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000B1 -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000B1
KR100898000B1 KR1020080085746A KR20080085746A KR100898000B1 KR 100898000 B1 KR100898000 B1 KR 100898000B1 KR 1020080085746 A KR1020080085746 A KR 1020080085746A KR 20080085746 A KR20080085746 A KR 20080085746A KR 100898000 B1 KR100898000 B1 KR 10089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lower frame
elevator
escap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filed Critical 이영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세로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억제시켜 엘리베이터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가 하부 프레임의 가드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설령 가이드 슈가 가드 홈에서 이탈된다하더라도 그 이탈의 정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휘어짐에 의하여 생기는 추락공간역시 최소화시켜 추락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함은 물론이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war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of the elevator from the landing side to prevent the guide sho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to escape from the guard groove of the lower frame as well as the guide shoe guard Even if it is dislodged from the home by minimizing the degree of departure, the fall space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elevator door is also minimized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as well as to prevent human injury caused by this purpose.

이를 위한 이탈 방지구는 역“T”자형, “ㅁ”자형 및 역“ㄷ”자형으로 구성되었다.The escape guard for this purpose was composed of inverted “T”, “ㅁ” and inverted “c”.

역“T”자형 이탈 방지구는 하부프레임의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탈방지 세로홈에 삽입된 구성이고, “ㅁ”자형 및 역“ㄷ”자형 이탈 방지구는 하부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The inverted “T” shaped escape guard is inserted into the escape prevention vertical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and the “ㅁ” shaped and inverted “c” shaped escape guar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frame.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이탈방지구의 상부 수직부는 엘리베이터 출입문측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있고 그 하부의 역“T”자형 수평돌출부가 하부프레임의 이탈방지 세로홈에 삽입되어있거나 아니면 “ㅁ”자 형상 또는 역“ㄷ”자 형상의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구조이므로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세로방향으로 휘어짐을 방지하게 되어 추락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upper vertical part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thus constructed is firmly fixed to the elevator door side frame, and the inverted “T” horizontal projection at the bottom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on longitudinal groove of the lower frame or “ㅁ” shape or inverse “. Because the c-shaped escape stopper surrounds the lower frame, it prevents the elevator door from b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strong impact, so that no fall space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이탈 방지구의 하부가 엘리베이터 출입문과 함께 이동되면서 하부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되어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동시에 추락공간을 미연에 방지하는 2중의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Since the lower part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is firmly supported on the lower frame while being mov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door, the elevator door is smoothly gu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double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 space in advance. It is a useful invention.

엘리베이터 출입문, 가이드 슈, 하부프레임, 가이드 홈, 이탈 방지 세로홈, 틈새간격 a, 역 T자형상의 이탈 방지구 Elevator door, guide shoe, lower frame, guide groov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 clearance gap a, reverse T-shaped separation preven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승강장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세로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억제시켜 엘리베이터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가 하부 프레임의 가드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휘어짐에 의한 추락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추락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sid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bending of the elevator do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from the landing sid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side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that prevents the guide shoe from falling out of the guard groove of the lower frame so as not to cause a fall space due to the bending of the elevator door, thereby preventing personal injury caused by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출입문구조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elevator door structure that is currently used a lot.

1) 엘리베이터 출입문구조1) Elevator door structure

엘리베이터 출입문(10)구조는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30)으로 이루어졌다.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30)은 지지 브라켓(40)에 의하여 코아 벽체(6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있다. 도1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30)에 위치되어 있으면서 상부프레임(20)에 현가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하중은 상부프레임(20)이 지지하고 있는 구조이다. 하부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을 상부프레임(20)과 평행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뿐,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는 아니다. The elevator door 10 structure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 20 and a lower frame 30.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30 are firmly fixed to the core wall 60 by the support bracket 40. As shown in FIG. 1, the elevator door 10 is suspended in the upper frame 20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30. The charge of the elevator door 10 is a structure that the upper frame 20 supports. The lower frame 30 serves to guide the elevator door 10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20 and is not a member supporting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2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상부프레임(20)과 엘리베이터 출입문(10)과의 관계는 견고한 구조인데 반하여 하부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방향을 유도하는 구조이므로 하부 프레임(30)과 엘리베이터 출입문(10)과의 관계는 견고한 구조가 아니다. Thus, the upper frame 20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entir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frame 20 and the elevator door 10 is a solid structure, while the lower frame 30 is an elevator door 10 Since the structure to induce the direction o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frame 30 and the elevator door 10 is not a solid structure.

하부 프레임(30)과 엘리베이터 출입문(10)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frame 30 and the elevator door 10 will be described below.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방향을 유도하기위하여 하부프레임(30)에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되어있고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는 가이드 슈(12)가 설치되어있다. 통상 가이드 슈(12)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2~3개 설치되어있다.In order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10, the guide frame 32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30, and the guide shoe 1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corresponding thereto. Usually, 2 or 3 guide shoes 12 are provided in the elevator door 10.

만약 하부프레임(30) 없이 상부프레임(20)만으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 하중을 지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좌우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은 지지력이 없고 상부프레임(20)이 회전축이 되어 작은 충격에도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이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쪽으로 열리게 된다. 이는 추락사고의 원인이 된다.If the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0 is made while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with only the upper frame 20 without the lower frame 30,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0 has no support force and the upper frame ( 20) becomes the rotation axis,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is opened toward the elevator lift path even in the small impact. This causes a fall accident.

하부프레임(30)은 상기의 상부프레임(20)이 회전축이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The lower frame 30 is a member that serves to guide the elevator door 10 smooth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preventing the upper frame 20 from becoming a rotating shaft.

하부프레임(30)에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되어있고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는 가이드 슈(12)가 설치되어있다.A guide groove 32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30, and a guide shoe 12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32.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에 가이드 슈(12)가 삽입되는 구조는 2가지요건을 만족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하나의 요건은 상부프레임(20)이 회전축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하고, 다른 하나의 요건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수평방향으로의 원활한 유도구조이어야 한다. The guide shoe 1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should be a structure that satisfies two requirements. One requirement should be a structure to prevent the upper frame 20 from becoming a rotation axis, and the other requirement should be a smooth guide struct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10.

이를 동시에 만족하기위하여 가이드 홈(32)에 가이드 슈(12)를 삽입하되 가이드 슈(12)는 가이드 홈(32)의 바닥에서 d만큼 떨어져있어야 하고, 가이드 홈(32)의 측면에 거의 밀접되어 있어야한다. 또한 가이드 슈(12)의 내부는 강재로 되어있으나 강재의 양 측면은 고무재질로 되어있다. 가이드 슈(12)의 양 측면 고무는 가이드 홈(32)의 측면과의 마찰을 적게 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수평방향으로의 가이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다. In order to satisfy this at the same time, the guide shoe 1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but the guide shoe 12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32 by d, and close to the side of the guide groove 32. Should b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uide shoe 12 is made of steel, but both sides of the steel are made of rubber. Both side rubbers of the guide shoe 12 are used to smooth the gu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10 while reducing friction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32.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12)가 하부프 레임(30)의 가이드 홈(32)에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가 아니므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휘어지면서 가이드 슈(12)가 가이드 홈(32)에서 이탈되게 되어 추락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guide shoe 12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is not firm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so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elevator As the door 10 is bent, the guide shoe 12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32, thereby causing a fall accident.

2) 코아 벽체(60)와 하부프레임(30)과의 틈새간격(a) 2) clearance gap between core wall 60 and lower frame 30 (a)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위하여 고층건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먼저 코아가 형성된다. 코아는 고층건물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으로 하나로 형성된 내부공간이다. 코아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로 이용된다. 코아를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로 이용한다고 해서 코아 그대로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는 코아의 수직선을 따라 상하이동 된다.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는 반드시 수직선으로 되어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가 코아 벽체(60)에 충돌되어 엘리베이터로서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to install an elevator, a core is first formed. Core is an inner space formed vertical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a high-rise building. Core is used as a lift passage. The use of core as the lifting passage of the elevator does not mean that the core is the lifting passage of the elevator. The elevator will move along Shanghai's vertical line. The elevator corridor must be vertical. Otherwise, the elevator collides with the core wall 60 and cannot serve as an elevator.

그런데 콘크리트로 축조되는 고층건물은 아무리 정교하게 시공한다하더라도 시공오차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시공오차는 고층건물의 코아 벽체(60)에도 적용된다. However, no matter how elaborately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ed of concrete, there is a construction error. This construction error is also applied to the core wall 60 of a high-rise building.

코아 벽체(60)를 육안으로 볼 때 수직벽으로 보여진다하더라도 시공오차로 인하여 경미한 휘어짐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하나의 수직선을 이루고 있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는 수직선이 유지되어야하므로 코아 벽체(60)를 수직선으로 보정하기위하여 코아 벽체(60)와 승강통로사이에는 틈 새간격 a가 생기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Although the core wall 60 is visually seen as a vertical wall, there is a slight bending due to construction errors, so it is also true that the core wall 60 does not form a vertical lin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nce the elevator corridor must maintain a vertical line, it is inevitable that a gap gap a occurs between the core wall 60 and the elevator corridor to correct the core wall 60 as a vertical line.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통로는 코아 벽체(60)에서 틈새간격 a만큼 떨어진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코아 벽체(60)에서 틈새간격 a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상ㆍ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상ㆍ하부프레임(20)(30)은 틈새간격 a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In other words, the lifting passage of the elevator is locat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core wall 60 by a gap a. Accordingly, the elevator door 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re wall 60 by a gap a. Since the elevator door 10 is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frames 30,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 and 30 ar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the clearance gap a.

3) 하부프레임(30)의 고정3) fixing of the lower frame 30

상부프레임(2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자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The upper frame 20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elevator door 10.

상부프레임(20)은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 a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설치하면 된다. The upper frame 20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while maintaining the clearance gap a from the core wall 60.

하부프레임(30)역시 상부프레임(20)과 평행으로 설치하면서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a)이 유지되게 설치하면 된다. 그러나 하부프레임(30)은 상부프레임(20)과는 달리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을 좌우 수평방향으로 개폐되게 하는 가이드 부재이기 때문에 하부프레임(30)에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자중이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The lower frame 30 may also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20 so as to maintain a clearance gap a from the core wall 60. However, since the lower frame 30 is a guid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10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unlike the upper frame 20, the weight of the elevator door 10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frame 30 at all. .

하부프레임(30)은 지지 브라켓(40)에 의하여 코아 벽체(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lower frame 30 is firmly fixed to the core wall 60 by the support bracket 40.

이때 하부프레임(30)의 전 구간에 걸쳐 지지 브라켓(40)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타고내리는 구간, 즉 도1에서와 같이 [DL + DR]구간에만 지지 브라켓(40)으로 고정하고, [LL과 LR]구간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하부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자중을 지지하는 부재가 아니고 단순히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개폐를 유도하는 부재이기 때문이다. 하부 프레임의 [LL과 LR]구간은 지지 브라켓(40)이 없기 때문에 [LL과 LR]구간의 하부프레임(30)의 저부는 공간에 떠있는 상태이므로 전혀 방해를 받지 않는 형태이다. At this time, rather than being fixed by the support bracket 40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lower frame 30, it is fixed by the support bracket 40 only in the section where people ride down, that is, [DL + DR] section as shown in FIG. It is not fixed in the [LL and LR] section. This is because the lower frame 30 is not a member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elevator door 10 but is simply a member that induc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0. Since the [LL and LR] section of the lower frame does not have the support bracket 40,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30 of the [LL and LR] section is in a floating state and thus is not disturbed at all.

그렇지만 하부프레임(30)의 전 구간, 즉 [LL + DL + DR + LR]구간에는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 a로 이격된 상태이다. However,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lower frame 30, that is, the [LL + DL + DR + LR] section, the gap is spaced apart from the core wall 60 by a gap spacing a.

사람이 타고내리는 구간, 즉 [DL + DR]구간은 바닥재로 마감ㆍ처리되었기 때문에 틈새간격 a가 보이지 않을 뿐이다. [LL과 LR]구간은 마감ㆍ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틈새간격 a가 그대로 존재된 상태이다. 다만 코아 벽체(60)에 가려져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뿐이다. The section where people ride down, that is, the section [DL + DR], is finished and treated with flooring, so there is no visible gap a. Since the [LL and LR] sections are not finished or processed, the clearance gap a remains. However, it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because it is hidden by the core wall 60.

이를 요약하면 엘리베이터 승강통로는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 a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상부 프레임(20)에 전적으로 지지되고, 하부 프레임(30)에 의하여 좌우수평으로 가이드된다. In summary, the elevator hoistway is located at a distance apart from the core wall 60 by a gap a. The elevator door 10 is fully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20 and guided horizontally by the lower frame 30.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상단롤러(22)가 상부 프레임(20)위에 얹혀진 채 좌우로 이동되는 구조이고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12)가 하부 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 내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때 하부 프레임(30) 의 가이드 홈(32)에 삽입된 가이드 슈(12)는 가이드 홈(32)의 저부까지 밀착되지 않고 d만큼 이격되어있다. 즉 가이드 홈(32)에 삽입된 가이드 슈(12)의 깊이는 대략1~1.5cm이다. 가이드 슈(12)는 양 측면이 고무재질로 감싸여있다. 가이드 홈(32)에서 가이드 슈(12)의 이동이 원활하게 하기위해서다. The top roller 22 of the elevator door 1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mounted on the upper frame 20, and the guide shoe 1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0 has a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30 ( It is a structure inserted in 32). At this time, the guide shoe 1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is spaced apart by d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32. That is, the depth of the guide shoe 1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is approximately 1 to 1.5 cm. Guide shoe 12 is wrapp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material. This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guide shoe 12 in the guide groove 32.

이와 같이 가이드 홈(32)에 삽입된 가이드 슈(12)의 깊이가 너무 얇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세로방향에 휘어짐이 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12)가 하부 프레임(30)의 가이홈(32)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충격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이탈되어 추락사고가 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Since the depth of the guide shoe 1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is too thin,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door 10 increa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uide shoe 12 installed in th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For this reason, the elevator door 10 is bent due to the impact and the elevator door 10 is separated and the crash accident occurs.

본 발명은 승강장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세로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억제시켜 엘리베이터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가 하부 프레임의 가드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설령 가이드 슈가 가드 홈에서 이탈된다하더라도 그 이탈의 정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휘어짐에 의하여 생기는 추락공간역시 최소화시켜 추락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함은 물론이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war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of the elevator from the landing side to prevent the guide sho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to escape from the guard groove of the lower frame as well as the guide shoe guard Even if it is dislodged from the home by minimizing the degree of departure, the fall space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elevator door is also minimized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as well as to prevent human injury caused by this purpos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0)과,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을 전혀 지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수평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면서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 a만큼 떨어진 위치에 고정시킨 하부프레임(30)과, 그리고 엘리베이터 출입문(10)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12)가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이 삽입되는 조립관계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조립 구조체를 전제로 한 발명이다. The elevator door-side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20 that fully supports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10 without supporting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at all The guide frame of the lower frame 30 is provided with a lower frame 30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re wall 60 by a gap spacing smoothly, and a guide shoe 1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0. The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of an elevator assembly structure having an assembly relationship in which (32) is inserte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세로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 하단에 설치된 가이 드 슈(12)가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지하기위하여 하부 프레임(30)의 가이드홈(32)과, 그리고 도1에서의 LL과 LR을 이용한 발명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elevator door 10 is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guide shoe 12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0 is a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30) 32 is an invention using a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and LL and LR in FIG.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는 하부 프레임(30)의 가이드홈(32)의 바닥면(34)과 가이드 슈(12)의 관계와, 그리고 하부프레임(30)의 LL과 LR구간과 틈새간격 a와의 관계를 이용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anding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guide shoe 12, and the LL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R section and the clearance gap a is used.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1)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에 형성한 이탈 방지 세로홈(36)(1) Departure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과 가이드 슈(12)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guide shoe 12 will be described.

가이드 슈(12)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 하단에 설치되어있으면서 하부 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가이드 슈(12)가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에 밀착되지 않고 d만큼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가이드 슈(12)를 d만큼 이격시킨 것은 가이드 슈(12)와 가이드 홈(32)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위해서다. 하부프레임(30)의 역할이 상부프레임(20)과 같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이 아니라 단순히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이다.The guide shoe 12 is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door 10. However, the guide shoe 12 is inserted into the spaced apart state d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The guide shoe 12 is spaced apart by d 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shoe 12 and the guide groove 32. This is because the role of the lower frame 30 does not support the load like the upper frame 20, but merely serves to guide the elevator doo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가이드 슈(12)와 가이드 홈(32)과의 삽입구조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게 하는 구조일 뿐,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재가 아니므로 가이드 슈(12)와 가이드 홈(32)과의 삽입구조는 구조 역학적인 관계가 전혀 없는 구조이다. 가이드 슈(12)와 가이드 홈(32)과의 삽입구조가 구조 역학적으로 아무런 관계가 없는 구조라면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과 d만큼 이격된 가이드 슈(12)의 관계역시 더더욱 구조 역학적으로 아무 상관이 없는 구조이다. In this way, the insertion structure between the guide shoe 12 and the guide groove 32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levator door 10 to be smoothly gu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not a structural member that supports the load. The insertion structure with the guide groove 32 is a structure without any structural dynamics. If the insertion structure between the guide shoe 12 and the guide groove 32 has no structural dynam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e shoe 12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by d is even greater. It is a structur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mechanics.

하부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가 아니므로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 일부분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탈 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한다 해도 하부프레임(30)의 구조와 형상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Since the lower frame 30 is not a member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the lower frame 3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longitudinal grooves 36 from being separated.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structure and shape of (30).

하부프레임(30)을 설명의 편의상 『DL + DR』구간인 『승하강구간』과, 그리고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열리기 위하여 『LL구간 및 LR구간』인 『이동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동공간』인 『LL구간 및 LR구간』에서는 하부프레임(30)에 전혀 하중이 걸리지 않는 구간이다. 하부프레임(30)의 역할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하강구간』인 『DL + DR』구간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이 전혀 걸리지 않는 구간이긴 하지만 사람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리는 구간이므로 사람의 체중이 걸리는 구간이다. 하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40)을 『이동공간』에는 설치하지 않고 『승하강구간』에만 설치하는 것은 승하강하는 사람의 무게를 지지 하기위한 것이기도 하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ower frame 30 may be divided into a "descent section" which is a "DL + DR" section, and a "moving space" which is a "LL section and an LR section" to open an elevator door 10. In the "LL section and LR section", which is a "moving space", the lower frame 30 is a section in which no load is applied at all. This is because the role of the lower frame 30 serves to guide the elevator doo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the section "DL + DR",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is not taken at all, but a section in which a person gets off the elevator and thus takes a person's weight.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bracket 40 supporting the lower frame 30 only in the "elevating section" without installing in the "moving space" is also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erson.

이탈 방지 세로홈은 하부프레임(30)의 전 구간에 형성하지는 않는다. 전 구간에 이탈 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하게 되면 하부프레임(30)이 2개로 나뉘게 되어 하부프레임(30)을 코아벽체(6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탈 방지 세로홈(36)은 『이동공간』에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탈 방지 세로홈(36)을 『승하강구간』에 설치하게 되면 승하강하는 사람의 무게를 하부프레임(30)이 지지하여야하므로 이탈 방지 세로홈(36)으로 인하여 구조상 불리하게 된다.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s are not formed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lower frame 30.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 36 is formed in the entire section, the lower frame 30 is divided into two because the lower frame 30 cannot be firmly fixed to the core wall 60. The separation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is most preferably formed only in the "moving space".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 36 is installed in the "raising and falling section", the lower frame 30 must support the weight of the person who moves up and down, which is disadvantageous in structure due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 36.

『이동공간』에 형성한 이탈 방지 세로홈(36)으로 인하여 하부프레임(30)의 구조가 취약해진다든지 형상이 뒤틀리게 되어 구조상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Due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s 36 formed in the `` moving space '', the structure of the lower frame 30 is weak, or the shape is distorted, so that there is no structural problem.

『이동공간』의 하부프레임(30)은 어떠한 하중도 지지하고 있지 않은데다 『승하강구간』의 하부프레임(30)에 이탈 방지 세로홈(36)을 거의 형성하지 않고, 또 하부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부재일뿐, 전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재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The lower frame 30 of the `` moving space '' does not support any load and hardly forms a departure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n the lower frame 30 of the `` raising and lowering section '', and the lower frame 30 is This is even more so because it is a member that guides the elevator doo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not a structural material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elevator door 10 at all.

가. 이탈 방지 세로홈(36)과 관련된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 및 그 형상 end. Inverted T-shaped release preventing opening 52 associated with the drop-off preventing groove 36 and its shape

이탈 방지 세로홈(36)은 상기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30)의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되어있다.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는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s formed in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of the lower frame 30 as described above. The inverted T-shaped escape stopper 52 is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escape stop vertical groove 36.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는 도4에서와 같이 역 T자 형상이다. 역 T자 형상의 상단은 수직부(522)이고 하단은 양측으로 수평돌출부(524)로 형성되어있다. 역 T자 형상의 수직부(522)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역 T자 형상의 수평돌출부(524)는 하부프레임(30)의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된다. 이탈 방지 세로홈(36)이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되어있으므로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각각에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를 설치한다. The reverse T-shaped escape lock 52 has an inverted T shape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inverted T shape is a vertical portion 522 and the lower end is formed of horizontal protrusions 524 on both sides. The inverted T-shaped vertical portion 522 is fixed to the side frame of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inverted T-shaped horizontal protrusion 524 is inserted into the departure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of the lower frame 30. .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s formed in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the reverse T-shaped escape prevention opening 52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An inverted T-shaped escape lock 52 is provided in each of the elevator doors 10.

역 T자 형상의 수직부(522)는 체결볼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verted T-shaped vertical portion 522 is preferably fixed to the side frame of the elevator door 10 by the fastening bolt.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는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되어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좌우로 이동될 때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도 함께 이동하는 구조이다.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per 52 is inserted into the anti-separation vertical groove 36 so that when the elevator door 10 is normally moved left and right, 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 52 also moves together.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세로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견고하게 삽입된 역 T자형상의 수평돌출부(524)가 세로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에 대항하고 있다.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10, the force to bend the elevator doo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ts. An inverted T-shaped horizontal protrusion 524 inserted firmly in the anti-separation longitudinal groove 36 is opposed to a force to b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는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의 상단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에, 그리고 그 하단은 하부프레임(30)의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된 구조로서 되어 엘리베이터 출입문(10)과 함께 이동되다가 강한 충격을 받을 때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세로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에 대항하여 추락공간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추락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per 52 is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10, and a lower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escape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of the lower frame 30. When the elevator door 10 is mov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door 10 and is subjected to a strong impact, the elevator door 10 minimizes the fall space against the force to b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minimizing the fall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한편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가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있다고 해서 역 T자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 T자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직부(522)가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상관이 없고, 수평돌출부(524)역시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되어 하부프레임(30)의 저부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든 상관이 없다.On the other hand, the inverse T-shaped escape prevention tool 52 is not limited to the inverted T-shape because it consists of an inverted T-shape. As long as the vertical portion 522 is firmly fixed to the side frame of the elevator door 10 while maintaining the inverted T shape, it may be any shape,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 524 is also inserted into the anti-separation vertical groove 36.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shape can be firmly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30.

나. 『이동공간』인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된 이탈 방지 세로홈(36)의 벌어짐을 보강하는 보강편(38)  I. Reinforcement piece (38) to reinforce the gap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longitudinal groove (36) formed in the "moving space" "LL section and LR section"

『LL구간 및 LR구간』은 하부프레임(30)의 양단에 형성된 구간이다. "LL section and LR section" is a sec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30).

『LL구간 및 LR구간』의 양 단부는 이탈 방지 세로홈(36)으로 인하여 벌어진 형태이다. 『LL구간 및 LR구간』의 양 단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이탈 방지 세로홈(36)의 직각방향으로 보강편(38)에 의하여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보강편의 보강은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를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한 다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are form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by the reinforcement piece 38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longitudinal groove 36 so that both ends of "LL section and LR section" may not open.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piece is preferably fixed after inserting the inverted T-shaped escape prevention tool 52 into the escape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2) 하부프레임(30)의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된 “틈새간격 a”와 “ 빈 공간”을 이용한 이탈 방지구 및 그 형상(2) Departure prevention tool and shape using “gap space a” and “empty space” formed in “LL section and LR section” of lower frame 30

가.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된 “틈새간격 a”와 “빈 공간”  end. "Gap spacing a" and "empty space" formed in LL section and LR section

『LL구간 및 LR구간』에서 하부프레임(30)과 코아 벽체와의 사이에는 “틈새간격 a”가, 그리고 하부프레임(30)과 승강통로와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하부프레임(30)은 “틈새간격 a”와 “빈 공간”으로 감싸여있다.In "LL section and LR section", "gap space a" is formed between lower frame 30 and core wall, and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lower frame 30 and lifting passage. In this way, the lower frame 30 is wrapped in the "gap a" and "empty space".

“틈새간격 a”는 수직선을 유지하여야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와, 그리고 건물의 시공오차와의 보정으로 인하여 생긴 불가피한 공간이다.The "gap spacing a" is an unavoidable space created by the correction of elevator lift paths to maintain vertical lines and construction errors of buildings.

하부프레임(30)과 관련한 빈공간은 상ㆍ하부와 측면에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공간은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 공간이다. 만약 하부프레임(3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40)이 『LL구간 및 LR구간』의 코아 벽체(60)에 고정되어있다고 가정하면 하부프레임(30)의 하부는 여기서 말하는 빈공간은 아니다. 지지 브라켓(40)에 의하여 공간이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The empty space associated with the lower frame 30 refers to a space formed on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This space is an unrestricted space. If it is assumed that the support bracket 40 supporting the lower frame 30 is fixed to the core wall 60 of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is not an empty space here. This is because the space is limited by the support bracket 40.

이와 같이 『LL구간 및 LR구간』의 하부프레임(30)은 “틈새간격 a”와 “빈 공간”에 의하여 둘러싸여있다. Thus, the lower frame 30 of "LL section and LR section" is surrounded by "gap spacing a" and "empty space".

나. 『LL구간 및 LR구간』에 형성된 “틈새간격 a”와 “빈 공간”을 이용한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 I. Substructure of the escape prevention zone using “gap spacing a” and “empty space” formed in LL section and LR section

본 발명의 이탈 방지구는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가 이탈 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되어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든 아니면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가 하부프레임(30)의 공간을 이용하여 감싸는 형상으로 만들어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지지되게 한 구조이든 이는 동일한 방식이다. 어느 경우나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탈 방지구의 상부구조가 모두 수직부(522) 형상으로 동일한데다 그 하부구조가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다.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of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30. As described above, 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per 52 is inserted into the escape stop vertical groove 36 so as to be firmly fixed by the lower frame 30, or the undercarriage of the escape stopper spaces in the lower frame 30. Whether the structure is made to be wrapped by using the support structure by the lower frame 30 is the same way. In either case, all of the upper structures of the escape guards fixed to the side frames of the elevator door 10 are the same in the shape of the vertical portion 522, and the lower structures ar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30.

“틈새간격 a”와 “빈 공간”을 이용하여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가 하부프레임(30)을 감싸는 구조는 하부프레임(30)보다 약간 큰 4각형 형상, 즉 “ㅁ”자형상이면 족하다. 물론 이 경우 이탈 방지구의 상부구조는 수직부(522) 형상으로 변함이 없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substructure of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surrounds the lower frame 30 by using the “gap spacing a” and the “empty space” is sufficient if it is a quadrangular shape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lower frame 30, that is, the “ㅁ” shape. Of course, in this case, the upper structur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tool does not change in the shape of the vertical portion 522.

그런데 충격이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은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쪽이기 때문에 “ㅁ”자형상이 다 충격하중을 받는 것은 아니다. “ㅁ”자 형상을 변형시켜 충격이 가해지는 쪽에 저항되도록 하부구조를 변형하여도 무방하다. 즉, “ㅁ”자 형상대신 역 “ㄷ”자 형상으로 하부프레임(30)을 감싸게 하여도 구조 역학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가 “ㅁ”자 형상이든 역 “ㄷ”자 형상 이든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은 충격하중의 방향의 관점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However, since the direction of impact force is on the elevator hoistway, not all of the “ㅁ” shape is subjected to impact load.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e substructure to deform the shape of “ㅁ” so as to resist the impact. That is, even when the lower frame 30 is wrapped in the inverse “c” shape instead of the “ㅁ” shape, there is no structural dynamic problem. Whether the lower structure of the release prevention tool is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30, whether the shape of the "wh" or inverted "c", is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impact load direction.

(3)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와 “ㅁ”자형 이탈 방지구(54) 및 역 “ㄷ”자형 이탈 방지구(56)의 병행설치(3) Parallel installation of reverse T-shaped escape stopper 52, “ㅁ” shaped escape stopper 54 and reverse “c” shaped escape stopper 56

강한 충격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10)하나에 하나의 이탈 방지구를 설치하되 도1 또는 6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 출입문(10) 후면, 즉 LL구간과 LR구간 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 후면에 설치되는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는 역“T”자 형상이든 “ㅁ”자 형상 및 역“ㄷ”자형상이든 상관이 없다. In order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10 from being dislodged by a strong impact, one escape guard is installed at one of the elevator doors 10, but as shown in FIG. 1 or 6,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that is, the LL section and the LR. I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ection side. The substructur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may be inverted "T" shape, "ㅁ" shape and inverse "c" shape.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ㆍ후면에 이탈 방지구를 병행ㆍ설치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se where the escape prevention openings are provided in parallel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면에는 “ㅁ”자형 이탈 방지구(54) 및 역 “ㄷ”자형 이탈 방지구(56)를 설치할 수가 없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면은 『승하강구간』으로서 지지 브라켓(40)에 설치되어있으므로 하부프레임(30)에 “ㅁ”자형 이탈 방지구(54) 및 역 “ㄷ”자형 이탈 방지구(56)가 자유롭게 이동될만한 빈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On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10,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the "ㅁ" shaped escape stop 54 and the reverse "c" shaped escape stop (56). Since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1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bracket 40 as a "raising and lowering section", the "ㅁ" shaped escape guard 54 and the reverse "c" shaped escape guard 56 on the lower frame 30. This is because there is no free space for) to move freely.

그러나 『승하강구간』에서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에 이탈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하는 것은 이보다는 훨씬 가능하다. 그렇다면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만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However, it is much more possible than this to form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n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in the "raising section". If so, only the reverse T-shaped escape lock 52 can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elevator door 10.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후면에는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이든 “ㅁ”자형 이탈 방지구(54) 및 역 “ㄷ”자형 이탈 방지구(56)이든 상관이 없다. “틈새간격 a”와 “빈 공간”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이다. 도6도 및 도7도에 이탈방지구의 병행ㆍ설치가 예시되어있다.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does not matter whether 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 52, the "wh" shaped escape stop 54 and the reverse "c" escape stop 56. "Gap a" and "empty space" are formed. 6 and 7 exemplify the parallel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of the escape prevention tool.

이탈방지구의 상부 수직부는 엘리베이터 출입문측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있고 그 하부의 역“T”자형 수평돌출부가 하부프레임의 이탈방지 세로홈에 삽입되어있거나 아니면 “ㅁ”자 형상 또는 역“ㄷ”자 형상의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구조이므로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세로방향으로 휘어짐을 방지하게 되어 추락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upper vertical part of the escape lock is firmly fixed to the frame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inverted “T” horizontal projection at the bottom is inserted into the escape slot of the lower frame, or the letter “W” or reverse “B”. Since the escape-preventing shape of the shape surrounds the lower frame, the elevator door is prevented from b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strong impact, so that a fall space does not occur, thereby preventing human injury.

본 발명의 이탈 방지구의 하부가 엘리베이터 출입문과 함께 이동되면서 하부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되어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동시에 추락공간을 미연에 방지하는 2중의 효과가 있다.Since the lower part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while being mov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door, there is a double effect that the elevator door is smoothly gu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fall space in advance. .

본 발명의 이탈 방지구의 하부구조가 하부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되어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출입문에 고정된 가이드 슈가 하부프레임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Since the lower structure of the releas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supported on the lower frame, it is a useful invention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guide shoe fixed to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후면에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사사도이고, 도2는 설명의 편의상 하부프레임(30)을 『DL + DR』구간인 『승하강구간』과, 『LL구간 및 LR구간』인 『이동공간』으로 나누어놓은 하부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A-A,단면도이고, 도4는 엘리베이터 출입문 측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가 이탈방지 세로홈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5는 엘리베이터 출입문 측면에 고정된 “ㅁ”자 형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30)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6은 엘리베이터 출입문 전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와 후면에 “ㅁ”자 형 이탈방지구가 병행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7은 엘리베이터 출입문 전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와 후면에 역“ㄷ”자 형상의 이탈방지구가 병행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8은 역“ㄷ”자 형상의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30)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landing side door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wer frame 30, "elevation section" and "DL + DR" section, "LL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rame divided into "moving space" which is a section and an LR section. FIG. 3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4 is an inverted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side of an elevator doo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ㅁ" shaped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ixed to the elevator door side surrounding the lower frame 30, Figure 6 is an elevator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ionary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front door and a “ㅁ” shaped escape lock installed at the rear, and FIG. 7 is a reverse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and a rear 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verted "b" shaped escape prevention guards installed in parallel,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verted "b" shaped escape prevention wraps surrounding the lower frame (30) It is a cross section.

도면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landing side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the elevator will be described.

승강장측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은 사람이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좌우로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상단에는 롤러(22)가 고정되어있고 롤러(22)는 상부프레임(20)위에 설치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좌우개폐는 와이어 로프(24)에 연결된 롤러(22)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개폐방식이다. The elevator door 10 installed on the landing side is opened and closed from side to side so that a person can get on and off. The roller 22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the roller 22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20. Left and right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0 is made by the movement of the roller 22 connected to the wire rope 24. This is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elevator door 10 that is commonly used.

하부프레임(30)은 코아 벽체(60)로부터 “틈새간격a”가 유지된 채 지지 브라켓(40)에 의하여 코아 벽체(60)에 고정되어있다. 지지 브라켓(40)이 설치된 곳은 『승하강구간』인 『DL + DR』구간뿐이고, 『이동공간』인 『LL구간 및 LR구간』에는 지지 브라켓(40)이 설치되지 않는다.The lower frame 30 is fixed to the core wall 60 by the support bracket 40 while maintaining the “gap spacing a” from the core wall 60. The support bracket 40 is installed only in the "descent section" "DL + DR" section, the "moving space" "LL section and LR section" is not the support bracket 40 is installed.

이제 이탈 방지구의 기본설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basic install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will be described.

이탈방지구의 수직부를 체결볼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인 경우 하부프레임(30)의 이탈방지 세로홈(36)에 역“T”자형 수평돌출부를 삽입한다. 『LL구간 및 LR구간』에 이탈방지 세로홈(36)이 형성된 경우라면 『LL구간 및 LR구간』의 양단을 보강편(38)에 의하여 그 벌어짐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part of the release prevention fixture is firmly fixed to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10 by a fastening bolt. In the case of the inverted T-shaped escape stopper 52, an inverted “T” shaped horizonta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scape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of the lower frame 30. If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is formed in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it is preferable to reinforce the gap by the reinforcing piece 38 at both ends of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이탈방지 세로홈(36)은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홈의 바닥면(34)에 형성되어있다. 기존에 엘리베이터가 이미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홈의 바닥면(34)에 이탈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하면 된다. 신규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공장에서 미리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홈의 바닥면(34)에 이탈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하여 제작하면 이탈방지 장치의 시공이 간편해진다. Departure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30). If the elevator is already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it is enough to form a vertical groove 36 to prevent separation i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30. If a new elevator is installed in the factory in advance to form a separation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i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of the lower frame 30, the constru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is easy.

“ㅁ”자형 이탈 방지구(54) 또는 역 “ㄷ”자형 이탈 방지구(56)인 경우에는 『LL구간 및 LR구간』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DL + DR』구간의 하부프레임(30)에는 지지 브라켓(40)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the “ㅁ” shaped escape stopper 54 or the reverse “c” shaped escape stopper 56, it can be used only in the “LL section and LR section”. This is because the support bracket 40 is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0 of the "DL + DR" section.

다음으로 이탈방지구의 병행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parallel installation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이탈방지구의 기본설치는 『LL구간 및 LR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탈방지구의 형상이 역“T”자형상이든 “ㅁ”자 또는 역“ㄷ”자 형상이든 상관없다. 그러나 『DL + DR』구간에는 “ㅁ”자 또는 역“ㄷ”자 형상의 이탈 방지구는 하부프레임(30)을 감싸는 구조이므로 DL과 DR구간에는 설치할 수가 없다. 『DL + DR』구간에 지지 브라켓(40)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이다.Since the basic installation of the escape guard is to be installed only in the LL section and the LR section,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 shape of the escape guard is inverted “T”, “ㅁ” or inverted “c”. However, in the "DL + DR" sec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having a "ㅁ" or reverse "c" shape wraps around the lower frame 30 and thus cannot be installed in the DL and DR sections. This is because the support bracket 40 is installed in the "DL + DR" section.

『DL + DR』구간에는 역 T자형 이탈 방지구(52)의 설치가 가능하다. 역“T”자 형상의 수평돌출부의 크기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In the "DL + DR" sec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verse T-shaped escape stopper (52). This is because the horizontal protrusion of the inverted “T” shape can be adjusted.

이탈 방지구의 수직부(522)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가이드 슈(12)도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단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The vertical portion 522 of the release prevention port is firmly fixed to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10 by a fastening bolt. Needless to say, the guide shoe 12 is also firm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10 by a fastening bolt.

도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후면에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rear door side of the elevator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설명의 편의상 하부프레임을 『DL + DR』구간인 『승하강구간』과, 『LL구간 및 LR구간』인 『이동공간』으로 나누어놓은 하부프레임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rame divided into lower and lower sections of the DL and DR sections and moving spaces of the LL and LR se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3은 도1의 A-A,단면도3 is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4는 엘리베이터 출입문 측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가 이탈방지 세로홈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verted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is inserted into the escape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s

도5는 엘리베이터 출입문 측면에 고정된 “ㅁ”자형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x"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side of the elevator door surrounding the lower frame

도6은 엘리베이터 출입문 전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와 후면에 “ㅁ”자형 이탈방지구가 병행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ion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ㅁ" shaped escape lock installed in the rear in parallel

도7은 엘리베이터 출입문 전면에 고정된 역“T”자형 이탈방지구와 후면에 역“ㄷ”자형 이탈방지구가 병행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station "T" shaped escape lock fixed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reverse "c" shaped escape lock installed in the rear

도8은 역“ㄷ”자형 이탈방지구가 하부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verted "c" shaped departure prevention wraps around the lower frame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10; 엘리베이터 출입문, 12; 가이드 슈,10; Elevator doors, 12; Guide shoe,

20; 상부프레임, 22; 롤러, 24; 와이어 로프,20; Upper frame, 22; Roller 24; Wire rope,

30; 하부프레임, 32; 가이드 홈 34; 가이드 홈의 바닥면, 36; 이탈 방지 세로홈, 38; 보강편 30; Lower frame, 32; Guide groove 34;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6; Anti-separation flue, 38; Reinforcement

40; 지지브라켓, 40; Support Bracket,

50; 이탈 방지구, 52; 역“T”자형 이탈방지구, 522; 수직부, 524; 수평돌출부, 54; “ㅁ”자형 이탈방지구, 56; 역“ㄷ”자형 이탈방지구50; Escape lock, 52; Inverse “T” escape lock, 522; Vertical, 524; Horizontal projections 54; “ㅁ” shaped escape lock, 56; Station “ㄷ” shaped escape lock

60; 코아 벽체,60; Core wall,

Claims (6)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이 상부프레임(20)에 지지되면서 롤러(22)에 의하여 좌우로 개폐되고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슈(12)는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에 삽입되어 그 바닥면(34)에서 d만큼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어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이동을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에 있어서As the elevator door 10 is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20, the guide shoe 12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door 10 by opening and closing left and right by the roller 22 is a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frame 30. In the landing door side of the elevator is inserted into th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34 by d to smoothly guide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역“T”자형 이탈 방지구(52)의 수직부는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후면 측면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역“T”자형 이탈 방지구(52)의 수평돌출부(524)는 하부프레임(30)의 이동공간의 가이드 홈(32)에 형성된 이탈방지 세로홈(36)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돌출부(524)가 하부프레임(30)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수평돌출부(524)가 하부프레임(30)의 이탈방지 세로홈(36) 내에서 엘리베이터 출입문(10)과 함께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verted “T” shaped escape lock 52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elevator door 10 by a fastening bolt,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 524 of the inverted “T” shaped escape lock 52 is provided with a lower frame ( The horizontal protrusion 524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30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vertical groove 36 formed in the guide groove 32 of the moving space of the 30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 524 is the lower frame ( Elevator door sid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moved with the elevator door 10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vertical groove 36 of 3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하부프레임(30)의 이동공간의 가이드 홈(32)에 형성된 이탈방지 세로홈(36)의 양단에 보강편(38)으로 보강하되 이탈방지 세로홈(36)에 대하여 직각되게 보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Reinforcement with the reinforcing piece 38 at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formed in the guide groove 32 of the moving space of the lower frame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longitudinal groove 36.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측면프레임의 전ㆍ후면에 이탈 방지구를 병행ㆍ설치하되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전면에는 반드시 역“T”자형 이탈 방지구(52)를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프레임(30)의 가이드 홈(32)의 바닥면(34)에 이탈 방지 세로홈(36)을 형성하며,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후면에는 “ㅁ”자형 이탈 방지구(54)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An anti-separation stopper is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side frame of the elevator door 10 in parallel, but a reverse “T” shaped escape stop 52 must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elevator door 10 and the lower frame corresponding thereto ( The vertical groove 3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4 of the guide groove 32 of the 30, and the “ㅁ” shaped departure prevention hole 54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엘리베이터 출입문(10)의 후면에 역“ㄷ”자형 이탈 방지구(56)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Elevator door sid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c" shaped departure prevention device 56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elevator door (10)
KR1020080085746A 2007-11-14 2008-09-01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KR1008980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102 2007-11-14
KR20070116102 2007-11-14
KR1020070120188 2007-11-23
KR20070120188 2007-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000B1 true KR100898000B1 (en) 2009-05-18

Family

ID=4086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46A KR100898000B1 (en) 2007-11-14 2008-09-01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0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509A (en) * 2016-02-24 2017-09-01 广东日创电梯有限公司 Elevator door uses detec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486A (en) * 1994-10-05 1996-04-23 Toshiba Corp Car of elevator
JPH10203764A (en) 1997-01-23 1998-08-04 Otis Elevator Co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KR100742315B1 (en) *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A breakaway preventing apparatus for a door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486A (en) * 1994-10-05 1996-04-23 Toshiba Corp Car of elevator
JPH10203764A (en) 1997-01-23 1998-08-04 Otis Elevator Co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KR100742315B1 (en) *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A breakaway preventing apparatus for a door of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509A (en) * 2016-02-24 2017-09-01 广东日创电梯有限公司 Elevator door uses detec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7117509B (en) * 2016-02-24 2019-12-13 广东日创电梯有限公司 Elevator door usage detection safety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creen door, guide rail locking device therewith and screen door with protecting device
KR100931271B1 (en) Elevation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landing door, door seal with departure prevention device and landing door with departure prevention device
JP3363711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device
KR100898000B1 (en) Apparatus preventing from breaking awa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oor of elevator
KR20080086071A (en) Hatch door of elevator
JP5077014B2 (en) Elevator rope steady rest
JP4972962B2 (e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457792Y1 (en)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JP2019112218A (en) Mobile elevation type scaffold with lifting device for people and cargoe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5239243B2 (en) Elevator safety device and repair method thereof
JP2007326684A (en) Elevator device
JP2015093767A (en) Door-opened traveling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184683B1 (en) Elevator door system with interlock assembly
JP2012162370A (en) Elevator boarding place door device
KR101794202B1 (en) Lower drive shaft operating system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JP4456904B2 (en) Elevator device for seismic isolation building
JP2010070340A (en) Elevator entrance device
KR200184501Y1 (en) The weight of hall door for elevator.
JP3807851B2 (en) Elevator hoistway
KR100831953B1 (en) 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repoof door for elevator which is open and close by top and bottom
JP2019127359A (en) elevator
CN217867611U (en) General suspension cage door for construction elevator
JP3705744B2 (en) Elevator device for intermediate seismic isolation building
KR200392167Y1 (en) Elevator door system have a locking equipment
JP5762722B2 (en) slid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