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122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122A
KR20130037122A KR1020110101502A KR20110101502A KR20130037122A KR 20130037122 A KR20130037122 A KR 20130037122A KR 1020110101502 A KR1020110101502 A KR 1020110101502A KR 20110101502 A KR20110101502 A KR 20110101502A KR 20130037122 A KR20130037122 A KR 2013003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report
buffer status
buffer
radio bear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훈
쿠마 슈미트 가우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122A/ko
Publication of KR2013003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 Radio Bearer Groups)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trigger threshold)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은 상기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 값들의 합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MOBILE TERMINAL AND BUFFER STATUS REPOR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복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자원을 기지국에 요청하기 전에, 단말기는 기지국으로의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를 수행한다. 버퍼 상태 보고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버퍼의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효율적인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퍼 상태 보고의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 Radio Bearer Groups)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trigger threshold)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은 상기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 값들의 합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숏 버퍼 상태 보고(Short BSR)이고,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 아이디(ID) 필드 및 버퍼 크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롱 버퍼 상태 보고(Long BSR)이고, 상기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기준 값들의 합 이상이거나 상기 복수의 버퍼들 중 어느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상기 복수의 버퍼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 크기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은 복수의 논리 채널 그룹들에 대응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은 상기 버퍼 상태 보고에 따라 할당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을 결정하며,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은 상기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 값들의 합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숏 버퍼 상태 보고이고,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롱 버퍼 상태 보고이고, 상기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기준 값들의 합 이상이거나 상기 복수의 버퍼들 중 어느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을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에 따라 할당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행함에 있어, 서비스 품질(QoS)에 따라 구분되는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의 트리거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QoS) 요구에 맞는 효율적인 버퍼 상태 보고(BSR)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이벤트를 단순화함으로써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MAC 엔티티에서 사용되는 MAC PDU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무선 베어러 그룹의 설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예: LTE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일 수 있다. E-UMTS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도시된다. E-UTRAN은 단말(UE: User Equipment, 100) 및 기지국(BS: Base Station, 200)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의 다른 용어로 칭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10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0)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들(20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0)에서 기지국(20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20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좀더 상세하게,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30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0)과 MME/S-GW(30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기지국(200)은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R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기능,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기능,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기능,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기능,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0)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 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 계층에 위치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도 3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는 단말과 E-UTRAN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계층의 물리 계층(PHY layer)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물리 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에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 따라 투명 모드(TM: Transparent Mode), 비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 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가 존재한다. AM RLC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RLC PDU(Protocol Data Unit)의 전송 실패시 재전송을 지원한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RBs: Radio Bearers)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들, 전송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말의 RRC와 네트워크의 RRC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 모드(RRC 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MAC 엔티티에서 사용되는 MAC PDU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AC PDU, 또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 TB)은 MAC 헤더(header), MAC SDU, MAC 제어 요소 및 패딩을 포함한다. MAC PDU의 크기는 바이트(byte)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MAC 헤더와 MAC SDU는 가변적인 크기를 가진다.
MAC 헤더는 적어도 하나의 MAC PDU 서브헤더(sub-header)를 포함하며, 각 서브 헤더는 하나의 MAC SDU, 하나의 MAC 제어 요소, 또는 패딩에 대응한다. MAC 제어 요소, MAC SDU 및 패딩을 합쳐서 MAC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한다. MAC PDU 서브헤더는 MAC PDU의 마지막 서브헤더 및 고정된 크기의 MAC 제어 요소를 제외하고, R, R, E, LCID, F, L 이렇게 6개의 필드(field)를 포함한다.
MAC PDU의 마지막 서브헤더와 고정된 크기의 MAC 제어요소는 R, R, E, LCID 이렇게 4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LCID는 MAC SDU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식별하는 필드이다. 즉, LCID는 논리채널 상에서 RLC 개체에 맵핑된다. MAC PDU에 포함되는 하나의 MAC SDU당 하나의 LCID가 존재한다.
이하, 버퍼 상태 보고(BSR)에 대해 살펴본다. 버퍼 상태 보고는 단말기의 상향링크 버퍼의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버퍼 상태 보고는 트리거(trigger)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또는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베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된다.
예를 들어, (1) 데이터가 단말의 전송 버퍼에 도착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버퍼에 이미 존재하는 다른 어떠한 데이터보다도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또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속하는 경우(Regular BSR), (2) 서빙 셀(serving cell)이 변경되는 경우(Regular BSR), (3) 단말에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패딩(padding) 비트 수가 버퍼 상태 보고(BSR)의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의 크기보다 큰 경우(Padding BSR), (4) 주기적 버퍼 상태 보고의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Periodic BSR),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수 있다.
버퍼 상태 보고는 그 상대적인 길이에 따라 숏 버퍼 상태 보고(Short BSR)와 롱 버퍼 상태 보고(Long BSR)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은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하나의 논리 채널 그룹 ID(LCG ID: Logical Channel Group Identification) 필드 및 하나의 버퍼 크기(Buffer Size) 필드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LCG ID #1 내지 #4에 대응하는 4개의 버퍼 크기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LCG ID는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한 논리 채널 그룹(LCG: Logical Channel Group)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버퍼 크기 필드는 논리 채널 그룹을 구성하는 논리 채널들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며, 데이터의 양은 바이트(byte) 단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논리 채널 그룹은 무선 베어러 그룹(RBG: Radio Bearer Group)에 대응한다. 도 8은 무선 베어러 그룹의 설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무선 베어러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나의 무선 베어러 그룹에 속하는 무선 베어러들은 서로 같은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요구(requirement)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의 서비스 품질(QoS)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이 설정될 수 있다.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된 후에, 다음과 같이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과정은 버퍼 상태를 보고(Reporting)하는 과정으로도 칭할 수 있다.
레귤러 버퍼 상태 보고와 주기적인 버퍼 상태 보고에 있어, 버퍼 상태 보고가 전송되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하나의 논리 채널 그룹, 즉, 무선 베어러 그룹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면, 숏 버퍼 상태 보고가 수행된다. 반면, 버퍼 상태 보고가 전송되는 TTI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 그룹들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면 롱 버퍼 상태 보고가 수행된다.
패딩 버퍼 상태 보고에 있어, 패딩 비트 수가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 크기보다 크거나 같지만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크기보다 작다면,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면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는 LCG의 숏 버퍼 상태 보고가 수행된다. 반면, 패딩 비트 수가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면, 롱 버퍼 상태 보고가 수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 과정은 MAC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상향링크 데이터가 단말기(100)에 도착하여 전송 버퍼에 저장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퍼 상태 보고(BSR)가 트리거되면, 단말기(100)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받기 위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통해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그리고, 기지국(200)이 스케줄링 요청(SR)에 응답하여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상의 무선 자원을 단말기(100)에 할당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그런 다음, 단말기(100)가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그리고, 기지국(200)이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버퍼 상태 보고(BSR)에 따라 다시 PDCCH를 통해 PUSCH상의 무선 자원을 단말기(100)에 할당하는 단계(S150)가 진행된다.
이후, 단말기(100)가 다시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버퍼에 저장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단계(S160)가 진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기 위한 주된 구성요소로서,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됨, 도 1 참조) 및 이와 연결되고 버퍼 상태 보고(BSR)와 관련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됨,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서비스 품질(QoS)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을 설정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버퍼 상태 보고(BSR)는 무선 베어러 그룹(RBG)에 기반하여 처리된다. 하나의 무선 베어러 그룹(RBG)은 하나의 버퍼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에는 버퍼 상태 보고(BSR)의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들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값들은 모두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기준 값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들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값들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가변할 수도 있다.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이 설정되고 나서,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여기서, 데이터 점유량은 어떠한 버퍼에 얼마만큼의 상향링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trigger threshold)을 결정하는 단계(S230)가 진행된다. 여기서, 트리거 기준량은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기준 값들의 합일 수 있다.
이후,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를 트리거하는 단계(S240)가 진행된다. 이는, 종래와는 다른 트리거 이벤트(또는 트리거 조건)가 제안됨을 의미한다. 이하, 버퍼 상태 보고(BSR)의 트리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퍼 상태 보고(BSR)가 하나의 버퍼와 관련된 숏 버퍼 상태 보고(Short BSR)이고,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이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RBG)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버퍼 상태 보고(BSR), 즉, 숏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수 있다. 이는, 숏 버퍼 상태 보고를 함에 있어,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RBG)에 설정된 기준 값이 버퍼 상태 보고(BSR)의 트리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트리거 기준량이 됨을 의미한다.
반면, 버퍼 상태 보고(BSR)가 복수의 버퍼들과 관련된 롱 버퍼 상태 보고(Long BSR)이고,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기준 값들의 합 이상이거나 복수의 버퍼들 중 어느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어느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RBG)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버퍼 상태 보고(BSR), 즉, 롱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될 수 있다. 이는, 롱 버퍼 상태 보고를 함에 있어,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기준 값들의 합이 트리거 기준량이 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행함에 있어, 서비스 품질(QoS)에 따라 구분되는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BSR)의 트리거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QoS) 요구에 맞는 효율적인 버퍼 상태 보고(BSR)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이벤트를 단순화함으로써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버퍼 상태 보고에 대한 발명적 개념들과 특징들은 3GPP 기술에서 진보된 LTE 시스템 또는 다른 소위 4G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RBGs: Radio Bearer Groups)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trigger threshold)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은 상기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 값들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숏 버퍼 상태 보고(Short BSR)이고,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 아이디(ID) 필드 및 버퍼 크기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보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롱 버퍼 상태 보고(Long BSR)이고, 상기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기준 값들의 합 이상이거나 상기 복수의 버퍼들 중 어느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의 포맷은 상기 복수의 버퍼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 크기 필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보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은 복수의 논리 채널 그룹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보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보고에 따라 할당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방법.
  10.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에 각각 설정된 기준 값들을 이용하여 트리거 기준량을 결정하며,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점유량과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고,
    상기 결정된 트리거 기준량은 상기 기준 값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 값들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숏 버퍼 상태 보고이고,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숏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가 롱 버퍼 상태 보고이고, 상기 복수의 버퍼들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기준 값들의 합 이상이거나 상기 복수의 버퍼들 중 어느 하나의 버퍼의 데이터 점유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버퍼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그룹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롱 버퍼 상태 보고가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 그룹들을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에 따라 할당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상태 보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101502A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20130037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02A KR20130037122A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02A KR20130037122A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22A true KR20130037122A (ko) 2013-04-15

Family

ID=4843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02A KR20130037122A (ko) 2011-10-05 2011-10-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1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3439A (zh) * 2014-02-21 2014-05-28 浙江大学 基于移动终端和车载系统互联的车载资源控制方法
KR20150018293A (ko) *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5177462A1 (fr) * 2014-05-21 2015-11-26 Oberthur Technologies Procédé et système de test de qualité de service
CN112217758A (zh) * 2015-05-15 2021-01-12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发送关于缓冲状态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293A (ko) * 2013-08-09 2015-02-23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CN103823439A (zh) * 2014-02-21 2014-05-28 浙江大学 基于移动终端和车载系统互联的车载资源控制方法
WO2015177462A1 (fr) * 2014-05-21 2015-11-26 Oberthur Technologies Procédé et système de test de qualité de service
FR3021437A1 (fr) * 2014-05-21 2015-11-27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et systeme de test de qualite de service
CN112217758A (zh) * 2015-05-15 2021-01-12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发送关于缓冲状态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CN112217758B (zh) * 2015-05-15 2023-10-31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发送关于缓冲状态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US11838793B2 (en) 2015-05-15 2023-12-05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buffer st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3136B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3184187A1 (zh) 确定传输方向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JP2023528613A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端末及び記憶媒体
US2022036121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ci,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300371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CN111466127B (zh) 增强上行覆盖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434177B (zh) 无线网络接入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69308A1 (en)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84186A1 (zh) 确定传输方向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050350A1 (zh) Cfr的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050362A1 (zh) 下行传输配置、接收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126576A1 (zh) 无线通信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62691A1 (en) Uplink transmiss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plink transmission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CN11490273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EP410998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30011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plink transmission
US20220408469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23530527A (ja) 直接通信制御方法、装置、及びユーザ機器
KR201201241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206227A1 (zh) 冗余版本rv的指示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00828A1 (en) Transmission scheduling method
WO2023197327A1 (zh) 无线传输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63135A1 (e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318750A1 (en) Method for processing harq-ack feedback,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3044772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