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556A -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556A
KR20130081556A KR1020120002599A KR20120002599A KR20130081556A KR 20130081556 A KR20130081556 A KR 20130081556A KR 1020120002599 A KR1020120002599 A KR 1020120002599A KR 20120002599 A KR20120002599 A KR 20120002599A KR 20130081556 A KR20130081556 A KR 2013008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uch
sensing layer
forc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703B1 (ko
Inventor
김종호
김민석
박연규
김동기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7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위치전극부; 및 제1위치전극부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고 교번하여 배열되는 제1힘전극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위치전극부와 함께 멀티터치를 감지하는 제2위치전극부;를 포함하고, 제2위치전극부가 제1위치전극부와 교차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위치감지층; 제1힘전극부와 함께 접촉힘을 감지하는 제2힘전극부;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힘감지층; 및 외력(Fin)이 인가되면 제1힘전극부와 제2힘전극부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힘감지층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층;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투명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Touch input structure sensing multi-touch and single intensity of for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위치감지용 전극과 힘감지용 전극을 하나의 하이브리드 감지층으로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투명한 정전용량형 촉각센서부를 구현하여 투과도가 향상된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터치입력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노트북, 개인정보단말기(PDA), 게임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통신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10)은 대략 절연층(11), 투명 전극(12), 및 기판(13)으로 구성된다. 기판(13)의 상면에는 투명전극(12)이 적층되고 투명전극(12) 상면에는 절연층(11)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13)의 하면에도 투명전극(12)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10)은 손가락이 절연층(11)에 닿으면 투명전극(12) 위에 X, Y용 검출신호가 인가되며 이때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계산하여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20)은 대략 상부기판(23a), 하부기판(23b), 상부투명전극(22a), 하부투명전극(22b), 도트 스페이서(21)로 구성된다. 상부기판(23a) 하면에는 상부투명전극(22a)이 적층되며 하부기판(23b) 상면에는 하부투명전극(22b)이 적층된다. 상부기판(23a)과 하부기판(23b)은 상,하부투명전극(22a, 22b)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하부투명전극(22a, 22b) 사이에는 도트 스페이서(21)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20)은 상,하부투명전극(22a, 22b) 위에 위치검출용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손가락으로 상부기판(23a)을 누르면 상부투명전극(22a)이 하부투명전극(22b)에 닿으면서 하부투명전극(22b)에서 전기적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크기로 위치를 결정한다.
상술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10)이나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20)은 접촉위치정보만을 감지하고 누름힘의 세기에 관한 정보는 감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누름힘의 변화에 따른 피드백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누름힘을 강하게 할 경우 펜의 농담이 더 증가하거나 굵기가 증가하는 등 다양한 입력정보에 맞춘 피드백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20)은 10g 이하의 작용힘으로 상부기판(23a)을 누를 경우 상,하부투명전극(22a, 22b)이 20㎛까지는 닿지 않으므로 10g 이상의 작용힘으로 눌러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은 작용힘에 대하여 접촉위치정보가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의 저항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LCD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저항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LCD(30)는 대략 상부필름층(31), 촉각센서부(32), 하부필름층(33) 및 LCD(34)로 구성된다. 터치 입력을 위해서 LCD(34)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부필름층(31), 촉각센서부(32), 하부필름층(33)은 모두 투명하다. 특히 저항방식의 촉각센서부(32)를 투명하게 하기 위해서 ITO필름으로 이루어진 입력 및 출력용 투명전극층(32a,32b)과 투명전극층(32a,32b) 사이에 구비된 투명저항층(32c)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촉각센서부(32)는 전체적인 투명도가 85% 미만으로 저하되며 투명잉크를 사용하면 투명도가 이보다 더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필름층(33)의 내구성이 약해 LCD(34)가 잘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4187호의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촉각센서에 멀티터치에 의한 누름힘이 인가된 경우 촉각센서 상판의 변형상태도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40)는 상부기판(41) 및 하부기판(42)에 각각 상부전극(46a) 및 하부전극(46b)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전극(46b)의 주변에는 도트 스페이서(48)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기판(41) 및 하부기판(42)은 접착제(44)로 테두리가 접착된다. 이러한 촉각센서(40)는 멀티터치로 복수개의 누름힘(F1, F2)을 국소적으로 인가해도 상부기판(41) 전체에 힘이 가해져 전체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멀티터치를 하는 경우 각 지점에 국소적으로 인가되는 누름힘(F1, F2)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각각의 누름힘의 위치와 세기를 정확히 획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KR 2008-0054187 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위치감지용 전극과 힘감지용 전극을 하나의 하이브리드 감지층으로 형성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투명한 정전용량형 촉각센서부를 구현하여 투과도가 향상된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위치전극부; 및 제1위치전극부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고 교번하여 배열되는 제1힘전극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위치전극부와 함께 멀티터치를 감지하는 제2위치전극부;를 포함하고, 제2위치전극부가 제1위치전극부와 교차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위치감지층; 제1힘전극부와 함께 접촉힘을 감지하는 제2힘전극부;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힘감지층; 및 외력(Fin)이 인가되면 제1힘전극부와 제2힘전극부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힘감지층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층;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되는 제1베이스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위치감지층에 결합하는 제2베이스층;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위치감지층은 제2베이스층의 일면에 증착 형성되고,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위치감지층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1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제1접착층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이다.
게다가 제2베이스층의 타면에 구비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제2베이스층과 보호층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제2접착층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이다.
또한 위치감지층은 제1베이스층의 타면에 증착 형성되고, 위치감지층과 제2베이스층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3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게다가 제3접착층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이다.
그리고 완충층은 에어갭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완충층은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일면에 힘감지층이 증착형성되는 제3베이스층;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감지층은 복수개의 제2위치전극부가 상호 나란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된다.
그리고 제1,2위치전극부, 제1,2힘전극부는 투명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2위치전극부와 제1,2힘전극부는 인듐주석 산화물(ITO), 탄소나노튜브(CNT) 및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2베이스층은 유리, 필름 및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3베이스층은 유리, 필름 및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베이스층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고, 제2베이스층의 일면에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제3베이스층의 일면에 힘감지층을 형성하는 감지층 형성단계; 위치감지층과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적층하는 제1결합단계; 및 제1베이스층과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위치감지층 사이에 제1접착층을 형성하여 위치감지층 및 제1베이스층을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결합시킨다.
그리고 완충층 형성단계는 제1베이스층의 타면과 힘감지층의 일면을 접착부로 접착하여 에어갭을 형성한다.
그리고 완충층 형성단계는 제1베이스층의 타면 테두리와 힘감지층의 일면 테두리 사이에 결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베이스층의 타면에 보호층을 적층하는 제2결합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결합단계는 제2베이스층의 타면과 보호층 사이에 제2접착층을 형성하여 제2베이스층과 보호층을 결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베이스층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고, 제1베이스층의 타면에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제3베이스층의 일면에 힘감지층을 형성하는 감지층 형성단계; 위치감지층에 제2베이스층을 적층하는 결합단계; 및 하이브리드 감지층과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단계는 제2베이스층과 위치감지층 사이에 제3접착층을 형성하여 위치감지층 및 제1베이스층을 제2베이스층과 결합시킨다.
그리고 완충층 형성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일면과 힘감지층의 일면을 접착부로 접착하여 에어갭을 형성한다.
그리고 완충층 형성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일면 테두리와 힘감지층의 일면 테두리 사이에 결합부를 형성한다.
또한 감지층 형성단계는 제1위치전극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하며 제1힘전극부가 제1위치전극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위치전극부와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고, 제2위치전극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위치전극부와 교차하도록 위치감지층을 형성한다.
또한 감지층 형성단계는 제1위치전극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하며 제1힘전극부가 제1위치전극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위치전극부와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고, 제2위치전극부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위치전극부와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제1결합단계는 제1위치전극부와 제2위치전극부가 교차하도록 하이브리드 감지층에 위치감지층을 적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여 위치감지부와 힘감지부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며 터치감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감지층, 위치감지층, 힘감지층, 제1,2,3베이스층 등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하고, 제1위치전극부와 접착부의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투명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용량방식을 구현하여 투명저항층이 더 필요한 저항막방식에 비해 투명도가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의 접촉위치 뿐 아니라 누름힘도 측정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다양한 피드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저항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저항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LCD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4187호의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촉각센서에 멀티터치에 의한 누름힘이 인가된 경우 상판의 변형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이 형성된 제2베이스층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힘감지층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 및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 및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 멀티터치에 따른 외력이 인가된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배선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제1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는 대략 위치감지층,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힘감지층, 제1,2,3베이스층(210, 220, 230), 제1접착층(410) 및 완충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이 형성된 제2베이스층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위치감지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치감지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전극부(120)가 복수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제2위치전극부(120)는 접촉위치의 x좌표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2위치전극부(120)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스트랩 형상일 수 있다. 제2위치전극부(120)는 복수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감지층은 대략 제1위치전극부(111)와 제1힘전극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위치전극부(1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위치전극부(112)와 동일한 스트랩 형상이 90도로 회전하여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제1위치전극부(111)는 접촉위치의 y좌표를 감지한다.
제1힘전극부(112)는 힘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이다. 제1힘전극부(1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을 갖고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힘전극부(112)는 상술한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형상이다. 그리고 제1힘전극부(112)의 폭은 제1힘전극부(111)의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제1힘전극부(112)는 상술한 제1위치전극부(111)와 교번하여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힘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힘감지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힘감지층은 상술한 제1힘전극부(112)와의 간격변화에 의해 단일힘을 감지한다. 힘감지층은 대략 제2힘전극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힘전극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2위치전극부(111, 120)와 제1,2힘전극부(112, 130)는 투명한 전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2위치전극부(111, 120)와 제1,2힘전극부(112, 130)는 인듐주석 산화물(ITO), 탄소나노튜브(CNT) 및 그래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베이스층(210)은 상술한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지지하는 박판이다. 이러한 제1베이스층(210)은 투명한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베이스층(210)은 투명한 유리, PET나 PI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기타 고분자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베이스층(220)은 상술한 위치감지층을 지지하는 박판이다. 이러한 제2베이스층(220)은 투명한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베이스층(220)은 투명한 유리, PET나 PI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기타 고분자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베이스층(230)은 상술한 힘감지층을 지지하며,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박판이다. 제3베이스층(230)의 두께는 50㎛ 내지 1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베이스층(230)의 두께가 50㎛보다 얇으면 지지력이 약하며 손쉽게 파손되고, 반면에 두께가 1mm보다 두꺼우면 본발명에 따른 터치입력구조 아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등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베이스층(230)은 투명한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3베이스층(230)은 투명한 유리, PET나 PI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기타 고분자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접착층(410)은 접착력이 있는 박판으로 제2베이스층(220)의 위치감지층이 형성된 면과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접착한다. 제1접착층(410)은 투명하고 접착력이 좋은 재질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를 사용할 수 있다.
완충층(300)은 제1힘전극부(112)와 제2힘전극부(130) 사이에 에어갭(3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완충층(300)은 대략 접착부(320) 및 결합부(330)로 이루어진다.
접착부(320)는 상술한 제2위치전극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위치전극부(12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이며, 복수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다만, 접착부(320)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구조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배열된 접착부(320)와 접착부(320) 사이에 에어갭(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부(320)는 투명하고 접착력이 좋은 재질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학투명양면접착제(OCA)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층(210) 및 힘감지층의 테두리 형상과 동일하게 소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순간접착제와 같은 접착제, UV경화제 또는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330)는 본딩에 사용되는 재질이면 무엇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할 수도 있고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완충층(300)은 두께가 10㎛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 서 결정될 수 있다. 완충층(300)의 두께가 10㎛미만일 경우 감지할 수 있는 외력의 크기범위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100㎛ 이상인 경우 소형화가 어렵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후술한다.
< 제2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 보호층(500) 및 제2접착층(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층(500)은 손가락 등이 닿아 터치입력이 되는 판이다. 보호층(500)은 작은 누름힘이 가해지더라도 감지할 수 있도록 두께가 70㎛ 내지 25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500)의 두께가 70㎛보다 얇아지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보호층의 역할을 하기 어려우며, 250㎛보다 두꺼워지면 터치입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어렵다. 이러한 보호층(50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강성 및 투명도가 좋은 유리, 플라스틱 필름 기타 고분자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호층(500)으로 PET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PET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경우 하드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층(420)은 접착력이 있는 박판으로 상술한 보호층(500)과 제2베이스층(220)을 접착한다. 제2접착층(420)은 투명하고 접착력이 좋은 재질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후술한다.
< 제3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 및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위치감지층 및 하이브리드 감지층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의 저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는 대략 위치감지층,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힘감지층, 제1,2,3베이스층(210, 220, 230), 제3접착층(430) 및 완충층(300)으로 구성된다.
위치감지층,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힘감지층, 제1,2,3베이스층(210, 220, 230) 및 완충층(3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서의 대응구성요소와 형상이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결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서는 위치감지층이 제1베이스층(210)의 일면에 형성되며, 하이브리드층이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제3접착층(430)은 접착력이 있는 박판으로 제1베이스층(210)의 위치감지층이 형성된 면과 제2베이스층(220)을 접착한다. 제2접착층(420)은 투명하고 접착력이 좋은 재질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후술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에 멀티터치에 따른 외력이 인가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의 배선예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에 따른 외력(Fin)이 인가되면 접착부(320)와 접착부(320) 사이에 형성된 에어갭(310)의 높이가 변한다. 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된다.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전극부(112)의 배선과 제1힘전극부(112)의 배선이 중첩되지 않아 간단한 구조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의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작동방법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는 LCD 등 각종 디스플레이기기, 터치패널, 기타 전자/전기기기의 터치입력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 제1실시예의 제조방법>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대략 감지층 형성단계(S110 내지 S130), 제1결합단계(S140) 및 완충층 형성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감지층 형성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 형성단계(S110), 위치감지층 형성단계(S120) 및 힘감지층 형성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이브리드 감지층 형성단계(S110)는 제1베이스층(210)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증착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베이스층(210)에 스트립 형상의 제1위치전극부(111)와 제1위치전극부(112)를 교번하여 복수개 증착형성한다. 다음으로 위치감지층 형성단계(S120)는 제2베이스층(220)의 일면에 상술한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한 형상 및 배열로 복수의 제2위치전극부(120)를 증착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힘감지층 형성단계(S130)는 제3베이스층(230)의 일면에 제2힘전극부(130)를 박판형상으로 증착형성한다.
다만, 상술한 감지층 형성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 형성단계(S110), 위치감지층 형성단계(S120) 및 힘감지층 형성단계(S130)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어느 단계가 먼저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되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제1결합단계(S140)는 제2베이스층(220)과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접착한다. 구제척으로 제2베이스층(220)의 위치감지층이 구비된 면 또는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상에 제1접착층(410)을 형성한 후 서로 접착한다. 이때 제1위치전극부(111)와 제2위치전극부(112)가 직교하도록 접착한다. 제1접착층(41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 후에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완충층 형성단계(S200)는 제1베이스층(210)과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30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 또는 제2힘전극부(130)상에 접착부(320)를 형성한다. 이때 접착부(320)는 상술한 제2위치전극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320)는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 또는 제2힘전극부(130)상의 테두리에 결합부(330)를 형성한다. 결합부(330)는 범용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과 제2힘전극부(130)를 접착한다. 접착 후에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2실시예의 제조방법>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대략 감지층 형성단계(S110 내지 S130), 제1결합단계(S140), 제2결합단계(S150) 및 완충층 형성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감지층 형성단계(S110 내지 S130)와 제1결합단계(S14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2결합단계(S150)는 제2베이스층(220)과 보호층(500)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 제2베이스층(220)의 타면 또는 보호층(500)의 일면에 제2접착층(420)을 형성한 후 서로 접착한다. 이때 제2접착층(42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 후에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3실시예의 제조방법>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은 대략 감지층 형성단계(S310 내지 S330), 결합단계(S340) 및 완충층 형성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감지층 형성단계는 하이브리드 감지층 형성단계(S310), 위치감지층 형성단계(S320) 및 힘감지층 형성단계(S330)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이브리드 감지층 형성단계(S310)는 제1베이스층(210)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증착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베이스층(210)에 스트립 형상의 제1위치전극부(111)와 제1위치전극부(112)를 교번하여 복수개 증착형성한다. 다음으로 위치감지층 형성단계(S320)는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에 상술한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한 형상 및 배열로 복수의 제2위치전극부(120)를 증착형성한다. 이때 제2위치전극부(120)는 제1위치전극부(111)와 직교하도록 증착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힘감지층 형성단계(S330)는 제3베이스층(230)의 일면에 제2힘전극부(130)를 박판형상으로 증착형성한다.
다음으로 결합단계(S340)는 위치감지층과 제2베이스층(220)을 접착한다. 구제척으로 제1베이스층(210)의 위치감지층이 구비된 면 또는 제2베이스층(220)의 일면에 제3접착층(430)을 형성한 후 서로 접착한다. 제3접착층(43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 후에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완충층 형성단계(S400)는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30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또는 제2힘전극부(130)상에 접착부(320)를 형성한다. 이때 접착부(320)는 상술한 제2위치전극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320)는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또는 제2힘전극부(130)상의 테두리에 결합부(330)를 형성한다. 결합부(330)는 범용의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제2힘전극부(130)를 접착한다. 접착 후에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11 : 필름층 12 : 투명 전극
13 : 기판 20 :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21 : 도트 스페이서 22a : 상부투명전극
22b : 하부투명전극 23a : 상부기판
23b : 하부기판 30 : 저항방식의 촉각센서가 구비된 LCD
31 : 상부필름층 32 : 촉각센서부
32a, 32b : 입력 및 출력용 투명전극층
32c : 투명저항층 33 : 하부필름층
40 : 정전용량 방식의 촉각센서
41, 42 : 상, 하부기판 44 : 접착제
46a, 46b : 상, 하부전극 47 : 절연층
48 : 도트 스페이서
110 : 하이브리드 감지층 111 : 제1위치전극부
112 : 제1힘전극부 120 : 제2위치전극부
130 : 제2힘전극부 210, 220, 230 : 제1,2,3 베이스층
300 : 완충층 310 : 에어갭
320 : 접착부 330 : 결합부
410, 420, 430 : 제1,2,3 접착층
500 : 보호층

Claims (30)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위치전극부(111); 및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고 교번하여 배열되는 제1힘전극부(112);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감지층(110);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함께 멀티터치를 감지하는 제2위치전극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전극부(120)가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교차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의 일면에 적층되는 위치감지층;
    상기 제1힘전극부(112)와 함께 접촉힘을 감지하는 제2힘전극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의 타면에 적층되는 힘감지층; 및
    외력(Fin)이 인가되면 상기 제1힘전극부(112)와 상기 제2힘전극부(130)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상기 힘감지층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층(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이 형성된 제1베이스층(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층에 결합하는 제2베이스층(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층은 상기 제2베이스층(220)의 일면에 증착 형성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상기 위치감지층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1접착층(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41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인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층(220)의 타면에 구비되는 보호층(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층(220)과 상기 보호층(500)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접착층(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42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인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층은 상기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에 증착 형성되고,
    상기 위치감지층과 상기 제2베이스층(220)이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3접착층(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착층(430)은 투명광학양면접착제(OCA)인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300)은 에어갭(3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접착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300)은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힘감지층이 증착형성되는 제3베이스층(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층은 복수개의 상기 제2위치전극부(120)가 상호 나란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위치전극부(111, 120), 상기 제1,2힘전극부(112, 130)는 투명한 전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위치전극부(111, 120)와 상기 제1,2힘전극부(112, 130)는 인듐주석 산화물(ITO), 탄소나노튜브(CNT) 및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베이스층(210, 220)은 유리, 필름 및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베이스층(230)은 유리, 필름 및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19. 제1베이스층(210)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형성하고, 제2베이스층(220)의 일면에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제3베이스층(230)의 일면에 힘감지층을 형성하는 감지층 형성단계;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에 상기 위치감지층을 적층하는 제1결합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층(210)과 상기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단계는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상기 위치감지층 사이에 제1접착층(410)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감지층 및 상기 제1베이스층(220)을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형성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과 상기 힘감지층의 일면을 접착부(320)로 접착하여 에어갭(3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형성단계는
    상기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 테두리와 상기 힘감지층의 일면 테두리 사이에 결합부(3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층(220)의 타면에 보호층(500)을 적층하는 제2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단계는
    상기 제2베이스층(220)의 타면과 상기 보호층(500) 사이에 제2접착층(420)을 형성하여 상기 제2베이스층(220)과 상기 보호층(500)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5. 제1베이스층(210)의 일면에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형성하고, 제1베이스층(210)의 타면에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제3베이스층(230)의 일면에 힘감지층을 형성하는 감지층 형성단계;
    상기 위치감지층에 상기 제2베이스층(220)을 적층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과 상기 힘감지층 사이에 완충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제2베이스층(220)과 상기 위치감지층 사이에 제3접착층(430)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감지층을 상기 제2베이스층(220)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형성단계는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의 일면과 상기 힘감지층의 일면을 접착부(320)로 접착하여 에어갭(3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형성단계는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의 일면 테두리와 상기 힘감지층의 일면 테두리 사이에 결합부(3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29. 제 19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층 형성단계는
    제1위치전극부(111)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하며 제1힘전극부(112)가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을 형성하고,
    제2위치전극부(120)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교차하도록 상기 위치감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3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층 형성단계는
    제1위치전극부(111)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하며 제1힘전극부(112)가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교번하여 배열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을 형성하고,
    제2위치전극부(120)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위치감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단계는
    상기 제1위치전극부(111)와 상기 제2위치전극부(120)가 교차하도록 상기 하이브리드 감지층(110)에 상기 위치감지층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멀티터치 및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20002599A 2012-01-09 2012-01-09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34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99A KR101349703B1 (ko) 2012-01-09 2012-01-09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99A KR101349703B1 (ko) 2012-01-09 2012-01-09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56A true KR20130081556A (ko) 2013-07-17
KR101349703B1 KR101349703B1 (ko) 2014-01-16

Family

ID=4899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599A KR101349703B1 (ko) 2012-01-09 2012-01-09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7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72B1 (ko) * 2013-08-16 2014-11-14 전자부품연구원 촉각 터치스크린 장치
WO2016040468A1 (en) * 2014-09-10 2016-03-17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force and proximity sensing employing an intermediate shield electrode layer
CN106339117A (zh) * 2015-07-10 2017-01-1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包含三维输入模组的显示装置
WO2017018756A1 (ko)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200009199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와이즈터치 압력터치센서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13B1 (ko) * 2008-08-27 2011-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전용량 방식의 멀티터치에 따른 접촉위치 및 누름힘 측정용 터치입력구조
KR101097869B1 (ko) * 2009-12-28 2011-12-23 (주)하이디스터치스크린 정전용량식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
JP5429814B2 (ja) * 2010-03-29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および検出センサ
KR101145155B1 (ko) * 2010-06-28 2012-05-14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정전용량식 하이브리드 기능버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72B1 (ko) * 2013-08-16 2014-11-14 전자부품연구원 촉각 터치스크린 장치
WO2016040468A1 (en) * 2014-09-10 2016-03-17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force and proximity sensing employing an intermediate shield electrode layer
US9632638B2 (en) 2014-09-10 2017-04-25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force and proximity sensing employing an intermediate shield electrode layer
CN106339117A (zh) * 2015-07-10 2017-01-1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包含三维输入模组的显示装置
CN106339117B (zh) * 2015-07-10 2023-11-03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包含三维输入模组的显示装置
WO2017018756A1 (ko) *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200009199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와이즈터치 압력터치센서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703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6885B (zh) Touch panel and electronic machine with push detection function
JP5990195B2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54204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60320899A1 (en) Pressure detector and touch panel provided with pressure detector
WO2015133251A1 (ja) 感圧センサ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240967B1 (ko) 터치압력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148934B2 (ja) タッチパネル
KR20130126228A (ko) 압력 감지가 가능한 매트릭스 스위칭 타입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230400B1 (ko) 혼합식 멀티 터치 패널
KR101349703B1 (ko) 멀티터치와 단일힘을 감지하는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65950B1 (ko) 터치 패널
KR101312550B1 (ko) 신축성 촉각센서를 구비한 유연 터치패널, 신축성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12620A1 (en) Touch Panel And Touch Screen Having The Same
JP2012003522A (ja) タッチパネル
KR101274121B1 (ko) 압저항 방식 터치스크린 패널
KR20150009318A (ko) 터치 윈도우
KR20140016623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CN106980400A (zh) 触摸屏及显示装置
KR101336252B1 (ko) 접촉위치와 누름힘 측정용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13168032A (ja) タッチパネル及び位置検出方法
TWI465796B (zh) 觸摸屏面板
KR101311750B1 (ko) 카본나노튜브 기반의 터치패널
TWI399685B (zh) 電阻式觸控面板
KR102008736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