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839A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839A KR20130079839A KR1020120000576A KR20120000576A KR20130079839A KR 20130079839 A KR20130079839 A KR 20130079839A KR 1020120000576 A KR1020120000576 A KR 1020120000576A KR 20120000576 A KR20120000576 A KR 20120000576A KR 20130079839 A KR20130079839 A KR 20130079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direct connection
- target list
- discovery
- request me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요청되면 장치 탐색을 수행하여 탐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탐색 결과를 통해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와 핀 방식의 프로비전 디스커버리(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는 과정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에 표시된 핀 번호를 입력하여 핀 체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로 전송하여 핀 체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 코드(status code)를 확인하여, 상기 응답 코드가 성공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절차를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것에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할 때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P2P 장치들의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로의 연결을 보장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휴대단말기가 제공하는 여러 기능 중에서 와이파이 연합(Wi-Fi Alliance)에 의해 제안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능이 각광받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연합에 의해 제안된 새로운 통신 방법으로서, 핫스팟, 라우터 또는 AP(Access Point)가 없더라도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기기들(또는 한쪽만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더라도)이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장치들간의 통신이라는 점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블루투스(Bluetooth)와 일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전송범위와 데이터 전송속도 측면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블루투스보다 유리한 장점이 보다 많기 때문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은 블루투스를 빠른 속도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의 블루투스 규격인 블루투스4.0이 최대 100m까지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대 200m까지의 전송 범위와 최대 3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한편, 사용자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게 되면, 사용자의 와이파이 P2P 장치는 장치 탐색 과정을 통해 탐색된 P2P 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한 후에, 표시된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받은 P2P 장치와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P2P 장치들의 목록에 표시되는 P2P 장치들의 이름이 비슷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가 어떤 장치인지 확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와 같은 대부분의 와이파이 P2P 장치는 제조사가 지정한 모델 명을 장치명(device name) 으로 지정되도록 기본 설정(default)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모델 명으로 지정된 장치명을 수정하지 않을 경우, P2P 장치들은 비슷한 장치명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하고자 하는 P2P 장치가 사용자의 옆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어떠한 P2P 장치가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인지 확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연결 방법에는 WSC (Wi-Fi Simple Configuration)에 의한 핀 방식이 있는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는 P2P 장치가 연결 대상에 해당하는 P2P 장치의 핀(Pin) 번호를 입력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수행되는 방식이다.
핀 방식을 통해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연결을 시도할 경우, 핀 번호를 잘못 입력한 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핀 번호 입력이 잘못되었음은 연결 요청 이후 약 4-6초 이후에 통지(notification)받게 된다.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핀 번호를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 연결 시도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핀 번호 입력이 잘못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지연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할 때, 연결 대상에 해당하는 와이파이 P2P 장치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잘못된 핀 번호를 입력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요청되면 장치 탐색을 수행하여 탐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탐색 결과를 통해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와 핀 방식의 프로비전 디스커버리(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는 과정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에 표시된 핀 번호를 입력하여 핀 체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로 전송하여 핀 체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 코드(status code)를 확인하여, 상기 응답 코드가 성공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절차를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할 때,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대상에 해당하는 P2P 장치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실패하거나 잘못된 핀 번호를 입력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Wi-Fi Direct 인증을 받은 장치들이 Wi-Fi P2P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1설명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2설명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3설명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4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1설명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2설명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3설명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4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이하, 후술되는 바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P2P 장치는 802.11g 이상(예를 들어, 802.11g 또는 802.11n)이 규격을 가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인증(Wi-Fi Direct Certified)을 받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와이파이 P2P 장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와 TV, 프린터 및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가 될 수 있으며, 모두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인증을 받은 장치들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와이파이 P2P(Peer to Peer)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연결(또는 와이파이 P2P 그룹의 형성으로도 명명됨)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은 크게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및 그룹 형성(또는 생성)의 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들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통해 Wi-Fi를 지원하는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와이파이 P2P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라 하는데, 장치 탐색 과정은 Wi-Fi P2P 그룹의 형성하기 위하여 Wi-Fi P2P 장치들(예를 들어, P2P 장치 1 및 2)이 서로를 인식하여 연결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절차이다.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 1)는 Wi-Fi Direct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메뉴 진입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따라 장치 탐색 모드에 진입하고, IEEE 802.11의 채널 스캔(Scan)과 리슨(Listen) 및 서치(Search)를 소정의 시간 주기별로 반복하여 주변의 Wi-Fi P2P 장치를 탐색한다. Wi-Fi P2P 그룹의 형성 과정에서 수행되는 장치 탐색 절차의 기본적인 동작은 IEEE 802.11 MAC protocol의 Probe Request와 Probe Response의 메시지를 서로 교환하여 수행된다. Probe Request에는 P2P IE, WSC IE 및 Supp Reg IE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Probe Response에는 P2P IE, WSC IE, RSN IE 및 Supp Reg IE가 포함된다.
이러한 장치 탐색 과정을 통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와이파이 P2P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P2P 장치의 목록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장치1의 사용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주변의 P2P 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 2)가 존재함을 목록 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록은 P2P 장치 1이 주변의 P2P 장치로부터 수신한 Probe Response에 포함되는 device name 혹은 SSID, device type 정보를 토대로 작성될 수 있다.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서비스 탐색은 장치 전술한 탐색 과정과 후술될 그룹 생성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서비스 탐색 과정은 각 P2P 장치가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지원 가능한 service protocol 및 service 등을 확인함으로써 각 P2P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P2P장치1이 카메라이고 P2P장치2가 프린터일 경우를 가정하여 예를 들면, P2P장치1의 사용자가 사진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P2P장치1은 P2P장치2가 사진의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서비스 탐색을 통해 P2P장치2의 사진 출력 기능의 가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Wi-Fi P2P 그룹의 형성을 통해 P2P장치1과 P2P장치2의 파일 공유가 요청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예로 들면, P2P 장치1은 Device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 기반한 파일 공유(File Sharing) 방식을 쓰지만, P2P 장치2가 WS (Web Service)에 기반한 파일 공유 방식을 사용한다면 두 장치간의 파일 공유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룹 생성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P2P 그룹을 생성할 경우, P2P 그룹의 중심 역할을 그룹 오너(Group Owner)을 담당할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과정을 필요로 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서 Wi-Fi P2P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 P2P 장치들(예를 들어, P2P장치1 및 P2P장치2)은 Provision Discovery 를 수행하는데, 이 Provision Discovery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스펙(Specification)에 정의된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이다.
Wi-Fi Direct에서의 P2P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WSC (Wi-Fi Simple 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동작(예를 들어, WPS; Wi-Fi Protected Setup을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기존의 Wi-Fi 규격에서는 연결 장치의 WSC 지원이 선택사항(Optional)이었으나 Wi-Fi Direct에서는 필수적인(Mandatory) 속성이다.
WSC는 무선 연결을 보다 편리하게 위해 제공되는 기능으로서 버튼을 눌러야 하는 PBC(Push Button Configuration)방식과 핀(Pin)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핀 방식이 있는데, PBC 방식과 핀 방식 모두 120초안에 설정이 완료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PBC 방식을 예를 들면, 한쪽 장치에서 PBC 방식을 통해 무선 연결을 요청한 후에 120초 안에 상대 장치에서 WPS 버튼이 입력되어야 WSC Registration Protocol이 시작되게 되고, 연결에 필요한 SSID(Service set identify) 및 크리덴셜(credential, 암호학적 정보의 총합으로서 Authentication type, encryption type, network key, ssid 등의 정보를 포함)를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WSC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Wi-Fi Direct에서 새롭게 정의된 규격이 Provision Discovery 방식으로서, 소정의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P2P장치1)가 다른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2)를 탐색한 후에 종래의 WSC (PBC 방식 또는 PIN 방식)을 통해 연결이 시도될 때, 연결이 시도됨을 WSC Configuration Method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른 Wi-Fi P2P 장치의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이다.
PBC 또는 핀 방식을 통해 P2P 장치1 및 P2P장치2의 사용자가 Wi-Fi P2P 연결을 수용하여 Provision discovery가 완료되면, Wi-Fi P2P 장치들 사이에는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수행된다.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은 GO Negotiation Request, GO Negotiation Response 및 GO Negotiation Confirm 프레임의 교환에 의해 수행되는데, GO Negotiation Request 및 GO Negotiation Response에는 P2P IE 정보 및 WSC IE 정보가 포함된다.
P2P IE의 필드(Field)에는 P2P Capability, P2P Device Info, Group Owner Intent, Configuration Timeout, Listen Channel, Extended Listen Timing, Intended P2P Interface Address, Channel List 및 Operating Channel attributes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WSC-IE의 필드(Field)에는 DEVICE PASSWORD ID, MANUFACTURER, MODEL NAME, MODEL NUMBER, SERIAL NUMBER, DEVICE NAME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P2P장치 1 및 P2P장치2는 P2P IE에 포함된 인텐트 값(Group Owner Intent)을 비교하여 큰 인텐트 값을 가지는 장치가 GO로 결정되고 작은 인텐트 값을 가지는 장치는 GC로 결정된다.
P2P장치 1 및 P2P장치2가 GO 및 GC로 각각 결정되면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완료되며, Group Owner로 설정된 장치는 WSC registrar 로써 동작하고 Group Client로 설정된 장치는 WSC Enrollee로 동작하여 서로 크리덴셜(Credential) 를 교환하는 Provisioning 이 완료되면 Wi-Fi P2P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그룹 설정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에서 P2P 그룹의 속성도 함께 결정되는데, P2P 그룹의 속성에는 임시 그룹(Temporary Group)과 지속 그룹(Persistent Groups)이 있다. 임시 그룹은 형성된 P2P 그룹을 한번만 사용할 경우에 해당하고, 지속 그룹은 형성된 P2P 그룹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해당한다.
생성된 P2P 그룹이 지속 그룹으로 설정되면 해당 P2P그룹의 P2P장치들은 크리덴셜과 P2P 그룹에서의 각 P2P 장치들의 역할(Group Owner또는 Group Client)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P2P 그룹의 형성 요청시 Provision discovery, Group Owner Negotiation 및 provisioning 과 같은 과정을 생략하여 신속하게 P2P 그룹을 형성하여 연결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탐색에서 탐색된 장치가 이전에 고정 그룹으로 형성된 P2P 그룹에 속한 장치일 경우, P2P 그룹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예를 들어, Invitation request/response )의 교환을 통해 Group Owner에 해당하는 장치는 P2P 그룹을 생성하고 Group Client에 해당하는 장치는 저장하고 있던 크리덴셜(credential)을 이용하여 P2P 그룹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2a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에 대한 제1설명도, 제2설명도, 제3설명도 및 제4설명도이다.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환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핀 체크 요청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핀 체크 응답 메시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는 IEEE 802.11u에 정의된 GAS protocol Frame을 변형(또는 응용)하여 생성되어 송수신되는데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는 도 1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과정에서 교환되는데,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스펙(Spec)은 GAS protocol Frame을 제조사의 필요에 따라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를 교환할 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IEEE 802.11u에 정의된 GAS protocol Frame (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Initial Request Action Frame 및 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Initial Response Action Frame)의 Vendor-specific Content의 필드(즉, ANQP Query Request Field 및 ANQP Query Response Field)를 변형하여 사용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는 Vendor-Specific Content에서 Service Protocol Type 및 Query Data를 변형(이용)하고,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는 Vendor-Specific Content에서 Service Protocol Type, Status Code 및 Response Data를 변형(이용)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Service Protocol Type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P2P 그룹에서 사용될 Service Protocol의 유형(type)이 지정되고, Query Data 및 Response data에는 지정된 Service Protocol의 유형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가 포함된다.
도 2c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Service Protocol Type은 값(Value)의 구분을 통해 Service Protocol의 유형을 모든 프로토콜 타입, PnP, Bonjour 및 WS-Discovery로 구분하고, 4-245 및 255의 값에 해당하는 나머지 252개에는 추후 확장 및 제조사의 재량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a에 도시된 Service Protocol type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응되게 이용하기 위해 255의 값을 지정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Status Code는 값을 구분을 통해 서비스 탐색의 응답 결과를 구분하고, 4-255의 값에 해당하는 나머지 252개 또한 추후 확장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tatus Code는 Success, Requested information not available 및 Bad request에 대응되는 0, 2 및 3의 값이 할당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d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 및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의 Query Data 및 Response Data는 Vender name, Service type 및 Data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의 Status Code는 Success, Requested information not available 및 Bad request의 응답 정보를 포함하며, 대응되게 0, 2 및 3의 값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Vender name, Service type, Data 및 Status code에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Vender name
본 발명은 Vender name의 구분을 통해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규격에 따른 P2P 그룹 생성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2P 그룹 생성 방법을 구분한다.
vender name은 P2P 장치의 제조사 이름(예를 들어, Samsung)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Samsung이라는 곳에서 제조한 P2P 장치들 사이에서 구현되는 것임을 명시할 수 있다.
또한, Bada 또는 Android와 같은 운영체제의 이름을 vender name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Bada 또는 Android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2P 장치들 사이에서 구현되는 것임을 명시할 수 있다.
Service type
Service type field에는 요청(Query) 또는 응답(Resposne)하고자 하는 특정 Vendor specific Service 를 구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ervice type의 Field에 PinValue Check와 같은 field를 선언하여, 제조사에 제공하는 전용 서비스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해당 P2P 장치의 핀 번호 확인과 관련된 것임을 명시할 수 있다.
Data
Data 필드에는 입력된 핀 번호 또는 표시중인 핀 번호가 지정된다.
Status Code
Status code 필드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Pin Check Query Response메시지에서 지정하는데 이용되는데, Success, Bad Request, Requested information not available이 선언될 수 있다.
Success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의 Query Data의 Data(예를 들어, 입력된 핀 값)와 표시중인 핀값이 동일 할 경우 지정되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의 값을 가진다.
Bad Request는 현재 핀 값을 표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지정되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을 값을 가진다. 이 경우,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의 Response Data에서 Data는 별도의 값을 가지지 않는다.
Request information not available은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의 Query Data의 Data(예를 들어, 입력된 핀 값)와 표시중인 핀값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지정되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의 값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및 제2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a-2d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도 3 및 도 4a-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301-S302 단계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장치 탐색을 수행하여 탐색 결과를 표시하고, 타겟 피어 리스트(target peer list)를 생성한다.
사용자 P2P 장치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장치 탐색 과정을 통해 주변의 P2P 장치를 탐색하고 탐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데, 도 3의 흐름도를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이 실시예는 도 4a의 상황을 가정하여 실시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P2P 장치는 P2P 장치 A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며, 사용자 P2P 장치 주변에는 P2P 장치 A, P2P 장치 B 및 P2P 장치 C가 존재한다. 이 때, 사용자 P2P 장치, P2P 장치 A, P2P 장치 B 및 P2P 장치 C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을 준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도 4a의 상황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P2P 장치A와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려고 하지만, 사용자 P2P 장치의 장치 탐색에 따라 탐색되는 P2P 장치는 P2P 장치 A, P2P 장치 B 및 P2P 장치 C가 될 것이다.
그런데, P2P 장치 A, P2P 장치 B 및 P2P 장치 C의 사용자가 와이파이 다이렉트에서 이용될 자신의 P2P 장치의 이름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P2P 장치의 장치 탐색 결과는 도 4b의 410과 같이 도시될 가능성이 높다.
도 4b의 410를 참조하면, P2P 장치 A, P2P 장치 B 및 P2P 장치 C의 장치의 이름은 410a-410c와 같이 Android 123A, Android 123B 및 Android 123C로 대단히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것이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P2P장치(즉, P2P 장치A)에 대응되는지 확신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P2P 장치A 내지 P2P 장치C는 각각 도 4b에 도시된 410a 내지 410c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P2P 장치가 연결하려는 P2P 장치(즉, P2P 장치A)에 대한 일종의 예비 후보 리스트인 타겟 피어 리스트(target peer list)를 생성하고, 생성된 타겟 피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피어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사용자 P2P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타겟 피어 리스트가 생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는 도 4b의 410과 같이 표시된 탐색 결과로부터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를 확신할 수 없을 경우,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로 추정되는 P2P 장치를 모두 선택함으로써, 타켓 피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는 도 4b의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a 및 410b만을 선택함으로써 Android 123A 및 Android 123B가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였던 P2P 장치A에 대응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b의 420을 통해 설명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성되는 Target peer list는 도 4b의 430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 P2P 장치에 의해 타겟 피어 리스트가 생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P2P 장치는 탐색된 주변의 P2P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 A 내지 C)로부터 수신한 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된 각 P2P 장치의 device type(장치의 종류)을 확인하여, device type 별로 P2P 장치를 분류하여 타겟 피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2P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 없이도, 탐색된 P2P 장치 중에서 휴대단말기, 프린터 또는 표시장치 등의 device type 중 어느 하나(또는 여러 개)의 타입(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에 해당하는 P2P 장치들의 목록을 타겟 피어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장치 탐색에 따라 탐색된 장치들 중에서, 특정 device type에 해당하는 P2P 장치만으로 target peer list를 생성하는 것은, P2P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P2P 장치) 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의 변경을 통해 프린터의 device type에 해당하는 P2P 장치 또는 표시장치의 device type에 해당하는 P2P 장치만으로 타겟 피어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Android 123a의 장치명에 대응되는 P2P 장치A의 device type이 휴대단말기이고, 휴대단말기의 device type에 해당하는 P2P 장치만으로 타겟 피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가정할 경우, 사용자 P2P 장치는 도 4b의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droid 123a만으로 타겟 피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생성된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와 핀 방식의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WSC (Wi-Fi Simple Configuration)의 핀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 P2P 장치는 핀 번호를 입력하는 PIN from Keypad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고, 피어 타켓 리스트 내의 P2P 장치로는 핀 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타겟 피어 리스트가 도 4b에 도시된 430과 같다면, 사용자 P2P 장치는 Android 123A 및 Android 123B에 대응되는 P2P 장치A와 P2P장치B와 핀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한다. 또한, 생성된 타겟 피어 리스트가 도 4b에 도시된 440과 같다면, 사용자 P2P 장치는 Android 123A와 핀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한다.
S304-S305 단계에서,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의 수행이 요청된 P2P 장치는 핀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 P2P 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의 핀 번호를 입력한다.
S303 단계를 통해,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provision discovery의 수행이 요청된 P2P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 따라 8자리의 디지털 비트(즉, 핀 번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의 핀 번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 A)가 표시하고 있는 핀 번호를 눈으로 확인하거나, P2P 장치A의 사용자에게 물어서 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S306-S307 단계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입력된 핀 번호를 토대로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provision discovery를 진행한 P2P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P2P 장치는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를 사용자 P2P 장치로 전송한다.
도 2a-2d를 통해 설명한 바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 P2P 장치는 미리 설정된 vender name(예를 들어, Samsung) 및 service type(예를 들어, PinValueCheck)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핀 번호를 토대로 Query Data를 생성하며, 이를 토대로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P2P 장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된 vender name, service type 및 data를 확인하고, 대응되는 Pin Check 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답(전송)한다.
사용자 P2P 장치가, vender name(Samsung) 및 service type(PinValueCheck) 및 data(P2P 장치A에 표시된 핀값을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가 입력한 핀값)을 특징으로 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P2P 장치는 vender name과 service type은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와 동일하고 data에는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핀값을 지정하고, status code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의 data의 핀값과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지정함으로써, 수신한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에 대응되는 Pin Check 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 때, Pin Check Response 메시지의 status code는 도 2a-2d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S308-S310 단계에서, 사용자 P2P 장치는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의 Status Code가 성공(success)인지 확인하여, 성공이 아니면 핀 번호가 불일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성공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나머지 절차를 수행한다.
이전 단계에서 핀값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status code가 설정되고, 설정된 status code를 토대로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가 생성됨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P2P 장치는 Pin Check Qu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각 P2P 장치(예를 들어, target peer list 내의 P2P 장치)로부터 Pin Check Quer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메시지의 내의 status code를 확인한다.
도 2a-2d를 통한 설명에서 status code는success, Request information not available 또는 Bad Request 의 값이 할당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P2P 장치는 status code가 Request information not available 또는 Bad Request 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P2P 장치의 사용자가 입력한 핀값과 연결을 시도한 P2P 장치의 핀값이 일치하지 않음을 통보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 P2P 장치는 status code가 success로 확인되면, 해당 P2P 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나머지 절차(예를 들어, Group Owner Negotiation 및 provisioning)를 수행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완료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0)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요청되면 장치 탐색을 수행하여 탐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탐색 결과를 통해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와 핀 방식의 프로비전 디스커버리(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는 과정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에 표시된 핀 번호를 입력하여 핀 체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로 전송하여 핀 체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 코드(status code)를 확인하여, 상기 응답 코드가 성공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위한 절차를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장치 탐색 결과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P2P 장치 중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가 하나 이상 선택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 선택된 P2P 장치가 포함된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장치 탐색 결과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P2P 장치의 장치 종류(device type)를 확인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장치 종류에 해당하는 P2P 장치가 포함되도록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종류는 상기 장치 탐색의 수행 중 수신하는 Probe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방식의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는,
PIN from Keypad 방식 및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수행되며,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는 PIN from display 방식으로 프로비전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체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하고자 하는 P2P 장치에 표시된 핀 번호가 입력되면 data에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vender name 및 service type을 설정하여, 상기 핀 체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가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핀 번호와 수신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상태 코드를 설정하여 핀 체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응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코드는,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핀 번호와 수신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번호가 일치하면 Success에 대응되는 코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코드는,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가 자신의 핀 값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 Bad Request에 대응되는 코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코드는,
상기 피어 타겟 리스트 내의 P2P 장치가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핀 번호와 수신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핀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Request information not available에 대응되는 코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수신한 핀 체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 코드(status code)를 확인하여, 상기 응답 코드가 성공이 아니면, 대응되는 메시지를 통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576A KR20130079839A (ko) | 2012-01-03 | 2012-01-03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US13/733,327 US20130170482A1 (en) | 2012-01-03 | 2013-01-03 | Wi-fi direct conne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576A KR20130079839A (ko) | 2012-01-03 | 2012-01-03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839A true KR20130079839A (ko) | 2013-07-11 |
Family
ID=4869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576A Withdrawn KR20130079839A (ko) | 2012-01-03 | 2012-01-03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70482A1 (ko) |
KR (1) | KR2013007983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7278A (ko) * | 2013-10-24 | 2015-05-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기기 간 자동 무선 통신 연결되는 영상 표시장치 및 이에 따른 영상표시 방법 |
WO2015119329A1 (ko) * | 2014-02-07 | 2015-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6017908A1 (ko) * | 2014-07-31 | 2016-02-04 | 엘지전자(주) |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WO2016068632A1 (ko) * | 2014-10-29 | 2016-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001341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fd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71962B (zh) | 2012-04-10 | 2019-03-22 | 索尼公司 | 通信装置、通信控制方法 |
CA2892372C (en) * | 2012-11-29 | 2016-10-1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in wi-fi direct service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CN103929720A (zh) * | 2013-01-16 | 2014-07-16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信息推送的方法、系统及信息发送端 |
JP6265607B2 (ja) * | 2013-02-22 | 2018-01-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AU2013382296B2 (en) | 2013-03-12 | 2017-02-0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eer to peer group formation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JP6253250B2 (ja) * | 2013-05-01 | 2017-12-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KR102257121B1 (ko) * | 2013-08-20 | 2021-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환경에서의 이중 역할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US9521614B2 (en) * | 2013-09-23 | 2016-12-13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Power efficient method for Wi-Fi home automation |
US9349104B2 (en) * | 2013-09-25 | 2016-05-24 | Google Inc. | Learning geofence models directly |
CN104581685B (zh) * | 2013-10-18 | 2018-12-14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发现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发送和接收装置 |
KR20150067876A (ko) * | 2013-12-10 | 2015-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
WO2015133819A1 (ko) | 2014-03-04 | 2015-09-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자동 스위칭 방법 및 장치 |
US9713453B2 (en) * | 2014-07-16 | 2017-07-25 | Neocoil,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eliability wireless communications |
US9883538B2 (en) * | 2014-08-27 | 2018-01-30 | Qualcomm Incorporated | Avoiding P2P connection failure due to push button configuration overlap |
KR102189653B1 (ko) * | 2014-09-24 | 2020-1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시지 송수신 방법,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비 일시적 기록매체 |
TWI568286B (zh) * | 2014-10-24 | 2017-01-2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點對點多媒體資料分享方法、電子裝置及非揮發性可讀式電腦媒體 |
CN107005839B (zh) | 2014-11-06 | 2020-09-01 | 三星电子株式会社 | 通过受信网络实体引导wi-fi直接通信 |
KR102208438B1 (ko) * | 2014-11-26 | 2021-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9736250B2 (en) * | 2015-06-26 | 2017-08-15 | Intel IP Corporation | Non-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on |
KR102315922B1 (ko) | 2015-07-07 | 2021-10-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
JP6532333B2 (ja) | 2015-07-21 | 2019-06-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570355B2 (ja) * | 2015-07-21 | 2019-09-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3144798B1 (en) * | 2015-09-18 | 2020-12-16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US11711496B2 (en) | 2016-05-13 | 2023-07-25 | Tactacam LLC | Wireless camera network |
US10216065B2 (en) | 2016-05-13 | 2019-02-26 | Tactacam Llc. | Camera system using interchangeable fixed lenses |
US10033789B2 (en) * | 2016-09-29 | 2018-07-24 | Intel Corporation | Connectionless wireless media broadcast |
WO2018135165A1 (ja) * | 2017-01-17 | 2018-07-26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装置、ペアリング方法、プログラム |
CN110099393B (zh) * | 2018-01-30 | 2022-06-21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监测配网设备的网络接入状态的方法、装置和系统 |
KR102373548B1 (ko) * | 2018-02-23 | 2022-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US11163590B2 (en) * | 2018-12-04 | 2021-11-02 | Sap Se | Graphical user interface command pattern |
EP4243380B1 (en) * | 2022-03-11 | 2024-10-09 | Zhuhai Pantum Electronics Co., Ltd. | Display method of wireless device for connection, device and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55163B2 (en) * | 2001-01-09 | 2006-12-26 | Agere Systems Inc. | Unified passcode pairing of piconet devices |
US7436300B2 (en) * | 2004-11-12 | 2008-10-14 | Microsoft Corporation | Wireless device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
CA2549223A1 (en) * | 2005-06-27 | 2006-12-27 | Renaissance Learning, Inc. | Wireless classroom response system |
US7747223B2 (en) * | 2007-03-29 | 2010-06-29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
JP5319375B2 (ja) * | 2009-04-14 | 2013-10-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の接続設定方法 |
US8493992B2 (en) * | 2010-02-04 | 2013-07-23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Interrelated WiFi and USB protocols and other application framework processes, circuits and systems |
JP2011166417A (ja) * | 2010-02-09 | 2011-08-25 | Sony Corp |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
US20120291103A1 (en) * | 2011-05-09 | 2012-11-15 | Google Inc. | Permission-based administrative controls |
US20130148643A1 (en) * | 2011-06-13 | 2013-06-13 | Qualcomm Incorporated |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
US20130046871A1 (en) * | 2011-08-17 | 2013-02-21 | Daniel Vik | Managing a plurality of associated medical devices |
-
2012
- 2012-01-03 KR KR1020120000576A patent/KR2013007983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1-03 US US13/733,327 patent/US2013017048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7278A (ko) * | 2013-10-24 | 2015-05-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기기 간 자동 무선 통신 연결되는 영상 표시장치 및 이에 따른 영상표시 방법 |
WO2015119329A1 (ko) * | 2014-02-07 | 2015-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US9980122B2 (en) | 2014-02-07 | 2018-05-2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6017908A1 (ko) * | 2014-07-31 | 2016-02-04 | 엘지전자(주) |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20170040240A (ko) * | 2014-07-31 | 2017-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0681591B2 (en) | 2014-07-31 | 2020-06-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
WO2016068632A1 (ko) * | 2014-10-29 | 2016-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264441B2 (en) | 2014-10-29 | 2019-04-1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very by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20013412A1 (ko) * | 2018-07-11 | 2020-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fd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70482A1 (en) | 2013-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9839A (ko) |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 |
US9820130B2 (en) | Method for creating Wi-Fi P2P group | |
US11671813B2 (en) | Function execu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US11012149B2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EP3402248B1 (en) | Program for caus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communication apparatus to execut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JP6368989B2 (ja) | 通信装置 | |
US856513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EP2919527B1 (en) | Device association methods and systems | |
WO2017067430A1 (zh) | 智能设备、电子装置及基于近场通信的网络连接方法 | |
US10321312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50659B1 (ko) | 위치 정보에 기반한 디바이스 검색 방법 및 장치 | |
US11494132B2 (en) | Communication device | |
US20160242033A1 (en) |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130044922A (ko) |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 |
US900979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secure wireless connection | |
JP2015070458A (ja) | 通信機器 | |
KR2020008458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8040524A1 (zh) | 分享热点的方法及设备 | |
WO2016111246A1 (ja) | 無線端末 | |
KR20150124760A (ko) |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인스턴트 커넥션 관리장치 및 방법 | |
EP2713672A2 (en) | Wireless slave devices configuration and communication therewith | |
EP4380206A1 (en) | Client communication method, client and communication system | |
JP2014072764A (ja) | 無線通信装置 | |
US20100293300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 |
KR101921142B1 (ko) |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