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570A -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570A
KR20130081570A KR1020120002628A KR20120002628A KR20130081570A KR 20130081570 A KR20130081570 A KR 20130081570A KR 1020120002628 A KR1020120002628 A KR 1020120002628A KR 20120002628 A KR20120002628 A KR 20120002628A KR 20130081570 A KR20130081570 A KR 2013008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charging
power supply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석
Original Assignee
이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석 filed Critical 이환석
Priority to KR102012000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570A/ko
Priority to PCT/KR2012/006726 priority patent/WO2013105712A2/ko
Publication of KR2013008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용 편의장치의 전원과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출력으로 전원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개의 편의장치 및 휴대용기기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공하는 기기별 충전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에 대하여 급속 충전을 제공하는 급속충전부;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과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핸즈프리의 기능을 제공하고, 휴대용 플레이어와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무선 카팩의 기능을 제공하는 FM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MULTI FUNCTION POWER SUPPLY}
본 발명은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운행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가 복수개로 장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와 우회 경로, 경로상의 실시간 교통정보, 운행 경로상의 위험지역 및 주변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 등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되는 전자식 요금 수납 시스템(ETCS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과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통행요금을 정산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차량의 운행 중에 동승자에게 TV방송의 시청을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시스템, 운행 경로상의 위험지역 및 카메라 위치를 음성 안내로 제공하는 GPS단말기 등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에 장착 고정되는 편의장치 이외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가 휴대하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스마트폰, 휴대폰 등의 휴대용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휴대용기기의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편의장치와 마찬가지로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에 설치되는 시거잭은 통상적으로 하나 혹은 두 개만이 설치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편의장치 각각에 대하여 상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거잭에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접속하여 경로 안내를 제공받으며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톨게이트의 통과를 위해서는 하이패스 단말기에 전원을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거잭으로부터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하이패스 단말기의 전원 플러그 접속하여야 하므로 운행 중에 번거로운 동작이 발생된다.
또한, 톨게이트를 통과한 이후 네비게이션을 통해 경로 안내를 연속하여 받기 위하여 하이패스 단말기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네비게이션의 전원 플러그를 시거잭에 재접속하여야 하므로 운행중에 불필요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전방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재접속된 네비게이션의 경우 경로 설정이 초기화되어 경로 설정을 다시 실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휴대용기기의 충전을 위해서는 시거잭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한 다음 차량용으로 제공되는 휴대용기기 충전기를 접속하여 배터리 충전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기기의 충전을 위해서는 대응되는 차량용 충전기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를 관리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용 충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휴대용기기에 대해서는 차량의 운행중에 충전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 편의장치에 안정적인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기기에 안정된 충전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차량용 오디오와 무선통신으로 접속되어 핸즈 프리 킷(Handfree Kit) 및 무선 카팩(Wireless Car Pack)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다양한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용 편의장치의 전원과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출력으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개의 편의장치 및 휴대용기기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공하는 기기별 충전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에 대하여 급속 충전을 제공하는 급속충전부;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과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핸즈프리의 기능을 제공하고, 휴대용 플레이어와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무선 카팩의 기능을 제공하는 FM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DC12 ~ 24V 전원을 DC12V, DC5V, DC3V 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차량용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 과전압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단에 연결되는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 역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 입력전압을 강압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을 DC12V, DC5V, DC3V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부는 DC12V와 DC5V의 전원을 제공하는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접속단자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부는 DC12V와 DC5V의 출력단 직경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상되고, DC12V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상시 전원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기별 충전부는 DC5V/3000mA의 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완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만충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급속충전부는 DC13V/3000mA의 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과충전 방지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FM모듈은 SD카드, MMC카드, USB메모리의 접속을 제공하여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M모듈은 차량용 오디오와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로 접속되며, 주파수 채널의 선택은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의 선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필터;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부; 정전기 방전이나 유도부하의 스위칭 혹은 유도방전에 따른 역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역전압 방지부;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강압하여 DC12V, DC5V, DC3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회로부는 과전류의 유입으로 주울(Joule)열이 발생되는 경우 저저항체에서 고저항체로 변화되어 출력되는 과전류를 제한하는 폴리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별 충전부는 두개 이상의 USB포트와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휴대용기기의 접속하는 접속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접속부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는 휴대용기기에 대응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접속부에 접속된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제어부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는 충전방식이 특별한 휴대용기기에 대하여 전용 USB포트를 포함하여 완속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급속충전부는 급속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가 접속되는 USB포트; 전원부의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USB포트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전압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충전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FM모듈은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iPad나 MP3를 휴대용 플레이어, SD카드나 MMC카드 및 USB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기기연결부; 차량용 오디오장치와 무선접속을 위한 주파수 채널의 선택하는 채널선택부;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를 채널선택부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선택부는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로 구성되며,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송기는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 증폭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전원부와 편의장치를 접속하는 전원분배부, 기기별충전부, 급속충전부, FM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필터;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부; 정전기 방전이나 유도부하의 스위칭 혹은 유도방전에 따른 역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역전압 방지부;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강압하여 DC12V, DC5V, DC3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별충전부는 두개 이상의 USB포트와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휴대용기기의 접속하는 접속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접속부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는 휴대용기기에 대응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접속부에 접속된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제어부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속충전부는 급속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가 접속되는 USB포트; 전원부의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USB포트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전압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충전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FM모듈은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iPad나 MP3를 휴대용 플레이어, SD카드나 MMC카드 및 USB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기기연결부; 차량용 오디오장치와 무선접속을 위한 주파수 채널의 선택하는 채널선택부;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를 채널선택부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 편의장치가 요구하는 전원을 상시 공급하고, 운전자 및 동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기기에 안정된 충전 전원을 제공할 수 있어 편리성 및 안정성이 제공되는 차량의 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와 무선통신으로 접속되어 핸즈 프리 킷 및 무선 카팩의 기능과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에 안전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별 충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속 충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FM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는, 전원부(100)와 전원분배부(200), 기기별 충전부(300), 급속충전부(400) 및 FM모듈(500)을 포함한다.
전원부(100)는 차량용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에서 요구되는 전압과 휴대용기기의 안정적인 충전 및 급속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출력한다.
전원부(100)는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DC12V, DC5V, DC3V 등으로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00)는 차량용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여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기능, 과전압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단에 연결되는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 역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 입력전압을 강압시키는 기능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전원부(100)는 AC110V ~ 220V의 가정용 전원을 정류 및 강압시켜 DC12 ~ 24V의 전원으로 출력시키는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DC12V, DC5V, DC3V 등으로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충전 및 급속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분배부(200)는 전원부(1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차량에 장착되는 편의장치나 휴대용기기 각각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분배부(200)는 양끝단이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를 갖는 커넥터 케이블과 플러그 인(Pulg In) 접속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DC12V의 출력단과 DC5V의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분배부(200)는 USB 케이블의 접속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부(200)는 DC12V와 DC5V의 출력단 직경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에 과전압,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전원분배부(200)는 DC12V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상시 전원이 출력되어 엔진의 시동 여부에 관계없이 접속된 편의장치에 상시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기기별 충전부(300)는 전원부(1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운전자나 동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기기, 예를 들어 iPad, 스마트폰, 휴대폰, MP3, 테블릿 PC 등에 대하여 배터리 충전을 제공한다.
상기 기기별 충전부(300)는 예를 들어 DC5V/3000mA의 고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완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안정된 만충전을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기별 충전부(300)는 휴대용기기와 USB케이블의 접속을 제공하며, 양끝단이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를 갖는 커넥터 케이블과 접속될 수 있다.
급속충전부(400)는 전원부(1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운전자나 동승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기기, 예를 들어 iPad, 스마트폰, 휴대폰, MP3, 테블릿 PC 등에 대하여 배터리 충전의 급속 충전을 제공한다.
상기 급속충전부(400)는 예를 들어 DC13V/3000mA의 고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과충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보장하고 배터리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FM모듈(500)은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과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핸즈프리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FM모듈(500)은 iPad, MP3 등의 휴대용 플레이어와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무선 카팩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FM모듈(500)은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 휴대용 플레이어와 케이블 커넥터로 플러그 인 접속된다.
상기 FM모듈(500)은 SD카드, MMC카드, USB메모리의 접속을 제공하여 MP3 플레이어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FM모듈(500)은 차량용 오디오와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로 접속되며, 주파수 채널의 선택은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의 선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부(100)는 노이즈 필터(110)와 보호회로부(120), 역전압 방지부(130) 및 DC/DC컨버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110)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여 차량용 오디오 및 비디오 기기의 안정된 동작을 제공한다.
보호회로부(120)는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접속되는 편의장치나 휴대용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회로부(120)는 과전류의 유입으로 주울(Joule)열이 발생되는 경우 저저항체에서 고저항체로 변화되어 출력되는 과전류를 제한하는 폴리 스위치(Poly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역전압방지부(130)는 정전기 방전이나 유도부하의 스위칭 혹은 유도방전 등에 따른 역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차단하여 회로의 파손을 방지한다.
DC/DC컨버터(140)는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강압하여 DC12V, DC5V, DC3V의 전원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별 충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기별 충전부(300)는 접속부(310)와 충전회로부(320), 충전제어부(330) 및 배터리전압검출부(340)를 포함한다.
접속부(31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USB포트와 양끝단이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를 갖는 커넥터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의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부(310)는 충전방식이 특별한 휴대용기기에 대하여 전용 USB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310)는 완속 만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 예를 들어 iPad나 스마트폰, 휴대폰, MP3, 테블릿 PC 등의 접속을 제공한다.
충전회로부(320)는 전원부의 DC/DC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충전을 위한 소정의 전원으로 처리하여 접속부(310)에 출력한다.
충전제어부(330)는 접속부(310)에 접속되는 휴대용기기에 대응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회로부(320)의 출력전압 및 전류를 제어한다.
상기 충전제어부(330)는 배터리전압검출부(340)에서 제공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충전전압에 따라 최적의 만충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충전회로부(320)의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충전제어부(330)는 충전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어 DC5V/3000mA의 전원을 출력하여 배터리의 완속 만충전을 제공한다.
배터리전압검출부(340)는 접속부(310)에 접속된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제어부(330)에 제공함으로써, 안정된 완속 만충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속충전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속충전부는 USB(410)와 충전회로부(420), 전압검출부(430) 및 과전충방지부(440)를 포함한다.
USB포트(410)는 급속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 예를 들어 iPad나 스마트폰, 휴대폰, MP3, 테블릿 PC 등의 접속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휴대용기기의 접속을 USB포트(410)로 한정하였으나,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접속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회로부(420)는 전원부의 DC/DC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위한 소정의 전원으로 처리하여 USB포트(410)에 출력한다.
상기 충전회로부(420)는 예를 들어 DC13V/3000mA의 고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한다.
전압검출부(430)는 접속부(410)에 접속되어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과충전방지부(440)에 제공한다.
과충전방지부(440)는 전압검출부(43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충전회로부(420)의 출력을 제어하여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FM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M모듈은 외부기기연결부(510)와 체널선택부(520), 전송기(530) 및 안테나(540)를 포함한다.
외부기기연결부(510)는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iPad나 MP3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SD카드나 MMC카드 및 USB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채널선택부(520)는 차량용 오디오장치와 무선접속을 위한 주파수 채널의 선택을 제공한다.
상기 채널선택부(520)는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송기(530)는 외부기기연결부(510)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를 채널선택부(520)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실어 안테나(540)를 통해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한다.
상기 전송기(530)는 외부기기연결부(510)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 증폭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오디오는 상기 채널선택부(520)로 선택된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동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원부 200 : 접원분배부
300 : 기기별충전부 400 : 급속충전부
500 : FM모듈

Claims (20)

  1.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용 편의장치의 전원과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출력으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개의 편의장치 및 휴대용기기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제공하는 기기별 충전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휴대용기기의 배터리에 대하여 급속 충전을 제공하는 급속충전부;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과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핸즈프리의 기능을 제공하고, 휴대용 플레이어와 차량용 오디오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무선 카팩의 기능을 제공하는 FM모듈;
    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DC12 ~ 24V 전원을 DC12V, DC5V, DC3V 전원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용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
    과전압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단에 연결되는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
    역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
    입력전압을 강압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을 DC12V, DC5V, DC3V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부는 DC12V와 DC5V의 전원을 제공하는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접속단자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 접속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부는 DC12V와 DC5V의 출력단 직경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상되고, DC12V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는 상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별 충전부는 DC5V/3000mA의 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완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만충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충전부는 DC13V/3000mA의 출력을 제공하여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과충전 방지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모듈은 SD카드, MMC카드, USB메모리의 접속을 제공하여 MP3 플레이어의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모듈은 차량용 오디오와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채널로 접속되며, 주파수 채널의 선택은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의 선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필터;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부;
    정전기 방전이나 유도부하의 스위칭 혹은 유도방전에 따른 역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역전압 방지부;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강압하여 DC12V, DC5V, DC3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는 과전류의 유입으로 주울(Joule)열이 발생되는 경우 저저항체에서 고저항체로 변화되어 출력되는 과전류를 제한하는 폴리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별 충전부는 두개 이상의 USB포트와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휴대용기기의 접속하는 접속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접속부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는 휴대용기기에 대응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접속부에 접속된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제어부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충전방식이 특별한 휴대용기기에 대하여 전용 USB포트를 포함하여 완속 충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충전부는 급속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가 접속되는 USB포트;
    전원부의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USB포트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전압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충전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M모듈은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iPad나 MP3를 휴대용 플레이어, SD카드나 MMC카드 및 USB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기기연결부;
    차량용 오디오장치와 무선접속을 위한 주파수 채널의 선택하는 채널선택부;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를 채널선택부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는 전송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부는 팁 스위치 혹은 택트 스위치로 구성되며, 88.1MHz, 88.3MHz, 88.5MHz, 88.7M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는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 증폭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20. 전원부와 편의장치를 접속하는 전원분배부, 기기별충전부, 급속충전부, FM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제너레이터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노이즈 필터;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보호회로부;
    정전기 방전이나 유도부하의 스위칭 혹은 유도방전에 따른 역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출력을 차단하는 역전압 방지부;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부터 공급되는 DC12 ~ 24V의 전원을 강압하여 DC12V, DC5V, DC3V의 전원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별충전부는 두개 이상의 USB포트와 4mm 혹은 5.5mm 직경의 원형 플러그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휴대용기기의 접속하는 접속부;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접속부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는 휴대용기기에 대응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회로부의 출력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접속부에 접속된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제어부에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급속충전부는 급속 충전을 위한 휴대용기기가 접속되는 USB포트;
    전원부의 전원을 휴대용기기의 급속 충전 전원으로 처리하여 USB포트에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
    전압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충전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급속 충전이 진행되는 휴대용기기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FM모듈은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 iPad나 MP3를 휴대용 플레이어, SD카드나 MMC카드 및 USB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장치를 접속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기기연결부;
    차량용 오디오장치와 무선접속을 위한 주파수 채널의 선택하는 채널선택부;
    외부기기연결부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오디오신호를 채널선택부로 선택된 주파수 채널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차량용 오디오에 전송하는 전송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KR1020120002628A 2012-01-09 2012-01-09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KR20130081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28A KR20130081570A (ko) 2012-01-09 2012-01-09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PCT/KR2012/006726 WO2013105712A2 (ko) 2012-01-09 2012-08-23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628A KR20130081570A (ko) 2012-01-09 2012-01-09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70A true KR20130081570A (ko) 2013-07-17

Family

ID=4878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28A KR20130081570A (ko) 2012-01-09 2012-01-09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81570A (ko)
WO (1) WO2013105712A2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42B1 (ko) * 2013-12-0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충전용 멀티미디어 단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48315A (ko) 2014-10-23 2016-05-04 이옥재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CN105739366A (zh) * 2014-12-12 2016-07-06 上海数好数字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学实验用多功能智能电源
US9563246B2 (en) 2014-09-25 2017-02-07 Hyundai Motor Company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2161A (ko) * 2015-10-08 2017-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역전류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급 전원 안정화 장치
KR20170047821A (ko) * 2015-10-23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9821735B2 (en) 2015-07-02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with vehicle
WO2018199524A1 (ko) * 2017-04-25 2018-11-01 모트렉스(주)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속 충전과 데이터 통신을 능동적으로 스위칭 하기 위한 자동차의 유에스비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7047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급속 충전기
KR101969714B1 (ko) * 2017-12-28 2019-04-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기계 관리 어댑터 및 농기계 관리 어댑터의 전원 조정 회로
KR102099199B1 (ko) * 2019-10-29 2020-04-09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CN113040078A (zh) * 2021-03-18 2021-06-29 美钻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浮力调节式海洋养殖网箱
KR102332292B1 (ko) * 2021-06-18 2021-12-01 (주)도깨비 다중의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팩
WO202208592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브로나인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규격 분석에 기초한 전력 공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2718B (zh) * 2015-06-08 2018-09-21 东莞市慧衍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车载充电器的控制电路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843B2 (en) 2013-12-06 2016-08-30 Hyundai Motor Company Multimedia terminal device for high-speed charg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81342B1 (ko) * 2013-12-0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충전용 멀티미디어 단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63246B2 (en) 2014-09-25 2017-02-07 Hyundai Motor Company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8315A (ko) 2014-10-23 2016-05-04 이옥재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CN105739366B (zh) * 2014-12-12 2023-08-08 上海数好数字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学实验用多功能智能电源
CN105739366A (zh) * 2014-12-12 2016-07-06 上海数好数字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学实验用多功能智能电源
US9821735B2 (en) 2015-07-02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with vehicle
KR20170042161A (ko) * 2015-10-08 2017-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역전류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급 전원 안정화 장치
KR20170047821A (ko) * 2015-10-23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8199524A1 (ko) * 2017-04-25 2018-11-01 모트렉스(주)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속 충전과 데이터 통신을 능동적으로 스위칭 하기 위한 자동차의 유에스비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US10855096B2 (en) 2017-09-05 2020-12-01 Unick Corporation Quick charger for vehicle
KR20190027047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급속 충전기
KR101969714B1 (ko) * 2017-12-28 2019-04-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농기계 관리 어댑터 및 농기계 관리 어댑터의 전원 조정 회로
KR102099199B1 (ko) * 2019-10-29 2020-04-09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WO202208592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브로나인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규격 분석에 기초한 전력 공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3040078A (zh) * 2021-03-18 2021-06-29 美钻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浮力调节式海洋养殖网箱
KR102332292B1 (ko) * 2021-06-18 2021-12-01 (주)도깨비 다중의 출력 전압을 갖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712A2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1570A (ko) 다기능 전원 공급장치
US20230323847A1 (en)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TWI646714B (zh) 電池裝置
KR101498766B1 (ko) 근거리무선통신과 무선충전 겸용의 유도모듈에 있어서의 선택방법 및 그 선택회로
EP37803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ower charg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202290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atible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US9877179B2 (en) Method for operat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AVN) system, AV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U2015301449A1 (en) Compact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CN103066640B (zh) 车载充电控制系统
KR101213027B1 (ko) 이동 전자전기기기의 유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30023188A (ko) 충전된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 장치
US20160214496A1 (en) Charg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JP2014093686A (ja) 車載通信装置
JPH05160774A (ja) 携帯電話車載充電装置
JP5746517B2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
JP2010220401A (ja)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CN202448892U (zh) 车载移动智能终端
KR101724877B1 (ko) 차량의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38085B1 (ko)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CN204425598U (zh) 多功能蓝牙耳机及车载蓝牙装置
KR101420240B1 (ko)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
CN208299519U (zh) 无线遥控多路输出电压电路
KR20120018518A (ko) 스마트폰의 테더링 기능을 이용한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00133917A (ko) 차량 암전류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967996U (zh) 支持ios安卓双系统的一分三双usb点烟车载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