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53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530A
KR20130081530A KR1020120002552A KR20120002552A KR20130081530A KR 20130081530 A KR20130081530 A KR 20130081530A KR 1020120002552 A KR1020120002552 A KR 1020120002552A KR 20120002552 A KR20120002552 A KR 20120002552A KR 20130081530 A KR20130081530 A KR 2013008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subpixel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결
권오현
신동우
김슬옹
최병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530A/ko
Priority to US13/729,941 priority patent/US20130175514A1/en
Publication of KR2013008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이루어진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 및 수명을 가지면서도 높은 색순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평판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trophoretic display device)등이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색 범위가 CIE(Co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chromaticity) 1931 색좌표계나 CIE 1976 색좌표계에서 NTSC 규격이나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만족하는 지 여부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재현성의 평가 기준이 된다.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식에서는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를 요구하고 있으며, sRGB 규격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개의 원색은 그 CIE 색좌표가 R(0.64,0.33), G(0.30,0.60), B(0.15,0.06)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이 CIE 색좌표를 만족시켜야 하고, 만약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이 CIE 색좌표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색필터(color filter)를 거쳐 필터링시켜 CIE 색좌표를 만족시키게 하거나 또는 미세 공진 구조(micro cavity)로 특정 파장을 강화하여 필터링된 빛이 CIE 색좌표를 만족시키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식에서는 고정세화뿐 아니라 보다 아름다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그 표색 범위가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보다 넓다. 따라서, 종래의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만을 만족하여서는 UHDTV 방식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UHDTV 방식에서는 색순도가 높은 진적색(deep Red, dR), 진녹색(deep Green, dG) 및 진청색(deep Blue, dB)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sRGB 규격의 색좌표 중 녹색을 변화시킬 경우 최대로 표준 표색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즉, UHDTV 방식에서는 최소한 NTSC 규격의 진녹색 색좌표 dG(0.21,0.71)가 요구되며, 그 보다 더 높은 색순도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진적색 및 진청색의 색순도는 종래의 적색 및 녹색과 큰 차이가 없으나, 진녹색의 색순도는 종래의 녹색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있으므로 진녹색의 색순도를 만족해야 한다.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이 UHDTV 방식에 요구되는 색좌표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종래와 같이 색필터 또는 미세 공진 구조로 진적색(dR), 진녹색(dG) 및 진청색(dB)의 색좌표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추가적인 장비가 투자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UHDTV 방식에 요구되는 색좌표를 만족시키는 진녹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진녹색의 피크 파장이 555nm 보다 낮아야 한다. 또한, 피크 파장은 고정하고 피크 파장보다 높은 파장 영역의 발광을 억제시켜 스펙트럼 폭을 줄여서 진녹색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피크 파장이 눈이 가장 민감한 파장인 555nm보다 낮으므로 눈의 시감도가 떨어진다. 또한, 스펙트럼 폭이 줄어 파형이 얇아지므로 일부 파장 영역의 발광이 억제되며, 진녹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에너지로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UHDTV 방식에 요구되는 색좌표를 만족시키는 진녹색을 구현한 표시 장치의 경우 발광 효율 및 수명은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및 수명보다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색순도가 높고 발광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이루어진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진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y축 색좌표 Gy는 0.45 이상이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진녹색의 y축 색좌표 dGy는 상기 Gy와 dGy ≥ Gy+0.01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y축 색좌표 Gy는 0.45 이상이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진녹색의 x축 색좌표 dGx는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x축 색좌표 Gx와 dGx+0.01 ≥ Gx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dg라 할 때, λpg - λpdg ≥ 1nm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을 W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을 Wdg라 할 때, Wg - Wdg ≥ 1nm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을 Wh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을 Whdg라 할 때, Whg - Whdg ≥ 1nm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진녹색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사이에 미세 공진 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색 부화소, 상기 녹색 부화소, 상기 진녹색 부화소 및 상기 청색 부화소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적색 부화소, 상기 녹색 부화소, 상기 진녹색 부화소 및 상기 청색 부화소는 스트라이프 타입, 사각형 타입 또는 펜타일 타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발광 효율 및 수명을 가지면서도 높은 색순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화소의 색좌표를 도시한 CIE 1931 색좌표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과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두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부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부화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화소의 색좌표를 도시한 CIE 1931 색좌표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P)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를 포함한다. 적색 부화소(R)는 적색을 발광하며, 녹색 부화소(G)는 녹색을 발광하고, 진녹색 부화소(dG)는 색순도가 높은 진녹색을 발광하며, 청색 부화소(B)는 청색을 발광한다.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는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으로 배치된다. 즉,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들이 모여 정사각형의 화소(P)를 형성한다. 이 때,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간의 서로 다른 발광 효율 및 수명을 보정하기 위해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부화소에서 발광한 녹색의 CIE 1931 색좌표 를 (Gx, Gy), 진녹색 부화소에서 발광한 진녹색의 CIE 1931 색좌표를 (dGx, dGy)라 정의할 때, 녹색의 y축 색좌표 Gy ≥ 0.45일 수 있다.
이 때, 진녹색의 y축 색좌표 dGy는 Gy보다 최소 0.01 이상의 값을 가지거나 진녹색의 x축 색좌표 dGx는 Gx보다 최소 0.01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dGy는 Gy보다 최소 0.01 이상의 값을 가지면서 동시에 dGx는 Gx보다 최소 0.01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2에는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나타내는 삼각형(A1)과 NTSC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나타내는 삼각형(A2)을 도시한 CIE 1931 표색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은 sRGB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나타내는 삼각형(A1) 내부의 색좌표 P1(0.30,0.60)이 해당되며, 진녹색은 NTSC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나타내는 삼각형(A2) 내부의 색좌표 P2(0.21,0.71)가 해당된다.
이 경우 dGy는 Gy보다 최소 0.01 이상의 값을 가지면서 동시에 dGx는 Gx보다 최소 0.01 이하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기판(110)은 하나의 부화소마다 각각 형성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70)를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 기판(110)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부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71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73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이 된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축전판(158)과 제2 축전판(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하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제1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2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전극 컨택홀(contact hole)(182)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해 적층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 기판(110)을 이루는 제1 기판 부재(111)는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된다. 제1 기판 부재(111) 위에 버퍼층(120)이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구동 반도체층(132)이 형성된다. 구동 반도체층(132)은 다결정 규소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구동 반도체층(13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35)과, 채널 영역(135)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포함한다. 구동 반도체층(132) 위에는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구동 게이트 전극(155)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이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배선은 게이트 라인(151), 제1 축전판(15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적어도 일부, 특히 채널 영역(135)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는 구동 게이트 전극(155)을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층간 절연막(160)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드러내는 관통공들을 함께 갖는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등의 세라믹(ceramic)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이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배선은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2 축전판(178) 및 그 밖에 배선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각각 층간 절연막(160) 및 게이트 절연막(140)에 형성된 관통공들을 통해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가 형성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층간 절연막(160) 상에는 데이터 배선(172, 176, 177, 178)을 덮는 평탄화막(180)이 형성된다. 평탄화막(180)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70)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평탄화막(180)은 드레인 전극(177)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전극 컨택홀(182)을 갖는다.
평탄화막(180) 위에는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이 형성된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화소들마다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들(710)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제1 전극들(710)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전극(710)은 평탄화막(180)의 전극 컨택홀(182)을 통해 드레인 전극(177)과 연결된다.
또한, 평탄화막(180) 위에는 제1 전극(710)을 드러내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 정의막(190)이 형성된다. 즉, 화소 정의막(190)은 각 화소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전극(710)은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1 전극(710) 위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720) 상에는 제2 전극(7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70)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양극인 제1 전극(710)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은 각각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반투과형 또는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을 형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발광형, 배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이 될 수 있다.
제2 전극(730) 위에는 봉지 기판(210)이 표시 기판(110)에 대해 대향 배치된다. 봉지 기판(210)은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표시 기판(110)에서 적어도 표시영역(DA)을 봉지하는 기판으로서, 전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일 경우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배면 발광형일 경우 금속 등의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봉지 기판(210)은 판 모양을 가진다.
상기에서,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 유기 발광층(720R), 녹색 유기 발광층(720G), 진녹색 유기 발광층(720dG) 및 청색 유기 발광층(720B)을 포함한다. 녹색 유기 발광층(720G)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고, 진녹색 유기 발광층(720G)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녹색 유기 발광층(720dG)은 색순도를 높이기 위해 양자점(Quantum Dot)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부화소의 적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을 λpr,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g,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dg, 청색 부화소의 청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b이라 하고, 각 발광 스펙트럼의 4분의 1 세기에서의 스펙트럼 폭(Full Width at Quarter Maximum, FWQM)을 각각 Wr, Wg, Wdg, Wb이라 정의할 때, λpr은 600 내지 700nm이고, λpg과 λpdg는 모두 500 내지 600nm이고, λpb은 400 내지 500nm이다. 그리고, Wr, Wg, Wdg, Wb은 25 nm 내지 150 nm이다.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g)보다 최소 1nm 이하이거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dg)은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g)보다 최소 1n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또한,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g)보다 최소 1nm 이하이면서 동시에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dg)은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g)보다 최소 1n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또한,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2분의 1 세기에서의 스펙트럼 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Wh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Whg)보다 최소 1nm 이하이거나,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g)보다 최소 1nm 이하이면서 동시에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Wh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Whg)보다 최소 1nm 이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과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g)은 523nm이고,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g)은 78nm이고,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dg)은 522nm이고,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dg)은 60nm이다.
따라서, λpg - λpdg 는 1nm 이고, Wg - Wdg 는 18nm이므로, 진녹색 부화소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dg)은 녹색 부화소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λpg)보다 최소 1nm 이하이면서 동시에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dg)은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Wg)보다 최소 1nm 인 경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종래의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수명 및 색순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과 수명은 요구 휘도에서의 발광 효율과 수명으로서, 요구 휘도는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Full White, FW)를 만들기 위해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가 발광해야 하는 휘도이다. 이러한 요구 휘도는 FW 표시 장치의 휘도, 풀화이트의 색좌표,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각 색좌표,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각 개구율, FW 표시 장치의 투과도 등의 함수로 결정된다.
FW 표시 장치의 휘도가 200 nit(=cd/m2), 풀화이트,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색좌표가 FW(0.28,0.29), R(0.64,0.33), G(0.30,0.60), B(0.16,0.50),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각 개구율이 13.3%, FW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40%인 경우,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가 각각 발광해야 하는 요구 휘도는 681 nit, 2693 nit 및 385 nit 이다. 그리고,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듀티비(Duty Ratio)는 모두 100%로 구동된다. 듀티비는 한 주기에 대해서 펄스가 온 상태인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풀화이트를 구현하는 경우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계조는 디지털 256 컬러일 때, 모두 최대치인 255 값이 들어가고 이 값이 한 주기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반감 수명은 각 부화소의 요구 휘도가 50%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 각각의 반감 수명은 100,000 hr, 40,000 hr 및 10,000 hr 이다.
이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FW 표시 장치의 반감 수명은 40,000 hr이며,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발광 효율은 23.9 cd/A이다.
발광 효율(cd/A) 전압(V) 전력(W)
R 43.0 4.2 0.96
G 43.7 3.6 3.2
B 4.8 3.9 4.51
FW 23.9 8.67
도 8은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W 표시 장치의 휘도가 200 nit(=cd/m2), 풀화이트, 적색, 진녹색 및 청색의 각 색좌표가 FW(0.28,0.29), R(0.64,0.33), dG(0.21,0.71), B(0.16,0.50),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각 개구율이 13.3%, FW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40%인 경우,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가 각각 발광해야 하는 요구 휘도는 1000 nit, 2363 nit, 396 nit이다. 이 때, 진녹색의 색좌표는 NTSC 규격의 표준 표색 범위를 만족한다. 그리고,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듀티비(Duty Ratio)는 모두 100%로 구동된다. 즉, 풀화이트를 구현하는 경우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의 계조는 디지털 256 컬러일 때, 모두 최대치인 255 값이 들어가고 이 값이 한 주기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녹색 부화소의 반감 수명은 요구 휘도 2363 nit 에서 20,000 hr 이다. 이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FW 표시 장치의 반감 수명은 23,000 hr이며,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같이, 발광 효율은 20.4 cd/A이다.
발광 효율(cd/A) 전압(V) 전력(W)
R 39.8 4.6 1.66
G 30.7 3.9 4.30
B 4.8 4.0 4.73
FW 20.4 10.69
이와 같이, 녹색 부화소 대신에 진녹색 부화소를 형성한 경우, 색순도는 증가시킬 수 있느나, 발광 효율 및 수명이 모두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각 부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에서 풀화이트 시 화소의 시간에 따른 휘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녹색 부화소와 진녹색 부화소는 동일한 선으로 표시하였다.
진녹색 부화소의 듀티비는 25%, 녹색 부화소의 듀티비는 75%이고, 진녹색 부화소의 개구율은 7.6%, 녹색 부화소의 개구율은 5.7%이다.
진녹색 부화소의 25% 듀티 상태에서 적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의 휘도는 681 nit, 385 nit이고, 녹색 부화소의 75% 듀티 상태에서 적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의 휘도는 1000 nit, 396 nit이다. 따라서, 평균적인 적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의 휘도는 920 nit, 393 nit이며, 이 때의 적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의 반감 수명은 64,000 hr 와 9,600 hr 이다.
녹색 부화소와 진녹색 부화소의 요구 휘도는 4713 nit 와 5514 nit 이며, 반감 수명은 각각 18,300 hr와 6,100 hr이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티비를 고려한 녹색 부화소와 진녹색 부화소의 반감 수명은 모두 24,400 hr 이다. 이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W 표시 장치의 반감 수명은 27,000 hr이며, 아래 표 3에 나타난 바와같이, 발광 효율은 23.0 cd/A이다.
발광 효율(cd/A) 전압(V) 전력(W)
R 42.2 4.3 1.14
G 40.5 3.7 3.48
B 4.8 3.9 4.57
FW 23.0 9.18
이와 같이,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은 적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및 수명보다 높고,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및 수명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색 부화소 및 진녹색 부화소가 모두 형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녹색 부화소만 형성된 표시 장치의 높은 발광 효율 및 수명을 가지면서도 진녹색 부화소만 형성된 표시 장치의 높은 색순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가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배치되었으나, 정사각형 타입으로 배치되는 제2 실시예 또는 펜타일 타입으로 배치되는 제3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두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화소의 배치 구조가 다른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는 사각형 타입(rectangular type)으로 배치된다. 즉,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는 각각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들이 바둑판 형상으로 모여 정사각형의 화소(P)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적색 부화소(R), 녹색 부화소(G),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가 서로 집중되어 있으므로 풀화이트를 구현하기 용이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색 부화소(R) 및 녹색 부화소(G)는 하나의 화소(P)를 이루고, 진녹색 부화소(dG) 및 청색 부화소(B)가 하나의 화소(P)를 이루는 펜타일 타입(pentile type)으로 배치되어 렌더링(rendering) 구동된다. 렌더링 구동은 영상을 표시할 때 적색, 녹색, 진녹색 및 청색 부화소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동시에 구동하고자 하는 부화소의 주변에 위치하는 부화소를 함께 구동하여 주변의 부화소와 밝기를 분산하여 하나의 화소로 표현함으로써 사선 또는 곡선을 보다 섬세하게 표현하는 동시에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진녹색 부화소(dG)에 진녹색 유기 발광층(720dG)을 형성하였으나, 진녹색 부화소(dG)에 진녹색 색필터를 형성하는 제4 실시예 또는 진녹색 부화소(dG)에 미세 공진 구조를 형성하는 제5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부화소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녹색 부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녹색 부화소(dG)에 진녹색 색필터를 형성하거나 미세 공진 구조를 형성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전극(710) 위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720) 상에는 제2 전극(730)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 부화소(R)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720R), 녹색 부화소(G)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720G), 진녹색 부화소(dG)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720dG) 및 청색 부화소(B)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720B)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녹색 유기 발광층(720G) 및 제2 녹색 유기 발광층(720dG)에서는 동일한 색좌표의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제2 전극(730) 위에는 봉지 기판(210)이 표시 기판(110)에 대해 대향 배치되며, 제2 전극(730)과 봉지 기판(210) 사이에는 진녹색 색필터(320dG)가 형성되어 있다. 진녹색 색필터(320dG)는 색순도가 높은 진녹색을 발광하도록 필터링한다. 진녹색 색필터(320dG)에서 발광한 진녹색은 상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전극(710) 위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720) 상에는 제2 전극(730)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 부화소(R)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720R), 녹색 부화소(G)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720G), 진녹색 부화소(dG)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720dG) 및 청색 부화소(B)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720B)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녹색 유기 발광층(720G) 및 제2 녹색 유기 발광층(720dG)에서는 동일한 색좌표의 빛을 발광한다. 그리고, 제1 전극과 제2 진녹색 유기 발광층(720dG) 사이에는 미세 공진 구조(750)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 공진 구조(750)는 진녹색에 해당하는 파장을 강화하여 색순도가 높은 진녹색을 발광하도록 필터링한다. 미세 공진 구조(750)를 통해 진녹색 부화소(dG)에서 발광한 진녹색은 상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등의 전류형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R: 적색 부화소 G: 녹색 부화소
dG: 진녹색 부화소 B: 청색 부화소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진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로 이루어진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진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y축 색좌표 Gy는 0.45 이상이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진녹색의 y축 색좌표 dGy는 상기 Gy와 dGy ≥ Gy+0.01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y축 색좌표 Gy는 0.45 이상이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진녹색의 x축 색좌표 dGx는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한 녹색의 x축 색좌표 Gx와 dGx+0.01 ≥ Gx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pdg라 할 때,
    λpg - λpdg ≥ 1nm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을 W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폭을 Wdg라 할 때,
    Wg - Wdg ≥ 1nm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7.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을 Whg,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의 진녹색 발광 스펙트럼의 스펙트럼 반폭을 Whdg라 할 때,
    Whg - Whdg ≥ 1nm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은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녹색 유기 발광층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진녹색 색필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1 녹색 유기 발광층,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상기 진녹색 부화소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녹색 유기 발광층 사이에 미세 공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부화소, 상기 녹색 부화소, 상기 진녹색 부화소 및 상기 청색 부화소의 면적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부화소, 상기 녹색 부화소, 상기 진녹색 부화소 및 상기 청색 부화소는 스트라이프 타입, 사각형 타입 또는 펜타일 타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20002552A 2012-01-09 2012-01-09 표시 장치 KR20130081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52A KR20130081530A (ko) 2012-01-09 2012-01-09 표시 장치
US13/729,941 US20130175514A1 (en) 2012-01-09 2012-12-2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52A KR20130081530A (ko) 2012-01-09 2012-01-0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30A true KR20130081530A (ko) 2013-07-17

Family

ID=4874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552A KR20130081530A (ko) 2012-01-09 2012-01-0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75514A1 (ko)
KR (1) KR201300815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6771B2 (en) 2018-03-06 2020-07-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pentile pixel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8242A1 (en) 2011-11-22 2013-05-30 Qd Vision, Inc. Methods for coating semiconductor nanocrystals
US10008631B2 (en) 2011-11-22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ated semiconductor nanocrystals and products including same
WO2013078245A1 (en) 2011-11-22 2013-05-30 Qd Vision, Inc. Method of making quantum dots
WO2013078249A1 (en) 2011-11-22 2013-05-30 Qd Vision Inc. Method of making quantum dots
WO2013078247A1 (en) 2011-11-22 2013-05-30 Qd Vision, Inc. Methods of coating semiconductor nanocrystals, semiconductor nanocrystals, and products including same
KR101960469B1 (ko) 2012-02-05 201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나노결정, 그의 제조 방법, 조성물 및 제품
KR20140058745A (ko) * 2012-11-05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617472B2 (en) 2013-03-15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nanocrystals, a method for coating semiconductor nanocrystals, and products including same
TWI577008B (zh) * 2014-05-28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236381B1 (ko) * 2014-07-18 2021-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11911B1 (ko) * 2014-11-25 2021-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7149164B2 (ja) * 2018-11-02 2022-10-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329080B2 (ja) 2020-01-27 202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3612B2 (en) * 2008-02-27 2011-02-22 Global Oled Technology Llc 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KR101448004B1 (ko) * 2008-04-22 2014-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6771B2 (en) 2018-03-06 2020-07-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pentile pixe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5514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1530A (ko) 표시 장치
US7510454B2 (en) OLED device with improved power consumption
EP2983207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124043B1 (ko) 화소 배열 구조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JP6131434B2 (ja) 色転換層、色転換層を有する有機el発光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パネル
JP4741492B2 (ja) マイクロキャビティ・ガモット・サブ画素を有するoledデバイス
JP4443179B2 (ja) 有機elパネル
US20180053812A1 (en) Arrangement of color sub-pixels for full color ol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687145B1 (ko) 유기 el 패널
EP3188276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I59564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141924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05552102A (zh) 像素排布结构及其制造方法,显示器
KR100401378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KR20160083381A (ko) 다층의 스택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JP2013109907A (ja) 蛍光体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2016051845A (ja) 表示装置
KR20070008071A (ko)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KR10158248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353802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4773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0779943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422995B1 (ko)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CN112750400B (zh) 显示基板电压补偿结构
KR100579550B1 (ko) 듀얼 플레이트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