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001A -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001A
KR20130076001A KR1020110144373A KR20110144373A KR20130076001A KR 20130076001 A KR20130076001 A KR 20130076001A KR 1020110144373 A KR1020110144373 A KR 1020110144373A KR 20110144373 A KR20110144373 A KR 20110144373A KR 20130076001 A KR20130076001 A KR 2013007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socket
fixing pin
trunk
mai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001A/ko
Publication of KR2013007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의 상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에 고정핀이 구비되고, 트렁크의 내벽면 하부에 스러스터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소켓이 형성되며, 트렁크의 내벽면 상부에 스러스터의 승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퍼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에 고정핀이 끼워짐으로써,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내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머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의 접촉부가 곡면 가공되어 고정핀과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어퍼소켓은 하부로부터 고정핀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Drillship Thruster primary locking pin and socket}
본 발명은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스러스터의 캐니스터가 설치되는 트렁크 내벽면에 형성되는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의 접촉면을 라운드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고정핀과 메인소켓 각각의 중심선 평행도에 허용오차가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어퍼소켓의 하부로부터 고정핀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에 선박의 스테이션 유지와 항해를 위해 스러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는 원하는 방향으로 선박의 이동을 위하여 선박에 적용되는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작동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터(10)는 도 1 에서와 같이 트렁크(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러스터(10)의 구동을 위하여 내부에 전기모터, 유압장치, 윤활장치 등이 구비되는 캐니스터(20)와, 상기 캐니스터(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스러스터(10)는 트렁크(10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트렁크(100)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는 통상 선박이 수심이 얕은 지역을 통과 및 정박할 경우와, 스러스터(10)의 프로펠러부(30)의 부품을 교체한다거나 정비할 경우이다.
이러한 스러스터(10)는 트렁크(100)와 독립된 구조물이므로, 스러스터(10)의 작업시 발생되는 외력에 대하여 트렁크(100)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도 1, 2 와 같이 캐니스터(20) 측면에 다수의 고정핀(4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40)은 트렁크(100) 내벽면에 형성되는 메인소켓(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구성은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핀(40) 머리부(42)와 이에 대응되는 메인소켓(50)의 내부 접촉부(41)(51)가 테이퍼지게 직선 가공되어 있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고정핀(40)의 머리부(42)와 메인소켓(50)의 접촉단면인 접촉부(41)(51)부분이 경사진 직선형태를 형성할 경우에는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중심축 평행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결합관계가 매우 불량해져 스러스터(10)의 캐니스터(20)가 트렁크(100)의 내부에 안전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운동 및 스러스터 추력 등으로 인해 캐니스터(20)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최대 외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캐니스터(20)를 고정하는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접촉부(51)가 직선형태로 경사져 있으므로, 고정핀(40)의 축방향에 수직 작용하는 최대 외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분력이 전달되어, 종래 설계의 경우, 고정핀(40)의 축방향 설계하중을 넘게 되어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러스터가 트렁크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캐니스터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트렁크 내벽면에 형성되는 삽입홀의 접합면을 곡면가공하여 중심선 평행도에 허용오차가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고정핀 축방향 설계하중 증가 없이, 캐니스터에 작용하는 외력에 적합한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퍼소켓의 하부로부터 고정핀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핀이 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홈 측의 접촉부의 높이를 전체 접촉부 높이 대비 1/2~1/3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스러스터의 고정상태가 쉽게 해지되도록 함으로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는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트렁크의 상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에 고정핀이 구비되고, 트렁크의 내벽면 하부에 스러스터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소켓이 형성되며, 트렁크의 내벽면 상부에 스러스터의 승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퍼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에 고정핀이 끼워짐으로써, 스러스터가 트렁크의 내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머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의 접촉부가 곡면 가공되어 고정핀과 메인소켓 및 어퍼소켓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어퍼소켓은 하부로부터 고정핀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핀 머리부의 접촉부와 메인소켓 내부의 접촉부를 곡면가공함으로써 고정핀을 메인소켓에 삽입할 경우 각각의 중심선 평행도에 따른 허용오차를 가질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고정핀에 축방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고정핀과 삽임홈의 접촉각도가 고정핀 축의 수직방향으로 바뀌어 고정핀에 축방향힘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아 고정핀의 축방향 하중 설계값이 증가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퍼소켓의 하부로부터 고정핀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핀이 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홈 측의 접촉부의 높이를 전체 접촉부 높이 대비 1/2~1/3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스러스터의 고정상태가 쉽게 해지되도록 함으로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선박에 구비되는 스러스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고정핀과 메인소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에 구비된 고정핀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핀과 메인소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터가 선박에 구비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소켓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소켓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러스터의 고정핀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핀과 메인소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러스터(10)를 구성하는 캐니스터(20)의 측면에 고정핀(4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핀(40)은 캐니스터(20)의 일측에 2개가 설치되고 타측 중심부에 1개가 설치되어 스러스터(10)의 캐니스터(20)를 고정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핀(40)은 트렁크(100)의 내벽면에 상기 고정핀(4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소켓(50)에 끼워짐으로써 스러스터(10)의 캐니스터(20)가 트렁크(100)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은 도 4 에서와 같이 고정핀(40) 머리(42)부의 접촉부(41)가 곡면가공 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40)과 대응되는 메인소켓(50) 내부 접촉부(51)가 상기 고정핀(40) 머리부(42)의 접촉부(41)와 대응되도록 곡면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40)의 머리부(42)와 메인소켓(50)의 내부면 접촉부(41)(51)를 곡면가공함으로써 고정핀(40)을 메인소켓(50)에 삽입할 경우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중심선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중심선 평행도에 허용오차를 가질 수 있어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곡면가공된 접촉부(41)(51)에 의해 고정핀(40)에 메인소켓(50)에 정확히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즉, 캐니스터(20)를 스러스터(10) 작동 위치인 트렁크(100)내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 시킨 후 고정핀(40)을 메인소켓(50)에 삽입하여 캐니스터(20)를 트렁크(100)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메인소켓(50) 설치시 캐니스터(20)를 트렁크(100)내 위치시키고, 고정핀(40)과의 중심축과 축평행도를 맞추어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메인소켓(50)이 중량물이며, 설치를 위한 캐니스터(20)와 트렁크(100) 사이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중심축과 축간 평행도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려우며 이때,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중심선 및 평행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곡면가공된 모서리(41)(51)부에 의해 고정핀(40)이 메인소켓(50)에 정확히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메인소켓(50) 설치정도에 허용오차가 커져,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핀(40)에 축방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의 결합각도가 고정핀(40)의 수직방향으로 점차 바뀌고 고정핀(40)이 메인소켓(50)등과의 마찰력으로 상쇄되도록 설계하여 고정핀(40)에 축방향의 힘이 추가로 발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핀(40)의 축방향 하중이 증가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터가 선박에 구비되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렁크(100)의 상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스러스터(10)의 캐니스터(20)에 고정핀(40)이 구비되고, 트렁크(100)의 내벽면 하부에 스러스터(10)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소켓(50)이 형성되며, 트렁크(100)의 내벽면 상부에 스러스터(10)의 승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퍼소켓(6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소켓(50) 및 어퍼소켓(60)에 고정핀(40)이 끼워짐으로써, 스러스터(10)가 트렁크(100)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소켓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소켓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7을 참조하면, 고정핀(40)의 머리부(42) 및 상기 머리부(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머리부(4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어퍼소켓(60)의 접촉부(61)가 곡면 가공되어 고정핀(40)과 어퍼소켓(60)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어퍼소켓(60)은 하부로부터 고정핀(40)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63)과 어퍼소켓(60)이 만나는 지점의 접촉부(65) 높이를 가장 높은 접촉부(61) 대비 1/2~1/3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홈(63)은 고정핀(40)이 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고, 가이드홈(63) 측의 접촉부(65)의 높이를 전체 접촉부(61) 대비 1/2~1/3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스러스터(10)의 고정상태가 쉽게 해지되도록 함으로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러스터
20 : 캐니스터
30 : 프로펠러부
40 : 고정핀
41, 51 : 접촉부
42 : 머리부
50 : 메인소켓
60 : 어퍼소켓
100 : 트렁크

Claims (1)

  1. 트렁크(100)의 상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스러스터(10)의 캐니스터(20)에 고정핀(40)이 구비되고, 트렁크(100)의 내벽면 하부에 스러스터(10)의 하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인소켓(50)이 형성되며, 트렁크(100)의 내벽면 상부에 스러스터(10)의 승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퍼소켓(6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소켓(50) 및 어퍼소켓(60)에 고정핀(40)이 끼워짐으로써, 스러스터(10)가 트렁크(100)의 내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핀(40)의 머리부(42) 및 상기 머리부(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머리부(4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소켓(50) 및 어퍼소켓(60)의 접촉부(51)(61)가 곡면 가공되어 고정핀(40)과 메인소켓(50) 및 어퍼소켓(60)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어퍼소켓(60)은 하부로부터 고정핀(40)이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KR1020110144373A 2011-12-28 2011-12-28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KR2013007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373A KR20130076001A (ko) 2011-12-28 2011-12-28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373A KR20130076001A (ko) 2011-12-28 2011-12-28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01A true KR20130076001A (ko) 2013-07-08

Family

ID=4898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373A KR20130076001A (ko) 2011-12-28 2011-12-28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2010478B1 (pt) método para conectar uma primeira peça de acoplamento e uma segunda peça de acoplamento de uma disposição de acoplamento submarino
BR102013026642B1 (pt) Instrumento de conexão para conectar uma seção de extremidade de um primeiro conduto a uma seção de extremidade de um segundo conduto, e disposição de conexão para conexão submarina de uma seção de extremidade de um primeiro conduto a uma seção de extremidade de um segundo conduto
US20150093931A1 (en) Connector Unit
CN209387915U (zh) 对准组件和海底光纤连接器
BR112013026471B1 (pt) Conector elétrico submarino para conectar infraestrutura de sistemas de controle ou alimentação
CN104466773B (zh) 一种用于电力控制室的温控电气抽屉柜
BR102014031834A2 (pt) sistema de conexão para conexão submarina
KR20130107395A (ko) 수납식 스러스터를 구비한 잠수함
KR20120032610A (ko) 문풀용 댐핑 디바이스의 잠금장치
BR112020007331A2 (pt) sistema de conexão para conectar uma linha de amarração a um corpo, e, método para conectar uma linha de amarração a um corpo.
CN105940228B (zh) 连结机构
KR20100074400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KR20130076001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고정장치
EP3565944B1 (en) A connection system for a multi-bore flying lead or umbilical
CN104466768B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电气抽屉柜及其使用方法
JP5367878B2 (ja) 供給ライン用連結装置
CN104823531A (zh) 用于对齐和连接电气部件的系统和方法
US20190322341A1 (en) Fail free remotely operated vehicle
EP3243734A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EP2876040B1 (en) In-ship removal-type thruster device
KR10147520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CN104486916B (zh) 一种带横向安装架的电气抽屉柜及其使用方法
CN212479805U (zh) 对接锁紧机构
KR102006696B1 (ko) 교체 가능한 구조의 스퍼드캔
KR101475202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이의 초기 위치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