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876A -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876A
KR20130079876A KR1020120000625A KR20120000625A KR20130079876A KR 20130079876 A KR20130079876 A KR 20130079876A KR 1020120000625 A KR1020120000625 A KR 1020120000625A KR 20120000625 A KR20120000625 A KR 20120000625A KR 20130079876 A KR20130079876 A KR 2013007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vehicle
output terminal
rel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9876A/ko
Publication of KR2013007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블라워 릴레이 스위치(BLOWER RLY)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차량 시동(cranking) 시, 차량용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low 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DEVICE FOR DRIVING HEAD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HEADLAMP FLICKER}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시동 시(Cranking)에 순간적으로 헤드 램프의 로우(low)벌브가 커졌다 꺼지는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서는, 차량 시동 시(Cranking)에 순간적으로 헤드 램프의 로우(low)벌브가 커졌다 꺼지는 깜박임 현상이 있다. 이러한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래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과 관련된 키 셋 전원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우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유발하는 신호 경로를 표시한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는 릴레이 스위치(H/LP HI RLY)를 통해 배터리 전원(B+)을 인가받아서 점등하는 로우 램프(H/LP LOW)와 또 다른 릴레이 스위치(H/LP HIGH RLY)를 통해 배터리 전원(B+)을 인가받아서 점등하는 하이 램프(H/LP HIGH)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①, ②는 키 온(key on) 상태 즉, IG2 전원 인가 상태에서, 로우 램프(H/LP LOW) 구동시 형성되는 신호 경로를 나타내고, ③, ④는 IG2 전원 인가 상태에서, 하이 램프(H/LP HIGH) 구동시 형성되는 신호 경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로우 램프(또는 로우 벌브)를 구동시키는 과정에서는, 키 온(key on) 상태(IG2 전원인가)에서, 통합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이 ①의 신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헤드 램프 로우 스위칭 신호(headlamplowSW)를 통해 스위치 온(ON) 상태를 인지(M/F SW 참조)하고, 그 인지 결과에 따라 ②의 신호 경로 상에 형성된 헤드 램프 로우 릴레이 스위치(headlamplowRly)가 구동하여, 차량의 헤드램프의 로우 램프(또는 로우 벌브)가 켜진다.
하이 램프(또는 하이 벌브)를 구동시키는 과정에서는, ③의 신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headlampHISW)를 통해 스위치 ON 상태를 인지(M/F SW 참조)하고, 그 인지 결과에 따라 ④의 신호 경로 상에 형성된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headlampHIRly)가 구동하여, 차량의 헤드램프의 하이 램프가 켜진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키 온(key on) 상태(IG2 전원인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의 키 셋(key set) 구조상 시동시, 순간적으로 IG2 전원이 끊어졌다가 시동 후 키 온(key on) 상태로 복귀하면, IG2 전원이 재인가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끊어졌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G2 퓨즈(fuse) 전원이 차단되고 BCM의 Vbb(B+) 전원이 ①, ② 및 블라워 릴레이 스위치(BLOWER RLY)에 의해 접지와 연결되는 신호 경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라워 릴레이 스위치(BLOWER RLY)는 차량 에어컨의 구동과 관련된 스위칭이다.
그러면, BCM이 헤드 램프 하이 스위치 신호를 온(ON)으로 인식하고, 헤드램프 로우 릴레이(headlamplowRly)를 순간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 시동시 차량의 외부에서 볼 때 헤드램프 로우 램프(low lamp)에서 깜박임 현상이 발생한다. 즉, 상기 블라워 릴레이 스위치(BLOWER RLY)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인해, 차량용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low lamp)에서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하면, 블라워 릴레이 스위치(BLOWER RLY)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차량 시동(cranking) 시, 차량용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low 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과 관련된 키 셋 전원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우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유발하는 신호 경로를 표시한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시동시(Cranking)에 순간적으로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가 켜졌다가 꺼지는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며, 이를 위해, 아래의 도 4 및 도 6에 예시된 도면을 통해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는 3가지 방안이 각각 기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첫 번째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에서,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는 첫 번째 방법은, IG2 전원 퓨즈 단자(T1)를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T2)의 뒷단에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는 IG2 전원 퓨즈 단자(T1),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T2), 통합 제어 유닛(110: BCM),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120: H/LP HI RLY),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130: BLOWER RLY)를 포함한다.
IG2 전원 퓨즈 단자(T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키 신호 중 IG2 전원을 인가받는 단자로서, 무엇보다도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 단자(T2)의 뒷단에 연결된다.
통합 제어 유닛(110)은, 차량의 각종 전자 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하나로 통합 제어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Vbb(B+))을 헤드 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HeadLampHISW)로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120)는 코일(C1)로 기계접점을 동작시키는 스위치로서, 헤드램프의 하이 램프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코일(C1)은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 단자(T2)를 통해 상기 IG2 전원 단자(T1)와 상기 통합 제어 유닛(110)의 출력단자(OUT)를 연결한다.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130)는 차량 에어컨 구동과 관련된 스위치로서,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T1)와 접지를 연결하는 코일(C2)을 가지며, 상기 코일(C2)로 기계접점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는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T1)가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 단자(T2)의 뒷단에 연결됨으로써, 차량 시동(cranking) 시, 순간적으로 IG2 전원과 상기 IG2 전원 단자(T2)가 오픈되는 경우에도,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 단자(T2)와 상기 출력 단자(OUT) 간에 등전위가 형성된다. 이러한 등전위 형성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출력 단자(OUT), 상기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120), IG2 전원 단자(T1), 상기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130) 및 상기 접지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①+②)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시동시(Cranking)에 순간적으로 헤드램프 LOW 벌브가 켜졌다가 꺼지는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은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통합 제어 유닛(110) 내의 헤드 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headlampHISW)로서, Vbb(B+)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IG2 전원 퓨즈 단자에 인가되는 IG2 전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IG2 전원 퓨즈 단자(T1)을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T2)의 뒷단에 연결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통합 제어 유닛(110)의 마이컴(112)과 출력단자(OUT) 사이에 인가되는 Vbb(B+)전원을 상기 IG2 전원으로 전환한다. 즉, IG2 전원 퓨즈 단자(T1)와 출력단자(OUT)에 동일한 IG2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IG2 전원 퓨즈 단자(T1)와 상기 출력단자(OUT) 간에 등전위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출력 단자(OUT), 상기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120), IG2 전원 단자(T1), 상기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130) 및 상기 접지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의 형성을 차단하고, 차량 시동(Cranking) 시, IG2 전원이 순가적으로 끊어질 때 양쪽 전원(T1과 OUT쪽 전원)이 동시에 차단됨으로써 스위치 오인식으로 인한 헤드램프 로우 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의 로우 램프(bulb)의 깜박임 현상을 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합 제어 유닛(110) 내의 마이컴(112)에 논리 판단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추가하는 것이다.
즉, 현재 통합 제어 유닛(110) 내에서 헤드 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headlampHISW)의 온(ON) 판단을 소프트웨어 로직을 통해 IG2 전원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온(ON) 판단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즉, 판단 조건은 headlampHISW ON & IG2 ON이 된다.
그 결과, 차량 시동(Cranking) 시, IG2 전원이 끊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신호 경로가 형성되지만, 통합 제어 유닛(110) 내 IG2 전원(도 6의 ① 경로) 인가되지않은 상태이므로, 논리 조합(판단조건: headlampHISW ON & IG2 ON )에 맞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오 인식을 하지 않고 깜박임 현상도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의 뒷단에 연결된 IG2 전원 퓨즈 단자;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통합 제어 유닛;
    상기 IG2 전원 단자와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의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켜서, 헤드램프의 하이 램프를 구동시키는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및
    차량 에어컨 구동과 관련된 스위치로서,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접지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키는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
    를 포함하되,
    차량 시동(cranking) 시, 순간적으로 IG2 전원과 상기 IG2 전원 단자와 끈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간에 등전위가 형성되어, 상기 출력 단자, 상기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IG2 전원 단자, 상기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접지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의 형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2. IG2 전원을 출력하는 IG2 전원 퓨즈 단자;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통합 제어 유닛;
    상기 IG2 전원 단자와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의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켜서, 헤드램프의 하이 램프를 구동시키는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및
    차량 에어컨 구동과 관련된 스위치로서,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접지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키는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
    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IG2 전원을 상기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로서 출력함으로써,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간에 등전위를 형성하여 상기 출력 단자, 상기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IG2 전원 단자, 상기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접지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의 형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3. IG2 전원을 출력하는 IG2 전원 퓨즈 단자와,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통합 제어 유닛과, 상기 IG2 전원 단자와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의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켜서, 헤드램프의 하이 램프를 구동시키는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및 차량 에어컨 구동과 관련된 스위치로서,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접지를 연결하는 코일로 기계접점을 동작시키는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의 출력단자 각각에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간에 등전위를 형성하여, 상기 출력 단자, 상기 헤드램프 하이 릴레이 스위치, IG2 전원 단자, 상기 블라우어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접지로 이루어지는 신호 경로의 형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가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차량용 배터리 전원 퓨즈의 뒷단에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헤드램프 하이 스위칭 신호로서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상기 차량용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등전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가 IG2 전원을 인가받아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의 상기 출력단자가 상기 IG2 전원을 인가받아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IG2 전원 퓨즈 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상기 IG2 전원으로 상기 등전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KR1020120000625A 2012-01-03 2012-01-03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KR2013007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25A KR20130079876A (ko) 2012-01-03 2012-01-03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25A KR20130079876A (ko) 2012-01-03 2012-01-03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876A true KR20130079876A (ko) 2013-07-11

Family

ID=4899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625A KR20130079876A (ko) 2012-01-03 2012-01-03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8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75389A1 (zh) 汽车前照灯智能控制方法与系统
CN109941109B (zh) 控制电动汽车高压电器件上下电顺序的开关及安全系统
CN103481844A (zh) 一种车载电子系统、车载电子设备电源管理方法及汽车
CN103231688B (zh) 车用电源延时开关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011373A (zh) 用于检查供电电路的方法以及用于至少一个点火电路的所属的供电电路
KR20170124778A (ko) 암전류 차단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01484A1 (en) Automotiv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JP6011707B1 (ja) スイッチング装置
CN109484331B (zh) 汽车驾驶舱智能电器盒
KR20130079876A (ko) 차량용 헤드 램프 구동 장치 및 차량용 헤드 램프의 깜박임을 방지하는 방법
JP2013071632A (ja) 負荷制御装置
CN202480964U (zh) 昼间行车灯控制器
US9796275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6194541A (zh) 一键式汽车启动保护电路及其方法
CN203892096U (zh) 带电压监视功能的汽车起动机保护装置
CN201407571Y (zh) 一种带灯光提示的汽车前灯自动调光器
KR101646370B1 (ko) 파워 윈도우 장치
CN204327368U (zh) 一种带有保护装置的启动控制电路装置
CN220965172U (zh) 加热电路及车辆
CN102748183A (zh) 一种汽车起动机启动保护装置
CN202425097U (zh) 宽负载限制的闪光控制器
CN109263574A (zh) 整车电源模式冗余控制系统及方法
CN203331862U (zh) 延迟自动启动型车用电源扩充插座
CN114211963B (zh) 一种继电器控制装置、电池管理系统及电动汽车
CN108288867A (zh) 一种蓄电池过放电保护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