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187A -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187A
KR20130076187A KR1020110144674A KR20110144674A KR20130076187A KR 20130076187 A KR20130076187 A KR 20130076187A KR 1020110144674 A KR1020110144674 A KR 1020110144674A KR 20110144674 A KR20110144674 A KR 20110144674A KR 20130076187 A KR20130076187 A KR 2013007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undish
magnetic field
flow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251B1 (ko
Inventor
정해권
문창호
박종수
강기판
김구화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2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2Use of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개재물을 포함하는 용강이 충진된 용기의 외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장치 하우징에 용강에 이동 자기장을 인가토록 하나 이상 제공되어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토록 구성된 자기장 인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력 반대방향으로 용강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용강의 적어도 상승류를 매개로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촉진하여 탕면 플럭스와의 개재물 접촉빈도를 높여 개재물 제거효율을 높이는 한편, 특히 이동하면서 이동 자기장을 넓은 범위에서 인가할 수 있어, 고토출, 대용량 턴디쉬에서 미세한 개재물 까지도 효과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개재물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용강의 청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molten steel in Tundish an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턴디쉬(tundish)내 용강 중의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촉진하여 그 제거효율을 높여서 청정강의 연속 주조를 가능하게 한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알려진 연속 주조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강(M)은 래들(200)로부터 턴디쉬(210)로 공급되고 턴디쉬(210)를 통하여 몰드(220)로 공급되어 몰드에서 주편의 연속 주조가 이루어 진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부호 202와 214는 래들의 쉬라우드 노즐과 턴디쉬의 댐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12는 턴디쉬 침지노즐을 나타낸다.
이때, 용강은 이전 공정에서 제거되지 못한 비금속 개재물(D)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은 탈산 처리에 의하여 용강(M)의 내부에 잔존하는 산화물과 공기 중의 질소와 결합된 질화물 및 용강 중 탄소와 결합된 탄화물, 황화물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개재물(D)은 용강(M)에 비해 비중이 작기 때문에, 용강 내에서 부상하는 성질을 가지고, 개재물의 직경이 작을수록 늦게 부상하게 되므로, 한정된 조업 시간 내에 개재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용강(M)에 포함된 개재물(D)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용강의 탕면 상에 플러스를 투입하고, 상기 플럭스와 개재물이 접촉하여 포집되도록 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재물의 부상은 용강이 체류하는 동안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몰드 내 용강 체류에 의한 개재물 부상 분리 기회는 연속 주조의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몰드 수직부의 길이가 길면 확보되지만, 연속 주조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몰드에 용강이 투입되기 전에, 턴디쉬에서 용강의 청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전 공정에서 제거되지 못한 비금속 개재물(D)이나 턴디쉬 내에 송풍되는 기포(미도시), 턴디쉬 플럭스(F)(턴디쉬 파우더(Powder)) 또는 슬래그 등을 포함하고 있는 용강(M)이 몰드(220)에 유입되면, 몰드에서 연속 주조되는 주편(S)의 청정도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특히 턴디쉬(210)에서 상기의 개재물(D)의 제거가 청정강을 기반으로 하는 연속 주조에서 중요한 것이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재물의 제거는 개재물의 부상을 유도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턴디쉬(210)에서의 개재물 부상 분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일예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디쉬(210)의 바닥측에 댐(214)을 설치하고 커버측에 에 위어(216)을 설치하여, 용강의 유동을 유도하여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2에서 도시한 턴디쉬(210)의 댐(214)나 위어(216) 등은 소모성 내화물 구조물이다.
그리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턴디쉬(210)에 가스를 송풍하여 송풍에 의한 개재물의 부상 분리, 댐(214)과 위어(216)에 구멍을 형성하는 필터 구조로 설치하거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여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유도하게 된다.
즉, 턴디쉬에 설치되 내화 구조물인 댐(214)과 위어(216)의 경우, 도 2와 같이 용강(M)의 유동을 억제하는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소정의 패턴으로 턴디쉬내에 설치되고, 용강의 상승류나 층류를 형성하여 개재물(D)의 부상분리를 유도하게 된다.
도 2는 연주 턴디쉬 공정에서의 댐(214)과 위어(216)의 설치를 통하여 턴디쉬 내 용강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개재물을 부상 분리에 유리하는 댐 & 위어 방식의 턴디쉬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턴디쉬 내부의 댐과 위어는 용강의 상승유동(이하, '상승류' 이라함)를 유도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 B-타입(Straight type)의 턴디쉬에서 단위 시간당 턴디쉬 유입 용강의 량이 많을수록 개재물 제거 능력은 감소하게 되며, 50 미크론 이하의 개재물은 상기 B-타입의 턴디쉬의 경우에는 부상 분리가 어렵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댐 & 위어 방식은 50 ㎛ 보다 크기가 큰 개재물의 경우에는 부상 분리가 용이하지만 그 이하의 미세 개재물 들의 부상 분리는 쉽지 않다.
또한, 댐과/또는 위어 방식의 턴디쉬는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용강량 및 턴디쉬 내부의 용강량의 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어려워, 비상적인 조업에 대처하기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모성 내화물인 댐과위어의 턴디쉬 구축 비용 또한 상당한 것이다.
다음, 가스 송풍의 경우에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의 턴디쉬(210)의 바닥이나 측벽에 다공질 분사체(내화벽돌)을 설치하고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가스를 투입하여, 턴디쉬 내의 용강의 상승과 교반을 유도하고, 이를 통하여 개재물이 응집되면서 비대화가 유도되면서 부상 분리가 이루어 지게 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 송풍에 의한 개재물의 부상 분리의 경우, 값이 비싼 불활성 가스가 다량 필요한 것은 물론, 용강 내에 다수 존재하는 미세 가스 버블이 몰드(220)에 유입되어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송풍시 강한 교반력에 의해 부상한 개재물이나 기포가 오히려 용강으로 혼입될 우려가 있고, 다량의 불활성 가스의 송풍시 턴디쉬 내 용강의 온도를 하락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다음,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의 턴디쉬 댐(214)이나 위어(216)를 필터 구조로 제공하는 종래의 다른 방식은, 댐(214)과 위어(216)에 다수의 구멍들을 형성시키어 필터기능을 제공하고, 이 필터 구멍을 통하여 용강(M) 만 통과시키도록 하여 개재물(D)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댐 또는 위어의 필터 구조를 통한 개재물의 제거시, 미세 개재물을 여과하기 위하여는 댐이나 위어의 필터용 구멍을 작게 하여야 하고, 따라서, 용강내 개재물이 필터 구멍에 고착화되면서 구멍들을 막고, 따라서 사실상 장시간의 사용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내화물 구조물의 필터는 재사용도 불가능한 것이다.
다음, 전자기력을 이용한 용강의 유동 제어를 매개로 개재물의 부상 분리는 용강 유동의 방향성 조절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제1999-123507호 등에서는, 용강의 흐름에 제동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도 2에서 턴디쉬(210)의 양측 벽에 설치한 자석을 통하여 용강의 흐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정자장을 인가하고, 용강 흐름의 반대방향으로는 전자기 제동력을 인가시키어, 용강 유동(흐름)의 균일화 또는 층류화를 유도하여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하여 용강 유동에 제동을 가하는 방식은 턴디쉬를 재사용할 수 있고, 부상한 개재물의 용강 내로의 재혼입 가능성이 적은 등 이점이 있으나, 개재물의 부상이 부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미세 개재물의 부상 분리는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다른 방식을 일본 공개특허 제1994-031409호 또는, 그 개량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 제2000-052005호 등에서 개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턴디쉬(210)를 래들에서부터 용강이 유입되는 원형의 수용조와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는 공급조로 분리하고 이들을 통로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조 외부에 용강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전자기 장치를 설치하여 래들(200)에서부터 수용조로 용강이 유입되면 수용조 내부의 용강을 회전시켜 개재물의 응집을 통하여 비대화시키는 동시에, 개재물을 용강 공급조 내에서 부상 분리가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력에 의해 용강을 수용조 내에서 회전시켜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촉진하는 경우에는, 강한 회전력에 의하여 부상한 개재물이 용강 내로 재혼입될 가능성이 높고, 용강 탕면의 슬래그 또한 용강 내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다른 방식을, 일본 공개특허 제1996-281392호에서 개시하고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처음의 전자기력 방식과 유사하게 전자석을 턴디쉬 측면에 설치하여 용강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정자장을 인가한 후,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여 용강 내에 전류를 공급하고 용강에 중력 방향의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고, 그 반작용에 의해 용강 내 개재물을 상승시켜 부상 분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라즈마 토치를 통하여 용강 내로의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에 의한 용강의 상승을 유도하는 방법의 경우, 턴디쉬 내벽 중 일부가 도전성 내화물로써 구성되어야 하며 용강 내 전류 분포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용강 저토출 이나, 소형의 턴디쉬에서는 개재물 부상 분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고토출 용강량이나 대용량 턴디쉬에서의 실질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중력 반대방향으로 용강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용강의 적어도 상승류를 매개로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촉진하여 탕면 플럭스와의 개재물 접촉빈도를 높여 개재물 제거효율을 높이는 한편, 특히 이동하면서 이동 자기장을 넓은 범위에서 인가할 수 있어, 고토출, 대용량 턴디쉬에서 미세한 개재물 까지도 효과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개재물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용강의 청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개재물을 포함하는 용강이 충진된 용기의 외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장치 하우징에 용강에 이동 자기장을 인가토록 하나 이상 제공되어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토록 구성된 자기장 인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래들에서 용강이 충진되는 턴디쉬;
상기 턴디쉬로부터 용강이 투입되어 주편을 생산하는 몰드; 및,
상기 턴디쉬의 외측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상기 용강유동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턴디쉬의 용강에 이동 자기장을 인가하여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적어도 용강의 상승류를 형성하는 용강유동 제어단계;
상기 용강의 상승류를 통하여 개재물이 탕면 플럭스와의 포집을 통하여 제거되는 개재물 제거단계; 및,
개재물이 제거된 청정강을 몰드에 투입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청정강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주조중 턴디쉬 내에서 중력 반대 방향으로 용강이 상승하도록 하는 용강유동의 제어를 통하여 회전류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턴디쉬에 설치된 댐, 위어 방식의 개재물 제거의 한계를 극복하여 개재물 부상 분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용강 탕면상의 플러스와 부상되는 개재물의 포집 제거 효율이 극대화되어 용강의 청정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고 청정강의 연속주조를 가능하게 하여, 고 품질의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기존 턴디쉬의 개재물 부상을 위하여 용강의 유동 제어를 하도록 설치된 소모성 내화물인 댐이나 위어의 설치를 대체 가능하게 하여, 소모성 내화물 축조에 따른 비용 절감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턴디쉬 외측에 제공된 이동 자장 인가 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턴디쉬 자체의 구조 변경 등이 필요없어 기존 턴디쉬에도 쉽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동 자장 인가수단이 다중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원하는 용강의 유동 제어를 정밀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연속 주조 설비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턴디쉬의 댐과 위어를 이용한 용강의 유동 제어를 도시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한 턴디쉬의 용강 유동 제어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유동 제어장치의 이동 방향과 범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 발명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통한 용강의 유동제어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용강의 유동 제어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의 이동 자기장 인가 범위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의 이동 자기장 인가 범위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종래 댐과 위어 방식에 대한 본 발명의 개재물 포집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유동 제어장치(1)의 관련 구성은 1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본 발명의 연속 주조 장치는 도 5에서 100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도 1,2에서 설명한 종래 연속 주조 설비와 관련된 구성요소는 200단위의 도면부호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 용강의 상승유동은 '상승류'로, 용강의 (턴디쉬 깊이방향) 회전유동은 '회전류'로 설명하고, 본 발명의 용강(M)이 충진되는 용기는 턴디쉬(210)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턴디쉬(210)는, 도 5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래들(200)의 노즐(202) 즉, 쉬라운드 노즐이 투입되는 중앙의 양측으로 턴디쉬 양측 모서리부분에 침지노즐(212)이 제공되어 순차로 몰드(220)에 용강을 주입하는, 8.8 ton/min의 용강 토출량을 갖는 대용량 고토츨 형의 대형 턴디쉬까지도 적용 가능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턴디쉬(210)의 용량은 70 ton이고, 턴디쉬 내면 폭(W)은 800mm 정도이고, 용강의 수납 높이(턴디쉬 내화물을 제외한 높이)는 1200mm이며, 수납 길이(턴디쉬의 내화물을 제외한 길이)는 9000mm 정도이다. 또한,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강은 3.5ton/min, 5.9ton/min, 8.8ton/min의 유량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0.8 mpm의 고속 주조를 가능하게 하는 연속 주조 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더하여,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 영문 이니셜로서, 'M'은 ,용강을 나타내고, 'MT'는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을 나타내고, 'MF'는 이동 자기장의 인가를 통하여 턴디쉬의 내벽을 따라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인가되는 전자기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개재물(D)을 포함하는 용강(M)이 충진된 턴디쉬(210)의 외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10) 및, 상기 장치 하우징(10)에 용강에 이동 자기장(MT)의 인가를 가능토록 하나 이상 제공되어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을 생성토록 구성된 자기장 인가수단(30)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장치 하우징(10)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2단으로 제공된 이동 자기장 인가수단(이하. '자기장 이동수단'이라함)(30)을 통하여 이동 자기장(MT)이 턴디쉬의 용강에 일정영역에 인가된다.
그리고, 이동 자기장(MT)에 의하여 용강에서는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화살표)이 생성되고, 따라서 용강(M)의 유동흐름은 상승류로 유도되고, 결국 용강에 포함된 개재물(D)은 상승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강유도 제어장치(1)는 이동 자기장(MT)을 턴디쉬 중앙을 향하여 인가시키어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을 생성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턴디쉬(210)에서는 용강의 상승류(MF1)는 물론, 용강이 턴디쉬 내벽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류(MF2)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5 및 도 6과 같은 용강의 유동 제어를 구현하면, 용강에 포함된 개재물(D)은 탕면에 투입된 플럭스(F)와의 접촉폭이 대폭 증대되고, 따라서 개재물의 플럭스 포집효율을 극대화되면서, 대용량의 턴디쉬를 사용하여도 고 청정의 용강을 몰드(220)에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개재물의 포집 제거율은, 용강내에 잔류하는 고상 개재물 등이 턴디쉬 용강 탕면에 도포된 턴디쉬 플럭스(F)에 화학적으로 용강으로부터 제거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동시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용강유동 제어를 통하여 턴디쉬에서의 용강의 상승류(MF1)와 회전류(MF2)의 구현으로 용강의 체류시간 즉, 탄디쉬에 유입되어 몰드로 배출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이는 고속이나 원활한 연속 주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정리하면, 이동 자기장(NT)이 턴디쉬 내부 일정영역의 용강에 인가되면, 전자기력(N/㎥) JⅹB(MF)를 턴디쉬 내벽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 특히,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생성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중력반대 방향으로의 전자기력(MF)에 의한 상승류(MF1)에 의하여 턴디쉬 내측벽을 타고 탕면 근처까지 상승하고, 탕면에서 턴디쉬 중앙으로 모인 후 다시 턴디쉬 중앙을 타고 하강하는, 용강의 유동은 두 개의 큰 회전류(MF2)를 형성하고 턴디쉬 내 주유동 방향과 결합되어 용강은 턴디쉬의 침지노즐(212)측의 토출구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용강에서 생성되는 전자기력(MF)은 용강의 유동이 가지는 회전류(MF2)를 더욱 가속시키어,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통한 탕면의 플럭스 접촉 빈도가 대폭 증가되고, 이는 개재물의 제거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자기장 인가수단(30)이 수직으로 2단 이상 제공되는 박스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장치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구조를 갖거나, 냉각수관이 포위되는 냉각수 자켓 구조로 제공되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동 자기장의 인가시 발생되는 열이나 턴디쉬나 몰드로부터의 복사열에 따른 장치 내부의 부품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냉각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치하우징에 냉각수의 순환 구조를 제공하면 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에서 상기 자기장 인가수단(30)은, 상기 장치 하우징(1)의 내부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철심부(32)와 상기 철심부에 권선되고 3상의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34)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3b에서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컬러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34)에 3상의 교류전류가 인가되면, 턴디쉬 중앙을 향하여 이동 자기장(MT)이 인가되는데, 실제 이와 같은 이동 자기장은 평면상 'U'자 형태의 이동 자기장(MF)을 용강(M)에 인가하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3상 교류전류의 인가에 따른 'U'자형의 이동 자기장이 용강에 일정의 영역에서 인가되면, 이동 자기장 사이로 수직한 방향으로 전자기력(MF)이 생성되고, 따라서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화살표)이 용강의 유동을 유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적어도 도 5 및도 6과 같이, 용강의 싱승류(MF1)는 물론, 용강의 회전류(MF2)도 생성시키어 개재물의 부상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자기장 인가수단(30)의 이동 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한편, 복수의 자기장 인가수단(3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자기장 인가수단(30)에서 인가되는 독립적인 이동자기장(MT)을 통하여, 턴디쉬(210)에서의 용강에 적절한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을 생성시키어 적절한 용강의 유동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도 4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 장치에서 자기장 인가수단(30)이 내장되는 장치 하우징(10)은, 상기 턴디쉬(210)의 라인 투입 등을 고려하여 턴디쉬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속주조 설비프레임(도 9의 F)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미도시)에 연계되어 제공되고, 구동원을 통하여 턴디수에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밀착 제공될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9,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의 3 방향의 이동 제어를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턴디쉬를 향한 전,후진하는 ①의 이동제어와, 턴디쉬를 따라 수평 이동하는 ②의 이동제어 및, 더하여, 장치 하우징(10)의 회전각도(자기장 인가각도)를 제어하는 ③의 회전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다방향의 이동제어와 회전제어를 통하여, 이동 자기장의 인가제어와 인가 범위는 물론, 이를 통한 용강제어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고, 장치의 턴디쉬 투입이나 이탈후 대기 등의 조업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에 도 9 및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1 내지 제3 구동수단(50)(70)(90)들을 통하여 다방향의 이동 제어와 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MT)은 적정한 범위에서 용강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의 이동범위 즉, 이동 자기장(MT)의 인가범위는 턴디쉬 측벽의 래들 노즐 입구측에서 부터 턴디쉬 토출구 방향으로 3,000 mm의 범위(D1) 내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래들 입구측에서 400mm ∼ 3000mm 의 범위(D2)에서 이동 자기장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때,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장 인가수단(30)을 통한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MT)은 턴디쉬의 양 내측벽에서 턴디쉬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턴디쉬의 폭(W=850mm)의 1/4 까지의 깊이(DP), 인가 높이 H는 200 ~ 1,000mm, 인가 폭(ST)는 100 ~ 40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 자기장(MT)이 턴디쉬 내부의 용강(M)에 인가되면, 전자기력 JⅹB (MF)은 턴디쉬 내벽을 따라 상승하는 방향 즉,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생성되고, 이때의 전자기력은 10 ∼ 1,000 N/㎥의 세기를 갖는다.
이때,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 자기장(MT)의 용강 인가 깊이(DP)는, 턴디쉬 폭(W)에 대응하여 탄디쉬 폭 1/4 까지의 깊이로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턴디쉬 폭의 1/4 보다 커서 예를 들어, 1/2 이면, 도 6과 같이, 턴디쉬 양측에서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 간의 충돌(간섭)이 발생되고, 특히 도 6과 같이 이동자기장의 인가로 용강이 턴디쉬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고, 턴디쉬 중심으로 유동하여 다시 하강하는 회전류(MF2)를 형성하는데, 이동 자기장의 인가 깊이가 턴디쉬 폭(W) 1/4 보다 크면, 이와 같은 회전류의 용강 유동이 간섭되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턴디쉬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회전류가 서로 충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 자기장의 인가 깊이(DP)가 너무 크면, 마주하는 턴디쉬 양측에서 자기장 인가수단(30)에서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이 서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 전자기력의 불균일한 생성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동 자기장의 인가 깊이는 턴디쉬 폭의 1/4 까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자기장(MF)의 용강 인가 높이(H)는 200 ~ 1,000mm 정도가 바람직한데, 이는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동 자기장이 턴디쉬 바닥에 근접하거나 커버 측에 근접하여 실효성이 없는 것이다.
특히, 이동 자기장의 인가 높이가 높은 경우 탕면의 플럭스를 유동시키는 문제가 있고, 이동 자기장의 인가 높이가 너무 높으면 탕면을 이에 맞추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음, 도 8과 같이, 이동자기장의 인가 폭(ST)은 100 ~ 400mm가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도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이동 자기장의 인가 면적(폭)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동 자기장의 인가에 따른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의 생성이 취약하게 될 수 있고, 반대로 작으면 이동 자기장 인가에 따른 전자기력의 유동제어가 실효성이 없는 것이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에서, 장치 하우징(10)을 통한 이동 자기장의 인가 폭은 래들의 노즐(202) 입구측에서부터 토출구로 3000mm의 범위(D1)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8과 같이 이동 자기장(MT)의 이동범위는 중앙의 래들 노즐의 투입측에서 부터 400mm의 지점에서부터 3000mm 까지의 범위(D2)로 이동 자기장을 용강에 인가시키는 것이다.
이는 래들의 노즐 투입측과 턴디쉬의 노즐 토출구 사이의 거리를 고려할 때, 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자기장이 래들의 노즐에 매우 근접하면, 유입되는 용강의 흐름 즉, 턴디쉬 설계를 통한 의도하는 용강의 유입 유동을 간섭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래들의 노즐 투입측에서 400mm 정도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9 및 도 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유동 제어장치(1)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을 도 4와 같이, 전,후진 이동(도 4의 ① 이동)과 수평 이동(도 4의 ② 이동) 및, 장치 하우징(10)과 내장된 자기장 인가수단(30)의 회전(도 4의 ③회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1 내지 제 3 구동수단(50)(70)(9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 하우징(10)은 제1 구동수단을 매개로 턴디쉬를 따라 수평 이동토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수평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이동 자기장을 용강에 인가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은 턴디쉬를 따라 연속적으로 토출구측으로 생성되어 용강의 강한 상승류(MF1) 는 물론, 회전류(MF2)의 유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구동수단(50)은,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하부에 장착되고 모터(52)로서 구동되는 스크류바아(54)가 관통 체결되는 이동블록(56) 및, 상기 이동블록(56)이 안착되고 턴디쉬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레일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류바아(54)는 레일부재(60)상에 제공된 베어링블록(58)에 체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56)의 하부 가이드돌부(56a)는 레일부재(60)의 홈(62)에서 턴디쉬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로서 스크류바아(54)가 회전 구동되면 여기에 체결된 이동블록(56)이 레일부재(60)를 따라 턴디쉬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이동블록(56)상에 제공된, 장치 하우징(10)에 내장된 자기장 인가수단(30)에 의하여, 용강에 연속적인 수평 방향의 이동 자기장 인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레일부재와 스크류바아 및 이동블록의 이동폭은 앞에서 설명한 이동 자기장의 인가 범위(도 8의D1,2중 적어도 D1)를 고려하여 길이가 결정되고, 이동블록에는 이동을 안정적으로 하는 가이드봉(미도시)이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재(60)에 연계된 제2 구동수단을 매개로 장치 하우징(10)은, 턴디쉬를 향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이동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수단(70)은, 상기 레일부재(60)가 안착되고 설비 프레임(FR)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턴디쉬를 향하여 신장된 가이드레일(72) 및, 상기 레일부재와 연계되고, 설비 프레임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에 제공되어 턴디쉬 방향으로 작동토록 연계되는 구동원(74) 즉,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원(74)인 수평 구동실린더의 로드는 레일부재의 하부에 돌출된 연결대(7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재(60)의 양단부는 가이드레일(72)의 홈부분에 안착되어 이동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에는 라이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수단(70)의 구동원(74) 즉, 수평 구동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상기 레일부재(60)는 길이를 갖고 있지만, 가이드레일(72)을 따라 레일부재(60)와 그 상측의 이동블록(56) 및 그 상측의 장치 하우징(10)의 전체가 턴디쉬를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동이 구현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1,2 구동수단(50)(7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자기장 인가수단(30)이 내장된 장치 하우징(10)은 레일부재(60)를 따라 수평 이동하고, 레일부재가 가이드레일(72)를 따라 턴디쉬를 향하여 전진하는 이동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 더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장치 하우징(10)과 상기 제1 구동수단(50)의 이동블록(56)사이에 연계되는 제3 구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동 자기장의 인가각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구동수단(90)은,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하부와 제1 구동수단(50)의 이동블록(56) 사이에 연계되는 힌지블록(92) 및, 상기 장치 하우징과 이동블록 사이에 연계되는 제2 구동원(9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블록(92)은 이동블록(56)의 하부에 제공되고, 이동블록의 상부가 라운드하게 형성되면서 서로 힌지핀(96)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원(94)인 수직 구동실린더는 장치 하우징측과 이동블록에 설치된 지지판(미부호)상의 힌지형 브라켓트(98)사이에 실린더 로드와 실린더의 몸체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원(94)인 수직 구동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하고, 힌지형 브라켓트(98)에서 이동이나 원운동이 보상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를록 상의 힌지블록(92)은 장치 하우징(10)과 일체로, 도 10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힌지핀(96)을 축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회전범위는 좌우로 30 °정도로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원(94)인 수직 구동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장치 하우징(10)은 힌지블록과 힌지핀을 축으로 이동블록상에 회전되고, 이는 이동 자기장(MT)의 용강 인가각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이와 같은 이동 자기장의 인가각도 제어는 용강의 적어도 상승류 방향 제어를 가능하게 하거나 상승류나 회전류를 증폭시키도록 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는, 용강에 이동 자기장을 인가시키고, 이를 매개로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의 생성을 통하여, 기존의 댐이나 위어의 소모성 내화물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강의 개재물 포집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키어, 결과적으로 높은 청정강의 몰드 투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장치(100)는 도 5에서와 같이, 용강이 충진되는 턴디쉬(210)와, 상기 턴디쉬로부터 용강이 투입되어 주편을 생산하는 몰드(220) 및, 상기 턴디쉬의 외측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상기 용강유동 제어장치(1)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9,10에서 되한 바와 같이, 상기 턴디쉬의 외피에는 용강유동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MT)의 인가력을 증대토록 적어도 용강유동 제어장치의 이동 범위내에 설치되는 자기장 인가판(2)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로 된 자기장 인가판(2)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자기장 인가판(2)은 기존 철로된 외피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의 훼손이 발생되는 것에 비하여, 매우 순질의 자기장 인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속 주조 장치(100)는, 턴디쉬에서의 개재물 제거효율이 높기 때문에, 보다 청정강의 연속 주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 용강유동 제어장치와 연속 주조 장치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연속 주조 방법을 정리하면, 턴디쉬(210)의 용강(M)에 이동 자기장(MT)을 인가하여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MF)을 생성하여 적어도 용강의 상승류(MF1)를 형성하는 용강유동 제어단계와, 상기 용강의 상승류를 통하여 개재물이 탕면 플럭스(F)와의 포집을 통하여 제거되는 개재물 제거단계 및, 개재물이 제거된 청정강을 몰드(220)에 투입하여 주편(S)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MT)의 세기를 제어하여 용강의 상승류(MF1)에 더하여, 회전류(MF2)를 형성시킴으로써, 개재물의 포집 제거를 통한 청정강의 연속 주조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11에서는 종래 도 2와 같이 댐(214)과 위어(216)를 사용하는 턴디쉬와 본 발명의 용강유동 제어장치(1)를 포함하는 턴디쉬 조업시, 실제 개재물의 포집율을 대비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비하여 용강 토출량을 각각 3.5 ton/min, 5.9 ton/min, 8.8 ton/min 인 경우, 각각 2.1배, 3배, 3.7배의 포집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개재물 포집효율은 물론, 비용적으로도 본 발명은 전자기력 생성을 위한 전기비용반 들지만, 상기 종래의 댐이나 위어의 경우에는 소모성 내화구조물을 턴디쉬에 구축하는 데에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나 턴디쉬 가동 측면에서도 상당한 실효적인 이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용강유동 제어장치 2.... 자기장 인가판
10.... 장치 하우징 30.... 자기장 인가수단
32.... 철심부 34.... 코일
50.... 제1 구동수단 54.... 스크류바아
60.... 레일부재 70.... 제2 구동수단
72.... 가이드레일 74.... 구동원
90.... 제3 구동수단 92.... 힌지블록
94.... 제2 구동원 100.... 본 발명의 연속주조장치
200.... 래들 210.... 턴디쉬
220.... 몰드

Claims (19)

  1. 개재물을 포함하는 용강(M)이 충진된 용기의 외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10); 및,
    상기 장치 하우징(10)에, 이동 자기장을 용강에 인가토록 하나 이상 제공되어 용강에서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토록 구성된 자기장 인가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용강유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인가수단(30)은, 상기 장치 하우징에 제공된 철심부(32)와 상기 철심부에 권선되고 3상의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34)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하우징에 하나 이상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장 인가수단(30)을 포함하되, 각각의 자기장 인가수단은 독립적으로 자기장을 발생토록 교류전류가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턴디쉬(210)로 제공되고,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상기 턴디쉬의 외곽으로 적어도 마주하여 한 쌍 이상이 설비 프레임(F)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된 구동원을 매개로 턴디쉬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턴디쉬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제1 구동수단을 매개로 용기인 턴디쉬를 따라 수평 이동토록 제공되어 용강에 연속적으로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형성시키면서 적어도 용강의 상승류를 형성하여 개재물의 부상 제거를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50)은,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하부에 장착되고 모터로서 구동되는 스크류바아(54)가 관통 체결되는 이동블록(56); 및,
    상기 이동블록(56)이 안착되고 턴디쉬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레일부재(60);
    를 포함하여 턴디쉬를 따라 수평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60)에 연계된 제2 구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턴디쉬를 향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70)은, 상기 레일부재(60)가 안착되고 설비 프레임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턴디쉬를 향하여 신장된 가이드레일(72); 및,
    상기 레일부재와 연계되고, 설비 프레임 또는 턴디쉬 카의 프레임에 제공되어 턴디쉬 방향으로 작동토록 연계되는 구동원(7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10)과 상기 제1 구동수단(50)의 이동블록 사이에 연계되는 제3 구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장치 하우징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동 자기장의 인가 각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90)은, 상기 하우징과 제1 구동수단의 이동블록 사이에 연계되는 힌지블록(92); 및,
    상기 장치 하우징과 이동블록 사이에 연계되는 제2 구동원(9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기장은, 용기인 턴디쉬 폭 1/4 까지의 깊이, 200~1,000mm의 높이, 100~400mm의 폭으로 용강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기장은, 용기인 턴디쉬에 진입되는 래들의 노즐 투입측에서 용기인 턴디쉬 토출구측으로 3,000 mm의 범위 내에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
  14. 래들(200)에서 용강이 충진되는 턴디쉬(210);
    상기 턴디쉬로부터 용강이 투입되어 주편을 생산하는 몰드(220); 및,
    상기 턴디쉬의 외측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용강유동 제어장치(1);
    를 포함하는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의 외피에는, 상기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통하여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의 인가손실을 방지토록 인가 범위 내에 설치되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의 자기장 인가판(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
  16. 턴디쉬의 용강에 이동 자기장을 인가하여 중력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적어도 용강의 상승류를 형성하는 용강유동 제어단계;
    상기 용강의 상승류를 통하여 개재물이 탕면 플럭스와의 포집을 통하여 제거되는 개재물 제거단계; 및,
    개재물이 제거된 청정강을 몰드에 투입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속 주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용강에 인가되는 이동 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여 용강의 상승류에 더하여, 회전류를 더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기장은 턴디쉬 본체의 래들의 노즐 투입측에서 토출구 방향으로 3,000mm 범위내에서 인가되고, 상기 이동 자기장은 턴디쉬 내벽에서부터 턴디쉬 중심을 향하여 턴디쉬 폭 1/4 까지의 깊이, 200~1,000mm의 높이, 100~400mm의 폭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자기장 인가단계에서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용강유동 제어장치(1)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KR1020110144674A 2011-12-28 2011-12-28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와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연속주조방법 KR10132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74A KR101328251B1 (ko) 2011-12-28 2011-12-28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와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연속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74A KR101328251B1 (ko) 2011-12-28 2011-12-28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와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연속주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187A true KR20130076187A (ko) 2013-07-08
KR101328251B1 KR101328251B1 (ko) 2013-11-14

Family

ID=4898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674A KR101328251B1 (ko) 2011-12-28 2011-12-28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와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연속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2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311A1 (ko) 2016-06-08 2017-1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20180061972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장치
KR20190142094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노즐,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70A (ko)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0264A (ja) * 1983-05-30 1984-12-11 Sumitomo Metal Ind Ltd タンデイツシユ内溶鋼の撹「はん」方法及び装置
JPH0471759A (ja) * 1990-07-09 1992-03-06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の流動制御方法
JPH10193056A (ja) * 1997-01-07 1998-07-28 Nkk Corp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
KR100383275B1 (ko) 1999-12-29 2003-05-12 주식회사 포스코 위상배열방식의 전자기력을 이용한 턴디쉬내 개재물의분리 및 부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3311A1 (ko) 2016-06-08 2017-1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20180061972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장치
KR20190142094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노즐,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251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251B1 (ko) 용강유동 제어장치 및,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와 용강유동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연속주조방법
AU2016201435A1 (en) Molding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equipped with agitator
RU2457064C1 (ru) Способ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и полу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алюминиевых сплав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0401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CN108500227A (zh) 用于板坯连铸生产的结晶器流场电磁控制方法
KR19990081870A (ko) 연속주조장치의 용탕 공급장치
KR960006043B1 (ko) 용융금속의 비금속 개재물의 제거장치와, 그에 사용되는 전자 코일장치, 턴디시, 그의 이동장치 및, 이들 장치들을 이용한 주조방법
KR20200133658A (ko) 야금 턴디쉬 및 그 주조방법
CN101259523A (zh) 控制连续铸造结晶器内金属液流动的电磁制动装置
CN202490919U (zh) 一种电磁感应水冷切缝式结晶器作为锭模的装置
KR102079388B1 (ko) 연속식 알루미늄 복합 용해로
AU2004286877B2 (en) Electromagnetic agitatio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 products having an elongate section
JP2020124738A (ja) タンディッシュ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JP4748875B2 (ja) 電磁撹拌装置用鋳型
JP2002239695A (ja) 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設備
JP2008100248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連続鋳造方法
KR101969113B1 (ko) 용강 처리장치
CN114286728A (zh) 铸造设备和铸造方法
RU654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заготовок
KR20150073449A (ko) 용강 처리 장치
CN103128266A (zh) 一种电磁感应水冷切缝式结晶器作为锭模的装置
KR101321851B1 (ko) 슬래그 제거용 치구
RU2419508C2 (ru)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5130776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