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140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140A
KR20120124140A KR1020110041848A KR20110041848A KR20120124140A KR 20120124140 A KR20120124140 A KR 20120124140A KR 1020110041848 A KR1020110041848 A KR 1020110041848A KR 20110041848 A KR20110041848 A KR 20110041848A KR 20120124140 A KR20120124140 A KR 2012012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tat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윤
노승표
전현채
최진영
곽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140A/ko
Publication of KR2012012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센싱부, 기지국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또는 온도 상태를 고려한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가 반영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써,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원 또는 온도에 따라 통신 상태를 조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의 단말기는 종래의 통화 기능 뿐만 아니라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활용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3 세대 통신 방식 또는 4 세대 통신 방식을 통하여 기지국과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에서 이동 단말기는 필연적으로 많은 전원을 소모하게 되고, 이것은 배터리의 온도 및 이동 단말기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원의 온도 상태 및 전원 상태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패킷 이동 통신 방식의 단말기에서 전원 수준에 기초한 추가 정보를 기지국과 통신하여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센싱부, 기지국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또는 온도 상태를 고려한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가 반영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써,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가 사전 설정된 수준 이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스케줄링 변경 요청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수준 이상에 도달한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스케줄링 변경 요청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전 설정된 수준에 도달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송신 전력 방식, 변복조 방식 및 신호 송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에 포함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은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원 상태 또는 상기 온도 상태를 고려하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가 반영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를 고려하여 통신하게 되므로, 단말기의 전원 사용 시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및 사용자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온도 및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원 제어 방법의 적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기(User Equipment; UE)(100)와 기지국(eNode B; eNB)(200a 및 20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을 "LTE-Advanced" 또는 "LTE-A"라고 지칭한다.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시스템 대역폭의 차이다. LTE-A 시스템은 최대 100 MHz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LTE-A 시스템은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반송파 집성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각 콤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콤포넌트 반송파는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본 명세서에서, 컴포넌트 반송파는 문맥에 따라 반송파 집성을 위한 콤포넌트 반송파 또는 콤포넌트 반송파의 중심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혼용된다.
이하, 시스템 대역이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또는 협대역 시스템(narrowband system)으로 지칭한다. 이와 대응하여, 시스템 대역이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진화된 시스템(evolved system) 또는 광대역 시스템(wideband system)이라고 지칭한다. 레거시 시스템 블록으로 사용되는 콤포넌트 반송파는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반면, 나머지 콤포넌트 반송파들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시스템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나머지 콤포넌트 반송파들의 크기도 레거시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3GPP LTE 시스템과 3GPP LTE-A 시스템은 레거시 시스템과 진화된 시스템의 관계에 있다.
상기 정의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서 3GPP LTE 시스템을 LTE 시스템 또는 레거시 시스템으로 지칭한다. 또한, LTE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을 LTE 단말 또는 레거시 단말로 지칭한다. 이와 대응하여, 3GPP LTE-A 시스템을 LTE-A 시스템 또는 진화된 시스템으로 지칭한다. 또한, LTE-A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을 LTE-A 단말 또는 진화된 단말로 지칭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2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307) 및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하향링크/상향 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ex),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 (100) 과 기지국 (200) 는 다양한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 (100) 는 그러한 다양한 신호 또는 정보에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온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200) 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프로세서(212), 메모리(2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2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14)는 프로세서(2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216)은 프로세서(2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즉, RF 유닛(216)은 송신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RF 유닛 (216) 은 이동 단말기 (100) 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RF 유닛 (216) 은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다. 또한, RF 유닛 (216) 은 상태 정보를 반영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한다. 프로세서 (212) 는 이동 단말기 (100) 로부터의 상태 정보의 내용을 판단하여 상태 정보에 포함된 온도 및 전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통신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정보는 메모리 (214)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 (100) 는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원을 사용 개시한다 (S610). 무선 통신부 (110) 는 기지국 (200) 과 정상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S620).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부 (11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 (200) 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센싱부 (140) 는 단말기의 온도 및 전원 상태를 체크하며, 제어부 (180)는 일정 전원 또는 온도에 도달하는 지를 판단한다 (S630). 일정 전원 또는 온도에 도달한 경우, 무선 통신부 (110) 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 (200) 에 송신한다 (S640). 기지국 (200) 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조정한다 (S650). 이동 단말기 (100) 의 무선 통신부 (110) 는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정보) 를 송신한다 (S660).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도 증가할 수 있다. 센싱부 (140) 는 단말기 (100) 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즉, 특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 제어부 (180) 에 이러한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 (140) 는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체크한 시기에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도달한 사실을 제어부 (180) 에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온도는 이동 단말기 (100) 가 적정한 수준에서 동작할 수 있는 온도로써, 제조사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체 부분의 온도를 체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공급부 (190) 의 온도를 집중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 상승은 전원 공급부 (190) 의 온도 상승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경제성을 위해서 전원 공급부 (190) 의 온도만을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 (140) 는 전원 공급부 (190) 의 전원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센싱부 (140) 의 전원 상태 체크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센싱부 (140) 는 전원 상태가 특정 전원 상태 (예를 들어, 30%) 에 도달한 경우 이를 인지할 수도 있다. 특정 전원 상태에 도달한 경우, 센싱부 (140) 는 해당 전원 상태 도달 사실을 제어부 (180) 에 알릴 수 있다.
제어부 (180) 는 전원 상태 또는 온도가 특정 상태에 도달한 것을 센싱부 (140) 를 통해서 인지한 경우 해당 상태를 반영하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 (200) 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기지국 (200) 는 단말기 (100) 로부터 송신된 상태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 또는 온도 상태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기지국 (200)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줄 수도 있으며,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 (200) 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또는 온도 상태를 인지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또는 온도가 정상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부족한 상태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 (200) 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 (200) 은 이동 단말기 (100) 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는 송신 전력 방식, 변복조 방식 도는 신호 송수신 주기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데이터에 출력 전력을 낮추어 전송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의 변조 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송수신 주기를 늘여서, 이동 단말기 (100) 의 통신 동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온도 및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시간 T1 은 이동 단말기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한 시간을 의미한다. T1 시점에서, 센싱부 (140) 가 특정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체크한 경우, 제어부 (180) 는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며, 이러한 상태 정보를 반영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시간 T2 는 이동 단말기 (100) 가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적용된 시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는 T2 까지는 일정한 기울기로 온도가 상승하나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적용되는 T2 시점부터는 온도 상승의 비율이 감소된다. 즉,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적용되더라도 단말기 (100) 의 온도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나, 스케줄링 정보의 조정으로 인해서 온도 상승의 속도는 감속시킬 수 있다.
도 7(b)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사하게, 시간 T1 은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특정 상태에 도달한 시점을 의미한다. T1 시점에서, 센싱부 (140) 가 특정 전원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체크한 경우, 제어부 (180) 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시간 T2 는 이동 단말기 (100) 가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적용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수행 (예를 들어, 데이터 송수신) 에 따라서 특정 비율로 전원이 감소한다. 하지만, 특정 전원 상태에 도달한 경우 (T1) 에, 이를 반영하여 조정된 스케줄링 정보가 적용되며 (T2), 전원 감속의 속도가 감속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원 제어 방법의 적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 (100) 는 전원 상태 또는 온도 상태가 특정 상태에 도달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 8(a) 는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동작을 수행 중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상태 동작에 대한 알림창 (820) 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 중이라는 사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b) 는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전원 상태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전원 상태에 도달한 경우, 센싱부 (140) 는 이 사실을 제어부 (180) 에 알릴 수 있다. 제어부 (180) 는 디스플레이부 (151) 를 통해서 이러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151) 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전원 사용 시간 증가의 선택 메뉴 (830) 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전원 상태가 특정 상태에 도달한 경우, 기지국에 상태 정보를 송신함과 함께, 이러한 사실을 디스플레이부 (151) 를 통해서 알릴 수도 있다.
도 8(c) 는 전원 사용 시간을 선택한 경우 전원 사용 방법의 변경된 사실을 알리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전원 상태가 특정 상태에 도달하여 전원 소모를 방지할 필요가 생긴 경우, 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가 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100) 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전송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다양한 시나리오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우선시하는 경우 업로드에 대해서는 출력 전력을 낮추어 제한을 가하고 다운로드에 대해서 full RB (자원 블록) 을 할당하여 전원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을 우선시하는 경우 다운로드에 대해서 full RB 를 할당하고 업로드에 대해서는 최대 출력 전력을 부여하여 데이터 전송의 전송 속도를 높여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출력 전력을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에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40 센싱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200 기지국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센싱부;
    기지국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가 반영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써,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송수신 동작의 스케줄링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가 사전 설정된 수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스케줄링 변경 요청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수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스케줄링 변경 요청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전 설정된 수준에 도달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송신 전력 방식, 변복조 방식 및 신호 송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
  8. 전원 공급부의 전원 상태 및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원 상태 또는 상기 온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가 반영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서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또는 온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수준에 도달한 경우 상기 상태 정보가 스케줄링 변경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송수신 동작 제어 단계는,
    송신 전력 방식, 변복조 방식 및 신호 송수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41848A 2011-05-03 2011-05-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4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8A KR20120124140A (ko) 2011-05-03 2011-05-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8A KR20120124140A (ko) 2011-05-03 2011-05-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40A true KR20120124140A (ko) 2012-11-13

Family

ID=4750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48A KR20120124140A (ko) 2011-05-03 2011-05-0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41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387A (zh) * 2016-04-30 2016-10-12 安徽朗格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温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690824A (zh) * 2017-08-10 2018-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用户设备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7820715A (zh) * 2017-08-09 2018-03-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设备的过热保护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387A (zh) * 2016-04-30 2016-10-12 安徽朗格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温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820715A (zh) * 2017-08-09 2018-03-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设备的过热保护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7820715B (zh) * 2017-08-09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设备的过热保护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12953575A (zh) * 2017-08-09 2021-06-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设备的过热保护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7690824A (zh) * 2017-08-10 2018-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用户设备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7690824B (zh) * 2017-08-10 2019-12-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保护用户设备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RU2739845C1 (ru) * 2017-08-10 2020-12-29 Бейджин Сяоми Мобайл Софтвэар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11184781B2 (en) 2017-08-10 2021-11-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8504A1 (en) Feedback method, feedback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33645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及び装置
CN110945898B (zh) 波束失败请求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292364A1 (en) Bandwidth resource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394704A1 (en) Feedback method, feedback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3993544A1 (en) Coexistence interferenc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2236626A1 (zh) 系统消息的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1088874A1 (zh) 信息传输方法及设备
US20220295512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77127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201241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79524A1 (en) Pusch receiving method and device, pusch sending method and device
KR201300371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US20230371027A1 (en) Pucch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490273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US20230262691A1 (en) Uplink transmiss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plink transmiss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US20230011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transmission
US20220408469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23530527A (ja) 直接通信制御方法、装置、及びユーザ機器
EP4207915A1 (en)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21122A1 (zh) 下行控制信息dci接收、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3039857A1 (zh) 临时参考信号簇的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044772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972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ata processing du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245503A1 (zh) 一种监听方法、发送方法、装置、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