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506A -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506A
KR20130077506A KR1020110146246A KR20110146246A KR20130077506A KR 20130077506 A KR20130077506 A KR 20130077506A KR 1020110146246 A KR1020110146246 A KR 1020110146246A KR 20110146246 A KR20110146246 A KR 20110146246A KR 20130077506 A KR20130077506 A KR 2013007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fiber
fiber sheet
less
density inorganic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현
안병준
현태영
전정배
권기혜
이인경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506A/ko
Priority to PCT/KR2012/007329 priority patent/WO2013100322A1/ko
Publication of KR2013007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는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00 kg/m3 이상 300 kg/m3 이하인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및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 kg/m3 이상 100 kg/m3 미만인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를 번갈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부피밀도차가 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Core for Vacuum Insulation Panel with Excellent Heat Insulation Property}
본 발명은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밀도차가 있는 무기섬유 시트를 3층 이상 적층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냉동고, 자동판매기 등의 보온/보냉 기기는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단열재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단열재로서, 글래스 울 등의 섬유재나 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단열재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열재의 두께를 늘리기도 하나, 얇은 두께가 요구되는 제품과 같이, 공간 절감이나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단열 성능이 높은 단열재로서, 진공 단열재가 주목받고 있다. 진공 단열재란, 심재를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로 감싸고 외피재의 내부를 감압하고 외피재의 개구부를 융착시킨 단열재를 말한다. 진공 단열재의 심재로서 주로 무기섬유인 글라스 울과 퓸드 실리카(Fumed silica)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11828호는 진공 단열재와 이것을 이용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 SiO2가 주성분인 무기섬유를 다층 적용한 심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은 심재를 구성하는 소재 자체를 개량하는 방법만을 언급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07921호는 진공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무기섬유의 방향을 열전달 방향에 수직으로 구성하고 층간 섬유가 교차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열전도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구조를 구현하는 데에 따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182991호는 진공단열재 및 유리 섬유에 관한 것으로, 대기 압축에 의한 심재의 고밀도화 및 섬유 접촉부 증대를 억제하고, 심재부에 있어서 고체 성분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문헌도 마찬가지로 심재를 구성하는 소재 자체를 개량하는 방법만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기술의 연구방향과는 새로운 방향으로 단열성을 개선하고자, 밀도차가 있는 무기섬유 시트를 3층 이상 적층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도차가 있는 무기섬유 시트를 3층 이상 적층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포함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는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00 kg/m3 이상 300 kg/m3 이하인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및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 kg/m3 이상 100 kg/m3 미만인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를 번갈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부피밀도차가 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총개수는 홀수이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는 글라스 울, 유리 섬유, 세라믹 파이버, 암면,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탄화규소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길이는 1.2 mm 이상 1.5 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직경은 1 μm 이상 10 μ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공극율은 90% 이상 95%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감싸고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이 0 Torr 이상 0.1 Tor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두께는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에서 5 mm 이상 30 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ASTM-C518에 준하여 24 ℃에서 측정한 상기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는 1.5 mW/mk 이상 2.6 mW/mk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는 내부에 산화리튬, 수산화리튬,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바륨, 수산화바륨, 황산칼슘 및 이들은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흡습제를 진공단열재용 심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는 단열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진공단열재를 개봉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진공단열재용 심재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는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00 kg/m3 이상 300 kg/m3 이하인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및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 kg/m3 이상 100 kg/m3 미만인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를 번갈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부피밀도차가 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는 100 kg/m3 이상 300 kg/m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 130 kg/m3 이상 250 kg/m3 이하, 더 바람직하게 1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는 1 kg/m3 이상 100 kg/m3 미만이며, 바람직하게 5 kg/m3 이상 70 kg/m3 이하, 더 바람직하게 10 kg/m3 이상 50 kg/m3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는 번갈아 3층 이상, 예를 들어,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 10층 등으로 포함되며, 층수의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로서 서로 다른 부피밀도 값을 가지는 2종 이상의 무기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피밀도차는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중 부피밀도가 가장 작은 것과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중 부피밀도가 가장 큰 것의 차이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구조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총개수는 바람직하게 홀수, 예를 들어 3, 5, 7, 9 등, 더욱 바람직하게 3 또는 5이며,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단열성이 더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부피밀도차는 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 70 kg/m3 이상 200 kg/m3 이하, 더 바람직하게 100 kg/m3 이상 190 kg/m3 이하이다. 상기 부피밀도차가 상기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경우에, 무기섬유 시트를 3층 이상 적층함에 따른 단열성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예로는 글라스 울, 유리 섬유, 세라믹 파이버, 암면,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탄화규소섬유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길이는 1.2 mm 이상 1.5 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직경은 1 μm 이상 10 μm 미만이다.
상기 섬유길이와 섬유직경은 광학현미경으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섬유길이와 섬유직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 섬유간 접촉면이 감소하고 이를 통해서 열전달량이 작아짐으로 인해 전체 고체 열전도도가 낮아져서 단열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공극율은 90% 이상 95% 이하이다. 이 경우에, 단열성이 더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공극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반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본출원공개공보 제2004-011705호에 제시된 수은 공극율 분석법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진공단열재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감싸고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이 0 Torr 이상 0.1 Tor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재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피재로서 두께 50 μm의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 7 μm의 알루미늄 필름, 두께 12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15 μm의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열융착층이 폴리에틸렌 필름층인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은 0 Torr 이상 0.1 Torr 이하이며, 바람직하게 0.001 Torr 이상 0.05 Torr이다.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 공기를 통한 대류에 따른 열전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의 두께를 얇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두께는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에서 5 mm 이상 30 mm 이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두께는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에서 10 mm 이상 15 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ASTM-C518에 준하여 24 ℃에서 측정한 상기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는 1.5 mW/mk 이상 2.6 mW/mk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는 내부에 산화리튬, 수산화리튬,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바륨, 수산화바륨, 황산칼슘 및 이들은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흡습제를 진공단열재용 심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냉장고 및 냉동고용 단열재, 건축용 단열재, 차량용 단열재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하기와 같다.
GW - H1: 섬유의 직경이 1~10 μm이고 섬유의 길이가 1200~150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50 kg/m3인 글라스 울을 사용하였다.
GW - H2: 섬유의 직경이 1~10 μm이고 섬유의 길이가 1200~150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200 kg/m3인 글라스 울을 사용하였다.
GW - L1: 섬유의 직경이 1~10 μm이고 섬유의 길이가 1200~150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0 kg/m3인 글라스 울을 사용하였다.
GW - L2: 섬유의 직경이 1~10 μm이고 섬유의 길이가 1200~150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50 kg/m3인 글라스 울을 사용하였다.
EPS - H1: 셀 오픈율이 90% 이상이고 셀 사이즈가 150~300 μm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50 kg/m3인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EPS - L1: 셀 오픈율이 90% 이상이고 셀 사이즈가 150~300 μm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30 kg/m3인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PUF - H1: 셀 오픈율이 90% 이상이고 셀 사이즈가 150~300 μm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60 kg/m3인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였다.
PUF - L1: 셀 오픈율이 90% 이상이고 셀 사이즈가 150~300 μm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30 kg/m3인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였다.
PF - H1: 섬유의 직경이 5~5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50 kg/m3인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사용하였다.
PF - L1: 섬유의 직경이 5~50 μm이고 공극율이 90% 이상이고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45 kg/m3인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14 및 비교실시예 1-9
하기 표 1-3에 기재된 심재 구조로, 0.03 Torr에서 개개의 심재 두께가 균등하고 0.03 Torr에서 모두의 심재 두께가 12 mm가 되도록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구성하고, 두께 50 μm의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 7 μm의 알루미늄 필름, 두께 12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15 μm의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열융착층이 폴리에틸렌 필름층인 라미네이트 필름에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와 산화칼슘 10 g을 넣고, 진공챔버 내에서 필름 내부의 압력이 0.03 Torr가 되도록 감압한 다음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융착시켜 290 mm × 410 mm × 12 mm 크기의 진공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는 ASTM-C518에 준하여 Heat Flow Meter 법을 적용한 열전도도 분석기(Netzsch사의 HFM436)를 이용하여 24 ℃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7은 부피밀도차가 100 내지 190 kg/m3인 글라스 울이 번갈아 3층 적층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사용하여 열전도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8-14은 부피밀도차가 100 내지 190 kg/m3인 글라스 울이 번갈아 5층 적층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사용하여 열전도도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3을 보면, 비교실시예 1-3은 무기섬유가 아닌 발포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폼 및 폴리에스테르섬유를 각각 사용하여 실시예 1-7에 비해 현저히 높은 열전도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실시예 4-7은 부피밀도차가 없는 무기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7에 비해 현저히 높은 열전도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실시예 8는 본원발명의 부피밀도차의 범위를 벗어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사용하여 열전도도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실시예 9는 무기섬유 시트가 2층 적층된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사용하여 열전도도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1 및 6-5를 비교해보면, 부피밀도차가 커질수록 열전도도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3, 4와 5, 8과 10, 및 11과 12를 비교해보면,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가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열전도도가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00 kg/m3 이상 300 kg/m3 이하인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및
    대기압에서의 부피밀도가 1 kg/m3 이상 100 kg/m3 미만인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를 번갈아 3층 이상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부피밀도차가 50 kg/m3 이상 200 kg/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와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의 총개수가 홀수이고,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가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가 글라스 울, 유리 섬유, 세라믹 파이버, 암면,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탄화규소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길이가 1.2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섬유직경이 1 μm 이상 10 μ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무기섬유 시트, 상기 저밀도 무기섬유 시트 또는 이들 모두의 공극율이 9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를 감싸고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는 외피재;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이 0 Torr 이상 0.1 Tor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용 심재의 두께가 상기 외피재 내부의 기압에서 5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9. 제7항에 있어서, ASTM-C518에 준하여 24 ℃에서 측정한 상기 진공단열재의 열전도도가 1.5 mW/mk 이상 2.6 m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10. 제7항에 있어서, 내부에 산화리튬, 수산화리튬,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바륨, 수산화바륨, 황산칼슘 및 이들은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흡습제를 진공단열재용 심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KR1020110146246A 2011-12-29 2011-12-29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KR2013007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246A KR20130077506A (ko) 2011-12-29 2011-12-29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PCT/KR2012/007329 WO2013100322A1 (ko) 2011-12-29 2012-09-13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246A KR20130077506A (ko) 2011-12-29 2011-12-29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06A true KR20130077506A (ko) 2013-07-09

Family

ID=4869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246A KR20130077506A (ko) 2011-12-29 2011-12-29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77506A (ko)
WO (1) WO2013100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9628B2 (en) 2015-12-09 2018-07-24 Hyundai Motor Company Insulation fiber composite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surface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384A (ja) * 2001-04-11 2002-10-23 Matsushita Refrig Co Ltd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備えた冷凍機器、電気湯沸し器、オーブンレンジ
KR20050016490A (ko) * 2002-05-31 2005-02-21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재와 그 제조 방법,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CN1657282A (zh) * 2004-02-04 2005-08-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真空绝热材料及其制造方法、保温保冷设备、以及绝热板
KR20080035016A (ko) * 2005-08-18 2008-04-22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진공단열구조체
JP2011236986A (ja) * 2010-05-11 2011-11-24 Sharp Corp 真空断熱材、そ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らを有する家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9628B2 (en) 2015-12-09 2018-07-24 Hyundai Motor Company Insulation fiber composite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surface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322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239B1 (ko) 다층 박막 진공단열재
CN1452705A (zh) 隔热箱及其所用的隔热材料
EP2397616A2 (en)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KR101657989B1 (ko) 어닐링 처리된 무바인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
CN102359195A (zh) 一种适用于建筑领域的真空绝热板结构
CN102310603A (zh) 一种适用于建筑领域的真空绝热板
KR101165245B1 (ko) 고기밀성 단열문의 단열패널
KR101060311B1 (ko) 고단열성의 난연성 복합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CN103727358B (zh) 一种获得低温的隔热材料结构
KR20130078005A (ko) 단열성 및 내핀홀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심재
US10059077B2 (en) High resistance panels (HRP)
WO2015115149A1 (ja) 真空断熱材、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及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KR20150018145A (ko) 진공단열재
CN202901702U (zh) 一种超薄叠层的真空绝热板芯材
KR20130077506A (ko)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용 심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1560125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단열 박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단열 박스
KR20110133451A (ko) 진공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hen et al. Vacuum insulation panel for green building
CA2876324C (en) High resistance panels (hrp)
JP2006225852A (ja) 断熱防湿フィルム
Black et al.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insulation
Lee et al. Analyses on performances of heat and multilayer reflection insulators
JP6168733B2 (ja) 断熱材
KR20120051512A (ko) 에어로겔-개방셀 폼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