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045A -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045A
KR20130079045A KR1020120000295A KR20120000295A KR20130079045A KR 20130079045 A KR20130079045 A KR 20130079045A KR 1020120000295 A KR1020120000295 A KR 1020120000295A KR 20120000295 A KR20120000295 A KR 20120000295A KR 20130079045 A KR20130079045 A KR 2013007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s
permanent magnet
fixed contacts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952B1 (ko
Inventor
안정식
주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9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1Relays in which the armature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by a permanent magnet and freed by energisation of a coil producing an oppos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 접점; 및 상기 제1고정 접점 및 상기 제2고정 접점의 외측에 각각 서로 반대 전극이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을 지나는 가상의 제1직선(X), 및 상기 제1직선(X)에 직교되게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직선(Y)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제1 내지 4사분면에 각각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기장의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가동 접접의 이동이 방지 또는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직류 릴레이{DC POWER RELAY}
본 발명은 고전압의 직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2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통상적으로는 일반적인 내연 기관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모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형태의 자동차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초기 구동시에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속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주행 중에는 엔진 및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반복한다.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나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배터리 출력 전압의 증가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인 12V를 200~400V로 승압시켜서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의 증가에 비례하여 절연 성능의 향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고압의 출력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직류 릴레이가 적용된다. 이와 같은 고전압 직류 릴레이의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의 인가를 위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접촉 및 이격되는 과정에서 직류 전류가 인가 또는 차단되면서 아크가 발생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아크는, 다른 전자 기기 등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절연 성능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종래에는, 고전압 직류 릴레이에 인접하게 영구 자석을 배치하고, 영구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세기, 방향 및 전류의 방향, 아크의 신장 길이 등에 따라서 결정되는 힘을 이용하여 아크를 제어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에서 아크 제어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문제점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직류 릴레이(1)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 가동 접점(20) 및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은 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20)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의 하방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이 접촉하면, 배터리(미도시)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이 이격되면, 배터리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 접점(11)과 가동 접점(20) 사이에는 도 2에서 지상(紙上)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되고, 상기 제2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20) 사이에는 도 2에서 지면(紙面)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유동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이 이격되는 과정에서 아크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아크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의 이격시에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상기 가동 접점(20)이 이격되는 과정에서 아크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아크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의 이격시에 발생되는 아크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 사이를 유동하는 전류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은 서로 다른 자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영구 자석(31)은 N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영구 자석(32)은 S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31)(32) 사이의 영역,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이 위치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1영구 자석(31)에서 상기 제2영구 자석(32)을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이 위치되는 영역에서는 양측을 향하는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하여 아크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안내된다. 다시 말하면, 아크 간의 거리가 연장되고, 아크 자체의 길이도 신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아크 길이의 신장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의 주변에 존재하는 가스에 의하여 냉각되어 플라즈마 상태에서 절연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아크에 의한 전류의 전달이 차단되고, 아크 상호간의 접촉에 의하여 절연에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이 감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하방을 향하는 전자기력이 상기 가동 접점(20)에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상기 가동 접점(20)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 접점(20)이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2)과 접촉하지 못하거나 불완전하게 접촉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 접점; 및 상기 제1고정 접점 및 상기 제2고정 접점의 외측에 각각 서로 반대 전극이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을 지나는 가상의 제1직선(X), 및 상기 제1직선(X)에 직교되게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직선(Y)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제1 내지 4사분면에 각각 위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 접점; 및 상기 제1고정 접점 및 상기 제2고정 접점의 외측에 각각 서로 반대 전극이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및 제2영구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에서의 자기장의 형성을 차단 또는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기장의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가동 접접의 이동이 방지 또는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에서 아크 제어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문제점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에서의 자기장과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장을 비교하여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직류 릴레이(100)는,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및 가동 접점(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은 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120)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하방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접점(1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간기 또는 차단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및 가동 접점(120)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1고정 접점(111)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 및 상기 제2고정 접점(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에는 서로 반대 반향으로 전류가 유동된다.
한편 상기 직류 릴레이(100)는,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이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은, 기설정된 길이 및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은 상기 가동 접점(12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을 지나는 가상의 제1직선(X), 및 상기 제1직선(X)에 직교되게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 사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직선(Y)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제1 내지 4사분면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제1영구 자석(131)은, 상기 제1사분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영구 자석(132)(1330(134)은 각각 상기 제2 내지 제4사분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은, 그 일면이 각각 상기 제1직선(X), 즉 X축에 대해여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31)(132)과 상기 제3 및 제4영구 자석(133)(134)은 각각 X축 방향으로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영구 자석(131)과 상기 제4영구 자석(134), 및 상기 제2영구 자석(132)과 상기 제3영구 자석(133)은, 각각 X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영구 자석(131)과 상기 제2영구 자석(132) 및 상기 제3영구 자석(133)과 상기 제4영구 자석(134)은 각각 Y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31)(132)은 동일한 자극, 예를 들면, N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 및 제4영구 자석(133)(134)은,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31)(134)과 반대 극성의 자극, 즉 S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영구 자석(131)과 상기 제4영구 자석(134) 사이는, 상기 제1영구 자석(131)에서 상기 제4영구 자석(134)을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영구 자석(132)과 상기 제3영구 자석(133) 사이에는, 상기 제2영구 자석(132)에서 상기 제3영구 자석(133)을 향하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의 양단부 중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단부를 제1단부(131A)(132A)(133A)(134A),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의 양단부 중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단부를 제2단부(131B)(132B)(133B)(134B)라 각각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부(131A)(132A)(133A)(134A)에 비하여 상기 제2단부(131B)(132B)(133B)(134B)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으로부터 더 이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단부(131A)(132A)(133A)(134A)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1)에 비하여 상기 제2단부(131B)(132B)(133B)(134B)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2)가 상대적으로 길게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 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각각의 외측의 영역에 상대적으로 더 넓은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이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제어는 종래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를 유동하는 전류 및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의 자기장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120)에 영향을 끼치는 전자기력을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1실시예에서의 자기장과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장을 비교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접촉 또는 이격되면, 배터리(미도시)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접점(111)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 및 상기 제2고정 접점(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에는 상호 반대 반향으로 전류가 유동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이 위치되는 영역에는,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에 의하여 자기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이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을 유동하는 전류 및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고정 접점(111)과 상기 가동 접점(120)을 유동하는 전류 및 상기 제1 및 제4영구 자석(131)(134) 사이의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상기 제1고정 접점(111)과 상기 가동 접점(120)의 이격시 발생되는 아크에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 접점(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을 유동하는 전류 및 상기 제2 및 제3영구 자석(132)(133) 사이의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상기 제2고정 접점(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의 이격시 발생되는 아크에 작용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아크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즉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외측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아크의 제어에 끼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31)(132)과 상기 제3 및 제4영구 자석(133)(134)이 각각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아크가 안내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는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자기장의 발생이 감소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아크의 제어를 위한 충분한 전자기력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크의 제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자기장의 발생이 방지 또는 감소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도 6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의 자기장과 도 6b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자기장을 비교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 사이를 유동하는 전류 및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131)(132)(133)(134)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기력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기력은, 상기 가동 접점(120)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접점(120)에 작용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아크의 제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자기장의 발생이 방지 또는 감소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 접점(120)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전자기력의 크기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과 상기 가동 접점(120)의 정확한 접촉에 의하여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증진이 기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릴레이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a 및 도 6b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류 릴레이(100)가 2개의 영구 자석(141)(142), 즉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은,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에 인접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의 배치는, 종래 기술과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에 각각 절개부(141A)(142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41A)(142A)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절개부(141A)(142A)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의 상부 및 하부 일부가 대략 장방형으로 각각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141A)(142A)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3)에 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141)(142)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4)가 상대적으로 길게 정의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111)(112)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만 감소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아크의 제어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가동 접점(120)에 영향을 끼치는 전자기력의 발생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제1 및 제2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 접점; 및
    상기 제1고정 접점 및 상기 제2고정 접점의 외측에 각각 서로 반대 전극이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을 지나는 가상의 제1직선(X), 및 상기 제1직선(X)에 직교되게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제2직선(Y)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제1 내지 4사분면에 각각 위치되는 직류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일면은 각각 X축에 대해여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과 상기 제3 및 제4자석은 각각 X축 방향으로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직류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일면은 각각 X축에 대해여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영구 자석과 상기 제4영구 자석, 및 상기 제2영구 자석과 상기 제3영구 자석은, 각각 X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영구 자석과 상기 제2영구 자석 및 상기 제3영구 자석과 상기 제4영구 자석은 각각 Y축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되는 직류 릴레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제1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1)에 비하여,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제2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2)가 상대적으로 길게 정의되는 직류 릴레이.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제1단부에 비하여, X축 방향으로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영구 자석의 제2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으로부터 더 이격되는 직류 릴레이.
  6. 제1 및 제2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가동 접점; 및
    상기 제1고정 접점 및 상기 제2고정 접점의 외측에 각각 서로 반대 전극이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1 및 제2영구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직류 릴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 접점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3)에 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영구 자석의 중심(A1)(A2) 사이의 최단 거리(L4)가 상대적으로 길게 정의되는 직류 릴레이.
KR1020120000295A 2012-01-02 2012-01-02 직류 릴레이 KR10169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295A KR101696952B1 (ko) 2012-01-02 2012-01-02 직류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295A KR101696952B1 (ko) 2012-01-02 2012-01-02 직류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45A true KR20130079045A (ko) 2013-07-10
KR101696952B1 KR101696952B1 (ko) 2017-01-16

Family

ID=4899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295A KR101696952B1 (ko) 2012-01-02 2012-01-02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9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05U (ko) * 2014-07-01 2016-01-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직류 릴레이
CN105390342A (zh) * 2015-10-21 2016-03-09 国家电网公司 一种集成化小型大电流继电器
WO2021040173A1 (ko) * 2019-08-28 2021-03-04 엘에스일렉트릭㈜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113380565A (zh) * 2021-05-31 2021-09-10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加强磁场的继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517B1 (ko) 2019-07-11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339179B1 (ko) 2019-07-11 2021-12-14 엘에스일렉트릭 (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3A (ko)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2A (ko)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59A (ko)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1A (ko)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10025964A (ko)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211208340U (zh) 2019-12-04 2020-08-07 Ls产电株式会社 电弧路径形成部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KR102339180B1 (ko) 2019-12-04 2021-12-14 엘에스일렉트릭 (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278651B1 (ko) 2019-12-04 2021-07-16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382371B1 (ko) 2020-05-06 2022-04-05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6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260728A1 (en) 2020-05-06 2023-08-17 Ls Electric Co., Ltd.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102452359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62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5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115769329A (zh) 2020-06-29 2023-03-07 Ls电气株式会社 电弧路径形成部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KR102524506B1 (ko) 2020-06-29 2023-04-2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60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8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N115702471A (zh) 2020-06-29 2023-02-14 Ls电气株式会社 电弧路径形成部以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KR102524507B1 (ko) 2020-06-29 2023-04-2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290598A1 (en) 2020-06-29 2023-09-14 Ls Electric Co., Ltd. Arc path gener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452357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61B1 (ko)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97462B1 (ko) 2020-10-28 2023-02-08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8A (ko) 2021-11-18 2023-05-25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9B1 (ko) 2021-11-18 2024-02-23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37B1 (ko) 2021-11-18 2024-02-23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8B1 (ko) 2021-11-18 2024-02-23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9A (ko) 2021-11-18 2023-05-25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71A (ko) 2021-11-18 2023-05-25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30072765A (ko) 2021-11-18 2023-05-25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7B1 (ko) 2021-11-18 2024-02-23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40002157A (ko) 2022-06-28 2024-01-04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40036979A (ko) 2022-09-14 2024-03-21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248A (ja) * 1994-02-22 1995-09-05 Nippondenso Co Ltd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5248A (ja) * 1994-02-22 1995-09-05 Nippondenso Co Ltd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05U (ko) * 2014-07-01 2016-01-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직류 릴레이
CN105390342A (zh) * 2015-10-21 2016-03-09 国家电网公司 一种集成化小型大电流继电器
WO2021040173A1 (ko) * 2019-08-28 2021-03-04 엘에스일렉트릭㈜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11784018B2 (en) 2019-08-28 2023-10-10 Ls Electric Co., Ltd.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CN113380565A (zh) * 2021-05-31 2021-09-10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加强磁场的继电器
CN113380565B (zh) * 2021-05-31 2024-04-12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加强磁场的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952B1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045A (ko) 직류 릴레이
US9117605B2 (en) DC power relay
JP5303022B2 (ja) 自動車リチウムイオン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直線状高電圧接触器用の2重双極性磁界
US20120175345A1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CN102891039A (zh) 继电器
US20090094820A1 (en) Contractor Assembly With Arc Steering System
US9691577B2 (en) Relay
US9343251B2 (en) Bi-directional direct current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small permanent magnets on ferromagnetic side members and one set of arc splitter plates
CN107248463B (zh) 一种双向直流开关
KR102652522B1 (ko) 단락전류 방지용 직류 릴레이
US11908648B2 (en) Switch configured to form magnetic fields relative to contact points
KR101961661B1 (ko) 고전압 릴레이 장치
KR20130000096U (ko) 회로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US20090243429A1 (en) Operation apparatus
CN103326177A (zh) 一种磁吹灭弧式高压电连接器
CN208848831U (zh) 一种直流接触器的永磁体安装结构
CN220367858U (zh) 分断单元及包括分断单元的接触器
CN102592865B (zh) 用于汽车锂离子电池系统的线性高压接触器的对偶双极磁场
CN107993882B (zh) 真空灭弧室及其纵磁扇形铁心式触头组件、触头片
RU2722438C2 (ru)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ее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6119978U (zh) 一种触点继电器
CN203277805U (zh) 一种磁吹灭弧式高压电连接器
CN107221482B (zh) 直流切断单元及直流断路器
RU130133U1 (ru) Контактор (варианты)
CN202332644U (zh) 一种带磁性灭弧装置的选择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