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29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293A
KR20150018293A KR1020130095026A KR20130095026A KR20150018293A KR 20150018293 A KR20150018293 A KR 20150018293A KR 1020130095026 A KR1020130095026 A KR 1020130095026A KR 20130095026 A KR20130095026 A KR 20130095026A KR 20150018293 A KR20150018293 A KR 2015001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uffer status
status report
inform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001B1 (ko
Inventor
권기범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09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0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지국과 이중 연결된 단말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단계 및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E REPORT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기지국과 이중 연결된 단말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을 위해서 소형 셀을 활용하여 단말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상위 계층에서 MAC 계층을 통해 전송될 하향링크 데이터가 버퍼 내에 얼마만큼 존재하는지 알려주는 것을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e Report:BSR)라 한다.
이때, 서로 다른 기지국이 단일 무선베어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단일 무선베어러를 구성한 서로 다른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전술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이 단일 무선베어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효율적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과 버퍼상태보고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향링크 자원을 분배하여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단계 및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 및 기지국과 단일 무선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송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 및 기지국과 단일 무선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전송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단말이 단일 무선베어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효율적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과 버퍼상태보고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향링크 자원을 분배하여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과 이중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버퍼상태보고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PDCP 계층과 RLC 계층의 Tandem Queuing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일 무선베어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 무선베어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신호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트래픽 호름 제어신호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사용자 단말은 단말로 약칭하여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LTE LTE-A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carrier)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과 이중 연결되어 있는 단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노드 또는 피코노드, 110, 12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노드 또는 피코노드, 110, 12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0, 120)은 특정한 셀에 대해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기지국(110, 120)은 특정한 셀 내의 다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매크로노드 또는 피코노드, 110, 120)과 이중 연결되어 있는 단말(112)은 각각의 매크로노드(110) 및 피코노드(12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중 연결은 단말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지점(network points)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소비하는 동작이라 할 수 있다.
MeNB는 MME와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연결이 설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간 핸드오버와 같은 이동(mobility) 시에 코어(core) 네트워크 관점에서 보여지는 중심(anchor) 기지국이다(예를 들어, 110). 즉, SeNB간 변경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관여하지 않는다. SeNB는 이중연결 되어있는 단말에게 추가적인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MeNB가 아닌 기지국(예를 들어, 120)이다. 이 경우, 매크로노드(110)가 마스터기지국(Master eNB, 이하 MeNB라 함)이 될 수 있으며, 피코노드(120)가 부가기지국(Secondary eNB, 이하 SeNB라 함)이 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이하 SR이라 함)은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에게 이를 알려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유도하기 위해 전송하는 시그널링을 말한다. SR은 물리 상향 제어채널(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각 단말마다 SR을 전송할 자원을 할당한다.
단말(201)의 버퍼상태보고가 트리거링 되면(S210), 단말(210)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지국(202)으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SR을 전송한다(S215).
기지국(202)은 단말의 SR을 수신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다(S220).
이후, 단말(201)은 기지국으로 단말(201)이 전송할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한다(S230).
기지국(202)은 단말(201)로부터 BSR을 수신하여 확인하고,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다(S240).
단말(201)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가 수신되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S250).
만약 SR 자원보다 접속중인 단말의 수가 많다면, 일부 단말은 SR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SR을 전송하였으나,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이 소정의 기간 이후 수행되거나, SR 전송 횟수가 소정의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상향링크 자원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SR이 트리거링되면, 취소될 때까지 보류(pending)된다. 보류된 SR이 취소되는 경우는 1) MAC PDU(Packet Data Unit) 구성할 때 MAC PDU에 트리거링된 BSR이 포함될 때, 2) 단말이 모든 보류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했을 때이다. 모든 보류된 SR이 취소 될 때, SR 차단 타이머가 중지된다. 모든 보류된 SR이 취소되는 경우는 SR로 인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초기화 될 때이다. 만약 SR이 계속 보류되면, RRC에 PUCCH 또는 SRS를 해제(release)하라고 통보하고, 구성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그랜트를 모두 클리어(clear)하고, 랜덤액세스 절차를 초기화하고 보류된 SR를 취소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버퍼상태보고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 이하 BSR이라 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BSR은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기지국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이다. 상향링크에 대한 QoS-aware 패킷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단말 내 각 논리채널그룹(logical channel group, 이하 LCG라 함) 내에 포함된 논리채널(logical channel, 이하 LC라 함)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참조하여 각 LCG마다 BSR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최대 4개의 LCG가 구성될 수 있으며, 짧은 BSR 포맷과 긴 BSR 포맷이 있다. 짧은 BSR 포맷은 하나의 BSR(하나의 LCG의 BSR)이 보고되는 경우의 포맷이다. 긴 BSR 포맷은 모든 BSR(최대 4개의 LCG의 BSR)이 보고되는 경우의 포맷이다.
BSR은 MAC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된다.
SR 절차는 단말의 상향링크 버퍼에 전송가능한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은 RRC계층에서 정의된 시그널링 통해 BSR 주기적 타이머(periodicBSR-Timer) 및/또는 BSR 재전송 타이머(retxBSR-Timer)를 각 단말에 구성함으로써 각 단말 내 LC들에 대한 BSR 절차를 제어한다. 기지국은 선택적인 시그널링으로 각 LC마다 LCG를 구성할 수 있으며 LCG를 대상으로 BSR이 진행된다.
BSR 절차에서 단말은 유예(suspend)되지 않는 모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이하 RB라 함)들을 고려해야 하며, 유예되는 RB들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BSR을 트리거링한다(S310).
예를 들어, 1) LCG에 포함된 LC에 대하여 전송 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LC들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LC에 전송 가능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RLC(Radio Link Control) 엔티티(entity)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에 존재하게 되었을 때 보통 BSR(Regular BSR)이 트리거링되고, 2)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고 패딩(padding) 비트들의 수가 BSR 전송을 위한 크기와 같거나 큰 경우 패딩 BSR(Padding BSR)이 트리거링되고, 3) BSR 재전송 타이머(retxBSR-Timer)가 만료되고 단말이 LCG내의 LC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보통 BSR이 트리거링되고, 4) BSR 주기적 타이머(periodicBSR-Timer)가 만료된 경우 주기적 BSR(Periodic BSR)이 트리거링된다.
이어서, BSR 트리거링을 기초로 단말은 BSR 타입을 결정한다(S320). BSR 타입은 보통 BSR, 주기적 BSR 또는 패딩 BSR 중 하나로 결정된다.
이후, 단말은 BSR 포맷을 결정한다(S330).
예를 들어, BSR 타입이 보통 BSR 또는 주기적 BSR인 경우, 단말은 BSR 포맷을 짧은 BSR 포맷 또는 긴 BSR 포맷 중 하나로 결정한다. 이때, 짧은 BSR 포맷은 하나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긴 BSR 포맷은 하나 이상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BSR 포맷은 최대 4개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320 단계에서 결정된 BSR 타입이 패딩 BSR인 경우, 단말은 BSR 포맷을 짧은 BSR 포맷, 긴 BSR 포맷 또는 생략된(truncated) BSR 포맷 중 하나로 결정한다. 짧은 BSR 포맷은 '짧은 BSR 크기'보다는 크거나 같고 '긴 BSR 크기'보다는 짧은 길이이며, 하나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긴 BSR 포맷은 '긴 BSR 크기'보다는 크거나 같은 길이이며, 하나 이상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생략된 BSR 포맷은 '짧은 BSR 크기'보다는 크고 '긴 BSR 크기'보다는 짧은 길이이며, 하나 이상의 LCG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BSR 포맷이 결정되면, BSR 또는 SR의 전송을 결정한다(S340).
구체적으로, BSR 절차에서 적어도 하나의 BSR이 트리거링되고 취소되지 않은 경우, 단말이 해당 전송시간간격(TimeToInterval, 이하 TTI라 함)에서 새로운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가지면, BSR MAC CE를 생성하기 위하여 'Multiplexing and Assembly' 절차를 개시하고, 생성된 모든 BSR이 '생략된 BSR'이 아니면 BSR 주기적 타이머를 시작(또는 재시작하고, BSR 재전송 타이머를 시작(또는 재시작한다)한다. 또는 단말이 해당 TTI에서 새로운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가지지 않으며 보통 BSR이 트리거링된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되지 않거나 논리채널(LC) SR 마스킹이 상위 계층에 의하여 설정되는 LC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로 인하여 보통 BSR이 트리거링되지 않으면, SR이 트리거링된다. 즉, 논리채널 SR 마스킹이 설정되지 않은 LC에 의한 보통 BSR이 트리거링되면 SR이 트리거링되며 보통 BSR이 트리거링된 상태에서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역시 SR 트리거링 조건이 된다.
다수의 BSR이 트리거링 되더라도 하나의 MAC PDU는 하나의 BSR MAC CE만을 포함한다. 보통 BSR 또는 주기적 BSR은 패딩 BSR보다 우선적으로 전송된다.
UL-SCH(Uplink-Shared CHannel)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그랜트의 지시자에 대하여, 단말은 BSR 재전송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모든 보류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BSR MAC CE를 추가로 보낼 수 없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모든 트리거링된 BSR들은 취소된다.
BSR MAC CE을 MAC PDU에 포함시켰을 때, 모든 트리거링된 BSR들은 취소된다.
단말은 하나의 TTI내에 하나의 보통 BSR 또는 주기적 BSR을 전송한다. 만일 단말이 하나의 TTI내에 다수의 MAC PDU들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보통 BSR 또는 주기적 BSR이 포함되지 않은 임의의 MAC PDU들 내에 하나의 패딩 BSR이 포함될 수도 있다.
모든 BSR들은 언제나 BSR이 전송되는 TTI에 모든 MAC PDU들이 구성된 후 버퍼 상태를 반영한다. LCG 각각은 하나의 TTI 마다 하나의 버퍼 상태 값을 보고해야 하고 값은 모든 BSR내에 LCG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를 통해 보고되어야 한다. 즉, 동일 TTI에서는 LCG 마다 하나의 BSR값이 전송되어야 하며, 동일 TTI에서 전송되는 모든 BSR에서 LCG에 대한 버퍼 상태 값은 동일한 값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도 4는 PDCP 계층과 RLC 계층의 Tandem Queuing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버퍼상태보고(BSR)을 전송함에 있어서,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되는 PDCP 계층 및 RLC 계층의 버퍼상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MAC 버퍼상태보고의 목적을 위하여, 단말은 1) RLC SDU(Service Data Unit)들 또는 RLC SDU들의 세그먼트들 중 RLC 데이터 PDU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 및 2) RLC 데이터 PDU들 또는 RLC 데이터 PDU의 일부분들 중 RLC AM(Radio Link Control Acknowledge Mode)에서 재전송을 위해 보류된 것들을 RLC 계층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들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MAC 버퍼상태보고의 목적을 위하여, 단말은 하위계층으로 전달되지 않은 PDU들에 대한 SDU들에 대하여 SDU 자체가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았거나 SDU가 PDCP에 의해 처리된 PDU 뿐만 아니라 PDCP 제어 PDU들도 PDCP 계층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들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RLC AM으로 맵핑된 RB들에 대하여 이전에 PDCP 엔터티가 재설정(re-establishment) 절차를 실행하였다면, 단말은 1) SDU 중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은 것, 2) PDCP에 의해 한번 처리된 PDU를 PDCP 계층에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들로 고려해야 한다. 단, PDCP 재설정(re-establishment)에 앞서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만 된 PDU에 상응하는 SDU들 중에서 PDU들의 전달이 하위계층으로부터 확인되지 않은 첫번째 SDU부터 시작하는 SDU들 중에서 PDCP 상태보고를 수신하였다면 PDCP 상태보고를 통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이 확인된 SDU들은 제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SR을 위한 전체 버퍼 상태를 계산하기 위해 버퍼에 도착하는 트래픽을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TA : 무작위 도착-간 시간(Random inter-arrival time)
A(t)=P{TA≤t} : 도착-간 시간 CDF(Inter-arrival time CDF)
A'(t)=dA(t)/dt : 도착-간 시간 PDF(Inter-arrival time PDF)
Figure pat00001
: 평균 도착-간 시간 예측(Average Inter-arrival time (Expectation))
Figure pat00002
: 도착률(Arrival rate)
또한, 서비스되는 트래픽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TH : 무작위 서비스(홀딩) 시간(Random Service (holding) time)
H(t)=P{TH≤t} : 도착-간 시간 CDF(Inter-arrival time CDF)
H'(t)=dH(t)/dt : 도착-간 시간 PDF(Inter-arrival time PDF)
Figure pat00003
: 평균 도착-간 시간 예측(Average Inter-arrival time (Expectation))
Figure pat00004
: 이탈률(Termination rate)
또한, 단일 버퍼에서 'Infinite Source Delay system'인 경우 도착 절차 및 서비스 절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도착 절차(M)는
Figure pat00005
이고,
서비스 절차(M)는
Figure pat00006
이다.
위의 도착절차 및 서비스절차를 기반으로 PDCP와 RLC의 Tandem Queuing 시스템은 도 4와 같다.
상태고정확률 (Stationary probabilities of state)에 대한 평형상태(equilibrium state)에 대한 상태식 'p(x1,x2)=P{X1=x1,X2=x2}'을 기반으로'Station i'에서의 평균 데이터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단, i=1,2
위에서 살펴본 계산 방식은 단말 구현 시 고려할 수 있는 하나의 예이다. 상기에서 제시한 모델링 방식과 다르게 특정 시점에 실제로 존재하는 버퍼 내 데이터를 측정하여 이를 보고하는 방법(snap shot방식)도 단말 구현 시 고려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되어 있는 경우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중 연결되어 있는 단말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지국과 상향링크에 대하여 무선 연결이 되어 있으며, 특정 EPS 베어러 또는 무선 베어러는 각 기지국마다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 EPS 베어러 또는 무선 베어러가 서로 다른 기지국을 통해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단일 EPS 베어러 또는 무선 베어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단말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함에 있어서, 단일 무선베어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정보에 기반하여 버퍼상태정보를 구분하여 각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일 무선베어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501)은 서로 다른 기지국(502, 503)과 하나의 무선 베어러(#1 무선 베어러, 510 및 520)를 구성한다.
즉, 각 기지국(502, 503)은 하나의 단말(501)에 대하여 각 기지국에 구성된 무선 베어러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각 기지국에서 중복되어 구성되어 각 구성요소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처리한다.
즉, 도 5에서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PHY계층, MAC계층 및 RLC계층은 각 기지국(502, 503)에 각각 구성되어 있으나, PDCP계층은 하나의 기지국(502)에만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PDCP계층이 다른 기지국(503)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단말(501)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계층이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계층은 전술한 다른 단말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여 구성되므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기지국(502, 503)에서 구성된 무선 베어러와 상응하는 무선 베어러는 단말(501)에 구성되며, 단말(501)은 기지국들(502, 503) 모두에 구성된 모든 무선 베어러들에 대하여 상응하는 무선 베어러들을 구성한다.
기본적으로 단말(501) 내 무선 베어러(예를 들어, #1 무선베어러)에서 발생한 데이터들은 해당 무선 베어러가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502, 503)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단말(501)은 단말(501) 내 상위계층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발생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무선 베어러 내 PDCP/RLC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기준으로 버퍼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기지국(502, 503)에 전달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는 기지국(502, 503)이 둘 이상인 경우, 단일 무선 베어러를 통한 상향링크 트래픽을 어떠한 비율로 분배하여 각 기지국(502, 503)에 전송할지 여부는 네트워크 또는 트래픽 분배를 판단하는 기지국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이는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동적 제어가 각 기지국 내 스케줄러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이중 연결은 MeNB와 SeNB간 연결 통로인 Xn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최대 60ms의 지연시간을 갖는 non-ideal backhaul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에 TTI단위의 무선자원제어를 위한 스케줄러가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환경을 가정하고 있다. 즉, 이중 연결을 구성한 해당 단말에 대하여 각 기지국의 스케줄러가 독립적으로 상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이 가능한 경우이다. 이는 RRM 기능 중 DRA(dynamic resource allocation)- 패킷 스케줄링(packet scheduling) 기능이 각 기지국 각각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 이중 연결에 포함된 복수의 기지국들에 걸쳐 구성된 단일 무선 베어러에 매핑된 논리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단일 무선 베어러가 복수의 기지국에 구성된 경우의 버퍼상태보고의 전송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의 종류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둘 이상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둘 이상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단계 및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기지국들이 단일 무선 베어러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부가 기지국(SeNB) 및/또는 복수의 마스터 기지국(MeNB)가 단일 무선 베어러를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설명하나, 제 1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 및/또는 제 2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송정보는,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분배율 정보는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 또는 MAC 구조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1 기지국(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또는 다른 기지국)에 분배되어 전송될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된 분배율 정보에 기초하여 각 PDCP 및 RLC 엔티티(entity)에 트래픽을 할당하고, PDCP 및 RLC의 버퍼상태에 따라 각각의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분배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논리채널을 분리하여 논리채널그룹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논리채널 별 PDCP 및/또는 RLC 계층의 데이터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한다.
즉,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될 버퍼상태보고(예를 들어, BSR#1)와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될 버퍼상태보고(예를 들어, BSR#2)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며, 이는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정보에 포함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에 기초하여 분리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로 생성된다.
이렇게 별도로 생성된 버퍼상태보고는 각각의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이후,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각각의 기지국은 버퍼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분배율 정보의 결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배율 정보는 제 1 기지국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제 1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을 갖는 기지국일 수 있다.
즉, 제 1 기지국(예를 들어, MeNB)은 상향링크 트래픽의 분배를 위해서 제 2 기지국(예를 들어, SeNB)와 협의하여 해당 논리채널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보고되는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로딩(loading)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와 제 1 기지국 내 스케줄러에서 자체적으로 확보 가능한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각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디모듈레이션 참조신호(DM-RS) 및 다운링크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반하여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다운링크 측정정보에 의해서 추정될 수도 있다.
즉,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닌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다운링크 측정정보를 직접 보고 받아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위에서 제 1 기지국은 MeNB가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 기능이 있다는 전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SeNB가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제 1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 또는 MAC 구조정보)를 통해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이하 DRB라 함) 추가/변경 구조 내에 해당 무선 베어러에 상응하는 LC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 정보가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MAC 구조정보(MAC main configuration) 내에 단말 내에 베어러 스플리트(Split)로 구성된 모든 LC들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 정보가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전술한 분배율 정보가 포함된 전송정보(예를 들어, LC 구성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단말은 단말 내에 베어러 스플리트(Split)로 구성된 LC들에 대하여 서로 구분된 복수 개의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한다.
예를들어, 무선 베어러 스플리트로 구성된 논리채널이 #4, #5, #7인 경우, 상기 논리채널들이 포함된 논리채널 그룹은 제 1 기지국을 위한 논리채널그룹 1과 제 2 기지국을 위한 논리채널그룹 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논리채널들을 구성요소로 갖는 서로 다른 논리채널그룹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각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되어야 할 버퍼상태정보를 각 PDCP 및 RLC 엔티티 별로 구분하여 생성하고 이를 각 PDCP 및 RLC 엔티티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정보로 구성한다. 즉, 각각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할 BSR을 구성하기 위한 논리채널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PDCP 및 RLC 엔티티(서브계층)의 버퍼상태는 논리채널그룹 1로 구성하고 제 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PDCP 및 RLC 엔티티(서브계층)의 버퍼상태는 논리채널그룹 2로 구성한다.
만약, 하나의 PDCP 엔티티의 경우, 각 기지국으로 PDCP 버퍼상태정보를 보고함에 있어서, 1)각 논리채널그룹에 중복으로 포함하여 전송하거나 2)RLC 버퍼상태의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나누어 각 논리채널그룹이 분리하여 포함하거나 3) PDCP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를 제외하고 RLC에 대한 버퍼상태정보만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단일 무선베어러가 형성되고, 각 기지국별로 구분된 PDCP 또는 RLC의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1 실시예의 경우 단일 무선베어러가 스플리트된 형태가 아닌 복수의 무선 베어러가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분배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에 상응하는 LC들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말은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610).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율 정보는 제 1 기지국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제 1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 중 상향링크 트래픽의 분배와 관련된 무선 베어러 제어 (Radio Bearer Control, 이하 RBC) 기능을 갖는 기지국일 수 있다.
즉, 제 1 기지국(예를 들어, MeNB)은 상향링크 트래픽의 분배를 위해서 제 2 기지국(예를 들어, SeNB)과 협의하여 해당 논리채널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보고되는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로딩(loading)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와 제 1 기지국 내 스케줄러에서 자체적으로 확보 가능한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각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디모듈레이션 참조신호(DM-RS) 및 다운링크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반하여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다운링크 측정정보에 의해서 추정될 수도 있다.
즉,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닌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다운링크 측정정보를 직접 보고 받아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한 분배율 정보를 수신하고(S610) 단말은 수신된 분배율 정보에 따라 전송할 상향링크 트래픽을 각 기지국내 RLC 및 PDCP 엔티티와 상응하는 단말 내 RLC 및 PDCP 엔티티로 분리하여 처리한다. 이 때 발생하는 각 기지국내 RLC 및 PDCP 엔티티와 상응하는 단말 내 RLC 및 PDCP 엔티티들 내의 전송 가능한 데이터들을 고려하여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한다(S620).
단말은 이렇게 구분하여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각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30).
이후, 각 기지국으로부터 버퍼상태보고에 기초한 상향링크 그랜트(UL-grant)를 수신하고(S640),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S6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및 기지국과 단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송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협의하여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을 결정한다(S710).
분배율 정보는, 기지국이 해당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분배율을 설정하는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 중 상향링크 트래픽의 분배와 관련된 무선 베어러 제어 (Radio Bearer Control)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다운링크 측정정보를 보고받아 추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
이렇게 결정된 분배율 정보는 전송정보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된다(S720).
전송정보는, 단일 무선 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수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 또는 MAC 구조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송정보는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에 포함된 DRB 추가/변경 구조 내에 해당 DRB에 상응하는 LC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 정보가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단말의 MAC 구조정보(MAC main configuration) 내에 단말 내에 베어러 스플리트(Split)로 구성된 모든 LC들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 정보가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에서 각 기지국 별로 나누어 구성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다(S740).
기지국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를 확인하여, 단말에게 상향링크 그랜트를 송신하고,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단일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며 RLC가 구분되나 하나의 RLC는 다른 RLC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설정방법의 종류의 경우에는 다른 버퍼상태보고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의 RLC 계층에서 모든 기능을 수행하며, SeNB의 RLC 계층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단순히 MeNB로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은 어느 기지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해도 무관하므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함에 있어서, 특정 기지국만으로 전송해도 된다. 그러나 해당 단말이 이중연결에 포함된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향링크 트래픽을 상기 복수의 기지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면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무선자원의 활용도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하지만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이 각 기지국으로 동일한 버퍼상태보고를 전달한다면 해당 단말 내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각 기지국에게 요구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 단말 내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의 2배의 데이터가 있음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셈이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에 있어 다른 방법이 요구된다.
제 2 실시예 : 이중 연결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들에 구성된 단일 무선 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는 모든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전송하는 방법.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 무선베어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 무선 베어러가 복수의 기지국(802, 803)에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5와 달리 하나의 마스터/슬레이브 RLC 계층을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즉, PDCP 계층은 마스터 기지국(예를 들어, MeNB, 802)에만 구성되며, 부가 기지국(예를 들어, SeNB, 803)의 RLC 계층은 단말(801)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트래픽(데이터)들을 MeNB(802)의 RLC로 전달(forwarding)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MeNB(802)의 RLC가 Master RLC이고 기존 RLC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SeNB(803)의 RLC는 Slave RLC로써 Master RLC로 상향링크 트래픽을 전달한다.
이 경우, MeNB(802)으로부터 SeNB(803)으로의 버퍼상태보고는 Xn 인터페이스(840)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MeNB(802)의 RLC는 단말로부터 직접 수신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처리 뿐만 아니라, SeNB(803)의 RLC로부터 Xn인터페이스(840)를 통해서 수신한 상향링크 데이터의 처리도 진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Master/Slave RLC 방식의 경우 단말의 RLC 상태보고를 포함한 모든 단말의 PDCP 제어 PDU(Packet Data Unit) 및 RLC 제어 PDU들이 어떠한 기지국을 통해서 전송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 802)으로 베어러 스플리트된 모든 무선 베어러들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달한 후 해당 기지국(802)에서 이중 연결에 포함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 2 기지국, 803)에서 해소할 상향링크 트래픽량을 결정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에서 해소할 상향링크 트래픽량에 대한 정보를 Xn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기지국(80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말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또는 복수의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상응하는 LC가 포함된 LCG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단계 및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말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기지국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910).
전송정보는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기지국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전송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기지국은 주시간정렬그룹(Primary Timing Advance Group, 이하 pTAG)에 포함된 서빙셀들로 인식될 수 있다. 즉, pTAG내의 서빙셀들은 암묵적으로 제 1 기지국내에 구성된 서빙셀들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상기 pTAG내에 포함된 서빙셀들 중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퍼상태보고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이하 PCell)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pTAG은 PCell이 포함된 시간정렬그룹이라 정의된다. 또한 시간정렬그룹은 서로 동일한 시간전진값과 타이밍 참조를 갖는 서빙셀들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또한 시간전진은 기지국에서 각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원하는 시점에서 수신하기 위해 해당 기지국내 각 단말에게 하향링크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점 이전부터 상향링크 신호전송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지국이 지시한 구체적인 값을 시간전진값이라 한다. 상기 시간전진값은 각 서빙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지시 정보에 의해서 지시된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될 버퍼상태정보를 구성한다(S920).
한편,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 받는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으로 버퍼상태보고가 전송되어야 하므로,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은 1)MeNB로 제한되거나, 2)PCell이 포함된 기지국으로 제한되거나, 3)네트워크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도록 지시한 기지국(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이 구성되어 있으며, SR자원을 할당 받은 서빙셀)이거나, 4)SR을 대신할 경쟁기반 랜덤엑세스채널(PRACH)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빙셀이 포함된 기지국일 수 있다.
단말은 이렇게 지시된 기지국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한다(S930).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버퍼상태보고를 확인하여 상향링크 트래픽을 분배하는 절차 등을 수행하며, 기지국의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및 기지국과 단일 무선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전송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기지국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010).
여기서, 전송정보는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 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 받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이다.
즉,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1)MeNB로 제한되거나, 2)PCell이 포함된 기지국으로 제한되거나, 3)네트워크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도록 지시한 기지국(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이 구성되어 있으며, SR자원을 할당받은 서빙셀)이거나, 4)SR을 대신할 경쟁기반 랜덤엑세스채널(PRACH)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빙셀이 포함된 기지국일 수 있다.
이후, 단말로부터 전체 기지국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다(S1020).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은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버퍼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 각각에 분배되는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하는 단계(S1030) 및 다른 기지국으로 분배율에 따라 분배된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040).
예를 들어, 기지국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지국에서 소모 가능한 상향링크 트래픽량을 결정한다.
만약, 버퍼상태보고에 의해 보고된 상향링크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QoS)을 고려할 때 해당 기지국이 모두 해소할 수 없거나 다른 기지국이 해소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버퍼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각 논리채널그룹의 버퍼상태정보를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 각각으로 나눈다(S1030).
분배율은, 기지국의 상향링크 트래픽량 및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분배율에 따라 다른 기지국이 처리할 상향링크 트래픽량 정보를 각 논리채널그룹단위로 구분하여 전송한다(S1040).
위 경우, 각 논리채널그룹마다 버퍼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트래픽량을 나누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논리채널그룹별로 구분하여 상향링크 트래픽량을 나눌 수도 있다. 즉, 특정LCG에 대한 트래픽은 제 1 기지국에서 처리하기로 결정하고 다른 LCG에 대한 트래픽은 다른 기지국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상기 다른 LCG에 대한 상향링크 트래픽량만을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신호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기지국(1102)은 단말(1101)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할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전송한다(S1110).
단말(1101)은 수신된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한 후, 전송정보에서 지시된 기지국(1102)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송신한다(S1120).
기지국(1102)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의 버퍼상태정보를 확인하여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1101)로 상향링크 그랜트를 송신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기지국(1102)이 판단한 결과 기지국(1102)이 모든 트래픽을 처리하기 어렵거나, 다른 기지국(1103)이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면 다른 기지국(1103)을 위한 분배율을 결정한다(S1130).
트래픽의 분배가 필요성 여부 및 분배율은, 기지국(1102)의 상향링크 트래픽량 및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다른 기지국(1103)은 기지국(1102)과 이중 연결되어 있고, 단일 무선 베어러를 형성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이후, 기지국(1102)은 분배율에 따라 해당 기지국에 분배된 트래픽량에 따라서, 기지국(1102)의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1101)로 전송한다(S1140).
또한, 기지국(1102)은 분배율에 따라 분배된 다른 기지국(1103)의 트래픽량 정보를 버퍼상태보고형태 또는 Xn 인터페이스 포멧을 이용하여 다른 기지국(1103)으로 전송한다(S1150).
S1140 및 S1150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S1150 단계 이후에 S114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다른 기지국(1103)은 수신된 버퍼상태보고에 따라서 분배된 분배율에 따라 단말(1101)로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다(S1160).
단말은 수신된 상향링크 그랜트들에 따라서,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신호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202)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1101)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다(S1220).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율을 결정하고(S1230), 분배율에 따라 분배된 상향링크 트래픽에 따른 버퍼상태보고를 다른 기지국(1203)으로 전송한다(S1250).
그러나, 전술한 도 11과 달리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S1250) 이후에, 다른 기지국(1203)으로부터 전송된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에 대한 거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260).
이 경우, 거절정보를 송신한 다른 기지국(1203)은 DRA(Dynamic Resource Allocation) 기능을 가진 기지국이다. 또는 DRA 기능 및 RBC(Radio Bearer Control)기능 중 일부를 가진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1202)은 다른 기지국(1203)으로부터 거절정보가 수신되면, 다른 기지국에 분배된 분배율에 따른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1201)로 전송한다(S1270).
S1240 단계와 S1250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선후가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기지국(1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320), 수신부(1310) 및 송신부(1330)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320)는 상향링크 트래픽 분배율에 따른 버퍼상태보고 전송 및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할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생성한다.
수신부(1310)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부(1330)는 생성된 전송정보를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재구성 절차 메시지 또는 MAC 구조정보)을 통해서 전송한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1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른 기지국과의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송신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정보교환은 Xn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X2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20)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20)는 분배율을 설정함에 있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로딩정보와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제 1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다운링크 측정정보에 의해서 추정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320)는 버퍼상태정보를 수신할 기지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후 상향링크 트래픽 및 Qo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트래픽의 분배율을 결정한다.
또한,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 2 기지국)으로 분배된 상향링크 트래픽 및 분배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수신부(1310)는 단말 및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술한 신호를 수신하며, 다른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에는 Xn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송신부(1330)는 제어부(1320)에서 생성된 신호를 단말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단말(1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420), 수신부(1410) 및 송신부(1430)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420)는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상태보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송정보에 분배율 정보가 포함되면, 분배율 정보에 따라 각 논리채널을 구성한 논리채널그룹의 PDCP 및 RLC의 데이터 트래픽을 구성하고, 버퍼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버퍼상태보고를 생성한다.
또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430)는 생성된 버퍼상태보고를 기지국(제 1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제 2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단말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기지국 등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1410)는 기지국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의 경우, 단말은 어느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송신하며, 상향링크 그랜트는 기지국 및 기지국과 이중 연결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무선베어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효율적으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과 버퍼상태보고에 따라 효율적으로 상향링크 자원을 분배하여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된 단말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을 갖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다운링크 측정정보에 의해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받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과 단일 무선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수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상기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다운링크 측정정보를 보고받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받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버퍼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에 분배되는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 상기 분배율에 따라 분배된 상기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은,
    상기 기지국의 상향링크 트래픽량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에 대한 거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DRA(Dynamic Resource Allocation) 기능 및 RBC(Radio Bearer Control)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에 이중 연결되어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구성된 단일 무선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us Report)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논리채널그룹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논리채널그룹별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상기 제 1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을 갖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다운링크 측정정보에 의해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받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과 단일 무선베어러가 설정된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송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전송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된 상기 버퍼상태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에 대해 분배하여 수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의 상향링크 로딩정보 및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며,
    상기 기지국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의 상향링크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다운링크 측정정보를 보고받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무선베어러에 대한 버퍼상태보고를 전송받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트래픽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버퍼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다른 기지국 각각에 분배되는 상향링크 트래픽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 상기 분배율에 따라 분배된 상기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율은,
    상기 기지국의 상향링크 트래픽량 및 상기 버퍼상태보고에 포함된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된 버퍼상태보고 중 일부에 대한 거절정보를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DRA(Dynamic Resource Allocation) 기능 및 RBC(Radio Bearer Control)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095026A 2013-08-09 2013-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KR10208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26A KR102082001B1 (ko) 2013-08-09 2013-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26A KR102082001B1 (ko) 2013-08-09 2013-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93A true KR20150018293A (ko) 2015-02-23
KR102082001B1 KR102082001B1 (ko) 2020-02-26

Family

ID=5304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026A KR102082001B1 (ko) 2013-08-09 2013-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987A (ko) * 2016-02-12 2017-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연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CN108632889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缓冲区状态报告的触发方法、装置、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615A (ko) * 2009-06-19 2012-03-15 지티이 코포레이션 버퍼 영역 상태 리포트의 리포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130008157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30015376A (ko) * 2011-08-03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37122A (ko) * 2011-10-05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615A (ko) * 2009-06-19 2012-03-15 지티이 코포레이션 버퍼 영역 상태 리포트의 리포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130008157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종의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 이를 운영하는 복합 펨토셀 기지국,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30015376A (ko) * 2011-08-03 2013-0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37122A (ko) * 2011-10-05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503* *
3GPP TS 36.321 V11.3.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987A (ko) * 2016-02-12 2017-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연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CN108632889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缓冲区状态报告的触发方法、装置、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001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248B1 (ko) 스몰셀 환경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103625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pparatus for same
US1072111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dual-connectivity by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0802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US98390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logica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25552B1 (ko) 스몰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EP2997784B1 (en)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05898770B (zh) 一种空频道检测方法及节点设备
CN109792765B (zh) 基于与特定逻辑信道优先级关联的上行链路许可的上行链路发送
KR1021482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
JP2015019359A (ja) スモール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ソース要求
CN110383876B (zh) 用于重复接收控制消息的方法及其设备
KR102065137B1 (ko)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75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4008979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buffer status report of terminal in small cell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EP330187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EP3689074B1 (en)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70114244A (ko) 업링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7784B1 (ko)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버퍼 상태 보고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210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672120B1 (ko)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20820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상태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EP3949615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KR101655513B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8251B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