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242A - Doorway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Doorway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242A KR20130079242A KR1020120153183A KR20120153183A KR20130079242A KR 20130079242 A KR20130079242 A KR 20130079242A KR 1020120153183 A KR1020120153183 A KR 1020120153183A KR 20120153183 A KR20120153183 A KR 20120153183A KR 20130079242 A KR20130079242 A KR 20130079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eshold
- door
- guard
- elevator
- hoistw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66B13/285—Toe guards or apron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나 승강장의 출입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문턱의 홈이 하방을 향해 개방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의 일례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9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장에 착상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승강장 문턱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승강장, 부호 2는 승강장 도어, 부호 3은 건물벽에 고정된 레일이다. 승강장 도어(2)는 이 승강장 도어(2)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 행거(5)의 롤러(4)에 의해, 레일(3)에 현수되어 있다. 부호 6은 승강장 도어(2)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이다. 가이드(6)는 승강장(1)의 고정부(9)에 설치된 문턱(7)의 홈(10)에 결합되어 있다. 부호 11은 카(8)를 타고 있는 사람의 발끝이 문턱(7)이나 고정부(9)의 간극에 끼이거나, 승강로 내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판이다. 승강장(1)에 설치되는 보호판은 토우 가드 또는 페셔 플레이트라고 칭해지고, 카(8)에 설치되는 보호판은 에이프런이라고 칭해진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ntrance / exit device of an elev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of the elevator is mounted on the platform,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platform threshold. In the drawings,
카(8)는 승강장(1)과 마찬가지로, 카 도어(2a), 레일(3a), 롤러(4a), 도어 행거(5)a, 가이드(6a), 문턱(7a), 보호판(에이프런)(11a)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12는 카(8)를 현수하고 있는 메인 로프이다.The
이 구성의 경우, 문턱의 홈이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쓰레기나 먼지가 홈으로 들어가 도어의 개폐에 방해가 되거나, 또한 의장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groove of the threshold is opened upward, there is a problem that garbage and dust enter the groove and interfer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it is also not preferable in terms of design.
따라서, 홈이 문턱의 하방으로 개방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도 11은 승강장 도어와 문턱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3은 문턱(7)의 하방으로 개방된 홈이다. 부호 14는 승강장 도어(2)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이다. 가이드(14)는 홈(13)에 결합하는 안내편(15)과 이 안내편(15)을 승강장 도어(2)의 하단부에 고정하는 지지 부재(1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0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8)측의 문턱도 동일한 구성이다.Therefore, it is conceivable that the groove is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reshold. 11 is a front view of the landing door and the threshold,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In the figure,
가이드(14)를 승강장 도어(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문턱(7)의 승강로측(도 12의 우측)의 하단부(7b)와 보호판(11)의 상단부의 간극(S0)으로부터, 안내편(15)이 홈(13)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 부재(16)가 승강장 도어(2)의 하단부에 설치된다.When the
이 구성이면, 홈(13)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는 일이 없고, 또한 의장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이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no dust or dust enters the
상기한 구성에서는 간극(S0)으로부터 안내편(15)을 삽입하기 위해 간극(S0)이 커져 버린다. 그로 인해, 카(8)의 릴 베어링 시, 즉 카(8) 내의 하중의 변동에 의한 메인 로프(12)의 신축 등에 의해, 카(8)가 승강장(1)에 착상했을 때에 승강장 문턱(7)이나 문턱(7a)과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했을 때에, 카 도어(2a)를 개방한 상태에서 카(8)를 저속으로 승강할 때에, 이용자의 발끝이 간극(S0)에 끼일 가능성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gap S0 becomes larger to insert the
또한, 간극(S0)으로부터가 아니라 보호판(11)의 개방 방향(도 11의 좌우 방향) 단부로부터 가이드(14)를 간극(S0)에 삽입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보호판(11)의 개방 방향의 길이는 출입구의 폭 이상의 길이가 있으므로, 가이드(14)의 착탈 작업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o insert th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홈이 하방을 향해 개방된 문턱과, 상기 문턱이 설치된 승강장 또는 카의 고정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문턱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승강로측에 설치된 보호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그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mprising: a threshold disposed below a door of an elevator and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elevation being opened to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at a side of a hoistway of the fixing unit at an interval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wherein the protection plate is vertically adjustable in position ,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a guard for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이에 의해, 보호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작게 하여, 이용자의 발끝이 간극에 끼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Thus, since the position of the protection plate can be adjusted,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can be made small, and the toe of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caught in the ga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호판의 가드는 상기 보호판의 가드 이외의 부분과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드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of the protection plate is separable from the portion other than the guard of the protection plate, and the position of the guard is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의해, 가드를 소형ㆍ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드로서 강판의 굽힘재나 셰이프재를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uard can be made smaller and lighter,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shield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ending material or a shape material of a steel sheet as a guard.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홈이 하방을 향해 개방된 문턱과, 상기 문턱이 설치된 승강장 또는 카의 고정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문턱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승강로측에 설치된 보호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상부에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cluding a door disposed below a door of an elevator and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oor opening downward,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a hoistway of the fixing unit at an interval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the elevator doorway apparatus comprising: A guard for adjusting the clearance of the airbag is installed.
이에 의해, 가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reby, the guard can be easily installed.
또한 발명은 상기 도어의 개폐 중에 상기 가이드가 이동하는 범위 이외의 개소에, 상기 가드와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r for fixing the guard and the threshold at a position outside the range where the guide moves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이에 의해, 가드의 강도를 올릴 수 있으므로, 가드의 휨을 방지하여,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since the strength of the guard can be increased, warpage of the guard can be prevented, and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can be prevented from widen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면은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threshold portion on the hoistway side is an inclined surfa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hoistway.
이에 의해,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에 발끝이 들어간 경우라도, 카의 승강에 수반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발끝이 승강로측으로 압출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toe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the toe can be extruded toward the hoistway along the inclined surface with the elevation of the car.
또한, 상기 가드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く」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uard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U" shap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hoistway.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진다.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또한, 상기 가드는 그 중도부에 굴곡부를 갖고, 굴곡부의 선단은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면보다도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guard has a curved portion in its middle portion, and the tip end of the bent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hoistway side than the end surface on the hoistway side of the threshold.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진다.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또한, 상기 가드의 상단부는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면보다도 반승강로측 또는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Further, the upper end of the guard is dispos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end surface of the threshold on the side of the hoistway, on the side of the half hoistway or the flat surface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hoistway of the threshold.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문턱 홈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and dust and dust are less likely to enter the threshold groove.
또한, 상기 가드의 상단부는 굴곡부를 갖고, 굴곡부의 선단은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면보다도 반승강로측 또는 평단면에 있어서 상기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upper end of the guard has a bent portion, and the tip of the ben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end surface of the threshold on the side of the hoistway in the half-hoistway side or the flat end surface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hoistway side of the threshold.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문턱 홈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and dust and dust are less likely to enter the threshold groove.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홈이 하방을 향해 개방된 문턱과, 상기 문턱이 설치된 승강장 또는 카의 고정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문턱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승강로측에 설치된 보호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개폐 중에 상기 가이드가 이동하는 범위 이외의 개소에, 상기 가드와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cluding a door disposed below a door of an elevator and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oor opening downward,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a hoistway of the fixing unit at an interval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spacer for fixing the guard and the threshold is provided at a position outside the range where the guide moves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이에 의해, 가드의 강도를 올릴 수 있으므로, 가드의 휨을 방지하여,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since the strength of the guard can be increased, warpage of the guard can be prevented, and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can be prevented from widening.
또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홈이 하방을 향해 개방된 문턱과, 상기 문턱이 설치된 승강장 또는 카의 고정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문턱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승강로측에 설치된 보호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의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고, 상기 가드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く」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The door is provid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open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fixed portion of the lift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are provided in the groove.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at a side of the elevating passage of the fixing section at an interval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ng plate has a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ng plate And the guard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U" shape in which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trudes toward the hoistway.
이에 의해,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진다.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ve plate.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홈이 개방된 문턱과, 상기 문턱의 홈을 구성하는 벽부와, 상기 문턱이 설치된 승강장 또는 카의 고정부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홈에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문턱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부의 승강로측에 설치된 보호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이 보호판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문턱의 홈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는 가드를 구비하고, 가드의 단부는 문턱의 홈을 구성하는 벽부의 하단부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cluding: a door disposed below a door of an elevator and guid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wall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A guide installed in a door and coupled to the groove to gu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a hoistway of the fixing unit with an interval downward from the threshold, And a guard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groove of the threshold, and the end of the guard is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또한, 상기 가드의 상단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문턱의 홈을 구성하는 벽부의 하단부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The upper end of the guard may be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lower end face of th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문턱 홈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and dust and dust are less likely to enter the threshold groove.
또한, 상기 가드의 상단부는 문턱의 홈을 구성하는 벽부의 하단부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The upper end of the guard may be disposed above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이에 의해,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문턱 홈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and dust and dust are less likely to enter the threshold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문턱의 승강로측 단부의 하단부와 보호판의 상단부의 간극에 발끝이 끼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toe to b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nd portion on the hoistway side of the threshold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장에 착상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승강장 문턱 부근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승강장 도어와 문턱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 thresh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r of a conventional elevator is mounted on a platform.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landing threshold of Fig. 9;
1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landing door and a threshold.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으로, 도 12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 corresponds to Fig. 12,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12 denote the same elements.
도면에 있어서, 부호 20은 상하 방향의 긴 구멍(도시 생략)을 갖는 가드이다. 가드(20)는 이 긴 구멍을 통해 볼트(21)에 의해 고정부(9)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긴 구멍을 이용하여, 문턱(22)의 승강로측 하단부(22a)와 가드(20)의 상단부(20a)의 간극(S1)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호 22b는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이다. 부호 23은 승강장 도어(2)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구이다. 부호 24는 가이드이다. 가이드(24)는 문턱(22)의 홈(13)에 결합하는 안내편(25)과 이 안내편(25)을 지지구(23)에 고정하는 지지 부재(26)를 구비한다. 부호 27은 지지 부재(26)의 승강로측(도 1 우측)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심이다. 부호 28은 가드(20)의 보강재이다.In the figure,
가이드(2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안내편(25)이 홈(13)에 결합되고, 지지 부재(26)가 지지구(23)에 고정된다. 다음에, 볼트(21)에 의해 가드(20)가 고정부(9)에 설치된다. 이때 가드(20)의 긴 구멍을 이용하여 간극(S1)이 최적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가이드(24)를 제거할 때에는, 역의 수순이 행해진다.When the
이에 의해, 간단한 작업으로 최적의 간극(S1)의 설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발끝이 간극(S1)에 끼일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20)의 상단부(20a)는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보다 반승강로측(도 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간극(S1)에 쓰레기나 먼지가 들어가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가드(20)에는 보강재(28)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용자의 발끝이 부딪쳐도 가드(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since the optimum gap S1 can be set by a simple opera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s foot is caught in the gap S1 can be reduced.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재(28)가 단면 L자 형상이므로, 가드(20)는 상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가드(20)에 긴 구멍을 형성하고, 이 긴 구멍에 보강재(28)를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드(20)의 상하 양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보강재를 생략하여 가드(20) 자체의 강도를 올림으로써도, 가드(20)의 상하 양 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3)은 문턱(22)에 형성되는 2개의 벽부(16, 17) 사이에 형성된다. 이하, 2개의 벽부(16, 17) 중, 승강로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벽부를 제1 벽부(16)라고 하고, 반승강로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벽부를 제2 벽부(17)라고 한다. 제1 벽부(16) 및 제2 벽부(17)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은 제2 벽부(17)의 하단부면(17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가드(20)의 상단부(20a)는 제1 벽부(16)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가드(2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16)와 겹친 상태로 되어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는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경사지게 하여 승강로측 면(22c)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것에 맞추어 가드(30)의 상부(30a)도 승강로측 면(22c)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는 동시에, 그 선단은 평단면에 있어서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과 일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24)의 지지 부재(26a)도 상기 경사에 맞추어 경사진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 외에는 도 1과 동일하다.Fig.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part or all of the
이 구성이면, 카(8)가 슬로우업할 때에, 이용자의 발끝이 가드(30)의 상부(30a)나 문턱(22)의 승강로측 면(22c)에 부딪쳐도, 경사면에 의해 발끝이 승강로측(도 2 우측)으로 압출되기 때문에, 간극(S1)에 끼일 가능성이 한층 낮아진다.Even if the user's toes hit the upper surface 30a of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30)의 상단부(30a)는 홈(13)을 구성하는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end portion 30a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가드(40)의 상부는 단면 「く」자 형상으로 굴곡되고, 그 중간(41)의 승강로측(도 3 우측)의 선단은 평단면에 있어서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41)의 상측면(42)은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하측면(43)은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보강재(44)도 상기한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외에는 도 2와 동일하다.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이 구성이면, 가드(40)의 선단(상단부)은 반승강로측으로 도입되어 있으므로, 이용자의 발끝이 가드의 선단에 걸릴 가능성은 낮아진다. 또한, 가령 가드에 이용자의 발끝이 걸렸다고 해도 빼는 것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ip (upper end) of the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1, 도 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보강재(44)가 있으므로 가드(40)는 상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보강재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보강재를 생략하여 가드 자체의 강도를 올림으로써, 가드를 상하 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the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40)는 그 중도부와 상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드(40)의 하부는 굴곡되어 있지 않고,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가드(40)의 중도부의 굴곡 부분을 제1 굴곡부(40a)라고 하고, 상단부의 굴곡 부분을 제2 굴곡부(40b)라고 하고, 가드(40)의 하부의 직선의 부분을 직선부(40c)라고 한다.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제1 굴곡부(40a)는 직선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하, 「제1 편」이라고 함)(45)과, 제1 편(45)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하, 「제2 편」이라고 함)(46) 사이에 형성된다. 이 제1 굴곡부(40a)는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굴곡부(40a)는 횡방향(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굴곡부(40a)와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에 접하는 직선 또는 평면이, 대략 상하 방향(연직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제1 굴곡부(40a)가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제2 굴곡부(40b)는 상기한 제2 편(46)과, 제2 편(46)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하, 「제3 편」이라고 함)(47)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굴곡부(40b)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제2 굴곡부(40b)는 횡방향에 있어서,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보다도 반승강로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문턱(22)의 승강로측 단부면(22b)은 횡방향에 있어서 제2 굴곡부(40b)의 선단보다도 승강로측으로 나와 있다. 제2 굴곡부(40b)를 구성하는 제3 편(47)은 반승강로측에 있어서, 경사 하방을 향하고 있다.The second
제2 굴곡부(40b)의 선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홈(13)을 구성하는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굴곡부(40b)의 선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용자의 발끝이 제1 벽부(16)와 제2 굴곡부(40b)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of the second
가드(40)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굴곡부(40b)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인 동시에, 제2 편(46)과 제3 편(47) 사이에 오목부(48)를 갖는다. 이 오목부(48)에는 보강재(44)의 일단부가 넣어져 있다. 보강재(44)는 그 일단부가 제2 굴곡부(40b)의 오목부(48)에 넣어짐으로써, 가드(40)를 지지하고 있다.The second
직선부(40c)는 그 두께 방향에 관한 관통 구멍을 갖는다. 이 관통 구멍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호판(11)에도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직선부(40c)의 관통 구멍과 보호판(11)의 관통 구멍을 일치시켜, 이들에 볼트(21)의 축부를 삽입 관통하는 동시에, 이 볼트(21)의 축부를 문턱(22)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가드(40)는 문턱(22)에 고정된다. 직선부(40c)의 관통 구멍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직선부(40c)의 관통 구멍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지 않고, 원형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가드(40)의 제2 굴곡부(40b)의 선단이, 문턱(22)의 홈(13)을 구성하는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에 대략 일치하거나, 또는 이 하단부면(16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직선부(40c)의 관통 구멍이 긴 구멍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상하 방향의 위치 조정을 행하지 않고, 최적의 위치에 가드(4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through hole of the
또한, 제1 굴곡부(40a), 제2 굴곡부(40b) 및 직선부(40c)를 갖는 가드(40)는 금속제의 판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되고,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드(40)는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도 된다.The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가드 상부에 보강재를 부착하거나, 가드 자체의 강도를 올리고 있지만, 캔틸레버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다가, 가드의 개방 방향의 길이는 보호판과 마찬가지로 출입구의 폭 이상의 길이가 있으므로, 가드의 개방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서 간극(S1)을 유지하기 위해 가드 상부의 강도를 더 올리고 싶은 경우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reinfor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guard or the strength of the guard itself is increased. 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guard in the opening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It may be desired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ard to maintain the clearance S1 over the entire opening direction.
따라서 가드의 강도를 올린 실시 형태를 도 4에 의해 설명한다.Therefore,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guard is increa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도 2에 있어서 문턱(22)의 승강로측 면(22c)과 가드(30)의 상부(30a) 사이에 스페이서(50)를 설치한 것이다. 이 스페이서(50)에 의해 상부(30a)는 승강로측 면(22c)에 고정되므로, 가드(30)의 강도를 올릴 수 있어, 간극(S1)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50)는 도어(2)의 개폐 동작 중에, 가이드(24)가 이동하는 범위 이외의 개소, 즉 중앙 쌍바라지 도어의 중앙부나, 문턱(22)의 양단부에 설치한다.4 shows a
또한, 간극(S1)은 조절 가능하므로, 이것에 맞추어 심 등을 사용하여 스페이서(50)의 두께도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Since the gap S1 is adjustable, the thickness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드(51)의 하부에 직선부(51c)를 갖는다. 직선부(51c)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긴 관통 구멍(긴 구멍)을 갖는다. 직선부(51c)는 이 관통 구멍 및 볼트(21)를 통해 보호판(11)에 고정되어 있다. 가드(51)의 상부는 직선부(51c)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가드(51)의 상부의 외면은 직선부(51c)의 외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가드(51)의 내면은 가드(51)의 외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51a)을 갖는다. 가드(51)의 상부는 직선부(51c)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재(28, 44)를 사용하지 않고, 가드(51)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드(60)는 보호판(11)에 고정되는 직선부(60c)를 갖는다. 직선부(60c)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긴 관통 구멍(긴 구멍)을 갖는다. 직선부(60c)는 이 관통 구멍 및 볼트(21)를 통해 보호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직선부(60c)의 주위에는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벽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직선부(60c)의 주위에 벽부(62)가 형성됨으로써, 가드(6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재(28, 44)를 사용하지 않고, 가드(60)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가드(60)의 상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된다. 가드(60)의 외면은 직선부(60c)의 주위에 형성되는 벽부(62)의 단부면(62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가드(60)의 내면은 가드(60)의 외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60d)을 갖는다.The upper portion of the
가드(60)의 상단부(60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문턱(22)의 홈(13)을 구성하는 제2 벽부(17)의 하단부면(16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The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호판(11)은 가드(70)와, 보호판 본체(11a)와, 가드(70) 및 보호판 본체(11a)를 지지하는 지지판(18)을 갖는다. 지지판(18)은 보호판 본체(11a)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가드(70)를 지지한다. 지지판(18)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18a)와, 직선부(18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부(18b)와, 문턱(22)을 지지하는 지지부(18c)를 갖는다.7 and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직선부(18a)는 보호판 본체(11a)를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직선부(18a)는 볼트(21)를 통해 보호판 본체(11a)를 지지한다. 경사부(18b)는 가드(70)를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경사부(18b)는 볼트(72)를 통해 가드(70)를 지지한다. 지지부(18c)는 볼트(73) 및 너트(74)를 통해 문턱(22)에 연결되어 있다.The
가드(70)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가드(70)는 지지판(18)의 경사부(18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직선부(70c)를 갖는다. 직선부(70c)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긴 관통 구멍(19)을 갖는다. 이 직선부(70c)는 이 관통 구멍(19) 및 상기 볼트(72)에 의해, 지지판(18)의 경사부(18b)에 고정된다. 이 직선부(70c)의 주위에는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벽부(76)가 형성되어 있다.Th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70)의 상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드(70)의 상단부(70a)는 문턱(22)의 홈(13)을 구성하는 제1 벽부(16)의 하단부면(16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portion of the
가드(70)의 직선부(70c)에 관통 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드(70)를 고정하는 볼트(72)를 헐겁게 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70)를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가이드(24)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내편(25)을 문턱(22)의 홈(1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Since the through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드의 상단부가 문턱보다도 승강로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간극으로부터 쓰레기나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턱과 가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드에 의한 가이드의 승강로측(각 도면의 우측)으로의 탈락 방지 효과가 커져, 승강장측으로부터 승강로측으로 도어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도 12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가이드가 벗어나기 어려워진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ard does not protrude more toward the hoistway than the threshold, so that dust, dust,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gap.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from the landing side to the hoistway side,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guard can be made small,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guide from falling off toward the hoistingway side The guide is difficult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호판(11)은 문턱(22)의 충분히 하방에 고정하고, 보호판(11)의 상방에, 보호판(11)과 겹쳐서 가드(20, 30, 40)를 설치하고 있지만, 보호판(11)의 일부에 가이드(24)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를 이용하여 가이드(24)를 도어(2)에 설치하고, 그 후 절결부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한 가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판(11)의 상단부와 문턱(22)의 하단부는 간극(S1)으로 해 둔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가드를 소형ㆍ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가드의 설치 조정이 용이해진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ize and weight of the guard can be reduced,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adjustment of the guard can be facilitated.
또한, 가드(20, 30, 40)를 고정부(9)에 설치할 때에, 가드(20, 30, 40)를 보호판(11)과 겹쳐도 되고, 겹치지 않아도 되는, 가드(20, 30, 40)와 보호판(11) 사이에 간극이 생겼다고 해도, 고정부(9)가 있으므로 발끝이 끼이는 일은 없다. 또한, 가드(20, 30, 40)를 보호판(11)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장측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카측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landing side is described, but the car side can also be used.
1 : 승강장
2 : 승강장 도어
6, 6a, 14, 24 : 가이드
7, 7a, 22 : 문턱
8 : 카
9 : 승강장의 고정부
10, 13 : 홈
11 : 보호판
15, 25 : 안내편
16, 26, 26a : 지지 부재
19 : 관통 구멍
20, 30, 40, 51, 60, 70 : 가드
23 : 지지구
28, 44 : 보강재
50 : 스페이서
S0, S1 : 간극1: platform
2: Landing door
6, 6a, 14, 24: Guide
7, 7a, 22: Threshold
8: Car
9: Fixed part of platform
10, 13: home
11: Shield plate
15, 25: guide
16, 26, 26a: support member
19: Through hole
20, 30, 40, 51, 60, 70: guard
23: District
28, 44: stiffener
50: Spacer
S0, S1: Clearance
Claims (14)
상기 보호판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그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A door dispos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open downward; a fixed portion of the platform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nd a front end portion coupled to the door, A guid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istway of the fixing portion at an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Wherein the protection plate is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a guard for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상기 보호판의 상부에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A door dispos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open downward; a fixed portion of the platform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nd a front end portion coupled to the door, A guid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istway of the fixing portion at an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And a guard for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상기 보호판의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개폐 중에 상기 가이드가 이동하는 범위 이외의 개소에, 상기 가드와 상기 문턱을 고정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A door dispos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open downward; a fixed portion of the platform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nd a front end portion coupled to the door, A guid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istway of the fixing portion at an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 plate is a guard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shield plate and a spacer for fixing the guard and the threshold is provided at a position outside the range where the guide moves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elevator doorway device.
상기 보호판의 상부는 상기 문턱과 보호판의 간극을 조절하는 가드로 되어 있고, 상기 가드는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승강로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く」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A door dispos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open downward; a fixed portion of the platform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nd a front end portion coupled to the door, A guid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istway of the fixing portion at an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is a guard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threshold and the protection plate, and the guard ha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in an intermediat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hoistway.
상기 보호판은 이 보호판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문턱의 홈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는 가드를 구비하고,
가드의 상단부는 문턱의 홈을 구성하는 벽부의 하단부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치.A door provided below the door of the elevat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a fixed portion of the platform or car installed with the threshold; A guide which is coupled to the groove and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protection plat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istway of the fixing part at an interval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hreshold,
Wherein the shield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ield plate and has a guard provided at a position near the groove of the threshol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guard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groove of the thresh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82572 | 2011-12-26 | ||
JPJP-P-2011-282572 | 2011-1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42A true KR20130079242A (en) | 2013-07-10 |
KR101943660B1 KR101943660B1 (en) | 2019-01-29 |
Family
ID=4863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3183A KR101943660B1 (en) | 2011-12-26 | 2012-12-26 | Doorway device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928899B2 (en) |
KR (1) | KR101943660B1 (en) |
CN (1) | CN103171954B (en) |
HK (1) | HK118268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29943B2 (en) * | 2014-03-05 | 2017-11-1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JP6229945B2 (en) * | 2014-03-06 | 2017-11-1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JP6229944B2 (en) * | 2014-03-06 | 2017-11-1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JP6229946B2 (en) * | 2014-03-12 | 2017-11-1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JP2015182870A (en) * | 2014-03-25 | 2015-10-22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Elevator door opening/closing device |
CN103910265B (en) * | 2014-04-29 | 2016-08-24 |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 A kind of cage guide clamping support |
JP6315342B2 (en) * | 2014-12-22 | 2018-04-2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Door device for elevator |
CN107010520A (en) * | 2017-04-01 | 2017-08-04 | 广东奥尔斯电梯有限公司 | Elevator sliding guide shoe sill |
JP7140918B2 (en) * | 2019-06-04 | 2022-09-2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landing threshold device |
JP2022076535A (en) * | 2020-11-10 | 2022-05-20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Doorsill installation device and doorsill installation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37774U (en) | 1984-02-21 | 1985-09-12 | 株式会社東芝 | elevator threshold device |
WO2005019086A1 (en) * | 2003-07-21 | 2005-03-03 | Wittur Ag | Deflecting door panel guide mechanism |
WO2006048928A1 (en) * | 2004-11-04 | 2006-05-1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Doorway device for elevator |
KR20100084243A (en) * | 2009-01-16 | 2010-07-26 | 선희숙 | Door apparatus of elevator |
JP2010163230A (en) * | 2009-01-14 | 2010-07-29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ca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06913A (en) * | 1995-10-31 | 1998-01-13 | Otis Elevator Company | Guide assembly for an elevator door |
JP2002020067A (en) * | 2000-07-07 | 2002-01-23 | Fujitec Co Ltd | Exit/entrance device for elevator |
US20040206581A1 (en) * | 2003-04-16 | 2004-10-21 | Baumann Matthew D. | Sill shield |
ES2331382T3 (en) * | 2007-03-23 | 2009-12-30 | Wittur Holding Gmbh | THRESHOLD WITH COVERED GUIDE. |
KR20090079582A (en) * | 2008-01-18 | 2009-07-22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Guide shoe and sill structure of elevator door |
JP2009286603A (en) * | 2008-05-30 | 2009-12-10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Door device of elevator |
-
2012
- 2012-12-20 JP JP2012277731A patent/JP59288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2-26 KR KR1020120153183A patent/KR10194366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26 CN CN201210574944.0A patent/CN10317195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28 HK HK13110063.6A patent/HK1182682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37774U (en) | 1984-02-21 | 1985-09-12 | 株式会社東芝 | elevator threshold device |
WO2005019086A1 (en) * | 2003-07-21 | 2005-03-03 | Wittur Ag | Deflecting door panel guide mechanism |
WO2006048928A1 (en) * | 2004-11-04 | 2006-05-1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Doorway device for elevator |
JP2010163230A (en) * | 2009-01-14 | 2010-07-29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car |
KR20100084243A (en) * | 2009-01-16 | 2010-07-26 | 선희숙 | Door apparatus of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3660B1 (en) | 2019-01-29 |
HK1182682A1 (en) | 2013-12-06 |
JP2013151371A (en) | 2013-08-08 |
JP5928899B2 (en) | 2016-06-01 |
CN103171954A (en) | 2013-06-26 |
CN103171954B (en) | 2016-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3660B1 (en) | Doorway device for elevator | |
EP2424808B1 (en) | Anti-derailment device for lift or elevator door leaves | |
KR20090110441A (en) |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 |
JP6076652B2 (en) | Sliding door device of the lower rail traveling type of the vinyl house | |
JP2009242039A (en) | Elevator device and its entrance device | |
CN104891315B (en) | Elevator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JP2007015815A (en) | Elevator door device | |
JP2015093767A (en) | Door-opened traveling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 |
CN110589667A (en) | Elevator safety sill capable of preventing sundries from separating | |
CN204643501U (en) | Elevator door groov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ill thereof | |
KR200460162Y1 (en) | elevator screen door sliding guiding apparatus | |
KR20100006592U (en) |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 |
KR100898000B1 (en) |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 |
KR100996117B1 (en) | Safety door footing for industrial elevator | |
CN211004106U (en) | Elevator safety sill capable of preventing sundries from separating | |
KR101220492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 |
JP6229945B2 (en)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2012162370A (en) | Elevator boarding place door device | |
KR20110005391A (en) | Elevator entrance' s door with protecting device for breakaway | |
KR20080076660A (en) | The apparatus of preventing separation for the door of an elevator | |
JP6229944B2 (en)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CN107285175A (en) | Hoistway door assembly and elevator device | |
JP2006027893A (en) | Handrail of passenger conveyor | |
JP2012229123A (en) | Escalator | |
KR20100021295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breakaway of door of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