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265A -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265A
KR20130077265A KR1020110145880A KR20110145880A KR20130077265A KR 20130077265 A KR20130077265 A KR 20130077265A KR 1020110145880 A KR1020110145880 A KR 1020110145880A KR 20110145880 A KR20110145880 A KR 20110145880A KR 20130077265 A KR20130077265 A KR 2013007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853B1 (ko
Inventor
박환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10145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53B1/ko
Priority to EP12199676.3A priority patent/EP2611190B1/en
Priority to US13/729,956 priority patent/US8923839B2/en
Publication of KR2013007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Abstract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장치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간의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AND DEVICE OF SYNCHRONIZ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이 휴대하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모바일 장치(103)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면, 모바일 장치(103)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1)로 전송하여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기화를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10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제어하게 된다. 공개 특허 2011-0032246에서는 상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103)를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공간(가정, 오피스 등)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개별적인 동기화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장치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 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영역 정보의 대응은 상기 제1 영역 정보와 상기 제2 영역 정보가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방향 정보의 대응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프로파일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파일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또는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유형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동작은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서로 공유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가 복수 개인경우, 상기 복수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스크린을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가 수행될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스크린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동기화가 수행될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간의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은 동기화 장치(2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 장치(200)와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202)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방송망 및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2)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AD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는 TV, 전자 액자, 프로젝션 스크린 등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장치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동기화 장치(200)는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202)간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의 대응은 디스플레이 장치(204)와 모바일 장치(202)가 동일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위치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가 위치 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에 대해서는 후에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동기화란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 시키는 것으로서,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간의 동기화가 수행 되었다는 것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영상 및 모바일 장치(202)의 영상을 서로 공유하거나, 모바일 장치(2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4)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02)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4)에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동기화 장치(200)가 모바일 장치(202)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어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상에 포함되어 동기화를 수행하는 장치이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 및 디스플레이 장치(204)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장치(200)는 제어부(300), 저장부(302), 수신부(304), 동기화부(306) 및 프로파일 전송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동기화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저장부(30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저장부(302)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변경된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공간은 영역 A(401), 영역 B(402), 영역 C(403) 로 분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도 4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들은 특정 공간내의 복수의 영역(401,402,403)에 각각 위치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들은 서로 다른 지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가 지시하는 방향 즉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A(411)는 영역 A(401)의 벽면에 설치된 전자 액자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A(401), 제1 방향 정보는 남쪽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B(412)는 영역 A(401)의 벽면에 설치된 TV로서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A(401), 제1 방향 정보는 서쪽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C(413)는 영역 B(402)의 천장에 설치된 프로젝션 스크린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B(402), 제1 방향 정보는 실내의 바닥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D(414)는 영역 B(402)의 벽면에 설치된 TV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B(402), 제1 방향 정보는 북쪽 방향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15)은 영역 C(403)의 벽면에 설치된 TV로서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C(403)이며, 제1 방향 정보는 북쪽 방향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특정 공간 내에 고정된 제1 위치 정보를 가지게 되며 이는 저장부(302)에 저장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수신부(304)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304)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제2 위치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202)는 특정 영역내의 무선 신호를 참고하여 위치를 추정하거나, 특정 영역내의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등 실내에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모바일 장치(202)는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정보인 제2 영역 정보를 수신부(304)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장치(202)는 자신이 위치하는 특정 좌표를 수신부(304)로 전송하고 동기화 장치(200)는 특정 좌표가 어느 영역에 속해있는지를 파악하여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부(304)로 전송한다.
이어서, 동기화부(306)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202)를 동기화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동기화부(306)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영역 정보와 동일한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영역 정보의 대응은 제1 영역 정보와 제2 영역 정보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만일 제1 영역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 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제1 영역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모바일 장치의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정보의 대응은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의 제2 영역 정보 및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장치와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부(306)에서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C(403)인 경우 영역 C(403)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E(415) 하나 이다. 따라서,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E(415)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A(401)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는 영역 A(401)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41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B(412) 중 하나와 동기화 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가 북쪽 방향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남쪽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411)와 모바일 장치(202)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가 동쪽 방향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서쪽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B(412)와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경우에 동기화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A(411)와 동기화가 수행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B(412)와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B(402)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D(414)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 앉아서 디스플레이 장치 D(414)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에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D(414)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며, 침대에 누워 천장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을 지시하는 경우에 동기화부(306)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와 모바일 장치(202)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A(601) 및 디스플레이 장치 B(603)가 동일 영역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와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 B(603)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 A(711)는 스크린의 왼쪽 영역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 A(711)가 대형 스크린의 왼쪽 영역을 제어하도록 모바일 장치 A(711)와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A(701)의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위치 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가 디스플레이 장치 A(701)에 포함된 스크린을 분할하여 제어하도록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와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절차 없이 특정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시하는 동작만으로도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동기화가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02)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의 제2 프로파일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02)는 제2 프로파일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 전송부(308)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프로파일 정보는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 받은 모바일 장치(202) 및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프로파일 정보 또는 제2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이유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유형 또는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 및 모바일 장치(202)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동기화된 장치간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전자 액자인 경우에는 전자 액자에 저장된 사진을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 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에 저장된 사진을 전자 액자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프로젝션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프로젝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TV인 경우에는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모바일 장치(202)를 통해 제공하거나,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부가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를 통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2)를 이용하여 TV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이 휴대폰, 스마트폰, PDA, PAD인 경우에 따라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202)로 제공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에서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장치(202)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202)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시청자 제한이 걸려 있는 프로그램인 경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이를 참조하여 모바일 장치(20)와의 영상 공유를 제한할 수 있으며, 성별에 따라 영상의 부가정보를 달리하여 모바일 장치(20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단계(S800)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즉, 제1 위치 정보를 저장부(302)에 저장하며, 제1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이서, 단계(S805)에서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위치 정보의 수신은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제2 위치 정보의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810)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또는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앞서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동기화부(306)에 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위치 정보와 제1 위치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은 동기화 장치(2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화 장치(200)와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202)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방송망 및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2)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AD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는 TV, 전자 액자, 프로젝션 스크린 등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장치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동기화 장치(200)는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202)간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의 대응은 디스플레이 장치(204)와 모바일 장치(202)가 동일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위치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가 위치 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에 대해서는 후에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동기화란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간의 동기화가 수행되었다는 것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영상 및 모바일 장치(202)의 영상을 서로 공유하거나, 모바일 장치(20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4)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02)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4)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동기화 장치(200)가 모바일 장치(202)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어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상에 포함되어 동기화를 수행하는 장치이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4)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기화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2) 및 디스플레이 장치(204)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장치(200)는 제어부(300), 저장부(302), 수신부(304), 동기화부(306) 및 프로파일 전송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동기화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저장부(30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저장부(302)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변경된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공간은 영역 A(401), 영역 B(402), 영역 C(403) 로 분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도 4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들은 특정 공간내의 복수의 영역(401,402,403)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들은 서로 다른 지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411,412,413,414,415)가 지시하는 방향 즉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A(411)는 영역 A(401)의 벽면에 설치된 전자 액자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A(401), 제1 방향 정보는 남쪽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B(412)는 영역 A(401)의 벽면에 설치된 TV로서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A(401), 제1 방향 정보는 서쪽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C(413)는 영역 B(402)의 천장에 설치된 프로젝션 스크린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B(402), 제1 방향 정보는 실내의 바닥 방향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D(414)는 영역 B(402)의 벽면에 설치된 TV이며,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B(402), 제1 방향 정보는 북쪽 방향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15)은 영역 C(403)의 벽면에 설치된 TV로서 제1 영역 정보는 영역 C(403)이며, 제1 방향 정보는 북쪽 방향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특정 공간 내에 고정된 제1 위치 정보를 가지게 되며 이는 저장부(302)에 저장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수신부(304)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304)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제2 위치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202)는 특정 영역 내의 무선 신호를 참고하여 위치를 추정하거나, 특정 영역 내의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등 실내에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모바일 장치(202)는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정보인 제2 영역 정보를 수신부(304)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장치(202)는 자신이 위치하는 특정 좌표를 수신부(304)로 전송하고 동기화 장치(200)는 특정 좌표가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를 파악하여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부(304)로 전송한다.
이어서, 동기화부(306)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4)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202)를 동기화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동기화부(306)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영역 정보와 동일한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영역 정보의 대응은 제1 영역 정보와 제2 영역 정보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만일 제1 영역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 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제1 영역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모바일 장치의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방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정보의 대응은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20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의 제2 영역 정보 및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장치와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부(306)에서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C(403)인 경우 영역 C(403)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E(415) 하나 이다. 따라서,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E(415)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A(401)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는 영역 A(401)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41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B(412) 중 하나와 동기화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가 북쪽 방향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남쪽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411)와 모바일 장치(202)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가 동쪽 방향인 경우 동기화부(306)는 서쪽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B(412)와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경우에 동기화가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는 모바일 장치(202)가 지시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A(411)와 동기화가 수행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B(412)와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 정보가 영역 B(402)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D(414)와 동기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 앉아서 디스플레이 장치 D(414)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에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와 디스플레이 장치 D(414)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며, 침대에 누워 천장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을 지시하는 경우에 동기화부(306)는 디스플레이 장치 C(413)와 모바일 장치(202)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2)의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A(601) 및 디스플레이 장치 B(603)가 동일 영역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와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 B(603)를 선택하여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장치 A(711)는 스크린의 왼쪽 영역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 A(711)가 대형 스크린의 왼쪽 영역을 제어하도록 모바일 장치 A(711)와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A(701)의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2 위치 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가 디스플레이 장치 A(701)에 포함된 스크린을 분할하여 제어하도록 모바일 장치 A(711) 및 모바일 장치 B(713)와 디스플레이 장치 A(701)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기화부(306)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절차 없이 특정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시하는 동작만으로도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와 손쉽게 동기화가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동기화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02)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의 제2 프로파일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02)는 제2 프로파일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 전송부(308)는 모바일 장치(202)의 제2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와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프로파일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프로파일 정보는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 정보 및 모바일 장치(202)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받은 모바일 장치(202) 및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프로파일 정보 또는 제2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이유는 디스플레이 장치(204)의 유형 또는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 및 모바일 장치(202)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동기화된 장치간 수행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전자 액자인 경우에는 전자 액자에 저장된 사진을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에 저장된 사진을 전자 액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프로젝션인 경우, 모바일 장치(2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프로젝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이 TV인 경우에는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모바일 장치(202)를 통해 제공하거나,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부가 정보를 모바일 장치(202)를 통해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2)를 이용하여 TV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202)의 유형이 휴대폰, 스마트폰, PDA, PAD인 경우에 따라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모바일 장치(202)로 제공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모바일 장치(202)에서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장치(202)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202)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시청자 제한이 걸려 있는 프로그램인 경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이를 참조하여 모바일 장치(20)와의 영상 공유를 제한할 수 있으며, 성별에 따라 영상의 부가정보를 달리하여 모바일 장치(20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단계(S800)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즉, 제1 위치 정보를 저장부(302)에 저장하며, 제1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이서, 단계(S805)에서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위치 정보의 수신은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제2 위치 정보의 변동이 발생할 때마다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810)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 또는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앞서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동기화부(306)에 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신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위치 정보와 제1 위치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장치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 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영역 정보의 대응은 상기 제1 영역 정보와 상기 제2 영역 정보가 동일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방향 정보의 대응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모바일 장치와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프로파일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프로파일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파일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또는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유형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정보를 달리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동작은 상기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서로 공유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동작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가 복수 개인경우, 상기 복수의 모바일 장치가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스크린을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모바일 장치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가 수행될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스크린의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제어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동기화가 수행될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장치.
  13.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1 영역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1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제2 영역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장치가 지시하는 방향에 대한 제2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영역 정보의 대응은 상기 제1 영역 정보와 상기 제2 영역 정보가 동일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역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제2 방향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방향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되,
    방향 정보의 대응은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지시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프로파일을 정보를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동기화가 수행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 또는 상기 제2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18.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제1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복수의 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2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를 수행 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9. 모바일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제2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45880A 2011-12-29 2011-12-29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80A KR101874853B1 (ko) 2011-12-29 2011-12-29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EP12199676.3A EP2611190B1 (en) 2011-12-29 2012-12-28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e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US13/729,956 US8923839B2 (en) 2011-12-29 2012-12-28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e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80A KR101874853B1 (ko) 2011-12-29 2011-12-29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65A true KR20130077265A (ko) 2013-07-09
KR101874853B1 KR101874853B1 (ko) 2018-07-05

Family

ID=4742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880A KR101874853B1 (ko) 2011-12-29 2011-12-29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3839B2 (ko)
EP (1) EP2611190B1 (ko)
KR (1) KR101874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8361B2 (ja) * 2010-11-22 2015-08-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KR102220825B1 (ko) * 2013-09-05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WO2017009908A1 (ja) 2015-07-10 2017-01-19 楽天株式会社 電子書籍表示装置、電子書籍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50162B2 (en) 2015-07-29 2020-05-12 Simplifeye,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database
KR20200111499A (ko)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327175B (zh) * 2020-09-29 2022-10-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分享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875B2 (en) * 2001-01-24 2006-04-18 Geo Vector Corporation Pointing systems for addressing objects
EP2093650B1 (en) * 2002-11-20 2013-05-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pointing device
US8111680B2 (en) * 2005-04-07 2012-0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object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100225470A1 (en) * 2009-03-06 2010-09-09 Manish Marwah Entity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with a mobile device
US8595761B2 (en) * 2011-06-17 2013-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eaming video with enhanced overlay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53B1 (ko) 2018-07-05
US20130171980A1 (en) 2013-07-04
EP2611190A1 (en) 2013-07-03
EP2611190B1 (en) 2017-07-19
US8923839B2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853B1 (ko) 모바일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US9084003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media playback
JP6124985B1 (ja) 映像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
US20150189401A1 (en) Advertisement scheme
US20160203643A1 (en) Exhibition guide apparatus, exhibition media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exhibition
US1077186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content on multiple media devices
JP516813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648099B2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343004B1 (en) Autom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ing topology mapping
US10222876B2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802277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on-board apparatus, and program
US11197053B2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090096831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075823B2 (en) Method and system of sharing a broadcast preset table between a vehicle tuner and an external device
KR101344459B1 (ko) 동영상 촬영장비와 연동된 공간 정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160291696A1 (en) Method for using magnetometer together with gesture to send content to wireless display
EP289462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ing two remote control apparatus
US2015035865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500968B1 (ko) 공간 및 위치 감응형 영상 송출 장치 및 방법
US9977640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using these devices
JP5811534B2 (ja) 画像表示制御サーバ
KR20180062621A (ko) 복수의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 지원 디바이스
KR101838902B1 (ko) 혼합 현실 기반 조감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010B1 (ko) 내부 공간 정보를 이용한 관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8244A (ko) 3차원 기반의 실내위치 추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