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33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331A
KR20130085331A KR1020120006415A KR20120006415A KR20130085331A KR 20130085331 A KR20130085331 A KR 20130085331A KR 1020120006415 A KR1020120006415 A KR 1020120006415A KR 20120006415 A KR20120006415 A KR 20120006415A KR 20130085331 A KR20130085331 A KR 2013008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content ratio
front plate
design
desig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한희섭
Original Assignee
이호준
한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준, 한희섭 filed Critical 이호준
Priority to KR102012000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331A/ko
Publication of KR2013008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
상기 디자인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디자인부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E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와 상기 디자인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가 서로 접착되어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디자인부의 보호가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되며 디자인부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생략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진, 또는 서화를 전시하거나, 소정의 표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소정의 물품에 디자인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를 거치하기 위해서 소정의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액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자인부 전면에 투명한 재질의 전면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디자인부의 후면에 후면 플레이트를 배치시키고 프레임 주변 둘레에 마련되는 고정부를 통해 전면 플레이트, 디자인부 및 후면 플레이트가 서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습기, 탈색, 손상 등에 의해서 디자인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가 밀착되지 아니하고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 사이에 기포와 같은 공간이 생김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며 아울러 상기 공간에 의해 굴곡, 구겨짐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전시 품질이 더욱 악화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은 프레임 자체가 가질 수 있는 미관상 한계가 존재할 뿐 아니라 디자인부의 일부를 가림으로써 전시의 품질을 저하하기도 한다. 또한,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 전시에 필요한 공간을 더욱 확대시킴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저해시킨다.
또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비용이 소모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0-003500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와 전면 플레이트가 서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디자인부의 손상이 방지되고 더욱 신뢰성있는 전시가 가능하며 디자인부를 거치하는 프레임이 생략되어 미관상 우수하고 전면 플레이트, 접착층 및 디자인부의 변색, 변형 방지가 효과적으로 달성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
상기 디자인부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전면 플레이트; 및
상기 디자인부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E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톨루엔, 및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0% 내지 80%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25%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1% 내지 20% 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5%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20%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5% 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자인부는 광택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6%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9%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15% 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자인부는 무광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탄산칼슘, 및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80% 내지 90% 이며,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84% 이며,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8%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8% 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가 서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디자인부를 거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별도의 프레임과 같은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줄어들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고,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프레임이 생략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미려해짐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부가 프레임 등에 의해서 가려지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의 전 부분에 걸쳐서 전시됨으로써 미관상 더욱 우수하며 사실감있는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부와 전면 플레이트가 밀착됨으로써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 사이에 침투할 가능성이 줄어들며, 전면 플레이트, 접착층, 및 디자인부의 변색, 변형가능성 및 손상가능성이 적어지고 장기간 전시 및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부와 전면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고 디자인부가 전면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더욱 큰 편평도를 가지며 전시되기 때문에, 디자인부의 구겨짐이나 들뜸이 없이 미관상 더욱 우수한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부와 전면 플레이트를 접착하는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접착성 및 광 투과성이 달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톨루엔, 및 물을 포함함에 따라서, 접착제의 내수성, 내한성, 내열성, 내후성 및 접착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 사이의 기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 접착층, 및 디자인부의 변형, 변색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과정에서 소정의 스프레다 작업, 냉압 작업, 및 열압 작업에 대한 작업 능률이 향상되어 생산자의 생산 효율이 개선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탄산칼슘, 및 물을 포함함에 따라서, 접착제의 내수성, 내한성, 내열성, 내후성 및 접착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전면 플레이트와 디자인부 사이의 기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 접착층, 및 디자인부의 변형, 변색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의 유동성이 향상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과정에서 작업 능률이 향상되어 생산자의 생산 효율이 개선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가전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도 1 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가전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면 플레이트(10), 상기 전면 플레이트(10)의 후방에 부착되는 디자인부(20),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10)와 상기 디자인부(20)를 부착시키는 접착층(110)을 포함한다.
전면 플레이트(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패널형 부재로서, 디자인부(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자인부(20)의 전면을 커버하며 보호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0)는 디자인부(20)를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전면 플레이트(10)는 유리, 인조수정유리,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갖는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10)는 높은 편평도를 갖게 구성되거나 또는 입체, 요철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소정의 곡률을 갖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아울러 전면 플레이트(10)는 무색 투명하게 구성되거나 선택에 따라서 임의의 색상을 갖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영역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거나 소정의 문양이 디자인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전면 플레이트(10)의 후면에 디자인부(20)가 부착되며, 전면 플레이트(10)는 빛의 굴절 또는 왜곡 등을 방지하고 우수한 재현율을 갖기 위해서 균일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광 투과성을 갖는 전면 플레이트(10)를 통해 후술하는 디자인부(20)의 감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자인부(20)의 보호 및 전시가 가능해진다.
전면 플레이트(10)의 후방에는 디자인부(20)가 부착된다. 디자인부(20)에는 예컨대 소정의 서화, 사진, 인쇄 공정을 통해 인쇄된 인쇄물, 또는 소정의 표시, 문자 등과 같은 디자인(P)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디자인부(20)는 예컨대 인화지, 도화지와 같은 종이 재질상에 상기 디자인(P)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 상에 상기 디자인(P)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또한, 디자인부(20)는 높은 편평도를 갖는 평면 소재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요철 또는 입체를 갖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디자인부(20)의 형상에 따라서 전면 플레이트(20) 또한 그에 대응하는 요철 또는 입체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사이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10)은 예컨대 소정의 접착제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 또는 상기 디자인부(20) 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 및 상기 디자인부(20) 상에 도포한 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와 상기 디자인부(20)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접착층(110)을 통한 전면 플레이트(10) 및 디자인부(20)의 부착은 소정의 열처리 공정, 물리, 화학적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접착층(110)은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사이에 형성되어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가 서로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디자인부(20)가 전면 플레이트(10) 및 접착층(110) 후면에 배치됨에 따라서, 디자인부(20)에 형성된 디자인(P)의 감상은 전면 플레이트(10) 및 접착층(110)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면 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첩착층(110) 또한 높은 광 투과성을 갖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면 플레이트(10)의 후방에 디자인부(20)가 배치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는 서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디자인부(20)를 거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에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디자인부(20)가 전면 플레이트(10)에 부착됨에 따라서 디자인부(20)의 크기가 전면 플레이트(10)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아니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디자인부(20)와 전면 플레이트(1)의 크기가 일치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부(20)를 전시할 때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크기가 줄어들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디자인부(20)를 거치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되는 프레임(미도시)이 생략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미려해짐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부(20)가 프레임(미도시) 등에 의해서 가려지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 전면의 전 부분에 걸쳐서 전시됨으로써 미관상 더욱 우수하며 사실감있는 전시가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부(20)와 전면 플레이트(10)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게 구성됨으로써,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에 침투할 가능성이 줄어들므로, 미관상 우수한 전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디자인부(20)의 보호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10), 접착층(110) 및 디자인부(20)의 변형, 변색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부(20)와 전면 플레이트(10)가 접착을 통해 서로 부착되게 구성됨으로써, 디자인부(20)와 디자인부(20)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10)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고 디자인부(20)가 전면 플레이트(10)에 밀착되어 더욱 큰 편평도를 가지며 전시되기 때문에, 디자인부(20)의 구겨짐이나 들뜸이 없이 미관상 더욱 우수한 전시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층(110)은 디자인부(20)에 형성된 디자인(P)의 감상이 용이할 수 있도록 높은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예컨대, 접착층(110)은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Ehtylene Vinylacetate Copolymer : EVA)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는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접착층(110)이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전면 플레이트(10) 및 디자인부(20) 사이의 접착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디자인부(20)의 우수한 전시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는 유연성, 저온취성, 및 연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단계에서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110)은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톨루엔(Toluene),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0% 내지 80 이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25% 이며, 물의 함량 비율은 1% 내지 2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5% 이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20% 이고, 물의 함량 비율은 5% 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자인부(20)는 소정의 광택을 갖는 광택지와 같은 용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6% 이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9% 이고, 물의 함량 비율은 15% 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자인부(20)는 합성지, 또는 중성지와 같은 무광 용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110)이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와 톨루엔 및 물을 포함함에 따라서, 접착층(110)의 접착력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고, 예컨대 PVC 필름과 같은 소정의 재질과 접착제 사이의 접착력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또한, 접착층(110)의 내수성, 내한성, 내후성, 및 가소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간의 밀착이 더욱 향상되므로,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사이의 기포 발생이 방지되어 더욱 우수한 전시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10), 접착층(110) 및 디자인부(20)의 변형, 변색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와 톨루엔, 및 물의 함량 비율이 소정의 비율을 가짐에 따라서 디자인부(20)를 형성하는 각각의 용지의 특성에 대해서 적절한 접착력, 투광성 등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제조시 적용될 수 있는 소정의 스프레다 작업, 냉압 작업, 및 열압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10)은 소정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의 내수성, 내열성, 내습성 및 내용제성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접착층(110)은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80% 내지 90% 이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이며, 물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일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84% 이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8% 이며, 물의 함량 비율은 8%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층(110)이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와 탄산칼슘, 및 물을 포함함에 따라서, 접착층(110)의 접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고, 예컨대 PVC, PET, PP 필름, 또는 각종 목재, 및 PB, MDF 및 HDF 과 같은 소정의 재질과 접착층(110) 사이의 접착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면 플레이트(10) 및 디자인부(20) 사이의 접착이 신뢰성있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10), 접착층(110), 및 디자인부(20)의 변형, 변색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디스플레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10)의 내수성, 내한성, 내후성, 및 내열성이 향상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구성 및 디자인부(20)의 보존가능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10)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유동성이 개선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 제조 공정에서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스프레더용으로서 비닐 오버레이(Vinyl Overlay) 작업이 편리해짐으로써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및 유동성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간의 밀착이 더욱 향상되므로, 전면 플레이트(10)와 디자인부(20) 사이의 기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별도의 용제가 포함되지 아니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 구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예컨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0) 및 디자인부(20)를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0) 및 후면 플레이트(30) 사이에 디자인부(20)가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디자인부(20)와 후면 플레이트(30) 사이의 부착은 소정의 제2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하여 디자인부(20)와 후면 플레이트(30)를 접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 접착층(미도시)은 상기 접착층(110)을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서화 등을 전시하는 소정의 액자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 광고판, po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2) 또는 장롱과 같은 가구 등 각종 물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가전제품
10: 전면 플레이트 20: 디자인부
30: 후면 플레이트 110: 접착층

Claims (8)

  1. 소정의 디자인이 형성된 디자인부(20);
    상기 디자인부(20)의 전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전면 플레이트(10); 및
    상기 디자인부(20)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0) 사이에 형성되며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층(110);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110)은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EV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0)은 톨루엔, 및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0% 내지 80%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25%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1%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5%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20%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20)는 광택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76% 이며,
    상기 톨루엔의 함량 비율은 9%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20)는 무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0)은 탄산칼슘, 및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80% 내지 90% 이며,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5%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10) 내의 에틸렌-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의 함량 비율은 84% 이며,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 비율은 8% 이고,
    상기 물의 함량 비율은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KR1020120006415A 2012-01-19 2012-01-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8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415A KR20130085331A (ko) 2012-01-19 2012-01-1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415A KR20130085331A (ko) 2012-01-19 2012-01-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331A true KR20130085331A (ko) 2013-07-29

Family

ID=4899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415A KR20130085331A (ko) 2012-01-19 2012-01-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5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34B1 (ko) * 2016-05-04 2017-02-14 조상은 별자리가 표시된 아기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34B1 (ko) * 2016-05-04 2017-02-14 조상은 별자리가 표시된 아기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4292A (zh)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CN204100058U (zh)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JP6344241B2 (ja) 家具ユニット
TW200628308A (en) Antistatic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WO2007111879A3 (en) Produce label having two different images viewable from front and back of label and method of making same
TW200613778A (en) Optical film having adhesiv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WM278904U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832841A (zh) 背光单元及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KR201300853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5061B1 (ko) 자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5737A (ko) 벽면 설치구
CN201746499U (zh) 一种保护膜胶带
JP2016035519A (ja) パネルユニット、ガラスパネル及びパネル材
JP2010256688A (ja) 表示プレート
KR200414275Y1 (ko) 투명평판용 양면 인쇄장식지
CN203951562U (zh) 一种一体化电视机外壳
KR200435943Y1 (ko) 액자 조립체
KR100829520B1 (ko) 장식재, 이를 포함하는 장식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219803507U (zh) 一种激光热风封边条
JP3148826U (ja) 吸着掲示板
CN213012674U (zh) 一种泡棉贴纸结构
CN208444273U (zh) 智能触控面板
CN208071628U (zh) 应用于窄边框设备内的复合单面胶
CN208001416U (zh) 旋钮式复合型面板
KR100992152B1 (ko) 전시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