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03018A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03018A1
WO2016003018A1 PCT/KR2014/009819 KR2014009819W WO2016003018A1 WO 2016003018 A1 WO2016003018 A1 WO 2016003018A1 KR 2014009819 W KR2014009819 W KR 2014009819W WO 2016003018 A1 WO2016003018 A1 WO 20160030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ecific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8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훈
이건민
서강원
김석원
남영훈
권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8272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0416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863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41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052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09946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
Priority to US15/323,390 priority Critical patent/US9904918B2/en
Publication of WO20160030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030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finitions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herei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switching of broadcast channels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fingerpri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n authentication means.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 the band 302 is made to be worn on the wrist to surround the wrist,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wearing.
  • the band 302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 the band 302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301,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bands according to taste.
  • the display unit 45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 HMD type is a display method mounted on the head and showing an image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s eyes.
  • the display unit 451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o as to provide an image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s eyes.
  • the display unit 451 is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so that an image can be output toward the right eye of the user.
  •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P2P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 LLCP 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 a connection may be cre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another mobile terminal for P2P communication.
  • the generated connec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connectionless mode in which one packet is exchanged and terminated, and a connection-oriented mode in which packets are continuously exchanged.
  • P2P communication data such as electronic business cards, contact information, digital photos, URLs, and setup parameters for Bluetooth and Wi-Fi connections can be exchanged.
  • the P2P mode may be effectively used for exchanging small data.
  • the Bluetooth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version 4.0,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Bluetooth and low energy technology at the same time.
  • the low energy technology of Bluetooth version 4.0 has a relatively small duty cycle compared to the existing Bluetooth specification, enables low-cost production, and greatly reduces power consumption through a low data rate.
  • the device connection procedure is simplified, and the packet size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Bluetooth.
  •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accessible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the advertising data.
  • the controller may request paying from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 Certain electronic devices may form a near field communication channel by responding to a paying request.
  • the controller Whe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activation request (S320), the controller (180 of FIG. 1A) performs pairing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S330), and transmits data to the paired specific electronic device. There is (S340).
  • data may be transmitted by performing an SPP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low-energ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low-energ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lways set to an active state, and the low-energ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used to search for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hort-range data communication, and if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is found, another short-range wireless Pairing can be performed by selectively activating a communication technology.
  • the controller (180 of FIG. 1A)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n entry into a specific place related to an external wireless sensor (S910), and uses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communicate with a specific place from an external wireless sensor. Relat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S920).
  • the controller (180 of FIG. 1A)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wo or more specific places where at least some places overlap, that is, related to different specific places where some places overlap from two or more different wireless sensors.
  • the recommendation setting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se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 specific place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of information related to two or more specific places.
  • the first wireless sensor or the second wireless sensor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ame (A or B) of a specific place,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and indoor positioning coordinates of the shaded are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used at a specific place, and an external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 a or B identification name
  •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and indoor positioning coordinates of the shaded area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be used at a specific place
  •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controller has entered a specific place.
  • the signal may be a signal periodically broadcast from an external wireless sensor.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and display an execution scree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register at least one card information as an application that may perform payment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registered at least one car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indicator a in the status bar whe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FIG. 27B).
  • the controller may select a specific card Card2 and register it as the representative card.
  • the controller may perform a payment using a representative card when the glass typ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set distance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is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1 계층을 통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2 계층을 통해 특정 전자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저에너지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제2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활성화하고 페어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각 모듈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단말기의 설정은 수동적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므로 각 모듈의 활성화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해야 하고, 단말기의 설정 변경을 위해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한 후 다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NFC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NFC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결제 카드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통신부의 서로 다른 계층의 통신 기술 또는 통신부의 서로 다른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특정 계층 또는 특정 통신모듈의 활성화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전자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무선 센서와 관련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표시하고,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느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과 구분되는 근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1 계층 및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2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계층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제2 무선통신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계층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층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무선 센서와 관련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구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또는 이를 제어하는 계층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자동으로 페이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에도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의 특성에 따라 단말기의 설정을 자동 변경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의 특성에 따라 단말기의 NFC 모듈의 설정을 자동 변경하고, 결제 카드를 자동 선택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의프로토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 내지 도 3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테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401)과 제2 프레임(4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4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480), 음향 출력 모듈(4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4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480)은 이동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모듈(480)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4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4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4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4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4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421)가 제어 모듈(4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4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4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423a, 4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4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앞서 도 1a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는 근거리에서 기기 간에 저전력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 1999년 12월 블루투스 버전 1.0B가 발표된 이후 AFH(Adaptive Frequency Hopping)을 적용한 버전 1.2가 2003년 11월 채택되었다. 2004년 10월 데이터 전송속도를 최고 3배로 향상시킨 2.0+EDR(Enhanced Data Rate), 2007년 7월에는 연결 방식을 간단하게 하고 보안기능을 강화한 SSP(Secure Simple Paring)가 포함된 2.1+EDR이 발표되었다. EDR 기능이 제품에 탑재됨에 따라 기존의 전송속도를 2~3배 향상시켰지만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이 고속데이터의 전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EDR 방식보다 8배 이상 향상된 버전 3.0+HS(High Speed)가 2009년 4월 발표되었다. 버전 3.0+HS는 기존 블루투스 기기 간 데이터 스트리밍, 동영상 전송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전력 관리 기능을 내장해 이전 버전에 비해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6월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는 Wibree 포럼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던 초저전력 응용기술인 Wibree 기술을 블루투스 규격으로 흡수하면서 블루투스 Low Energy라는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하면서 2010년 6월 Low Energy 기술이 탑재된 블루투스 버전 4.0을 발표했다. 버전 4.0을 사용할 경우 전력 소비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어 스포츠, 헬스케어, 센서, 기기제어 등에 사용 가능한 싱글모드 제품뿐만 아니라 기존 블루투스와 저에너지 기술이 동시에 존재하는 듀얼모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은 버전 4.0을 탑재하여 기존 블루투스와 저에너지 기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버전 4.0의 저에너지 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규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duty cycle을 가지며 저가격 생산이 가능하고, 저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통한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연결 절차를 간소화하였으며, 패킷 사이즈로 기준 블루투스에 비해 작게 설계되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의프로토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저에너지는 듀얼모드와 싱글모드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듀얼모드는 기존 블루투스와 저에너지 기술이 공존하는 형태이며 주로 휴대폰에 사용되고(도 4의 (a)), 싱글모드는 센서 등과 같은 독립형 제품에 사용된다(도 4의 (b)). 기존 블루투스 기술과 호환을 위해 RF,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계층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고 저에너지 기술을 위해 일부 기능이 부가 되었다. 저에너지 기술에서 LL 계층은 기존 블루투스의 BB(Baseband), LM(Link Manager)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블루투스에서는 GAP(Generic Access Profile) 계층에서 보안 기능을 수행했는데, 저에너지 기술에서는SM(Security Manager) 계층을 만들어 보안 기능을 강화시켰다. 무선통신 환경에서는 식별과 암호화를 위해 분배 키 방식을 사용하며 키의 보안 능력은 분배하는 디바이스 내의 알고리즘의 성능에 따라 좌우된다. GAP(Generic Access Profile) 계층은 기존 블루투스와 다른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을 위해 새롭게 구현된 계층이며, 저에너지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위한 역할 선택 및 멀티 프로파일 작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디바이스 검색, 연결 생성 및 보안 절차 부분에 주로 사용된다. 새로 추가된 계층으로 Attribute 프로토콜이 있는데, 이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 시 사용되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있는 Attribute들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Attribute 핸들을 갖고 있다. 프로토콜 동작 명령어로는 'Request', 'Response', 'Command', 'Notification', 'Indication', 'Confirmation' 등이 있다. Attribute Protocol를 이용하여 서비스 검색, 특성 값 파악, 읽기, 쓰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계층도 새로 만들어진 계층이다. GATT는 Attribute Protocol을 사용하여 서비스 프레임워크, 서비스 포맷 및 절차를 정의한다. 이 절차는 검색(discovering), 읽기(reading), 쓰기(writing), 알림(notify), 지시(indicating) 특성의 설정을 정의한다.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과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듀얼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 인가(power on)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도 1의 180)는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을 항상 켜진 상태고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서로 다른 계층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를 검색하여 특정 전자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110).
제1 계층은 저에너지 기술을 지원하는 물리계층(예를 들어, 도 4의 LE Profile계층), 제2 계층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는 물리계층(예를 들어, 도 4의 BT Profile 계층)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계층 또는 제2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계층을 나타내며, 두 개 이상의 물리계층이 상호 연결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물리계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저에너지 기술을 지원하는 물리계층인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120). 특정 전자 기기는 브로드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한 전자 기기 중 단말기에서 접근 권한을 갖는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는 Significant part 및 Non-significant part로 구성되고, Significant part는 실제 데이터 부분이고, Non-significant part는 Significant part가 끝나는 부분부터 31 바이트가 모두 0으로 채워진다.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의 첫 바이트는 길이를 나타내고, 그 다음 바이트는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의 타입(type),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의 실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장비의 이름(Local Name), BLE의 물리적 채널의 상태(Flags), 전송 파워(Tx Poxer), 제조사 정보(Manufacturer Specific Da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S120), 특정 전자 기기와 제2 계층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S130),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40).
특정 전자 기기는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단말기에 접근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제어부는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특정 전자 기기로 페이링을 요청할 수 있다. 특정 전자 기는 페이링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면, 블루투스 버전 4.0의 기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전자 기기의 블루투스를 활성화시켜 페어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통신부(114A)의 제1 계층을 통해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와 특정 전자 기기(100B)의 통신부(114B)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와 제2 계층의 활성화 요청 신호를 특정 전자 기기(100B)로 전송할 수 있다(S210). 이때, 이동 단말기(100A)와 특정 전자 기기(100B)는 전원 인가 시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것을 전제로 한다.
특정 전자 기기(100B)는 어드버타이징 데이터 및 제2 계층의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블루투스 버전 4.0의 기존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계층을 활성화하고, 기기 검색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220).
특정 전자 기기(100B)에서 제2 계층을 활성화하고, 기기 검색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변경하면,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제2 계층을 통해 블루투스 버전 4.0의 기존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문의하고(S230),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240).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제2 계층을 통해 특정 전자 기기(100B)의 제2 계층과 페어링을 수행하고(S250, S260), 페어링된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27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블루투스 버전 4.0 모듈에 포함된 제1 계층과 제2 계층 중 저에너지 기능과 관련된 제1 계층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기존 블루투스 기능과 관련된 제2 계층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서로 다른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를 검색하여 특정 전자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310). 이때, 제어부는 전원 인가 시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 모듈은 ANT+ 같은 저에너지 기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고, 제2 무선통신 모듈은 NFC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 같은 일반적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저에너지 기술을 지원하는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브로드캐스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320). 특정 전자 기기는 브로드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한 전자 기기 중 단말기에서 접근 권한을 갖는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는 Unique Company Identifier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S320), 특정 전자 기기와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S330),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40).
특정 전자 기기는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단말기에 접근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제어부는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특정 전자 기기로 페이링을 요청할 수 있다. 특정 전자 기는 페이링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면,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전원 인가 시 항상 활성화된 상태로 설정되고, 근거리 데이터 전송 필요 시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전자 기기의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시켜 페어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통신부(114A)의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와 특정 전자 기기(100B)의 통신부(114B)에 포함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제1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ANT+ 패킷과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 요청 신호를 특정 전자 기기(100B)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이때, 이동 단말기(100A)와 특정 전자 기기(100B)는 전원 인가 시 ANT+ 기술과 관련된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것을 전제로 한다.
특정 전자 기기(100B)는 ANT+ 패킷 및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기기 검색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420). 이때, 제2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버전 3.0 모듈, 블루투스 버전 4.0 모듈 또는 NFC 모듈이 될 수 있다.
특정 전자 기기(100B)에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기기 검색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변경하면,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기존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문의하고(S430),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440).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특정 전자 기기(100B)의 제2 무선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수행하고(S450, S460), 페어링된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7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저에너지로 구동되는 제1 무선통신 모듈과 일반 제2 무선통신 모듈 중 저에너지로 구동될 수 있는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제2 무선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A)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항상 활성화한 상태에서,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300, 100B)로 ANT+ 패킷 또는 BLE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슬래이브 장치로 사용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마스터 장치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 ANT+ 패킷 또는 BLE 어드버타이징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인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510).
마스터 장치인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을 켜고, 단말기가 검색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520). 또한, 슬래이브 장치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S530),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540).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제조 시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인 이동 단말기(100)와 슬래이브 장치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 사이의 초기 페어링 후,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블루투스 기능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ANT+ 패킷 또는 BLE 어드버타이징 데이터가 수신되면(S620),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을 온(ON) 시킬 수 있다(S630).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에 페어링된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S640),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설정된 시간동안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블루투스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S650).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페어링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로 HFP(Hands Free Profile)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호 수신 요청, 문자 메시지 수신 요청, 알림 메시지 수신 요청 및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S710), BT 페이지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S720-S730).
이동 단말기(100)와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 사이의 블루투스 기능이 확인되면, HF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740-S750). 이동 단말기(100)는 HFP 연결이 완료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로 수신된 전화 호 알림을 전송하고(S760), 응답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S770).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이벤트 수신이 종료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와 형성된 HFP 연결을 종료(disconnect)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이벤트 수신이 종료된 경우, HFP 연결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각각 데이터 전송이 설정된 시간 이상 중단된 경우 HFP 연결을 자동 종료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에서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SPP 연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S810), SPP(Serial Port Profile)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820-S830). 여기서, 이벤트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입력일 수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SPP 연결이 완료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840), 입력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SPP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S850). SPP 연결 종료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거나, 양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중단 시간 카운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전자 기기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도 1a의 151)에 특정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b)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계층의 활성화 상태 또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a)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콘텐츠(P1 내지 P12) 중 특정 콘텐츠(P2)를 선택하여 제1 아이콘(b) 측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콘텐츠(P2)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면, 전원 인가 시 저에너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저에너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근거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특정 전자 기기를 탐색하고 특정 전자 기기가 탐색된 경우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페어링 수행 후, 데이터 전송이 설정된 시간 이상 중단된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저에너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a의 180)는 외부의 무선 센서와 관련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고(S910),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20).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전원 인가 시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항상 켜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하고, 이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버전 4.0의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 또는 ANT+(또는 ANT플러스) 기술과 같이 전력 소모가 기준값(예를 들어, 15mA(밀리 암페어)) 미만인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나타낸다. 외부의 무선 센서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센서 또는 센서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무선 센서는 실내 측위 플팻폼과 블루투스 버전 4.0을 구비한 비콘(beacon)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무선 센서와 일정 반경 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어부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외부의 무선 센서에서 사용하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소의 위치 정보(또는 실내 측위 정보),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외부의 전자 기기, 및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식별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수신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실장된 다수의 모듈 각각의 기능을 온(on)시킬지 또는 오프(off)시킬지 결정하고 각 모듈의 설정 정보를 추천 설정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 NFC 모듈, WiFi 모듈이 존재한다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경우, NFC 및 WiFi 기능을 온(on)하도록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무선 통신 모듈, 외부의 전자 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화면 밝기, 진동(Vibrate), 와이파이(Wi-Fi),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iracast 및 스피커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940),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S950).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잠금 화면(Lock Screen)이 표시된 상태인 경우 잠금 화면 상에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인 경우 홈 화면 상에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알림 바(Notification Bar)에 현재 단말기의 설정 정보와 함께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 경우 단말기의 설정 정보를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은 추천 설정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제1 방향의 연속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1의 180)는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화면에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한 경우 추천 설정 정보를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특정 아이콘 형태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아이콘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아이콘에 대한 제1 입력이 아닌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추천 설정 정보를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와 연결하여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저장된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추천 설정 정보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특정 장소에 대한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단말기의 설정을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는 특정 장소에 대한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추천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1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만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기의 설정 정보가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바(status bar)에 단말기의 설정이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에 대한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 경우, 단말기가 특정 장소로 진입하면 설정 정보가 자동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와 연결된 추천 설정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제2 입력은 제1 입력과 반대 방향의 연속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도 1a의 151)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 중 특정 설정 정보에 대한 제3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설정 정보를 제3 입력에 따라 변경하고, 변경된 특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도 1a의 151)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설정 정보는 NFC, WiFi, GPS, Bluetooth, Vibrate 등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특정 설정 정보에 대한 제3 입력(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특정 설정 정보의 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도 1a의151)를 통해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장소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부(도 1a의 110)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로 접속 가능한 외부의 무선 센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의 무선 센서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외부의 무선 센서에서 관리하는 특정 장소는 아니지만 외부의 무선 센서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설정 정보의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통신 가능한 외부의 무선 센서와 관련된 추천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설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추천 설정 정보를 현재 장소에 대한 특정 명칭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적어도 일부 장소가 오버랩되는 두 개 이상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즉,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일부 장소가 오버랩되는 서로 다른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의 신호 세기에 따라 하나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하여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이전 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에 진입하는 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외부의 무선 센서는 특정 장소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지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센서는 A영역의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가 A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센서는 B영역의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가 B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1 무선 센서 또는 제2 무선 센서는 특정 장소의 식별 명칭(A 또는 B), 위치 정보(빗금친 영역의 위도, 경도, 및 실내 측위 좌표),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외부의 전자 기기 등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P3 지점에 위치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무선 센서 및 제2 무선 센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없지만, 이동 단말기가 P1 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무선 센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무선 센서로부터 A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A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경우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설정이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경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설정 정보(I)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 WiFi, BT, NFC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GPS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WiFi, BT, NFC 기능을 활성화하고, GPS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추천 설정 정보(I)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 화면(Lock Screen)(LS)이 표시된 경우, 잠금 화면(LS) 상에 추천 설정 정보(I)를 표시할 수 있다(도 17의 (a)).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화면(HS)이 표시된 경우 홈 화면(HS) 상에 추천 설정 정보(I)를 표시할 수 있다(도 17의 (b)).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알림 바(NB)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홈 화면(HS) 상부에 슬라이딩되어 표시된 경우 알림 바(NB)의 단말기의 현재 설정 정보(Ic)가 표시된 영역 아래 추천 설정 정보(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추천 설정 정보(I)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은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된 영역을 제1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는 잠금 화면(LS) 상에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되고, 추천 설정 정보(I)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잠금 화면(LS)의 표시를 해제하고,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I)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알림 바(NB) 상에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된 경우,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된 영역을 시작점으로 하고 현재 설정 정보(Ic)가 표시된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I)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단말기의 설정이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된 경우 또는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변경된 내용을 표시할 수있다.
제어부는 단말기의 설정이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된 경우, 상태 바(status bar)에 활성화된 각 기능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a, c, d)를 표시할 수 있다(도 19의 (a)).
또한, 제어부는 특정 장소(A)와 연결하여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A 장소의 추천 설정 정보가 저장된 알림창(W)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설정이 자동 변경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표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로 진입하고, 특정 장소에 대한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자동 변경하고,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화면(HS)이 표시된 경우,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를 상태 바(status bar)에 표시하고(도 20의 (a)),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 화면(LS)이 표시된 경우,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를 잠금 화면(LS)에 표시할 수 있다(도 20의 (b)). 이때, 제어부는 잠금 화면(LS)에 자동 변경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인디케이터(e)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대한 추천 설정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는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무관하게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로 자동 변경하고,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경우 이전 단말기의 설정으로 회복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특정 장소와 관련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제2 입력을 통해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삭제하기 위한 제2 입력은 추천 설정 정보(I)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입력과 반대 방향의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추천 설정 정보(I)가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하면 단말기의 설정을 추천 설정 정보(I)로 자동 변경하고,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와 함께 표시된 추천 설정에 정보(I)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삭제할 수 있다(도 21의 (a)).
제어부는 자동 변경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경우 인디케이터(e)에 대한 터치 입력(①)을 통해 추천 설정 정보(I)를 표시한 후, 추천 설정 정보(I)에 대한 드래그 입력(②)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삭제할 수 있다(도 21의 (b)).
제어부는 홈 화면(HS) 상에 알림 바(NB)가 표시된 경우, 알림 바(NB)의디폴트 설정 정보(Id)가 표시된 영역을 시작점으로 하고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된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I)를 삭제할 수 있다(도 21의 (b)).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I)가 삭제된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디폴트 설정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메모리(도 1a의 170)에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가 삭제된 경우 또는 단말기의 설정 정보가 변경된 경우 알림창(W)에 변경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A 장소와 관련된 추천 설정 정보가 삭제된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디폴트 설정 정보로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 기능을 상태 바에 인디케이터(a, b)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A 장소의 추천 설정 정보가 삭제되었다는 내용의 알림창(W)을 표시할 수 있다(도 22의 (a)).
제어부는 단말기의 설정 정보가 변경된 경우, 설정 정보 변경 내용의 알림창(W)을 표시할 수 있다(도 22의 (b)).
도 23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도 1a의 151)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 중 특정 설정 정보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거나, 추천 설정 정보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WiFi, BT, GPS, 및 NFC 기능을 포함하는 추천 설정 정보(I) 중 BT 기능의 활성화 상태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BT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BT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BT 기능을 불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도 23의 (a)).
제어부는 추천 설정 정보(I)에 WiFi, BT, GPS, 및 NFC 기능 이외의 다른기능이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I) 이외에 다른 기능이 있다는 인디케이터(s, p)를 추천 설정 정보(I)가 표시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NFC 기능 다음에 다른 기능이 더 포함된 경우, 인디케이터 s를 표시하고, 인디케이터 s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추천 설정 정보(I)를 인디케이터 s가 나타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른 특정 설정 정보인 Vibrate를 표시할 수 있다(도 23의 (b)).
제어부는 알림 바에 표시된 현재 설정 정보(Ic) 중 GPS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한 영역을 시작점으로 하고 추천 설정 정보(I) 중 GPS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한 영역을 종료점으로 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추천 GPS 정보를 현재 GPS 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23의 (c)).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수동으로 특정 장소와 추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장소에 진입하지 않은 것을 판단한 경우 무선 통신부(도 1a의 110)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로 접속 가능한 외부의 무선 센서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측 가장자리로부터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심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 여부를 검색하는 동안 특정 인디케이터(f)를 제4 입력의 종료점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접속 가능한 외부의 무선 센서가 검색된 경우 검색된 외부의 무선 센서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설정 정보(I)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잠금 화면(LS) 상태에서 제4 입력을 수신한 경우, 특정 인디케이터(f) 및 추천 설정 정보(I)를 잠금 화면(LS)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추천 설정 정보(I)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설정 정보(I)를 연결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현재 위치 정보와 추천 설정 정보(I)를 대표하는 식별 명칭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e.g.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B가 입력된 경우,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추천 설정 정보(I)를 B 장소와 연결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알리는 알림창(W)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도 6의 P3 지점에 위치한 경우, 단말기는 A장소 또는 B장소로 진입한 것이 아니므로, 제어부는 A장소 또는 B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추천 설정 정보로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4 입력을 수신하고 P3 지점에 위치한 단말기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P3 지점에 대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의 무선 센서의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범위는 각 무선 센서에 저장된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인접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가 절약되고,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설정 정보를 제공하므로 단말기의 설정을 환경에 적합하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6 내지 도 3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도 1a의 180)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S1110).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저전력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과 기존 블루투스 기술을 함께 지원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초기 설정(예를 들어, 전원 인가) 시 기존 블루투스 기술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저전력 블루투스 무선 통신 기술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저전력 블루투스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버전 4.0의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술 또는 ANT+(또는 ANT플러스) 기술과 같이 전력 소모가 기준값(예를 들어, 15mA(밀리 암페어)) 미만인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나타낸다.
외부의 무선 센서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센서 또는 센서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무선 센서는 실내 측위 플팻폼과 블루투스 버전 4.0을 구비한 비콘(beacon)이 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 감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120).
제어부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설정된 값 이상의 신호 감도를 감지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무선 센서와 일정 반경 내로 접근하는 경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외부의 무선 센서에서 사용하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소의 위치 정보(또는 실내 측위 정보),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2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외부의 전자 기기, 및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식별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30).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과 구분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와이파이 모듈, 제1 무선 통신 모듈 중 기존 블루투스 기술과 관련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의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별개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블루투스 버전 4.0의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과 기존의 블루투스 기술인 블루투스 버전 3.0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하나의 모듈 내의 구분된 물리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중 특정 장소에 위치한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진입한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1140). 여기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결제에 사용한 카드 정보를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도 1a의 151)에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상품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특정 장소의 지도,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 정보를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다수의 카드 정보가 저장된 경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카드, 포인트 카드 등 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카드 정보 중 하나의 카드 정보를 대표 카드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수의 카드 정보 중 하나의 카드 정보가 대표 카드 정보로 저장된 경우에도,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카드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대표 카드는 다수의 카드 중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결제 시 사용되는 카드이며, 디폴트(default) 카드라고도 한다. 또한,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다수의 카드 정보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카드 정보를 선택하여 대표 카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장소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범위이거나 외부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대표 카드 정보를 이전 저당된 카드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도 1a의 180)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다른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동시에 접근한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 금액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일부 금액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 금액의 결제를 수행한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결제 금액의 총액을 전체 이동 단말기의 개수로 나눈 금액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였지만 외부의 전자 기기와 직접 결제 금액의 결제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직접 결제를 수행한 다른 이동 단말기로 결제 금액의 총액을 전체 이동 단말기의 개수로 나눈 금액을 지급하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 수행이 가능한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 다수의 이동 단말기 중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를 수행하고, 다른 이동 단말기들은 결제를 수행한 이동 단말기로 일부 금액을 지급하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에 진입하는 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외부의 무선 센서는 특정 장소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지 주기적으로 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센서는 A영역의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가 A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센서는 B영역의 범위 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가 B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1 무선 센서 또는 제2 무선 센서는 특정 장소의 식별 명칭(A 또는 B), 위치 정보(빗금친 영역의 위도, 경도, 및 실내 측위 좌표),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외부의 전자 기기 등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A 영역 또는 B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는 제1 무선 센서와 관련된 A영역 내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반경 내인 C 영역을 특정 장소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P3 지점에 위치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무선 센서 및 제2 무선 센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없지만, 이동 단말기가 P1 지점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1 무선 센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무선 센서로부터 A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A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무선 센서 또는 제2 무선 센서와 같은 외부의 무선 센서의 신호가 미치는 영역(A영역 또는 B영역)을 특정 장소로 판단하거나, 외부의 무선 센서의 신호가 미치는 영역 내부의 일정 영역(C 영역)을 특정 장소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7내지 도 3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경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구현하는 통신 모듈이며, 제어부는 초기 설정 시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이 항상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설정된 감도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는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신호는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로 진입한 경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식별 명칭 및 특정 장소에서 제공되는 카드 혜택 정보, 쿠폰 정보,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A 장소로 진입한 경우, A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카드 혜택과 관련된 정보를 알림창(W)으로 표시할 수 있다(도 27의 (a)).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상태 바(status bar)에 인디케어터(a)를 표시할 수 있다(도 27의 (b)).
도 28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다수의 카드 중 대표 카드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Card1이 대표 카드로 등록된 경우 Card1을 나타내는 이미지 일부에 대표 카드임을 나타내는 문자인 Default(Ia)를 인디케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도 28의 (a)).
제어부는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중 추천 카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추천 카드 정보에 따라 특정 장소에서 대표 카드를 변경할 수 있고, 대표 카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을 알림창(W)에 표시할 수 있다(도 28의 (b)).
제어부는 대표 카드의 변경에 동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대표 카드를 자동 변경할 수 있다(도 28의 (c)). 제어부는 대표 카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대표 카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특정 장소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경우에만 대표 카드를 자동 변경하고, 다른 장소에서는 대표 카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한 후 변경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대표 카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a)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통해 대표 카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Card1에 표시된 인디케이터(Ia)를 Card4로 드래그하여 대표 카드를 Card4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대표 카드를 Card4로 변경할 지 문의하는 알림창(W)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표 카드가 변경되면, 대표 카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a)를 Card4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결제 장소의 지도와 결제 장소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결제 장소의 지도를 미니뷰로 표시하고, 결제 장도로 이동하는 경로는 미니뷰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결제 카드 정보와 결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결제 카드가 Card4로 표시된 경우, 카드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드래그하여 결제 카드를 등록된 다른 카드(Card3)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경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잠금 화면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의 전자 기기(600)와 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접근시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제2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모듈)과 외부의 전자 기기(600)에 내장된 제2 무선 통신 모듈 사이에 결제가 수행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자동으로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이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경우, 변경된 대표 카드를 이전 대표 카드로 다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가 A 장소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는 A 장소를 벗어난 내용과 Default 카드를 Card3으로 변경한 내용을 알림창(W)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표 카드가 특정 장소로 진입하기 이전 상태로 변경된 경우, 인디케이터(Ia)를 사용하여 변경된 대표 카드(Card1)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잠금 화면(Lock Screen, LS)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결제를 수행하는 외부의 전자 기기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의 지도를 잠금 화면(LS)의 일부 영역에 미니뷰(A)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쿠폰 정보를 잠금 화면(LS)의 일부 영역에 미니뷰(A)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잠금 화면(LS)의 미니뷰에 표시되는 내용을 결제를 수행할 외부의 전자 기기와 거리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와 거리가 제1 기준값보다 먼 경우 지도를 표시하고,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인 경우 쿠폰 정보를 표시하고, 제2 기준값보다 가까운 경우 결제 카드 또는 결제 금액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 대표 카드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51)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 중 적어도 한 곳에 카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423b)를 통해 특정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특정 카드(Card2)를 선택하여 대표 카드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가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는 경우 대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수의 이동 단말기에서 동시에 결제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1a의 180)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함께 외부의 전자 기기로 설정된 범위 내로 근접시킴에 따라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 금액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결제 금액 중 일부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A)와 제2 이동 단말기(100B)가 동시에 외부의 전자 기기(600)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600)와 결제 금액 10,000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제2 이동 단말기(100B)의 제어부와 결제 총액인 10,000원에 대한 이분의 일에 해당하는 5,000원이 지급되도록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A)와 제2 이동 단말기(100B)는 각각 5,000원의 금액을 결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장소로 진입 여부를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NFC 모듈을 자동으로 켜서 결제를 수행하고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NFC 모듈을 끔으로써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결제 수행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대표 카드를 자동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드와 관련된 혜택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최적의 결제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5)

  1.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1 계층 및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제2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계층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인가 시 상기 제1 계층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이 설정된 시간 동안 중지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 수신 요청, 문자 메시지 수신 요청, 알림 메시지 수신 요청, 및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계층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와 HFP(Hands Free Profile)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FP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전자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의 수신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전자 기기와 형성된 HFP 연결을 종료(disconnec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은, SSP(Serial Port Profile) 또는 OPP(Object Push Profile)의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링된 특정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를 복사하여 상기 특정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층은 블루투스 버전 4.0의 저에너지 블루투스 기능 수행과 관련되고, 상기 제2 계층은 블루투스 버전 3.0 기능 수행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된 제2 무선통신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은, ANT+ 기술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통신부에 포함된 제2 계층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1 계층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전자 기기와 상기 제2 계층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계층은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와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중 특정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과 구분되는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전자 기기에 구비된 제2 무선통신 모듈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특정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디스플레이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외부의 전자 기기, 상기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식별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상기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화면(lock screen)에 상기 추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추천 설정 정보를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특정 아이콘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한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상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6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설정 정보를 상기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저장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자동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와 연결된 추천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설정 정보 중 특정 설정 정보에 대한 제3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설정 정보를 상기 제3 입력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특정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설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4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로 접속 가능한 외부의 무선 센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의 무선 센서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일부 장소가 오버랩되는 두 개 이상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두 개 이상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의 신호 세기에 따라 하나의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설정을 이전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단말기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추천 설정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태 바(status bar)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설정 정보 중 특정 설정 정보에 대한 제5 입력 및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설정 정보를 제외한 다른 설정 정보를 상기 추천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화면 밝기, 진동(Vibrate), 와이파이(Wi-Fi),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iracast, 및 스피커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0. 외부의 무선 센서와 관련된 특정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추천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추천 설정 정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의 설정을 상기 추천 설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31.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구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특정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특정 장소의 위치 정보, 상기 특정 장소에 대응하는 식별 명칭 및 상기 특정 장소에서 제공되는 카드 혜택 정보, 쿠폰 정보,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로 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6. 제3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 상품 정보 및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상기 특정 장소에서 제공되는 카드 혜택 정보, 쿠폰 정보, 및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중 결제에 사용할 카드 정보를 자동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드 정보를 대표 카드 정보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중 특정 카드 정보에 대한 특정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카드 정보를 대표 카드 정보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잠금 화면(lock screen)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정보 중 대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다른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외부의 전자 기기와 설정된 거리 내로 동시에 접근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외부의 전자 기기와 결제 금액의 결제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와 상기 결제 총액을 전체 이동 단말기의 개수로 나눈 금액의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초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5.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제1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의 무선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장소로 진입을 감지하고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CT/KR2014/009819 2014-07-02 2014-10-2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0301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3,390 US9904918B2 (en) 2014-07-02 2014-10-20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728A KR20160004164A (ko) 2014-07-02 2014-07-0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4-0082728 2014-07-02
KR10-2014-0086343 2014-07-09
KR1020140086343A KR102214118B1 (ko) 2014-07-09 2014-07-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4-0090526 2014-07-17
KR1020140090526A KR20160009946A (ko) 2014-07-17 2014-07-17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3018A1 true WO2016003018A1 (ko) 2016-01-07

Family

ID=5501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819 WO2016003018A1 (ko) 2014-07-02 2014-10-20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04918B2 (ko)
WO (1) WO2016003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821A (ko)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743219B2 (en) * 2014-12-29 2017-08-22 Google Inc. Low-power wireless conten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1770798B2 (en) * 2015-03-27 2023-09-26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method and apparatus
US10039145B2 (en) * 2015-11-19 2018-07-31 Nike,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based authentication
JP6880719B2 (ja) * 2016-12-27 2021-06-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電子時計及びプログラム
EP3649595A4 (en) * 2017-07-03 2020-12-16 GP Network Asia Pte. Ltd. PAYMENT PROCESSING
US20190391632A1 (en) * 2017-09-19 2019-12-26 Lg Electronis Inc. Display device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same
GB2574908B (en) 2018-06-22 2021-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nd control thereof
GB2574887B (en) * 2018-06-22 2021-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and control thereof
CN108933997A (zh) * 2018-07-27 2018-12-04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保持车载外部设备永远在线数据网络的方法
US11051154B2 (en) 2018-10-03 2021-06-29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coupling a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2630874B1 (ko) 2019-02-01 2024-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황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985505B2 (en) * 2019-08-06 2024-05-14 Eagle Technology,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accessory device pair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10956016B1 (en) * 2019-11-14 2021-03-23 Rockwell Collins, Inc. No look touchscreen panel / CDU
CN112291757A (zh) * 2020-10-10 2021-01-29 深圳市锐尔觅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204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연결장치 및 방법
KR20130085758A (ko) * 2012-01-20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40009070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마스터, 허브 및 방법
KR20140074153A (ko) * 2012-12-03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2007A1 (en) * 2012-02-10 2013-08-15 Protegrity Corporation Tokenization in payment environments
JP5941300B2 (ja) * 2012-03-05 2016-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204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연결장치 및 방법
KR20130085758A (ko) * 2012-01-20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술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40009070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마스터, 허브 및 방법
KR20140074153A (ko) * 2012-12-03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04918B2 (en) 2018-02-27
US20170154326A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301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5160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47863A1 (ko) 모바일 디바이스, hmd 및 시스템
WO201810580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90499A1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700305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7030223A1 (ko) 카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07045A1 (ko) 무인 항공기,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방법
WO2017131261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84351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596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7018579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22931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266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5646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17745A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1616740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16017874A1 (en) Mobile terminal controlled by at least one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7095034A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102338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93002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3062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209333A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2184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통신 시스템
EP318669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6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339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63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