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034A -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 Google Patents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034A
KR20130075034A KR1020110143222A KR20110143222A KR20130075034A KR 20130075034 A KR20130075034 A KR 20130075034A KR 1020110143222 A KR1020110143222 A KR 1020110143222A KR 20110143222 A KR20110143222 A KR 20110143222A KR 20130075034 A KR20130075034 A KR 2013007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ductility
weld
toughness
compa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906B1 (ko
Inventor
서인식
방기현
장성호
김우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9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1000 내지 1250 ℃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페라이트 개시변태온도(Ar3)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완료하는 단계; 및 Ar3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압연완료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METHOD FOR PRODUCING THICK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WELDED ZONE TOUGHNESS AND DUCTiLITY AND WELD STRUCTURE USING THE SAME MATHOD}
본 발명은 용접부 인성이 우수하면서도 강의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접구조용 강재는 용접하여 구조물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접에 의해 용접부의 물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접부의 물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용접부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Ti, Nb, N 등의 함량을 조절하여 Ti 질화물, Nb 질화물과의 복합석출물을 기지에 분산시킴으로 용접열영향부의 조직 열화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또한, 이와 유사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2에서는 Ti와 B를 이용하여 넓은 입열량 범위에서 용접열영향부의 조직 열화를 방지하여 용접부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용접부의 조직 열화를 방지하여 용접부의 인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용접 중에 다시 용해되지 않고 고체 상태로 남아있는 모재 부위('용접열영향부'라고 함)에 효과가 국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기술은 탄질화물 등의 석출물을 이용하여 조직 열화를 억제하는 기술인데, 용융지에서는 상기 석출물들이 용접금속과 함께 용해되기 때문에 재용해 후에 다시 응고되는 부위에서는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상기 용접과정에서 용해되었다가 다시 응고되는 부위('용착금속'이라고 함)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재료에 Ni, Mo 등의 고가원소를 다량 첨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과도한 용접재료 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재가 70% 이상으로 다량 재용해되어 용접금속에 희석되어 용착금속을 형성하는 SAW 용접방법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7-009197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8-0091716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재의 성분이 용접 중에 용접금속에 다량 희석되는 SAW 용접부의 인성이 우수하면서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1000 내지 1250 ℃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페라이트 변태개시온도(Ar3)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완료하는 단계; 및 Ar3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압연완료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계식 1>
Cp = C + Nb×5.3 + P×7.1 + Si/9.4 + Mn/7.8
여기서, C, Nb, P, Si, Mn은 각각 해당 원소의 중량%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용접부의 조직은 10% 미만의 페라이트(Ferrite)와 90% 이상의 베이나이트(Bainite) 및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강재 합금성분의 제어와,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용접과정에서 모재의 성분이 희석되는 SAW 용접부에서 인성이 우수하면서도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성분지수(Cp)에 따른 SAW 용접부의 충격인성 및 연신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1000 내지 1250 ℃에서 가열하고, 페라이트 변태개시온도(Ar3)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완료하고, 이어서 Ar3 이상의 온도에서 냉각을 개시한다.
<관계식 1>
Cp = C + Nb×5.3 + P×7.1 + Si/9.4 + Mn/7.8
여기서, C, Nb, P, Si, Mn은 각각 해당 원소의 중량%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강재의 조성에는 Ti: 0.005~0.03 중량%와 N: 0.001~0.008 중량%가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강재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인 S(황)의 함량은 S: 0.005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각 개시시 1 내지 20 ℃/sec의 냉각속도로 냉각을 개시하고, 500 내지 700 ℃의 온도범위에서 냉각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용접구조용 후강판에서 이와 같이 성분을 제한한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성분원소의 함유량은 모두 중량%를 의미한다.
C: 0.06~0.14 %
탄소(C)는 고용강화를 일으키고,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로서 0.06%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다하게 첨가되면 펄라이트의 분율이 증가하여 모재의 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접열영향부(HAZ, Heat Affected Zone)의 인성이 극히 열화되므로 그 상한은 0.14%로 제한한다.
Mn: 1.0~1.6 %
망간(Mn)은 SAW 용접 중에 용접금속에 희석되어 용접금속의 조직을 개선하고, 그 결과 SAW 용접부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 원소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1.0%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용접열영향부의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한을 1.6%로 제한한다.
Si: 0.1~0.5 %
실리콘(Si)은 알루미늄을 보조하여 용강을 탈산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탈산 효과를 얻는데 유용하므로 0.1%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용접열영향부에서 형성된 도상 마르텐사이트가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취성 파괴가 일어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그 상한을 0.5%로 제한한다.
Sol. Al: 0.005~0.06 %
알루미늄(Al)은 강의 주요한 탈산제이므로 0.005%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0.06%를 초과하게 되면 탈산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산화물이 증가하여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6%로 제한한다.
Nb: 0.005~0.05 %
니오븀(Nb)은 SAW 용접 중에 용접금속에 희석되어 용접금속의 조직을 개선하고, 결과적으로 용접부의 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모재조직 개선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P와 함께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소 중 하나이다.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5%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으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용접부의 조직개선 효과가 포화되며, 연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용접열영향부의 인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상한을 0.05%로 제한한다.
P: 0.008~0.03 %
인(P)은 강중의 불순물로 취급되어 그 함량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Mn, Nb 등과 함께 SAW 용접 중에 용접금속에 희석되어 용접금속의 조직을 개선하여 용접부의 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므로, Nb와 함께 가장 중요한 구성원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8% 이상으로 첨가될 필요가 있으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용접부의 조직개선 효과가 포화되고, 오히려 입계 편석에 의해 용접열영향부와 모재의 인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3%로 제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 내지 0.03%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본 발명의 강재에는 연성과 용접열영향부의 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Ti와 N이 더 첨가될 수 있다.
Ti: 0.005~0.03 %
티타늄(Ti)는 산소 또는 질소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조직을 미세화시켜 강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용접열영향부의 조직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5%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다만, 0.03%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되므로 0.03%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01~0.008 %
질소(N)는 제강과정에서 함유되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이 0.00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Ti의 유효한 역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0.001%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시효 경화를 야기하여 인성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 상한은 0.008%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발명의 강은 제강과정에서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불순물 중 황(S)은 강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하기의 조건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05 % 이하
황(S)은 강의 적열취성을 일으키는 원소로서, 낮을수록 유리하지만 제강공정의 부하를 고려하여 그 상한을 0.005%로 제한한다.
상기 조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은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지수(Cp)는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Cp가 0.38 이하인 경우에는 용접금속부의 조직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용접금속부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반면, 0.64 이상일 경우에는 용접금속부의 조직개선 효과는 거의 포화되고, 오히려 용접열영향부의 인성과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관계식 1>
Cp = C + Nb×5.3 + P×7.1 + Si/9.4 + Mn/7.8
여기서, C, Nb, P, Si, Mn은 각각 해당 원소의 중량%를 나타낸다.
상기 관계식 1에 의한 성분지수(Cp)에 따른 SAW 용접금속부 충격인성과 모재의 연신율 변화의 관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구조용 강재로서 용접부의 충격인성이 60J 이상 확보하기 위해서는 Cp가 0.38 이상이어야 하며, 구조용 강재로서 적절한 20% 이상의 연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Cp가 0.64 이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강 성분을 만족하는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용접구조용 후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의 강재로서 용접부 인성과 모재의 연성 및 강도를 모두 우수하게 겸비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및 냉각조건
재가열 온도: 1000~1250 ℃
열간압열을 위해 슬라브 또는 잉곳(ingot)을 가열로에서 재가열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재가열 온도가 1000℃ 미만으로 너무 낮을 경우에는 압연 중에 하중이 크게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합금성분도 충분히 고용되지 않는다. 반면, 재가열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가열로에서 결정립이 과도하게 성장하여 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1250℃로 제한한다.
마무리 압연 완료온도: Ar3 온도 이상
Ar3 온도 미만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면, 변태한 페라이트가 가공됨으로써 모재의 연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따라서, Ar3 이상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이 완료되어야 한다.
냉각개시온도: Ar3 온도 이상
상기와 같이 열간압연된 강판의 냉각시, 냉각개시온도가 Ar3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공냉 중의 느린 냉각속도에서 페라이트 변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대한 페라이트가 형성되어 강도가 크게 저하되거나 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Ar3 이상의 온도에서 냉각을 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상기 냉각개시온도에 대한 제한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강판의 두께가 두꺼워 공기 중에서의 자연 냉각으로 후술하는 냉각속도를 만족하지 못하여 수냉각 또는 강제 공냉각을 실시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한다.
냉각속도: 1~20 ℃/sec
마무리 압연 후 냉각시 냉각속도를 1℃/sec 미만으로 매우 느린 경우에는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연성도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하한은 1℃/sec로 제한한다. 반면, 냉각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에는 오히려 베이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저온 조직이 형성되어 인성이 감소하거나 연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한은 20℃/sec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종료온도: 500~700 ℃
냉각속도를 상기와 같이 1~20 ℃/sec로 하는 경우, 500~700 ℃의 온도범위에서 냉각을 정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재의 냉각이 700℃ 이상에서 정지될 경우에는 페라이트 미세화 효과가 미흡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반면 500℃ 이하의 낮은 온도까지 냉각될 경우에는 베이나이트와 같은 저온조직 또는 도상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강의 연성과 인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다만, 강재의 두께가 얇거나 크기가 작아서 자연 공기 냉각(공냉)에 의해 1℃/sec의 냉각속도가 달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냉각속도와 냉각종료온도에 무관하게 압연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계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용접구조용 강재(모재)에 SAW 용접이 적용된 용접구조물은 용접부의 미세조직이 10% 미만의 페라이트(Ferrite)와 90% 이상의 베이나이트(Bainite) 또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분계는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여야 한다. 만일, Cp 값이 0.38 미만이면 용접 후 용접부에 10% 이상의 페라이트가 생성되며, 이로 인하여 용접부의 인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조성과 제조방법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조건의 강재에 대해 표 2에 나타낸 제조조건으로 압연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에는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강의 조성을 만족하는 강재(발명강) 15 종류와 본 발명의 조성 범위를 벗어나는 강재(비교강) 9 종류를 기재하였으며, 하기 표 2에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강재에 대한 압연 방식을 기술하였다.
하기 표 2에서 발명재 1 내지 4는 발명강 1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는 압연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비교재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나는 압연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발명재 5 내지 18은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의 범위를 만족하는 강재(표 1의 발명강 2 내지 15)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는 압연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비교재 7 내지 15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강재(표 1의 비교강 1 내지 9)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는 압연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번호 C Si Mn P S Al Nb Ti N Cp Ar3
발명강1 0.10 0.29 1.31 0.017 0.003 0.027 0.021 - 0.0041 0.57 780
발명강2 0.06 0.34 1.20 0.015 0.004 0.007 0.030 - 0.0038 0.55 801
발명강3 0.14 0.16 1.07 0.013 0.002 0.036 0.011 - 0.0013 0.47 787
발명강4 0.11 0.10 1.24 0.017 0.003 0.031 0.029 - 0.0037 0.59 783
발명강5 0.08 0.50 1.14 0.011 0.002 0.031 0.010 - 0.0029 0.44 800
발명강6 0.12 0.38 1.01 0.013 0.003 0.023 0.031 - 0.0042 0.58 799
발명강7 0.07 0.23 1.60 0.012 0.002 0.025 0.017 - 0.0033 0.50 766
발명강8 0.11 0.34 1.31 0.008 0.003 0.047 0.023 - 0.0057 0.51 778
발명강9 0.07 0.17 1.05 0.03 0.002 0.034 0.008 - 0.0042 0.55 810
발명강10 0.12 0.34 1.43 0.021 0.002 0.037 0.005 - 0.0027 0.56 764
발명강11 0.08 0.13 1.11 0.011 0.002 0.017 0.050 - 0.0056 0.60 802
발명강12 0.07 0.14 1.10 0.010 0.002 0.018 0.013 - 0.0043 0.39 806
발명강13 0.12 0.38 1.52 0.018 0.002 0.054 0.021 - 0.0036 0.64 757
비교강1 0.15 0.45 1.55 0.017 0.003 0.034 0.013 - 0.0036 0.63 746
비교강2 0.13 0.60 1.70 0.015 0.002 0.026 0.013 - 0.0049 0.62 740
비교강3 0.05 0.21 0.90 0.019 0.003 0.037 0.012 - 0.0034 0.43 829
비교강4 0.10 0.24 1.10 0.004 0.003 0.033 0.014 - 0.0033 0.38 797
비교강5 0.13 0.24 1.00 0.032 0.003 0.033 0.009 - 0.0039 0.63 796
비교강6 0.11 0.23 1.22 0.011 0.003 0.025 0.003 - 0.0043 0.41 784
비교강7 0.10 0.30 1.01 0.01 0.004 0.043 0.052 - 0.0036 0.63 805
비교강8 0.065 0.13 1.04 0.009 0.002 0.019 0.007 - 0.0043 0.33 813
비교강9 0.13 0.48 1.46 0.026 0.002 0.054 0.016 - 0.0036 0.70 759
발명강14 0.09 0.31 1.25 0.013 0.003 0.027 0.016 0.005 0.0016 0.49 788
발명강15 0.09 0.29 1.26 0.012 0.002 0.018 0.015 0.03 0.0080 0.47 787
여기서, 각 원소의 함량은 중량%를 의미하며, Cp는 상기 식 1에 의해 C, Mn, Si, Nb, P의 중량%로부터 계산된 결과이며, Ar3는 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 변태가 시작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구분 번호 마무리압연
완료온도(℃)
냉각
개시온도(℃)
냉각속도
(℃/sec)
냉각
정지온도(℃)
Ar3
(℃)
발명재1 발명강1 806 788 5.6 560 780
발명재2 발명강1 930 912 7.3 620 780
비교재1 발명강1 724 713 5.4 548 780
비교재2 발명강1 782 747 3.2 670 780
발명재3 발명강1 809 790 1.0 500 780
발명재4 발명강1 808 788 20.0 700 780
비교재3 발명강1 807 787 0.5 560 780
비교재4 발명강1 810 793 28.0 520 780
비교재5 발명강1 809 789 9.3 411 780
비교재6 발명강1 928 911 5.3 785 780
발명재5 발명강2 841 825 9.3 618 801
발명재6 발명강3 866 842 8.2 598 787
발명재7 발명강4 832 814 9.2 623 783
발명재8 발명강5 864 841 11.2 637 800
발명재9 발명강6 862 840 10.5 645 799
발명재10 발명강7 842 814 9.9 625 766
발명재11 발명강8 854 824 11.3 615 778
발명재12 발명강9 861 832 11.9 611 810
발명재13 발명강10 843 812 8.8 586 764
발명재14 발명강11 874 847 9.3 622 802
발명재15 발명강12 877 848 9.7 636 806
발명재16 발명강13 848 815 10.7 613 757
비교재7 비교강1 857 822 8.3 563 746
비교재8 비교강2 854 825 14.8 525 740
비교재9 비교강3 893 862 3.6 677 829
비교재10 비교강4 862 830 8.9 545 797
비교재11 비교강5 927 898 9.2 535 796
비교재12 비교강6 871 838 9.7 585 784
비교재13 비교강7 870 832 11.5 554 805
비교재14 비교강8 877 843 10.7 564 813
비교재15 비교강9 847 823 8.6 634 759
발명재17 발명강14 848 816 10.8 602 788
발명재18 발명강15 853 819 10.9 615 787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조성된 슬라브를 상기 표 2의 조건으로 압연 및 냉각한 강재의 물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번호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연신율
(%)
SAW 용접부
충격인성(J)
HAZ
충격인성(J)
발명재1 발명강1 334 482 23 132 164
발명재2 발명강1 319 474 24 126 154
비교재1 발명강1 456 523 16 123 137
비교재2 발명강1 273 362 22 127 111
발명재3 발명강1 272 439 23 126 127
발명재4 발명강1 348 495 22 122 113
비교재3 발명강1 233 365 24 122 106
비교재4 발명강1 425 562 17 126 114
비교재5 발명강1 441 574 16 126 121
비교재6 발명강1 226 373 23 124 112
발명재5 발명강2 327 497 24 126 143
발명재6 발명강3 322 492 27 106 92
발명재7 발명강4 331 505 23 138 119
발명재8 발명강5 312 452 27 86 102
발명재9 발명강6 309 426 24 137 118
발명재10 발명강7 346 464 25 127 132
발명재11 발명강8 336 489 25 121 123
발명재12 발명강9 297 504 24 134 157
발명재13 발명강10 326 523 24 136 135
발명재14 발명강11 415 536 21 138 107
발명재15 발명강12 264 418 29 65 164
발명재16 발명강13 421 548 20 137 87
비교재7 비교강1 412 553 20 125 54
비교재8 비교강2 408 537 19 128 43
비교재9 비교강3 264 387 29 52 124
비교재10 비교강4 341 475 28 54 136
비교재11 비교강5 402 514 21 127 48
비교재12 비교강6 297 442 27 47 112
비교재13 비교강7 442 541 20 132 57
비교재14 비교강8 248 406 29 10 121
비교재15 비교강9 453 571 15 143 85
발명재17 발명강14 330 489 26 112 127
발명재18 발명강15 327 475 27 106 131
상기 표 3에서 SAW 용접부와 HAZ 충격인성은 -20℃에서 샤르피 V-노치(Charpy V-notch) 충격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강을 본 발명의 압연과 냉각방법으로 제조한 강재는 20% 이상의 연신율, 60J 이상의 용접부와 HAZ 인성, 235 MPa 이상의 항복강도 및 40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짐으로써 용접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강(발명강 1) 이지만, 마무리압연온도 또는 냉각개시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재 1 및 2는 연성이 20% 이하이거나, 모재의 인장강도가 400 MPa 미만으로서 용접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재 1은 압연이 이상역에서 이루어져서 페라이트가 심하게 가공경화 됨으로써 용접금속에서 파단되지 않고 모재에서 파단된 결과이며, 비교재 2는 냉각이 이상역에서 시작되어 연질의 큰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된 결과에 기인한다.
비교재 3 내지 6도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강(발명강 1) 이지만, 냉각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강도 또는 연신율이 현저히 불량하여 용접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특히, 비교재 3과 비교재 6은 각각 냉각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와 냉각종료온도가 매우 높은 경우로서, 페라이트가 너무 크게 형성되거나 퍼얼라이트의 분율이 감소하여 강도가 낮아진 결과이며, 비교재 4와 비교재 5는 각각 빠른 냉각속도와 낮은 냉각종료온도가 적용된 경우로서, 상기 조건에 의해 베이나이트와 같은 저온조직이 형성되어 연신율에 악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비교재 7 내지 15는 본 발명의 성분 범위를 벗어나는 강(비교강 1 내지 9)을 본 발명에 따른 조건으로 압연 및 냉각을 실시한 경우로서, 연신율, 용접부의 인성 또는 용접 HAZ의 인성 중 하나 이상이 불량하여 용접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특히, 비교재 7은 탄소의 함량(0.15중량%)이 상한을 초과하여 첨가된 비교강 1을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탄소 함량이 높아 HAZ에 도상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와 같은 조직이 다량 형성되어 HAZ 충격인성이 낮아졌다.
비교재 8은 성분 중 Si와 Mn의 함량(각각 0.60, 1.70 중량%)이 본 발명의 상한을 초과하여 첨가된 비교강 2를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상기 C의 함량이 과도하게 첨가된 경우와 유사하게 펄라이트 분율이 증가하고, 강의 경화능이 너무 증가하여 연신율이 낮아졌으며, HAZ에서 충격인성도 낮아겼다.
비교재 9는 C와 Mn의 함량(각각 0.05, 0.90 중량%)이 본 발명의 하한 미만으로 첨가된 비교강 3을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강도, 연신율 및 HAZ 충격인성은 용접구조용 강재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으나, SAW 용접부의 충격인성이 52J로 매우 낮았다. 이는, 모재의 합금원소가 부족하여 희석율이 높은 SAW 용접부의 경화능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조대한 페라이트와 입계 페라이트가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비교재 10은 P의 함량(0.004중량%)이 본 발명의 하한 미만으로 첨가된 비교강 4를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SAW 용접부 충격인성이 크게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SAW 용접부에 P의 함량이 감소하여 경화능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조대한 페라이트와 입계 페라이트가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비교재 11은 P의 함량(0.032중량%)이 본 발명의 상한을 초과하여 첨가된 비교강 5를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SAW 용접부 충격인성은 양호하지만 HAZ의 인성이 크게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HAZ에서 P가 소려취화를 일으킨 결과이다.
비교재 12는 Nb의 함량(0.003중량%)이 본 발명의 하한 미만으로 첨가된 비교강 6을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SAW 용접부 충격인성이 크게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SAW 용접부에 Nb의 함량이 부족하여 경화능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Nb의 조직 미세화 효과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교재 13은 Nb의 함량(0.052중량%)이 본 발명의 상한을 초과하여 첨가된 비교강 7을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SAW 용접부 충격인성은 양호하지만 HAZ의 인성이 크게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HAZ에서 Nb가 석출됨으로써 취화를 일으킨 결과이다.
비교재 14는 Cp의 값이 본 발명의 하한보다 낮은 비교강 8을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SAW 용접부 충격인성이 10J로 매우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인 Cp의 값이 과도하게 낮음으로써, 희석율이 큰 SAW 용접금속의 조직이 개선되지 못하고, 조대한 페라이트와 입계 페라이트가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비교재 15는 Cp의 값이 본 발명의 상한보다 과도하게 높은 비교강 9를 본 발명에 따라 압연 및 냉각한 경우로서, 모재의 강도, SAW 용접부 충격인성은 우수하고, HAZ 충격인성도 양호한 값을 보이지만, 용접금속의 연신율이 매우 낮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Cp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경한조직이 형성되어 연신율이 저하된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조성되는 강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용접구조용 강 특히, 모재의 희석율이 높은 SAW 용접을 적용하는 용접구조용 강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용접부의 연성뿐만 아니라, 용접금속부와 HAZ의 충격인성을 모두 우수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합금원소의 조성은 물론, 압연과 냉각 조건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용접구조용 강의 중요한 특성인 HAZ와 SAW 용접부의 충격인성뿐만 아니라, 연성과 모재의 강도도 우수한 용접구조용 강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잔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를, 1000 내지 1250 ℃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재를 페라이트 변태개시온도(Ar3)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완료하는 단계; 및
    Ar3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압연완료된 강재를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1>
    Cp = C + Nb×5.3 + P×7.1 + Si/9.4 + Mn/7.8
    여기서, C, Nb, P, Si, Mn은 각각 해당 원소의 중량%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Ti: 0.005~0.03 중량%와 N: 0.001~0.008 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인 S(황)의 함량은 S: 0.005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에서 냉각은 1 내지 20 ℃/sec의 냉각속도로 행하고, 500 내지 700 ℃의 온도범위에서 냉각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후강판의 제조방법.
  5. 중량%로, C: 0.06~0.14 %, Mn: 1.0~1.6 %, Si: 0.1~0.5 %, Sol. Al: 0.005~0.06 %, Nb: 0.005~0.05 %, P: 0.008~0.03 %를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성분지수(Cp)가 0.38 내지 0.64를 만족하며, 용접부의 조직은 10% 미만의 페라이트(Ferrite)와 90% 이상의 베이나이트(Bainite) 또는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물.
    <관계식 1>
    성분지수(Cp) = C + Nb×5.3 + P×7.1 + Si/9.4 + Mn/7.8
    여기서, C, Nb, P, Si, Mn은 각각 해당 원소의 중량%를 나타낸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강판은 Ti: 0.005~0.03 중량%와 N: 0.001~0.008 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인 S(황)의 함량은 S: 0.005 중량%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용접구조물.
KR1020110143222A 2011-12-27 2011-12-27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KR10138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222A KR101382906B1 (ko) 2011-12-27 2011-12-27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222A KR101382906B1 (ko) 2011-12-27 2011-12-27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034A true KR20130075034A (ko) 2013-07-05
KR101382906B1 KR101382906B1 (ko) 2014-04-08

Family

ID=4898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222A KR101382906B1 (ko) 2011-12-27 2011-12-27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79A (ko)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취성균열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2378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2374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9299A1 (ja) * 2004-07-21 2006-01-26 Nippon Steel Corporation 溶接熱影響部の低温靭性が優れた溶接構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360B1 (ko) * 2005-06-23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과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의 제조방법
JP5672658B2 (ja) 2009-03-30 2015-02-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hic特性と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79A (ko) 2014-12-22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취성균열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2378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2374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906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828B1 (ko)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1368A (ko) 용접성 및 가스 절단성이 우수한 고장력 내화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6570A (ko) 저온인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3634B1 (ko) 용접성과 강도가 우수한 저합금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906B1 (ko) 용접부 인성과 연성이 우수한 후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구조물
JP3981615B2 (ja) 非水冷型薄手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70132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5130472B2 (ja) 耐溶接割れ性が優れた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KR101304822B1 (ko) 피로균열 진전 억제 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037204B2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る降伏応力500MPa以上引張強さ570MPa以上の高強度鋼材の製造方法
JP4133175B2 (ja) 靭性に優れた非水冷型薄手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78849A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258B1 (ko)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5422A (ko)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연강판
KR20110070482A (ko)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금속부
KR20160078772A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H02129317A (ja) 溶接性の優れた80Kgf/mm↑2級高張力鋼の製造法
KR10163916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JP4174041B2 (ja) 1150MPa以上の引張強さを有する溶接用鋼の製造法
KR101647230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2341B1 (ko)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743765B2 (ja) 圧力容器用Cr−Mo鋼板及びその製造法
JPS6293312A (ja) 応力除去焼鈍用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KR101455469B1 (ko)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JP5037203B2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る降伏応力470MPa以上引張強さ570MPa以上の高強度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