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367A -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367A
KR20130077367A KR1020110146037A KR20110146037A KR20130077367A KR 20130077367 A KR20130077367 A KR 20130077367A KR 1020110146037 A KR1020110146037 A KR 1020110146037A KR 20110146037 A KR20110146037 A KR 20110146037A KR 20130077367 A KR20130077367 A KR 20130077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ft eye
right eye
focusing layer
len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367A/ko
Publication of KR2013007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6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9Wire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렌즈, 상기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며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Infrared Ray-cut-off coating)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층에 IR 코팅층을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의 콘트라스트 및 해상력을 유지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이 간단해져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and 3D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형화가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 실장되는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그 크기를 줄이는데 많은 연구가 기울여지고 있다. 또한,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서도 고기능, 고화질, 고화소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더불어, 이동 단말기에서 3D 입체 영상을 구현 가능하도록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구비한 양안식 스테레오 카메라도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로 채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초점 조절을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렌즈를 직접적으로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수단으로서, DC 모터, 스텝 모터(Step moter), 피에조 모터(Piezo motor) 및 VCM(Voice Coil Motor) 등이 사용되었다.
다만, 종래의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이나 모터가 수용되는 공간이 필요하였는 바, 카메라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모터 등의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함과 동시에 렌즈의 이격거리를 줄이거나 내부 부품의 밀집도를 높여 카메라를 소형화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카메라의 콘트라스트나 해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카메라의 내부 부품의 밀집도를 높임에 따라 낙하 등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고장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라스트와 해상력을 유지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렌즈, 상기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Infrared Ray-cut-off coating)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 중에 상기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초점 조절층의 두께(T)는 200㎛ < T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의 변화를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며, 상기 홀더의 내부에는 상기 초점 조절층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와이어 본딩 또는 전도성 핀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은 좌안 영상을 구성하는 광이 입사되는 복수개의 좌안 렌즈, 상기 좌안 렌즈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우안 영상을 구성하는 광이 입사되는 복수개의 우안 렌즈, 상기 좌안 렌즈의 하부에서 상기 좌안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좌안 이미지 센서, 상기 우안 렌즈의 하부에서 상기 우안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우안 이미지 센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가 일면에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와 상기 좌안 렌즈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이 형성된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안 렌즈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이 형성된 우안 초점 조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좌안 렌즈 중에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좌안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우안 렌즈 중에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우안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두께(Ta)는 200㎛ < Ta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의 두께(Tb)는 200㎛ < Tb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안 렌즈배럴, 상기 좌안 렌즈배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안 렌즈배럴 및 상기 좌안 렌즈배럴과 상기 우안 렌즈배럴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좌안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상기 우안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우안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는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대면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대면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 및 일단이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에는 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렌즈나 액정패널과 같은 초점 조절층의 일면 또는 타면에 직접 IR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외선 차단을 위한 IR 필터의 구성을 생략하고 초점 조절층을 통해 광의 초점 조절 기능 및 적외선 차단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복수개의 렌즈 중에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렌즈를 통과한 광이 모두 초점 조절층으로 입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초점 조절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IR 코팅층의 형성 위치를 일면 또는 타면으로 달리한 액체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전원이 인가되어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렌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IR 코팅층의 형성 위치를 일면 또는 타면으로 달리한 액정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원이 인가되어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본딩을 이용하여 초점 조절층을 회로기판에 연결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도성 핀을 이용하여 초점 조절층을 회로기판에 연결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렌즈(110), 상기 렌즈(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렌즈(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20), 상기 이미지 센서(12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130) 및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120)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150; Infrared Ray-cut-off coating)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점 조절층(140)에 IR 코팅층(150)을 형성하여 초점 조절층(140)을 카메라 모듈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콘트라스트 및 해상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이 간단해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렌즈(110)는 표면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을 모아주어 카메라 모듈 내부의 이미지 센서(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렌즈(110)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적층된다. 카메라 모듈의 사용목적이나 사용환경에 따라서 많게는 16 ~ 17 개의 렌즈(110)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3 ~ 7개의 렌즈(110)를 사용한다.
또한, 렌즈(110)는 구면수차와 색수차 등을 보정하기 위해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구면수차를 더 정밀하게 보정을 위해서 비구면 렌즈(aspherical lens)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센서(120)는 복수개의 렌즈(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120)는 반도체 소자로써,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 이미지 센서(120)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산화물반도체) 이미지 센서(12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카메라 폰의 소형화 및 다기능화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경박단소화를 위해 COF(Chip On Film) 방식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CMOS 방식의 이미지 센서(1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20)는 렌즈(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렌즈(1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120)의 중심점과 렌즈(110)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120)의 종류나 이미지 센서(120)의 배치는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 달성을 위해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기판(130)은 이미지 센서(120)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기판(130)에는 이미지 센서(120)가 실장되며, 회로기판(130)은 상기 이미지 센서(120)에서 송부되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에는 영상의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 프로세서가 실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초점 조절층(140)은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120) 사이에 구비되어 렌즈(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초점 조절층(140)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IR 코팅층(150)이 형성된다.
종래는 적외선 차단을 위해 IR 필터층이 카메라 모듈 내부에 위치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액체렌즈를 다른 렌즈(110) 사이에 위치시켜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도 액체렌즈를 카메라 모듈의 렌즈(110)에 추가하는 구성이므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초점 조절을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렌즈(110)를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액체렌즈나 액정패널과 같은 초점 조절층(140)을 사용하며, 상기 초점 조절층(140)에 IR 코팅층(150)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초점 조절층(140)에 직접 IR 코팅층(150)을 형성함으로써, IR 필터층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내부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초점 조절층(140)이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120) 사이의 카메라 모듈 내부에 위치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초점 조절층(140)에 IR 코팅층(150)을 형성하여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하는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위해 다른 렌즈(110)간의 간격이나 이미지 센서(120)와 렌즈(110)사이의 공간을 줄이는 방식이 아니므로 카메라 모듈의 콘트라스트나 해상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때, IR 코팅층(150)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140)의 두께(T)는 200㎛ < T < 500㎛ 범위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IR 필터층의 두께가 300㎛ ~ 400㎛ 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초점 조절층(140)은 IR 필터층와 동일한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초점 조절 기능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조절층(140)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Ef)는 복수개의 렌즈(110) 중에 초점 조절층(140)과 인접하는 렌즈(115)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El)보다 크다.
여기서, 초점 조절층(140)과 인접하는 렌즈(115)는 상기 초점 조절층(14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 및 입사각을 결정하는 렌즈(115)로써, 초점 조절층(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점 조절층(140)과의 이격거리가 복수개의 렌즈(111, 113, 115) 중 가장 짧은 렌즈(115)를 말한다.
본 발명의 초점 조절층(140)은 카메라 모듈의 내부의 복수개의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120) 사이에 위치하므로, 렌즈(110)를 통과한 광이 초점 조절층(140)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이미지 센서(120)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110)를 통과한 광이 모두 초점 조절층(140)에 입사되기 위해, 인접하는 렌즈(115)가 외측으로 굴절시킨 광도 초점 조절층(140)에 입사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초점 조절층(140)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Ef)는 커야한다. 그러므로 초점 조절층(140)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Ef)는 적어도 인접하는 렌즈(110)의 광이 입사되는 넓이(El)보다 크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렌즈(115)에서 광이 외측으로 굴절되는 굴절 각도가 θ이고, 상기 렌즈(115)와 IR 코팅층(150)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140)간의 수직거리가 L일 때, 초점 조절층(140)의 광 입사 영역의 반지름(R2)과 인접하는 렌즈(115)의 반지름(R1)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pat00001
이에 따라, 인접하는 렌즈(115)의 테두리 영역에서 굴절되는 광도 모두 초점 조절층(140)에 입사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점 조절층(140)은 액체렌즈일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185)와 비전도성 액체(186)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액체렌즈는 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의 상/하부 기판(181, 182), 상부 기판(181) 및 하부기판(182)에 구비되며 절연막(184)이 형성된 전극(183), 상부 기판(181)과 하부 기판(182) 사이에 수용되는 전도성 액체(185) 및 비전도성 액체(186)로 구성된다. 전도성 액체(185)와 비전도성 액체(186)는 상/하부 기판(181, 182)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섞이지 않고 경계면을 기준으로 서로 나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체렌즈는 광이 입사되는 액체렌즈의 일면에 IR 코팅층(150)이 형성되거나(도 5 참조), 광이 통과하여 나가는 액체렌즈의 타면에 IR 코팅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전도성 액체(185)와 비전도성 액체(186)의 경계면은 오목한 형태로써 오목 렌즈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초점 조절층(140)에 입사되는 광은 외측으로 굴절되어 초점 조절층(14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액체렌즈의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액체(185)의 분자들이 극성을 띠면서 전극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전도성 액체(185)와 비전도성 액체(186)의 경계면이 볼록하게 되어 볼록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액체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모아준다. 이와 같이 액체렌즈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렌즈(110)의 기계적인 이동없이도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조절층(140)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의 변화를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액정 패널은 투명한 소재의 상/하부 기판(191, 192), 하부 기판(192)에 구비되는 오목렌즈(193) 및 상부 기판(191)과 상기 오목렌즈(193)가 구비된 하부 기판 (192)사이에 구비된 액정층(194)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92)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액정층(194)의 배열을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정패널은 광이 입사되는 액정패널의 일면에 IR 코팅층(150)이 형성되거나(도 8 참조), 광이 통과하여 나가는 액정패널의 타면에 IR 코팅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액정층(194)의 액정분자(M)는 수직하게 배열되어 액정패널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오목렌즈(193)에 입사되게 된다.
액정패널에 전원을 인가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층(194)의 액정분자(M)들이 광의 입사경로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띄면서, 광의 경로를 변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에 입사되는 광의 모아줄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광이 모이는 초점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초점 조절층(140)의 초점 거리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위해 초점 조절층(140)과 회로기판(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조절층(140)의 접속단자(141a, 141b)와 회로기판(130)의 접속단자(131a, 131b)는 와이어 본딩(210a, 210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의 전도성 핀(230a, 230b)에 의해 초점 조절층(140)의 접속단자(141a, 141b)와 회로기판(130)의 접속단자(131a, 13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160)과 렌즈배럴(160)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170)를 포함한다.
렌즈배럴(160)은 원통형의 중공형 형상일 수 있으며, 렌즈배럴(16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렌즈(110)가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적층된다. 렌즈배럴(160)은 복수개의 렌즈(110)를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광이 렌즈(110)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렌즈배럴(160)의 하부에는 홀더(170)가 결합된다.
홀더(170)는 내부에 실장된 부품을 보호하며, 렌즈(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외하고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는 어둠상자와 같은 기능을 한다. 홀더(170)는 상단에 홀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 렌즈배럴(160)이 결합된다.
또한, 홀더(17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120)가 실장된 회로기판(130)이 위치하며, 내부에는 초점 조절층(140)이 위치된다. 즉, 렌즈배럴(160) 내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렌즈(110)를 차례로 통과한 광은 홀더(170) 내부로 입사되며, 홀더(170) 내부의 초점 조절층(140)에 의해 광의 초점이 조절되어 이미지 센서(120)에 최종적으로 입사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은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 좌안 렌즈(310a)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 좌안 렌즈(310a)와 우안 렌즈(310b)의 하부에서 각각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우안 이미지 센서(320b),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가 일면에 실장되는 회로기판(330),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좌안 렌즈(310a) 사이에 구비되며 IR 코팅층(350)이 형성된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와 우안 렌즈(310b) 사이에 구비되며 IR 코팅층(350)이 형성된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은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의 일면 또는 타면에 직접 IR 코팅층(350)을 형성함으로써, 초점 조절층(340a, 340b)의 구성만으로 광의 초절 조절 및 적외선 차단 기능을 수행하여 3D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은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3D 카메라 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3D 카메라 모듈은 좌안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 및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의 우측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가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형태를 갖는다.
좌안 렌즈(310a)와 우안 렌즈(310b)는 광의 구면수차와 색수차 등을 보정하기 위해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구면수차를 더 정밀하게 보정을 위해서 비구면 렌즈(aspherical lens)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는 좌안 렌즈(310a) 및 우안 렌즈(310b)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좌안 이미지 센서(320a)는 좌안 렌즈(310a)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달받으며, 우안 이미지 센서(320b)는 우안 렌즈(310b)로 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는 렌즈를 통과한 광이 도달하는 경로를 단순화하기 위해 그 중심점이 각각 좌안 렌즈(310a) 및 우안 렌즈(310b)의 중심점과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로기판(330)은 이미지 센서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기판(330)의 일면에는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가 실장된다.
또한, 회로기판(330)에는 입체 영상 합성소자(400)가 실장될 수 있다. 입체 영상 합성소자(400)는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에 의해 변환된 전기신호를 기초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가 실장된 회로기판(330)의 일면은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과 대면하는 면일 수 있다. 즉, 좌안 렌즈(310a) 또는 우안 렌즈(310b)를 통과한 광은 초점 조절층(340a, 340b)에 입사되어 광의 초점이 조절된 후 바로 이미지 센서(320a, 320b)로 입사된다. 회로기판(330)의 일면은 와이어 본딩 또는 전도성 핀에 의해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330)의 타면이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과 대면하는 면일 수 있다. 즉, 좌안 초점 조절층(340a)과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을 대면하는 타면의 반대면(일면)에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와 그 밖에 제어소자나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회로기판(330)은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즉, 이 경우에는 좌안 렌즈(310a) 또는 우안 렌즈(310b)를 통과한 광은 초점 조절층(340a, 340b)에 입사되어 광의 초점이 조절된 후, 회로기판(330)을 통과하여 회로기판(330)의 일면에 실장된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또는 우안 이미지 센서(320b)로 입사된다.
회로기판(330)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며,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을 마주하는 회로기판(330)의 타면의 반대면(일면)에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가 실장됨으로써, 회로기판(330)에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간의 배치나 이미지 센서(320a, 320b)와 초점 조절층(340a, 340b)간의 배치를 기설정된 규격에 맞추어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제1 연결부재(380a) 및 제2 연결부재(380b)를 포함하여 초점 조절층(340a, 340b)과 회로기판(330)의 타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80a)는 일단이 좌안 초점 조절층(340a)과 연결되어 타단이 회로기판(330)의 타면에 연결되며, 제2 연결부재(380b)는 일단이 우안 초점 조절층(3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회로기판(330)의 타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연결부재(380a) 및 제2 연결부재(380b)는 전도성 물질로써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330)은 제1 연결부재(380a) 및 제2 연결부재(380b)가 구비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비아홀(390a, 390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30)의 타면의 제1 연결부재(380a) 및 제2 연결부재(380b)의 구비된 영역에 각각 하나씩의 비아홀(390a, 390b)이 형성된다.
비아홀(390a, 390b)에는 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을 통해 제1 연결부재(380a) 및 제2 연결부재(380b)가 회로기판(330)의 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는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이 제1 연결부재(380a)와 제2 연결부재(380b)를 통하여 회로기판(330)의 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좌안 렌즈(310a) 또는 우안 렌즈(310b)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좌안 초점 조절층(340a)은 좌안 이미지 센서(320a)와 좌안 렌즈(310a) 사이에 위치하며,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우안 이미지 센서(320b)와 우안 렌즈(310b)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일면 또는 타면에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IR 코팅층(35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초점 조절층(340a, 340b)에 직접 IR 코팅층(35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IR 필터층의 구성을 생략하고 초점 조절층(340a, 340b)의 구성만으로 초점 조절 및 적외선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좌안 초점 조절층(340a)과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3D 카메라 모듈 내부의 렌즈(310a, 310b)와 이미지 센서(320a, 320b) 사이에 위치하여, IR 필터층이 차지하던 내부 공간을 대체하여 3D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3D 카메라 모듈의 콘트라스트나 해상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때, IR 코팅층(350)이 형성된 좌안 초점 조절층(340a)의 두께(Ta)는 200㎛ < Ta < 500㎛ 범위이다. 또한,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의 두께(Tb)는 200㎛ < Tb < 500㎛ 범위이다.
종래의 3D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IR 필터층의 두께가 300㎛ ~ 400㎛ 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IR 필터층와 동일한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초점 조절 기능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좌안 초점 조절층(340a)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 중에 좌안 초점 조절층(340a)과 인접하는 좌안 렌즈(315a)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 중에 우안 초점 조절층(340b)과 인접하는 우안 렌즈(315b)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크다.
여기서, 초점 조절층(340a, 340b)과 인접하는 렌즈(315a, 315b)는 상기 초점 조절층(340a, 340b)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 및 입사각을 결정하는 렌즈(315a, 315b)로써, 초점 조절층(340a, 340b)의 상부에 위치하여 초점 조절층(340a, 340b)과의 이격거리가 복수개의 렌즈(310a, 310b) 중 가장 짧은 렌즈(315a, 315b)를 말한다.
좌안 렌즈(310a)를 통과한 광은 모두 좌안 초점 조절층(340a)에 입사되어야 하므로, 인접하는 좌안 렌즈(315a)가 외측으로 굴절시킨 광도 좌안 초점 조절층(340a)에 입사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좌안 초점 조절층(340a)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커야한다. 동일한 이유로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의 광의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우안 렌즈(310b)가 굴절시킨 광이 모두 입사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커야한다.
그러므로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또는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적어도 인접하는 좌안 렌즈(315a)나 우안 렌즈(315b)의 광이 입사되는 넓이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또는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액체렌즈일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이다.
액체렌즈는 전원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이 오목하게 휘어있으나, 전원 인가시에는 볼록하게 경계면의 형태가 변하면서 입사되는 광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또는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의 변화를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액정패널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액정패널 내부의 액정분자의 배열이 방향성을 띄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광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 모듈은 좌안 렌즈배럴(360a), 우안 렌즈배럴(360b) 및 좌안 렌즈배럴(360a)과 우안 렌즈배럴(360b)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370)를 포함한다. 좌안 렌즈배럴(360a)의 우측으로 우안 렌즈배럴(360b)이 이격되어 위치한다.
좌안 렌즈배럴(360a)에는 복수개의 좌안 렌즈(310a)가 상하로 이격되어 적층되어 있으며, 우안 렌즈배럴(360b)에는 복수개의 우안 렌즈(310b)가 상하로 이격되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좌안 렌즈배럴(360a)과 우안 렌즈배럴(360b)은 외부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광이 렌즈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좌안 렌즈(310a) 및 우안 렌즈(310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370)는 내부에 실장된 부품을 보호하며, 좌안 렌즈(310a) 또는 우안 렌즈(310b)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외하고는 외부의 광을 차단하는 어둠상자와 같은 기능을 한다. 홀더(370)는 상단에 홀이 형성된 2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결합부에 각각 좌안 렌즈배럴(360a) 및 우안 렌즈배럴(360b)이 결합된다.
또한, 홀더(370)의 하부에는 좌안 이미지 센서(320a) 및 우안 이미지 센서(320b)가 실장된 회로기판(330)이 위치하며, 내부에는 좌안 초점 조절층(340a) 및 우안 초점 조절층(340b)이 위치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렌즈 120 : 이미지 센서
130, 330 : 회로기판 140 : 초점 조절층
150, 350 : IR 코팅층 160 : 렌즈배럴
170, 370 : 홀더 310a : 좌안 렌즈
310b : 우안 렌즈 320a : 좌안 이미지 센서
320b : 우안 이미지 센서 340a : 좌안 초점 조절층
340b : 우안 초점 조절층 360a : 좌안 렌즈배럴
360b : 우안 렌즈배럴 380a : 제1 연결부재
380b : 제2 연결부재 390a, 390b : 비아홀

Claims (20)

  1.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렌즈;
    상기 렌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Infrared Ray-cut-off coating)이 형성된 초점 조절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 중에 상기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초점 조절층의 두께(T)는 200㎛ < T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의 변화를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며, 상기 홀더의 내부에는 상기 초점 조절층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층은 와이어 본딩 또는 전도성 핀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좌안 영상을 구성하는 광이 입사되는 복수개의 좌안 렌즈;
    상기 좌안 렌즈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우안 영상을 구성하는 광이 입사되는 복수개의 우안 렌즈;
    상기 좌안 렌즈의 하부에서 상기 좌안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좌안 이미지 센서;
    상기 우안 렌즈의 하부에서 상기 우안 렌즈로부터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우안 이미지 센서;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가 일면에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좌안 이미지 센서와 상기 좌안 렌즈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이 형성된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이미지 센서와 상기 우안 렌즈 사이에 구비되며, 일면 또는 타면에 IR 코팅층이 형성된 우안 초점 조절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좌안 렌즈 중에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좌안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는 상기 복수개의 우안 렌즈 중에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인접하는 우안 렌즈의 광이 입사되는 영역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두께(Ta)는 200㎛ < Ta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R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의 두께(Tb)는 200㎛ < Tb < 5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경계면의 곡률 변화로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은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배열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5. 제 8 항에 있어서,
    좌안 렌즈배럴, 상기 좌안 렌즈배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우안 렌즈배럴 및 상기 좌안 렌즈배럴과 상기 우안 렌즈배럴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좌안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고,
    상기 우안 렌즈배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우안 렌즈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홀더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위치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는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대면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 및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대면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좌안 초점 조절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 및
    일단이 상기 우안 초점 조절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비아홀에는 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 모듈.
KR1020110146037A 2011-12-29 2011-12-29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KR20130077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37A KR20130077367A (ko) 2011-12-29 2011-12-29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37A KR20130077367A (ko) 2011-12-29 2011-12-29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67A true KR20130077367A (ko) 2013-07-09

Family

ID=4899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37A KR20130077367A (ko) 2011-12-29 2011-12-29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1916A1 (de) * 2015-09-08 2017-03-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ensoreinrichtung zur optischen erfassung von betätigungsgesten
KR20170094963A (ko) * 2016-02-12 2017-08-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체 형상을 갖는 기판 모듈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70112098A (ko) * 2016-03-30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18052228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
WO2019143002A1 (ko) * 2018-01-16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1916A1 (de) * 2015-09-08 2017-03-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ensoreinrichtung zur optischen erfassung von betätigungsgesten
KR20170094963A (ko) * 2016-02-12 2017-08-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체 형상을 갖는 기판 모듈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70112098A (ko) * 2016-03-30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18052228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
US10768345B2 (en) 2016-09-13 2020-09-08 Lg Innotek Co., Ltd.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module
US11467322B2 (en) 2016-09-13 2022-10-11 Lg Innotek Co., Ltd.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module
WO2019143002A1 (ko) * 2018-01-16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326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1714265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magnet interacting with both coil for performing focusing function and coil for performing shake compensation function
US11665421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EP3483652B1 (en) Camera module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US11212450B2 (en) Camera module for both normal photography and infrared photography
KR20130077367A (ko)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JP2002010117A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
TW202141968A (zh) 圖像感測器、攝影裝置及電子設備
US10395110B2 (en) Iris scanning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8413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TW202030512A (zh) 攝影模組
KR20100122721A (ko) 카메라 모듈
KR101038792B1 (ko) 카메라 모듈
JP2009098462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撮像機器、並びに、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48292A (ko) 카메라 모듈
US20150116588A1 (en) Image capturing module and actuator structure thereof
KR20130110447A (ko) 칩 온 글라스 방식의 카메라 모듈
KR20100092817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