데이터 쓰루풋(throughput)을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제 1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메뉴 및 상기 현재 데이터 전송의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변경을 요청 또는 거절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 2 메뉴를 생성하며 생성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 1 및 제 2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향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향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현재 서비스받고 있는 데이터 전송의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나타내는 제 2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이 지원가능한 데이터 전송의 속도 또는 상기 데이터 쓰루풋을 나타내는 제 3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단말.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 콘텐츠 또는 상기 제 3 콘텐츠를 더 표시하는, 단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해 승인해 주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향상된 만큼의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을 지원해주기 위한 전력 증폭기 모듈을 온(on) 시키는, 단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양이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를 생성하는, 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2 메뉴를 통해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감소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감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듈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감소 요청에 대해 승인해 주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감소된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데이터 쓰루풋 만큼의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 모듈을 오프(off) 시키는, 단말.
  10.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상기 현재 데이터 쓰루풋 향상 또는 감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요청(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configuration Request) 메시지인, 단말.
KR1020120006801A 2012-01-20 2012-01-20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30085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01A KR20130085758A (ko) 2012-01-20 2012-01-20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01A KR20130085758A (ko) 2012-01-20 2012-01-20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758A true KR20130085758A (ko) 2013-07-30

Family

ID=4899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01A KR20130085758A (ko) 2012-01-20 2012-01-20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7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91B1 (ko) * 2013-08-21 2014-11-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6003018A1 (ko) * 2014-07-02 2016-01-07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91B1 (ko) * 2013-08-21 2014-11-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6003018A1 (ko) * 2014-07-02 2016-01-07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04918B2 (en) 2014-07-02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3474B2 (ja) アンテナパネルの応用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EP390580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30103557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5430701A (zh) 无线网络智能控制方法及装置
US8467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315795B2 (ja) ビーム失敗要求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20230007714A1 (e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EP2744138B1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6413128A (zh) 一种投影方法及移动终端
KR20240005098A (ko) 리소스 설정 방법, 장치,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WO2020215335A5 (ko)
US20230327740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316741B (zh) 传输调度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85758A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300371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CN113767683B (zh) 波束管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40331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1241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408469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57251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6612282B (zh) 网络访问限制装置及方法
CN113544978B (zh) 波束确定方法、装置和通信设备
KR20140034673A (ko) 캐리어 집성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모드 지원 방법
CN113748617B (zh) 波束确定方法、装置和通信设备
WO2023198026A1 (zh) 发射功率确定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