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148A - 에어 샤워 - Google Patents

에어 샤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48A
KR20130083148A KR1020120003719A KR20120003719A KR20130083148A KR 20130083148 A KR20130083148 A KR 20130083148A KR 1020120003719 A KR1020120003719 A KR 1020120003719A KR 20120003719 A KR20120003719 A KR 20120003719A KR 20130083148 A KR20130083148 A KR 20130083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wer
blower
shower room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준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03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148A/ko
Publication of KR2013008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 샤워는, 샤워실과 송풍통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입구 및 출구 도어와, 상기 송풍통로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필터와, 상기 샤워실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되는 에어 샤워에 있어서, 상기 송풍통로에는 에어 노즐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에어노즐 개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강풍으로 회전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에어노즐 개폐판에 의해 에어 노즐을 통한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샤워실에서 부유하며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샤워{AIR 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샤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서 제거되어 샤워실에서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는 에어 샤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은 크게 산업용 클린룸(Industrial Clean Room)과 바이오 클린룸(Biological Clean Room)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업용 클린룸은, 주로 반도체, 전자기기, 정밀기계공업 등 첨단산업의 제품생산설비에서 부유 미립자가 제조중인 제품에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제품의 정밀화, 미소화, 고품질화 및 고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공장전체 또는 중요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청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설비된다.
또한 바이오 클린룸은, 제약공장, 식품공장, 병원의 수술실 등에서 제품의 오염방지, 변질방지 및 환자의 감염방지를 위해 무균에 가까운 환경을 유지하도록 설비된다.
이와 같이 청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클린룸의 오염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출입하는 사람과 물건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클린룸의 출입자에게는 방진 또는 무균용 피복물을 착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입구에는 에어 샤워를 설치하여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 묻은 먼지 등의 파티클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에어 샤워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에어 샤워 장치는, 내측의 좌우 측판(11), 천정판(12) 및 발판(13)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본체(10)와, 외측의 좌우 측판(21), 천정판(22) 및 바닥판(23)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본체(20)로 구성되는 2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본체(20)의 전, 후 방향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내측의 측판(11)과 도어에 의해 샤워실(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본체(10)와 외측 본체(20)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어 송풍통로(41)를 구성하고, 상기 송풍통로(41)에는 에어 공급원인 송풍기(42)와 먼지 등의 파티클을 여과하는 필터(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의 좌우 측판(11)에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4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노즐(44)에 의해 제거된 파티클은 샤워실(130) 측벽 하부의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
즉, 종래의 에어 샤워에 따르면, 출입자에 의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샤워실(30) 내에 사람이 있는 것을 감지하면 송풍기(42)가 구동하고, 상기 송풍기(42)로부터 발생된 강풍은 필터(4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청정한 상태에서 송풍통로(41)로 보내지고, 양 측판(11)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에오 노즐(44)을 통해 샤워실(30)로 강하게 분출된다.
이때, 에어 분출속도는 대략 20~25m/s 정도로서, 상기 에어에 의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 등의 파티클이 떨어지게 되고, 떨어져 나온 파티클은 샤워실(30) 측벽 하부의 배출구(14)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샤워는 강풍에 의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서 묻은 먼지 등의 파티클만 제거할 뿐, 제거된 파티클이 전부 배출구(14)로 배출되지 않으며 샤워실(130)의 바닥에 부유하며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강풍에 의해 제거된 파티클이 출입자 또는 다음 출입자의 피복물과 물건에 다시 묻은 상태로 클린룸에 입장하여 클린룸으로 파티클이 유입된다.
따라서,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서 제거되어 샤워실의 바닥에서 부유하며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는 개선된 형태의 에어 샤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노즐을 통한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샤워실에서 부유하며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는 에어 샤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워실의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집진하는 에어 샤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샤워는, 샤워실과 송풍통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입구 및 출구 도어와, 상기 송풍통로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필터와, 상기 샤워실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되는 에어 샤워에 있어서, 상기 송풍통로에는 에어 노즐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에어노즐 개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통로는 샤워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샤워실 전면의 송풍통로와 샤워실 후면의 송풍통로 중 하나의 송풍통로에만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워실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된 송풍통로에는 각각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은, 회전중심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토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의 회전날개 사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워실의 하부에는 액세스 플로어가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플로어와 송풍통로 또는 송풍기 사이에는 흡입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통로에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 샤워에 따르면, 송풍기의 강풍으로 회전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에어노즐 개폐판에 의해 에어 노즐을 통한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샤워실에서 부유하며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는 효과가 있다.
즉, 연속적으로 강풍이 토출되는 종래의 에어 노즐과는 달리 비 정형하게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서 먼지 등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효과를 높이게 된다.
더욱이, 샤워실의 바닥에 배치된 액세스플로어와 상기 액세스플로어를 통해 파티클을 흡입하도록 배치된 송풍기와 필터에 의해 샤워실의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집진한다.
특히, 액세스플로어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샤워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S)는, 샤워실(110)과 송풍통로(120)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입구 도어(210) 및 출구 도어(220)와, 상기 송풍통로(120)에 설치되는 송풍기(300) 및 필터(400)와, 상기 샤워실(110)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5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통로(120)에는 에어 노즐(5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에어노즐 개폐판(6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통로(120)는 샤워실(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샤워실(110) 전면의 송풍통로(120)와 샤워실 후면의 송풍통로(120) 중 하나의 송풍통로(120)에만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5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워실(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된 송풍통로(120)에는 각각 송풍기(300)가 설치되거나 전,후면 송풍통로(120)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송풍기(300)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실(110) 전,후면 송풍통로(120)에 에어노즐 개폐판(600)이 모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600)은, 회전중심(C)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610)와, 상기 송풍기(300)의 강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6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날개(620) 및 상기 회전날개(620) 사이의 베이스 부재(610)에 관통형성되는 토출구(630)로 구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회전날개(620)는 회전중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 노즐(500)을 개폐하는 것은 토출되는 기류의 힘에 의해, 즉 바람개비처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회전날개(620)를 공기가 지나가면서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600) 돌아가게 되고, 이때,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600)이 에어 노즐(500)을 막거나 열어서 강풍을 토출하여 몸에 묻은 먼지를 빠르게 두드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610)가 에어 노즐(500)의 관통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노즐(500)을 통해 강풍이 토출되지 않으며, 상기 토출구(630)가 에어 노즐(500)의 관통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 노즐(500)을 통해 강풍이 토출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630)는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의 회전날개(620) 사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기(300)의 강풍으로 회전하며 토출구(630)가 형성되는 에어노즐 개폐판(600)에 의해 에어 노즐(500)을 통한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샤워실(110)에서 부유하며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집진하게 된다.
즉, 연속적으로 강풍이 토출되는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에어노즐 개폐판(600)에 의해 비 정형하게 강풍이 단속적으로 토출되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서 먼지 등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샤워실(110)의 하부에는 액세스 플로어(700)가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플로어(700)의 하부와 송풍통로(120) 또는 송풍기(300) 사이에는 흡입통로(80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워실(110)의 바닥에 배치된 액세스플로어(700)와 상기 액세스플로어(700)를 통해 파티클을 흡입하는 흡입통로(800)에 의해 샤워실(110)의 바닥에 잔존하는 먼지 등의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집진한다.
특히, 상기 액세스 플로어(700)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300)와 필터(400)는 액세스 플로어(700)를 통해 파티클을 흡입하도록 상기 송풍통로(120) 상에 적절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공지된 진공청소기와 같이 흡입통로(800)에 송풍기(300)를 배치하여 샤워실(110) 내 기류를 통한 배출을 강화하고 직접 제거하는 효과를 추가한다.
또한, 상기 샤워실(110)에는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에어 샤워(S)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01)과, 비상시에 동작을 강제 종료하는 비상스위치(102) 및 출입자를 감지하는 포토센서(10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워실(110)의 상면으로 샤워실(110)의 내부를 조명하는 램프(104)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에어 샤워(S)에 따르면, 출입자에 의한 입구 도어(210)의 열림을 감지하거나 또는 샤워실(110) 내에 사람이 있는 것을 포토센서(103)에 의해 감지하면 송풍기(300)가 구동하고, 상기 송풍기(300)로부터 발생된 강풍은 필터(40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청정한 상태에서 송풍통로(120)로 보내지고, 상기 샤워실(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에어 노즐(500)을 통해 샤워실(110)로 강하게 분출되어 출입자가 착용한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 등의 파티클은 샤워실(110)의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떨어져 나온 파티클은 샤워실(110)의 바닥의 액세스 플로어(700)를 통해 배출되어 제거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S - 에어 샤워 100 - 본체
110 - 샤워실 120 - 송풍통로
210 - 입구도어 220 - 출구도어
300 - 송풍기 400 - 필터
500 - 에어 노즐 600 - 에어노즐 개폐판
700 - 액세스 플로어 800 - 흡입통로

Claims (7)

  1. 샤워실과 송풍통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입구 및 출구 도어와, 상기 송풍통로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필터와, 상기 샤워실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되는 에어 샤워에 있어서,
    상기 송풍통로에는 에어 노즐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에어노즐 개폐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통로는 샤워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샤워실 전면의 송풍통로와 샤워실 후면의 송풍통로 중 하나의 송풍통로에만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실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된 송풍통로에는 각각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 개폐판은,
    회전중심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송풍기의 강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토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의 회전날개 사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실의 하부에는 액세스 플로어가 설치되며, 상기 액세스 플로어와 송풍통로 또는 송풍기 사이에는 흡입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로에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KR1020120003719A 2012-01-12 2012-01-12 에어 샤워 KR20130083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19A KR20130083148A (ko) 2012-01-12 2012-01-12 에어 샤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19A KR20130083148A (ko) 2012-01-12 2012-01-12 에어 샤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48A true KR20130083148A (ko) 2013-07-22

Family

ID=4899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19A KR20130083148A (ko) 2012-01-12 2012-01-12 에어 샤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1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009B1 (ko) * 2021-02-09 2021-11-18 주식회사 원클라스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KR102464388B1 (ko) * 2021-10-19 2022-11-09 주식회사 원어스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WO2023068539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원어스 주택 구조물 부설 설치형 에어 샤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009B1 (ko) * 2021-02-09 2021-11-18 주식회사 원클라스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KR102464388B1 (ko) * 2021-10-19 2022-11-09 주식회사 원어스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WO2023068539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원어스 주택 구조물 부설 설치형 에어 샤워장치
WO2023068538A1 (ko) * 2021-10-19 2023-04-27 주식회사 원어스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808A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0471708Y1 (ko) 신발세척이 용이한 에어샤워장치
KR102122917B1 (ko) 음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음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방법
KR20130083148A (ko) 에어 샤워
US20220397290A1 (en) Hybrid clean room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6729786A (zh) Gmp车间的人员净化通道
CN208373731U (zh) 一种风淋室
KR101314273B1 (ko) 에어 샤워
KR102328009B1 (ko)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KR100758651B1 (ko) 에어 샤워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KR102149632B1 (ko) 하이브리드 클린룸 시스템
CN211822976U (zh) 洁净室装修工程用的排风装置
KR101883498B1 (ko) 에어 분사식 미세먼지 집진 제거장치
CN203196947U (zh) 清洁式隧道型风淋室
CN202962967U (zh) 风淋装置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JP2006337013A (ja) 清浄度区分方法及び清浄度区分システム
KR101057489B1 (ko) 카트리지필터를 구비한 건식 에어샤워장치
CN110639893A (zh) 人脸识别风淋室
CN207262579U (zh) 环保新型空气净化器及带有环保新型空气净化器的门窗
CN102205254A (zh) 组合式生物安全操作间
JPH09229441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JP2003106591A (ja) エアシャワー装置,清浄装置の配置構造及び運転方法
KR100500428B1 (ko) 에어 샤워 장치
KR102194033B1 (ko) 인체 및 물품의 크린룸 이동을 위한 패스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