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054A -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054A
KR20130081054A KR1020120002018A KR20120002018A KR20130081054A KR 20130081054 A KR20130081054 A KR 20130081054A KR 1020120002018 A KR1020120002018 A KR 1020120002018A KR 20120002018 A KR20120002018 A KR 20120002018A KR 20130081054 A KR20130081054 A KR 2013008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mobile terminal
building
outdoo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593B1 (ko
Inventor
두주영
권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0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거나 현재 제공 중인 지도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outdoor map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 지도에 기반한 지리정보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도 기반의 지역정보 서비스, 차량 네비게이션 등에 널리 활용 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위치기반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측위 기술을 기반으로 실외 위주로 제공되었으나, 점차 사용자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건물 내부까지 서비스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무선랜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을 위한 무선랜 중계기인 AP(Access Points)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랜 AP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WiFi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이용한 실내 측위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역과 실내에서 AP는 상당히 높은 밀도로 분포되어 있어 GPS와 대조적으로 건물 안팎에서 쉽게 사용 가능하며 Cell 방식에 비하여 정확한 수준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처럼, 건물의 실외와 실내는 서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며, 또한 지도의 형태나 특성 등이 서로 다르며,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서, 종래에는 실내 지도와 실외 지도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내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어 왔다.
최근 이동 단말에 대한 지도 정보나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함에 따라, 실내 지도와 실외 지도를 서로 연계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여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또는 실외 지도에서 실내 지도로 지도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건물정보획득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부;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부; 실내외판단부 및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내외판단부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고,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입진출판단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고,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도정보제공부는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단말에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도정보제공부는 진입진출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단계;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된 위치 정보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단계; 및 진입진출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지도변경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진입하는 실내나 진출하는 실외의 지도를 요청하는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지도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과정 중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 단말 내에 탑재되거나 연결되는 구성요소이거나 이동 단말에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탑재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DSP(digital signal process)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기타 전자 장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 및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 기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위치정보획득부(101), 건물정보획득부(102), 실내외판단부(103), 진입진출판단부(104) 및 지도정보제공부(105)를 포함한다.
위치정보획득부(101)는 이동 단말의 GPS 모듈 및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 등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동 단말은 휴대폰, PDA, PSP,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스마트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 중에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실외 측위의 용도로 사용되는 GPS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과 도심 지역 및 실내에서의 측위의 용도로 사용되는 근거리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GPS 기술을 기반으로, 약 24개(실제로는 보충위성 3개 포함한 27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신호를 해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점의 3차원적 위치 좌표를 획득하는 모듈로서, 주로 실외 측위를 위해 사용된다.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은 무선 랜(WLAN)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Zigbee, RFID 및 UWB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위치 측정을 위한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이러한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RSS) 등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듈로서, 이처럼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에서 획득된 파라미터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건물정보획득부(102)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로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건물의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도 4b의 411 참조)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는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도 4b의 412-1~3 참조)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실내외판단부(103)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정보획득부(102)에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실내외판단부(103)는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PIP 연산(공간 연산)의 로드를 줄이기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를 소정의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을 통과한 위치 좌표에 대하여 PIP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정보획득부(102)에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위치정보획득부(101)에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PIP 연산(공간 연산)의 로드를 줄이기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를 소정의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을 통과한 위치 좌표에 대하여 PIP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진입진출판단부(104)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를 활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외판단부(103)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 건물의 실내 영역 및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와 비교 내지 연산 대상이 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인 GPS 정보나 근거리 측위 정보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기본적인 오차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의 오차에 따라 판단의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의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실험용 이동 단말을 건물의 실내 영역 또는 실내외진입진출영역에 위치시킨 후 이러한 실험용 이동 단말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들을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또는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서 활용할 수도 있으며, 건물정보획득부(102)에서 이러한 정보를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또는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로 획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지도정보제공부(105)는 실내외판단부(103) 및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실내외판단부(103)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위치한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고,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이동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입진출판단부(104)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자동적인 변경 대신,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진입하는 실내나 진출하는 실외의 지도를 요청하는 별도의 과정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지도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이를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의 GPS 모듈 및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 등의 측위 모듈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1).
그리고, S 201 단계에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2).
S201 단계에서 획득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S202 단계에서 획득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한다(S203).
S20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면(S204), 이동 단말이 위치한 건물의 실내 지도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고(S205),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외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지도를 제공한다(S206).
S204 단계에서 실내 또는 실외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획득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207). 그리고,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8).
S207 단계에서 모니터링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S208 단계에서 획득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S209).
S20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210)에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자동으로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혹은 실외 지도에서 실내 지도로 변경할 수 있다(S211).
또한, 구현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지도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는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GPS 모듈과 WPS(Wifi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탑재된 이동 단말에 실내외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의 GPS 모듈로부터 GPS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S301), GPS 위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의 WPS 모듈로부터 WPS 위치 좌표를 수신한다(S302).
이동 단말의 GPS 위치 좌표 또는 W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03)에는 실내 지도 서비스 모드로 전환된다(S304 내지 S308).
실내 지도 서비스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에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를 제공하고(S304), 이동 단말의 실내 위치 좌표 즉, WPS 위치 좌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S305), 이동 단말의 위치가 실내외 진입진출영역인지를 체크하여(S306), 이동 단말이 실내외진입진출 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S307)에는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를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에서 실외 지도로 변경한다(S308).
이동 단말이 건물의 실내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03)에는 실외 지도 서비스 모드로 전환된다(S309 내지 S313).
실외 지도 서비스 모드에서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지도를 제공하고(S309), 이동 단말의 실외 위치 좌표 즉, GPS 위치 좌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S310), 이동 단말의 위치가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 진입진출영역인지를 체크하여(S311), 이동 단말이 실내외진입진출 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S312)에는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를 실외 지도에서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로 변경한다(S313).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과정 중 이동 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판단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보 중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인 (x, y)를 수신한다(S401). 그리고, 전자 지도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지도 상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하는 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S402).
본 실시예에서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은 도 4b에 예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의 실내 영역은 외곽 폴리곤(411)으로 그 경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은 진입 폴리곤(412-1~3)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획득된 실내 지도 상의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 영역의 정보로부터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경계좌표 즉, 가로(X축) 방향의 최소값(min_x), 세로(Y축) 방향(min_y), 가로(X축) 방향의 최대값(max_x), 세로(Y축) 방향의 최대값(max_y)를 계산하여(S403), 이를 이동 단말의 위치 좌표 값이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불필요한 공간 연산(Point in polygon)을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공간 연산은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인트가 소정의 폴리곤의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연산이다.
S404 단계에서 외곽 폴리곤 및 진입 폴리곤을 포함한 영역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간 연산을 통해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외곽 폴리곤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포함관계를 판단하여(S405), 건물의 외곽 폴리곤에 포함되는 경우에 이동단말의 위치가 건물의 실내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406),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건물의 실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407).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이동 단말에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건물정보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부;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부;
    상기 실내외판단부 및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의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판단부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획득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실내외진입진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제공부는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실내외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에 제공되고 있는 지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제공부는
    상기 진입진출판단부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10. 이동 단말에 실내외의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실내외판단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건물의 실내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의 지도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에 근접한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진입진출판단단계; 및
    상기 진입진출판단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지도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된 GPS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의 근거리 측위 신호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측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의 구성점들의 위치 좌표 및 상기 건물의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에서 GPS 정보 및 근거리 측위 정보를 획득하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측정된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판단단계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가 상기 건물의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진출판단단계는 상기 획득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상에서 실내외진입진출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폴리곤과의 PIP(Point in polygon) 연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 실외로 진출하거나, 상기 건물의 실외에서 실내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변경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의 실내외 변경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에 동의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에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지도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02018A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4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54A true KR20130081054A (ko) 2013-07-16
KR101342593B1 KR101342593B1 (ko) 2013-12-17

Family

ID=489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018A KR101342593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42B1 (ko) * 2013-07-24 2014-12-11 최형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KR101663654B1 (ko) * 2015-04-28 2016-10-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의 실내외 위치 변동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89337A (ko) * 2018-01-22 2019-07-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542420A (zh) * 2019-09-25 2019-12-06 国电龙源电气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一体化定位系统
KR102342983B1 (ko) * 2021-05-26 2021-12-24 주식회사 엠트리 시공간 데이터 기반 이슈 추적 및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82A (ko) 2015-06-12 2016-12-21 ㈜리커시브소프트 다수의 신호 송출기 및 신호 탐색기 기반의 위치특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특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42B1 (ko) * 2013-07-24 2014-12-11 최형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KR101663654B1 (ko) * 2015-04-28 2016-10-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의 실내외 위치 변동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89337A (ko) * 2018-01-22 2019-07-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542420A (zh) * 2019-09-25 2019-12-06 国电龙源电气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一体化定位系统
KR102342983B1 (ko) * 2021-05-26 2021-12-24 주식회사 엠트리 시공간 데이터 기반 이슈 추적 및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593B1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593B1 (ko) 이동 단말에 대한 실내외 지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EP3186653B1 (en) Selective crowdsourcing of location-related data
CN107250830B (zh) 用于定位的方法、设备和系统
AU2013376378B2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levator allocation using a magnetic field map in an elevator system
US950385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wireless device location based on proximate sensor devices
JP6087693B2 (ja) チャネル毎の電波受信強度に基づいて特定位置を検知する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96110B (zh) 网络元件和用户设备在室内环境中的位置确定
EP3286575B1 (en) Supporting the use of radio maps
US20150163625A1 (en) Sca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EP2959267A1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KR20150060840A (ko) 더 신속한 최초 위치결정 시간을 위한 기술들
CN111741431B (zh) 室内定位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CN108450060B (zh) 基于wi-fi接入点的定位方法、设备
JP6611117B2 (ja) 電子装置、位置特定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特定方法
US20150212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sitioning based on positioning compatibility classification
JP6034843B2 (ja) プログラム、無線端末、情報収集装置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302725B1 (ko) 근거리 통신망에서 위치확인 방법 및 장치
KR101417922B1 (ko) 단말기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EP3293483B1 (en) Improved floor detection based on determined floor detection parameters
WO2015188847A1 (en) Supporting indoor positioning
CN116367256A (zh) 网络切换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60113898A (ko) 도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728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osition determination on a mobile device
EP3755077A1 (en) Context information from crowd-sourced data
JP2016187064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収集装置、通信方法及び情報収集装置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