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003A -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2003A KR20130082003A KR1020120003167A KR20120003167A KR20130082003A KR 20130082003 A KR20130082003 A KR 20130082003A KR 1020120003167 A KR1020120003167 A KR 1020120003167A KR 20120003167 A KR20120003167 A KR 20120003167A KR 20130082003 A KR20130082003 A KR 201300820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rfish
- fermentation
- antioxidant
- extract
- antioxidant activity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8957 Asteroid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44000063299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306 acid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792 antioxidant assay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185 salting out Methods 0.000 abstract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8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11 L-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069 L-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95 organic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03 acid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39 photo-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2 phot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854 prote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2 riboflav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1 riboflav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를 통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증진 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에 있어, 식품 원료로도 사용되는 고초균을 선택하여, 고초균의 최적 생육을 나타내게 할 수 있는 불가사리 전처리 조건을 결정하고, 전처리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30~37℃ 온도에서 5일간 발효를 유도 하였다. 이렇게 발효 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비발효 불가사리에 비해 발효 불가사리가 높은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폐 유용 자원인 불가사리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가사리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을 증진 시키는데 있어,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하여 불가사리 고유의 항산화 활성도 높임으로써 수산자원에 막대한 폐해를 끼치는 불가사리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연안 및 양식장에 큰 피해를 주는 불가사리를 유용 자원으로 이용하는 기술로, 폐자원으로 인식되어 구제 후 단순 폐기되는 불가사리를 전처리, 최적 발효 조건으로 발효하여, 식품, 사료등의 유용 원료로 사용 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해양 생태계 교란생물인 불가사리는 연근해에 서식하는 피조개, 전복, 홍합, 조개 등을 성체 1 마리당 년간 10 Kg을 잡아 먹어 패류 총생산량의 약 6.6%인 18,000 M/T(피해 금액 120억원)의 수산자원에 피해를 준다. 천적이 거의 없고 번식력이 왕성하여 바다 어장을 황폐화 시키고 있으나, 수거 이외에는 방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불가사리 구성 성분은 수분이 67%, 조단백질 10%, 조지방 3.7%, 회분 18%이며, 회분량 중 칼슘 함량이 20% 정도이며, 그 중 탄산칼슘(CaCO3)이 40~50% 차지하며, 단백질 및 칼슘 함량이 높아 기능성 식품, 화장품, 사료등의 원료로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불가사리를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로는 불가사리 칼슘분말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10-0379024)에 관한 기술, 불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영양제 및 유기질 비료 및 이들의 제조 방법(10-0433785)에 관한 기술, 불가사리에서 유래한 칼슘 제제 및 그 제조방법(10-0387936)에 관한 기술, 한국산 불가사리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10-0531114)에 관한 기술,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아므르불가사리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10-0620151)에 관한 기술등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기술들은 불가사리 자체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화장품용 원료등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불가사리 주요 성분이 칼슘, 단백질등을 추출하여 칼슘제, 면역증강제로써 이용하는 방법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유용 폐자원으로 원료로써의 가격적인 장점이 있고, 해양 생태계와 어민 소득 증대를 위한 불가사리의 다양한 활용 방법 개발에 있어 불가사리의 다른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이나 이를 배가 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항산화 효과는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가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 각종 물리·화학적 요인에 의해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종류 :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하이드록실 라디칼, 과산화수소등)로 전환되는데, 이것이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킨다. 즉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등을 파괴함으로써, 암을 비롯하여 각종 질환과 노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활성산소를 소거사는 기작이 항산화 활성이다.
본 발명은 불가사리의 항산화 활성을 증진 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명자등의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 낸 불가사리 추출물의 고유의 항산화 활성을 전처리(탈염, 산처리)후, 미생물 발효 과정을 통해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배가 시키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해 수거된 불가사리를 탈염(salt-out), 산처리(acid : HCl) 방법을 통한 전처리 공정 후 대표적인 식품 미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이용하여, 고초균 최적 발효 조건하에서의 발효를 통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배가 시키기 위한 전처리 및 발효 조건을 조성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폐 유용 자원인 불가사리의 이용성을 다각화 할 수 있는 기술로써 불가사리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리활성 및 기존 생리 활성을 배가 시킬 수 있는 유용 기술이다. 폐자원인 불가사리는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가격적인 부분에 큰 장점이 있으며, 어민이나 지자체에서 어민 생계 및 연안 생태계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구제를 통해 원료 수급도 안정적이다. 이에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통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고 기능성 가축사료 등의 원료로써 사용 가능한 불가사리 활용 기술로써 널리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 상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불가사리는 경북 동해안에서 직접 수거하여 발명에 사용하였다. 수거된 불가사리의 종류는 아므르 불가사리와 별 별가사리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수거된 불가사리는 장기간 보관을 위해 아이스 박스에 넣고, -70℃ 극저온 냉동고(ILLSIN Co.)에 소분(5kg 단위씩)하여 넣은 후 보관하다가, 실험 24시간 전에 상온(15℃)에서 해동하여 발명에 사용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미생물은 생명자원센터(KCTC)에서 고초균( Bacillus subtilis KCTC 1021) 균주를 사용하였다. 고초균의 생육 정도 측정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60nm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 매우 우수, "++" : 우수, "+" : 미약, "-" : 없음).
항산화 활성 측정 방법은 디피피에이치 활성 산소 소거법 (DPPH : 2,2-diphenyl-1-picrylhydrazyl method)와 리보플라빈 광산화 활성법(riboflavin photo-oxidation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디피피에이치 활성 산소 소거법 (DPPH : 2,2-diphenyl-1-picrylhydrazyl method)은 96 well plate에 시료(20 ul)를 D.W 각 농도별로 조제한 용액에 1.5×10-4M의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을 100 ul씩 가하였다. 10초간 진탕한 후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L-ascorbic acid(Vit-C)를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결정하였고,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증가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불가사리 발효를 위한 전처리 조건을 결정하였다. 전처리 과정은 크게 탈염-산처리 단계로 이뤄지며, 효과적인 발효 유도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고자 한다.
탈염은 해동 된 불가사리 5 ㎏을 물(10 ℓ)에 넣은 후 표 1에서 보는 조건으로 탈염을 실시하였다. 염도는 미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므로, 낮은 염도 유지가 최적 발효 조건 조성에 관건이다. 따라서 해양에서 채취한 불가사리의 염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조건 | 탈염 전 | 탈염 후 | ||
4℃, 24시간 순환 | 염도 | 고초균 생육 | 염도 | 고초균 생육 |
2.4 | +(미약) | 0.4 | +++(우수) |
이상의 조건으로 불가사리를 탈염 할 경우 불가사리 내 염도는 2.4%에서 0.4%로 감소하였고, 탈염 후 100℃ 물에서 불가사리(불가사리 100 g에 물 300 ㎖)를 추출한 추출액에 고초균을 접종 후, 30℃, 24시간 배양 하였을 때 탈염 하지 않은 불가사리에 비해 탈염 한 불가사리 추출물에서 우수한 발효 미생물(고초균)의 생육을 나타내었다.
표1의 조건으로 탈염 된 불가사리 100 g에 물을 300 ㎖을 넣은 후, 염산(30%, Daejung Co.)을 5% 농도로 처리하였다. 불가사리에 산을 처리할 경우 단백질등의 고분자 물질의 가수분해를 촉진하여 미생물 생장에 있어 좋은 탄소원, 질소원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분자량이 큰 콜라겐 형태 보다 분해가 된 펩타이드나 아미노산 형태의 저분자 물질로 분해 되었을 때 미생물이 이용하기에 용이하다.
5% 염산 처리 12시간 반응 유도 |
산처리 전(고초균 생육도) | 산처리 후(고초균 생육도) |
++(우수) | +++(매우 우수) |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5% 염산을 처리 후 12시간 동안 반응을 유도 후 수산화 나트륨 중화하여 처리군 비처리군 pH를 같게 한 후 산 처리한 군과 처리 하지 않은 군을 100℃로 가열하여 추출된 추출액에 고초균을 접종, 30℃, 24시간 배양 하였을 때 산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산을 처리한 불가사리 군의 추출물에서 좀 더 우수한 발효 미생물(고초균)의 생육을 나타내었다. 이는 산에 의해 불가사리 내 고분자 물질들이 산에 의한 가수 분해로 인해 미생물이 이용하기 쉽게 분해되어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고초균 최적 생육을 나타낼 수 있는 전처리 조건을 결정하였는데, 미생물 발효에 있어 본격적인 발효 전 충분한 발효 미생물의 생육이 이뤄져야만 원활한 발효를 유도할 수 있어, 발효 미생물의 최적 생육 조건은 매우 중요한 조건이다.
고초균 최적 생육을 유도할 수 있는 전처리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처리 조건하에서 전처리 된 불가사리(100 g를 300 ㎖ 물에 넣고 전처리)를 100∼121℃ 온도 범위에서 1시간 추출하였다. 가열 추출의 원인은 전처리된 불가사리에 열을 가함으로써 불가사리 성분의 연질화 및 발효 과정 중의 잡균 오염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추출된 불가사리를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 후 1~5% 고초균을 접종하여, 30∼37℃ 온도에서 5일간 발효를 유도하였다. 초기 2일간은 30℃을 유지하여 고초균의 최적 생육을 유도하였고, 3일간은 37℃로 온도를 높여 최적 발효를 유도하였다.고초균을 접종하지 않은 비발효군도 같은 조건 하에서 방치 후, 121℃ ,30분간 가열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pater, No.9)에 걸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감압농축기(EYELA Co.)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분말화 하여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DPPH법 | 1% L-ascorbic acid |
1% 비발효 불가사리 추출물 |
1% 발효 불가사리 추출물 |
항산화 활성(%) | 87.8 ± 2.5% | 21.7 ± 3.6% | 88.9 ± 2.1% |
표 3은 보는 바와 같이 비발효 불가사리 추출물(21.7 ± 3.6%)에 발효 불가사리 추출물(88.9 ± 2.1%)이 높은 DPPH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기존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같은 농도에서 발효 불가사리 추출물이 조추출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활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비발효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비해 고초균을 이용한 발효 과정을 거친 발효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약 4.19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법 | 1% L-ascorbic acid |
1% 발효 불가사리 추출물 | |
전처리 미실시 | 전처리 실시 | ||
항산화 활성(%) |
86.3 ± 1.3 % | 63.7 ± 1.8 % | 87.7 ± 2.6 % |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처리 과정이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를 실시 않은 군(63.7 ± 1.8%)에 비해 전처리를 실시한 군(87.7 ± 2.6%)이 1.4배 정도 높은 항산화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전처리를 실시를 통해 좀 더 높은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Claims (3)
- 불가사리 추출물의 미생물 발효법을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증진 시키는 방법.
- 1항에 있어 고초균을 이용하여 30℃에서 2일간 고초균의 최적 생육을 유도, 37℃에서 최적 발효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발효하는 방법.
- 1항에 있어 미생물 발효에 있어 발효 전 탈염 공정과 5% 염산 가하는 전처리 공정을 통한 후 발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167A KR101338788B1 (ko) | 2012-01-10 | 2012-01-10 |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167A KR101338788B1 (ko) | 2012-01-10 | 2012-01-10 |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2003A true KR20130082003A (ko) | 2013-07-18 |
KR101338788B1 KR101338788B1 (ko) | 2013-12-06 |
Family
ID=489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167A KR101338788B1 (ko) | 2012-01-10 | 2012-01-10 |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87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3358B1 (ko) * | 2016-02-18 | 2018-03-30 |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 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0766A (ko) * | 2003-04-18 | 2004-10-27 | 안상곤 | 불가사리 비료를 사용하여 쌀의 칼슘함량을 높이는 벼의재배방법 |
KR20060023426A (ko) * | 2004-09-09 | 2006-03-14 | 문한기 | 불가사리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3167A patent/KR10133878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8788B1 (ko) | 2013-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4276123B2 (en) | Fermentation and culture method,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plant extract | |
WO2020177390A1 (zh) | 一种猴头菌发酵制备含麦角硫因的化妆品原液的方法 | |
JP2003289814A (ja) | 有効微生物及び漢方薬を用いた養殖海産魚類の生理活性増大・成長発育促進用の飼料添加剤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95038B1 (ko) | 셀레노히드록시산 화합물을 사용하여 셀레늄이 강화된 광합성 미생물, 영양물, 화장품 또는 약물에서의 그의 용도 | |
CN103598400B (zh) | 一种水产胶原蛋白的提取方法 | |
CN114410515A (zh) |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复合菌制剂及其应用 | |
JP4642050B2 (ja) | 新規クロレ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クロレラを含有する健康食品 | |
KR101893030B1 (ko) | 수질 정화기능을 포함하는 양어장 사료 | |
KR101039620B1 (ko) |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 |
JP5128020B2 (ja) | 海洋由来のBacillusbarbaricusSCSIO02429及びこれを用いたイカオリゴペプチドの調製方法 | |
CN110663803A (zh) | 一种益脾健胃南极磷虾油多肽生物制品 | |
CN116963614A (zh) | 经过三个步骤加工处理的发酵鹿茸提取物的制备方法 | |
KR101338788B1 (ko) |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방법 | |
KR100910657B1 (ko)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츠네리 및 이의 용도 | |
KR101833043B1 (ko) |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 |
KR101004539B1 (ko) | 해파리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11869507A (zh) | 一种以百香果为容器培育虫草的方法 | |
KR101890877B1 (ko) | 바실러스 서브틸러스와 비타민b2를 함유한 양어용 보조사료와 이의 제조방법 | |
CN101240243A (zh) | 淡水培育出系列功能保鲜新型钝顶螺旋藻和极大螺旋藻 | |
KR101814941B1 (ko) |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Flyurik et al. | Medusomyces gisevii: cultivation, composition, and application | |
CN104509748A (zh) | 一种鸡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 |
CN112375799A (zh) | 一种提高鲍鱼生物制品抗氧化能力的方法 | |
KR102321905B1 (ko) | 천연 섭취가 가능한 생 클로렐라의 제조 방법 | |
Chen et al. | Red Swamp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as a Growing Food Sourc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Comprehensive Research and Util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