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467A -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467A
KR20130081467A KR1020120002463A KR20120002463A KR20130081467A KR 20130081467 A KR20130081467 A KR 20130081467A KR 1020120002463 A KR1020120002463 A KR 1020120002463A KR 20120002463 A KR20120002463 A KR 20120002463A KR 20130081467 A KR20130081467 A KR 20130081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omain
data
frequency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354B1 (ko
Inventor
임재균
최원희
이성덕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54B1/ko
Priority to US13/737,620 priority patent/US9240060B2/en
Publication of KR2013008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9Low-coherence interferometers
    • G01B9/02091Tomographic interferometers, e.g. based on optical coher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대상체의 단층 영상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OMOGRAPHY IMAGE}
대상체의 단층 영상(tomography image)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층 촬영(Tomography)은 침투성 파동(penetrating wave)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단층 영상(tomography image)을 획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단층 촬영은 의학(medical science), 방사선학(radiology), 고고학(archaeology), 생물학(biology), 지구물리학(geophysics), 해양학(oceanography), 재료과학(materials science), 천체물리학(astrophysics), 그 밖의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학 분야에서 단층 촬영은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인체 내의 조직을 검사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의학 분야에 활용되는 단층 촬영의 대표적인 예로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자기공명 단층 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광 간섭 단층 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을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고학이나 지구물리학 분야에서 단층 촬영은 지질탐사 목표물에 X선, 전파, 음파, 레이저 등의 파동을 방사하여 지질탐사 목표물의 단층 영상을 분석하여 지질구조를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층 촬영의 많은 경우에 있어, 단층 촬영 방법은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단층 촬영(CT)은 대상체 주위를 180°이상 회전하면서 엑스선(X-ray) 사진을 찍어 얻은 그래프를 시각화하여 사이노그램(sinogram)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이노그램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사이노그램을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른 예로, 광 간섭 단층 촬영(OCT)은 빛을 투과시켜 조직 내에서 반사되는 빛의 시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광 간섭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광 간섭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분석함으로써, 점막, 피부, 안구와 같은 인체의 표면 하부의 생체 조직에 대하여 고해상도의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단층 촬영에 의해 생성된 단층 영상은 노이즈(noise)가 포함되며, 이러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단층 영상 생성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노이즈가 저감된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이즈가 저감된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 개의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복수 개의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각 서브 영상들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좌우 대칭의 형태 중의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의 복수의 부분적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로우데이터마다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으로부터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상기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로우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영상 생성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 및 상기 형성된 각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합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좌우 대칭의 형태 중의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 주파수 검출부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단층 영상의 복수의 부분적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마다 각 로우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으로부터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각 로우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각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광 신호를 발생하는 광발생부; 상기 광 신호를 측정 신호와 참조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측정 신호를 소정 대상체에 조사하는 간섭계; 상기 조사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와 상기 참조 신호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로부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영상 생성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 및 상기 형성된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대상체의 단층 영상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해상도의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 440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계 460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에 의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에 의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 것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단층 영상에서 노이즈가 저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촬영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촬영(Optical Coherent Tomography, 이하 'OCT'라 칭함) 장치(100)는 광발생부(110), 간섭계(120), 검출기(140), 및 영상 처리 장치(150)로 구성된다. 광발생부(110)는 광신호(optical signal)(OS)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의사와 같은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한 단층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입력함에 따라, 광발생부(110)로부터 광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부(280)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광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OS)의 대표적인 일 예에는 SLD(Super Luminescent Diode) 신호와 ELED(Edge-emitting Light Emitting Diodes) 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광신호가 이용될 수도 있다. 광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된 광신호(OS)는 간섭계(120)로 전송된다. 광신호는 자유공간상에서 간섭계(12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전송 매체를 통해 간섭계(1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송 매체의 일 예에는 광 섬유(optical fiber)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T 장치(100)를 구성하는 간섭계(120)는 광신호(OS)를 입력받아 이를 측정 신호(MS)와 참조 신호(RS)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간섭계(120)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분된 경로들(P1,P2)이 형성될 수 있다. 광신호(OS)로부터 분리된 측정 신호(MS)는 구분된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경로(P2)를 통해 전송되고, 참조 신호(RS)는 다른 하나의 경로(P1)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섭계(120)는 자유공간상의 빔분배기(beam splitter)(121)를 이용하여 광신호(OS)를 측정 신호(MS)와 참조 신호(RS)로 분리한다. 광신호(OS)의 일부는 빔분배기(121)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빔분배기(121)를 투과한다. 빔분배기(121)에서 반사된 신호는 참조 신호(RS)로 이용되고, 빔분배기(121)를 투과한 신호는 측정 신호(MS)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간섭계(120)는 소정의 전달 매체로 구성된 두 개 이상의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경로로 측정 신호(MS)를 전송하고, 다른 하나의 경로로 참조 신호(RS)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간섭계(120)는 소정의 나눔 비율로 광신호(OS)를 측정 신호(MS)와 참조 신호(RS)로 분리할 수 있다. 나눔 비율은 측정 신호(MS)의 출력 세기와 참조 신호(RS)의 출력 세기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계(120)는 5:5의 나눔 비율을 갖도록 측정 신호(MS)와 참조 신호(RS)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간섭계(120)는 9:1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나눔 비율을 갖도록 측정 신호(MS)와 참조 신호(RS)를 분리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빔분배기(121)를 이용하는 경우, 나눔 비율은 빔분배기(121)의 투과 및 반사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간섭계(120)는 측정 신호(MS)를 프로브(130)로 전송한다. 프로브(130)는 이러한 측정 신호를 대상체(160)로 조사한다. 프로브(130)로부터 조사된 측정 신호(MS)는 대상체(160) 내부에서 반사하거나 산란을 일으킨다. 프로브(130)는 대상체(160)의 내부에서 반사하거나 산란된 응답 신호(AS)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AS)를 간섭계(120)로 전송한다. 응답 신호(AS)는 자유공간을 통해 간섭계(12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광섬유와 같은 전달 매체를 통하여 간섭계(1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참조 신호(RS)는 간섭계(120) 내부의 경로(P1)를 통해 전송되고, 기준거울(122)에서 반사되어 빔분배기(121)로 전송된다. 빔분배기(121)로 전송된 참조 신호(RS)의 일부는 빔분배기(121)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빔분배기(121)를 투과한다. 빔분배기(121)를 투과한 참조 신호(RS)는 빔분배기(121)에서 반사된 응답 신호(AS)와 간섭(interference)을 일으킨다. 응답 신호(AS)와 참조 신호(RS)의 간섭에 의해 발생된 간섭 신호(CS)는 검출기(140)로 입력된다. 검출기(140)는 응답 신호(AS)와 참조 신호(RS)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신호(CS)를 검출한다. 이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섭 신호(CS)를 회절 격자(123)를 통해 회절시키고, 검출기(140)는 회절된 간섭 신호(CS)를 검출할 수도 있다.
검출기(140)는 입력되는 광 간섭 신호(optical coherence signal)를 간섭 신호의 광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ES)로 변환함으로써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기(140)는 수광 수단을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광 수단의 대표적인 일 예에는 수광 소자(photo detector)가 포함될 수 있다. 검출기(140)에 의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ES)는 단층 영상 생성을 위해 영상 처리 장치(150)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영상 처리 장치(15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검출기(140)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ES)를 이용하여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50)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210),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 및 영상 생성부(24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칩(chip)들로 제작될 수도 있고, 범용 CPU와 스토리지(300)에 저장된 전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주파수 영역 변환부(210)는 검출기(140)에 의해 전기적 신호(ES)로 변환된 간섭 신호를 입력받아,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간섭 신호를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로의 변환은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나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또는 그 밖의 주지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total frequency region)로부터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노이즈 정보를 제외한 영상 정보를 나타내는 주요 주파수 영역(principal frequency region)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도 7은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에 의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와 비교함으로써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일정 간격의 주파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주파수 영역들에 대해 피크들(P)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들(P)의 크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피크들(P)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I)을 초과하는 피크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CF)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피크들(P) 중 중심 주파수(CF)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CF)에 가장 인접한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연속된 주파수 영역을 주요 주파수 영역(PR)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중심 주파수(CF)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 중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중심 주파수(CF)의 오른쪽 영역에 대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중심 주파수(CF)의 왼쪽 영역에 대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NR)을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측정 신호(MS)는 축(13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캔 미러(131)에서 반사되어 대상체(160)로 조사된다. 스캔 미러(131)가 회전함에 따라 측정 신호(MS)는 대상체(160)의 측방향을 따라 조사(B-Scan)되고, 이 과정에서 대상체(160)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된 응답 신호(AS)를 검출하고, 이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의 제1 로우데이터(RD1)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로우데이터들(RD1~RDN)을 얻는 과정은 대상체(160)의 종방향의 조사(A-Scan)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의 종방향은 대상체(160)의 측방향 조사(B-Scan)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는 한 번의 스캔 미러(131)의 회전 과정에서 동시에 획득될 수도 있고, 또는 스캔 미러(131)의 반복적인 회전 동작을 통해, 순차적으로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8은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에 의하여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 것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단층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부분적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RD1~N)마다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으로부터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RD1~N)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에 대하여 일정 간격의 주파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주파수 영역들에 대해 피크들(P)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들(P)의 크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피크들(P)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I)을 초과하는 피크의 주파수를 각 로우데이터(RD1~N)에 대한 중심 주파수(CF1~N)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피크들(P) 중 중심 주파수(CF1~N)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CF1~N)에 가장 인접한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연속된 주파수 영역을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의 중심 주파수(CF1~N)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 중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주요 주파수 영역(PR)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에서 검출한 주요 주파수 영역(PR)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한다.
도 9는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에서 검출한 주요 주파수 영역(PR)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들을 서브 주파수 영역(SR1~n)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SR1~n)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40)는 상기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에 의해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SR1~n)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영상 생성부(240)는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250),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260), 합성부(270)로 구성된다.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250)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SR1~N)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한다.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260)는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SI1~n)을 형성한다. 합성부(270)는 상기 형성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SI1~n)을 합성하여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TI)을 생성한다. 일 예로, 합성부(270)는 각 서브 영상들(SI1~n)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TI)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생성된 단층 영상(TI)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영상 처리 장치(15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 영상 처리 장치(150)의 외부에 존재하는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고, 영상 처리 장치(15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15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영상 처리 장치(15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유추 가능한 내용들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간섭 신호를 검출한다. 이는 광 신호를 발생하고, 광 신호를 측정 신호와 참조 신호로 분리하고, 측정 신호를 대상체에 조사하고, 상기 조사에 대응하여 대상체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와 상기 참조 신호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간섭 신호(optical coherence signal)는 검출기(140)에 의하여 간섭 신호의 광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ES)로 변환될 수 있다. 검출기(140)는 수광 소자(photo detector)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광 간섭 신호로부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다른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 검출기(140)에 의해 검출된 간섭 신호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영상 처리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한 주파수 영역 변환 과정에서,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리에 변환 대신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등의 주파수 영역 변환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단계 440에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일정 간격의 주파수 영역들로 구분하고, 주파수 영역들 각각에 대해 피크들(P)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들(P)의 크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주요 주파수 영역(PR)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피크들(P)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I)을 초과하는 피크의 주파수를 중심 주파수(CF)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피크들(P) 중 중심 주파수(CF)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와 중심 주파수(CF)에 가장 인접한 피크가 속하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연속된 주파수 영역을 주요 주파수 영역(PR)으로 검출할 수 있다.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중심 주파수(CF)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 중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 440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 앞서, 도 4에 도시된 단계 430에서, 단층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부분적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을 입력받는다. 단계 510에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입력된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마다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단층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부분적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RD1~N)마다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검출한 각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RD1~N)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PI)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검출한다.
단계 530에서,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는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PR1~N)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주요 주파수 영역(PR)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PR)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220)에서 검출한 주요 주파수 영역(PR)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을 서브 주파수 영역(SR1~n)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SR1~n)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230)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영상 생성부(240)는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계 460의 예시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250)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한다. 단계 620에서,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260)는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SI1~n)을 형성한다. 단계 630에서, 합성부(270)는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대상체(160)의 단층 영상을 생성한다. 이 때, 합성부(270)는 각 서브 영상들(SI1~n)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간섭 단층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단층 영상에서 노이즈가 저감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합성부(270)는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들(SI1~3)을 평균하여 단층 영상(TI)를 생성한다. 이 때, 주요 주파수 영역에 기초하여 서브 주파수 영역을 검출한 결과,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들(SI1~n)에서 대상체(160)의 단층에 포함된 특징영역(SF1,SF2)의 주요 성분은 유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들(SI1~n)을 합성하여 생성한 단층 영상(TI)에서 대상체(160)의 단층에 포함된 특징영역(SF1,SF2)은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들(SI1~n)에는 서로 다른 불규칙적인 노이즈 성분들(N1~n)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불규칙적인 노이즈 성분들(N1~n)은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들(SI1~n)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상쇄되는 결과, 합성된 단층 영상(TI)에서 노이즈 성분은 저감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광발생부
120: 간섭계
130: 프로브
140: 검출기
150: 영상 처리 장치
160: 대상체
210: 주파수 영역 변환부
220: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
230: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
240: 영상 생성부
250: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
260: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
270: 합성부
280: 디스플레이부
2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00: 스토리지

Claims (20)

  1.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 개의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복수 개의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각 서브 영상들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좌우 대칭의 형태 중의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의 복수의 부분적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각 로우데이터마다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으로부터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로우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방법.
  9.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 및
    상기 형성된 각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상들의 픽셀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좌우 대칭의 형태 중의 어느 한 쪽의 주파수 영역만을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 영상 생성 장치는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 주파수 검출부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단층 영상의 복수의 부분적 영상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주파수 영역의 로우데이터들마다 각 로우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으로부터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는 상기 각 로우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임계강도와 비교함으로써 각 로우데이터에 대한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검출하고, 각 검출된 각 주요 주파수 부분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상기 주요 주파수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이 인접한 서브 주파수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8. 광 신호를 발생하는 광발생부;
    상기 광 신호를 측정 신호와 참조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측정 신호를 소정 대상체에 조사하는 간섭계;
    상기 조사에 대응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와 상기 참조 신호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로부터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의 전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체 주파수 영역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을 검출하는 주요 주파수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된 주요 주파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을 결정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복수 개의 서브 주파수 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광 간섭 단층 영상 생성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각 서브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하는 서브 주파수 영역 역변환부;
    상기 소정 대상체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역변환된 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브 영상들을 형성하는 종방향 주파수 영역 변환부; 및
    상기 형성된 서브 영상들을 합성하여 상기 소정 대상체의 단층 영상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광 간섭 단층 영상 생성 장치.
  2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층 영상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02463A 2012-01-09 2012-01-09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KR10186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63A KR101862354B1 (ko) 2012-01-09 2012-01-09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US13/737,620 US9240060B2 (en) 2012-01-09 2013-01-09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 tomograph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63A KR101862354B1 (ko) 2012-01-09 2012-01-09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67A true KR20130081467A (ko) 2013-07-17
KR101862354B1 KR101862354B1 (ko) 2018-05-30

Family

ID=4874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463A KR101862354B1 (ko) 2012-01-09 2012-01-09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40060B2 (ko)
KR (1) KR101862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381B2 (en) 2013-09-27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focal lens, optical scanning probe including the varifocal lens,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prob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47B1 (ko) * 2019-08-06 2021-03-10 한국과학기술원 단일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관심영역의 내부 단층촬영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819653B1 (de) * 2019-11-07 2023-09-06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m prüfen einer empfangskette eines magnetresonanztomograph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3085A (zh) 2002-01-24 2005-06-01 通用医疗公司 使用光谱带并行检测的低相干干涉测量法(lci)和光学相干层析成像(oct)信号的测距和降噪的装置和方法
GB2407155A (en) * 2003-10-14 2005-04-20 Univ Kent Canterbury Spectral interferometry method and apparatus
JP5306075B2 (ja) * 2008-07-07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干渉断層法を用いる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DE102008048045A1 (de) * 2008-09-19 2010-04-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rzeugung von computertomographischen Bilddatensätzen eines Patienten in der Herz-CT bei einer Perfusionskontrolle unter Kontrastmittelapplikation
JP4902721B2 (ja) 2009-10-23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断層画像生成装置及び光断層画像生成方法
KR101082477B1 (ko) 2009-11-02 2011-11-11 화남전자 주식회사 기능적 내시경 광단층 영상진단 장치
WO2012057779A1 (en) * 2010-10-29 2012-05-03 Analogic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using sparse spectral compon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381B2 (en) 2013-09-27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focal lens, optical scanning probe including the varifocal lens,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0060B2 (en) 2016-01-19
KR101862354B1 (ko) 2018-05-30
US20130177227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762B2 (ja) 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ー画像のスペクトル解析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528083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59805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о поляризации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 поляризации оптической когерентной томографии
US20140187902A1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JP6146956B2 (ja) 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19980B2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US11350905B2 (en) Waveform enhanced reflection and margin boundary characterization for ultrasound tomography
JP6544910B2 (ja) 情報処理装置、被検体情報取得装置及び音速決定方法
JP6226523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表示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KR20140067522A (ko) 단층 영상 생성 장치 및 단층 영상 생성 방법
US20240050062A1 (en) Analyzing apparatus and analyzing method
KR101862354B1 (ko) 단층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층 영상 생성 장치
JP5847454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92588B1 (ko) 복수의 광선을 이용하는 광 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3128760A (ja) 光音響画像生成装置および光音響画像生成方法
JP6072206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表示方法
RU2626310C2 (ru) Способ визуализации областей объекта, содержащих микродвижения
JP2016016159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被検体情報取得装置の制御方法
JP5940109B2 (ja) 画像生成装置、伝播速度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0171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20190076027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concerning medical images
JP6556300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被検体情報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923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006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381718B2 (ja) 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