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729A -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3729A KR20130073729A KR1020110141727A KR20110141727A KR20130073729A KR 20130073729 A KR20130073729 A KR 20130073729A KR 1020110141727 A KR1020110141727 A KR 1020110141727A KR 20110141727 A KR20110141727 A KR 20110141727A KR 20130073729 A KR20130073729 A KR 20130073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member
- implant
- fixture
- groove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5—Material properties using radio-opaqu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체결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에 식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X-RAY를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제조회사 또는 제품명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인식용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에 대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에 식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X-RAY를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제조회사 또는 제품명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인식용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체결부재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픽스쳐로부터 제거하지 않으면서도 체결부재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에 대한 것이다.
치아가 빠진 경우 기존에는 틀니를 끼우거나, 주변의 치아를 기둥으로 하여 빠진 부분을 금속 등으로 씌우는 브릿지 시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술과정은 틀니나 브릿지 시술된 인공치아가 음식물을 씹는 힘이 약하고 주변의 치아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발전된 치과의료의 한 시술로 임플란트 시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적인 치아뿌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와 흡사하게 제작된 최종 보철물인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환자가 실제치아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치아가 빠진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를 매식하기 위해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매식홈을 형성하고, 매식홈 내부에 픽스쳐가 견고하게 매식되기 위한 선택작업으로 탭핑을 수행한다. 탭핑 후에는 픽스쳐를 식립하고, 식립된 픽스쳐가 견고하게 치조골 내에 골융합되면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는 그 자체로 픽스쳐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지만, 별도의 결합용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구조체(100)는 결합용 나사(110), 어버트먼트(120) 및 픽스쳐(130)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용 나사(110)는, 드라이버 등과 체결될 수 있는 헤드부(111), 픽스쳐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112) 및 하단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어버트먼트(120)는, 상하방향으로 중앙에 상기 결합용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되되, 크라운과 같은 인공치아가 결합될 수 있는 크라운 결합부(121), 상기 크라운 결합부(121)의 하측에 배치되며 잇몸이 접촉될 수 있는 잇몸 접촉부(122) 및 픽스쳐에 삽입되는 픽스쳐 삽입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픽스쳐(130)는, 외주면에 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있되, 그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블라인드 홀(1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어버트먼트에 크라운이 덮혀진 최종상태로서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한 후에,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연결하는 결합용 나사가 사용중 파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결합용 나사는 제품의 제조회사별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X-RAY 를 통한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어느 회사의 제품인지를 확인해야만 후술 시술의 진행이 용이하지만 X-RAY 사진만으로는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크라운 등을 모두 제거하고 결합용 나사를 육안으로 식별해야만 비로서 제조회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시술환경이 불편하였다.
또한, 파절이 발생된 결합용 나사가 픽스쳐에 견고하기 식립된 경우에는 결합용 나사를 픽스쳐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픽스쳐에 장착된 어버트먼트가 저작압을 과도하게 받아 결합용 나사가 파절되는 경우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X-RAY를 통하여 픽스쳐에 장착된 체결부재의 제품명 또는 제조회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쳐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에 식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X-RAY를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제조회사 또는 제품명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인식용 식별부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X-ray 사진을 통하여 다른 부분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판별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홈은 원기둥, 다각기둥,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홈은 체결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패여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치과용 픽스쳐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블라인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의 블라인드 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어버트먼트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의 블라인드 홀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패여진 홈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어버트먼트에 삽입되어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결합용 나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결합용 나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결합용 나사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패여진 홈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결합용 나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어버트먼트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중간부 및 상기 픽스쳐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나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나사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전 길이의 2/3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결부재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하단부에 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서,
상기 공간은,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재는 그 일부에 홈을 형성함으로서, 외부에서 X-RAY를 조사하였을 때 상기 체결부재의 제조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재는 하단에 마련된 홈으로 인하여 파절된 부분을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및 픽스쳐의 분리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의한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의 X-RAY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의 체결부재가 파손된 경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의한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의 X-RAY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체결부재가 장착된 픽스쳐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9의 체결부재가 파손된 경우 체결부재를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는 치과용 픽스쳐(3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결합용 나사(10) 및/또는 어버트먼트(20) 일 수 있다. 한편, 치과용 픽스쳐(30) 및 체결부재가 일체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결합용 나사(10)는, 어버트먼트(20)를 치과용 픽스쳐(3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어버트먼트(20)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중간부(12) 및 상기 픽스쳐(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13)에는 그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 홈(1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홈(14)은 본 실시예에서 인식용 식별부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픽스쳐에 식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X-RAY를 통하여 상기 결합용 나사(10)의 제조회사 또는 제품명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홈(14)은 대략 원기둥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기둥, 원뿔대, 다각뿔대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홈(14)은 나사부(13)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대략 1/3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홈(14)은 결합용 나사(10)의 나사부(13)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구체적으로는 탄성 부여용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홈(14)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결합용 나사(10)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하고 있어 저작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용 나사(10)가 픽스쳐(30) 내부에 꽉 끼여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상기 픽스쳐(30)로부터 제거해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14)은 나사부(13)가 파절된 경우 제거툴을 삽입하여 제거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12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어버트먼트(20)는, 치과용 픽스쳐(30)에 삽입되어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크라운 결합부(21), 잇몸 접촉부(22) 및 삽입부(23)로 구성된다.
상기 크라운 결합부(21)는, 인공치아인 크라운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잇몸 접촉부(22)는, 치조골을 덮고 있는 잇몸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는 치과용 픽스쳐(30)의 블라인드 홀(32) 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각진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20)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결합용 나사(1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24)은 결합용 나사(10)의 머리부(11)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부분과, 중간부(12)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되 그 사이에는 단턱이 마련되어 있게 되고 상기 단턱에 결합용 나사(10)의 머리부(11)가 안착된다.
상기 치과용 픽스쳐(30)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 합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치과용 픽스쳐(30)는, 외주면에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어 미리 치조골에 형성된 매식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치조골의 매식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나사산은 1줄 나사 또는 2줄 나사일 수 있으며 나사산은 나선형으로 감긴 형태를 가진다. 상기 치과용 픽스쳐의 하단에는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팅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셀프태핑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치과용 픽스쳐(30)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블라인드 홀(3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 홀(32)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용 나사(1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결합용 나사(10)는 상기 블라인드 홀(32)에 삽입시 상기 치과용 픽스쳐(3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체결부재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용 나사(10)가 어버트먼트(20) 및 픽스쳐(30)에 식립된 후에, 상기 결합용 나사(10)에 파절 등이 X-RAY 사진을 통하여 판별된 경우에 피술자는 해당 결합용 나사가 어느 회사의 제품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X-RAY 사진에서는 홀 이외의 부분은 흰색으로 표시되고 구멍 또는 홀이 있는 부분은 검은 색으로 표시된다. 이때, 통상적인 다른 결합용 나사들은 하단부까지 별도의 구멍 또는 홀 없이 채워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얀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나사의 하단이 인식용 식별부로 사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회사의 제품들과는 차별화될 수 있다. 예컨데, 특정 회사,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인 오스템임플란트에서 제작한 제품임이 X-RAY 사진을 통하여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사의 제품이 X-RAY 사진을 통하여 피술자가 알게 되면 제품의 구매 또는 구입이 용이하고 후속적인 시술절차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픽스쳐 내에서 결합용 나사가 삽입되어 있는 동안 주변의 저작력에 의한 결합용 나사의 나사부가 픽스쳐의 내부에서 끼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기존의 제품들은 쉽게 결합용 나사가 빠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홈 내의 공간으로 인하여 결합용 나사의 하단에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쉽게 픽스쳐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홈(14) 주변이 파절된 경우 제거툴을 삽입하여 픽스쳐 내부에 끼어있는 파절된 부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모습은 도 10 내지 12을 통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체결부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홈의 길이가 나사부 전체길이의 대략 1/3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부 전체길이의 대략 2/3 정도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0')에서 홈(14')이 나사부(13')의 전체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홈(14')의 길이가 나사부(13') 전체길이의 대략 2/3보다 작은 경우에는 나사부(13')가 전체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홈(14')의 길이가 나사부(13') 전체길이와 대략 동등한 경우에는 X-RAY 판독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결합용 나사(10)의 하단에 인식용 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용 식별부로 사용되는 홈(14")이 결합용 나사(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용 나사(10)의 상단과 하단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가 어버트먼트와 결합용 나사로 별도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나사에 인식용 식별부가 마련되는 것은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에 인식용 식별부인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어버트먼트는 결합용 나사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예컨데, 상기 어버트먼트(20')는,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크라운이 결합되는 크라운 결합부(21'), 잇몸이 접촉되는 잇몸 접촉부(22'), 픽스쳐(30')에 삽입되는 픽스쳐 삽입부(23') 및 상기 픽스쳐(23') 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은 한몸을 이루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식용 식별부(25')는, 나사결합부(24')에 배치되되, 구체적으로는 나사결합부(24')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어버트먼트(20')는, 외주면에 나사산(31')이 형성되고 내부에 블라인드 홀(32')이 형성되는 픽스쳐(3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사결합부(24')가 상기 픽스쳐(30')의 블라인드 홀(32')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어버트먼트(20')는 이미 홈 형태의 인식용 식별부(2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쳐(3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부(24')의 일부가 파절된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툴(70)을 나사결합부(24')의 홈(25')에 삽입하여 끼워넣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툴을 회전하면서 상승시켜 파절된 나사결합부(24')를 픽스쳐(30')로부터 제거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는, 이때 이미 나사결합부(24')에 홈(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제거툴을 삽입하기 위한 홈형성 공정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즉, 만약 미리 나사결합부(24')에 홈(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홈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공정이 필요하여 번거로울 뿐 아니라, 픽스쳐 내의 공간(예컨대 블라인드 홀(32')내의 공간)이 협소하여 홈형성을 위한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서, 본 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이미 나사결합부(24')에 홈(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단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타 홈(25')으로 인한 X-RAY 판독시 인식이 용이하다는 장점 내지 탄성변형이 되어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어버트먼트의 형상, 픽스쳐의 형상 내지는 결합용 나사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어버트먼트 또는 결합용 나사들에 인식용 식별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합리적으로 해석되는 범위까지에 이른다.
10...결합용 나사 11...머리부
12...중간부 13...나사부
20...어버트먼트 30...픽스쳐
12...중간부 13...나사부
20...어버트먼트 30...픽스쳐
Claims (16)
-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에 식립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X-RAY 사진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제조회사 또는 제품명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인식용 식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X-ray 사진을 통하여 다른 부분과 차별화된 색상으로 판별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원기둥, 다각기둥,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체결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패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픽스쳐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블라인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의 블라인드 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어버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의 블라인드 홀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패여진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어버트먼트에 삽입되어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결합용 나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결합용 나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치과용 픽스쳐에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결합용 나사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패여진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나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어버트먼트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중간부 및 상기 픽스쳐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는 상기 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나사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용 식별부의 길이는 상기 나사부의 전 길이의 2/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치과용 픽스쳐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하단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1727A KR101298246B1 (ko) | 2011-12-23 | 2011-12-23 |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1727A KR101298246B1 (ko) | 2011-12-23 | 2011-12-23 |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3729A true KR20130073729A (ko) | 2013-07-03 |
KR101298246B1 KR101298246B1 (ko) | 2013-08-22 |
Family
ID=4898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1727A KR101298246B1 (ko) | 2011-12-23 | 2011-12-23 |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824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0183B1 (ko) * | 2015-10-29 | 2016-09-26 | 김광섭 | 임플란트 유닛 |
US10426580B2 (en) | 2015-01-21 | 2019-10-01 | Kwang Seob Kim | Implant unit |
KR20200142279A (ko)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00142280A (ko)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30012263A (ko) | 2021-07-15 | 2023-01-26 | (주)포인트닉스 | 체결 스크류에 의한 체결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40001621U (ko) | 2023-03-22 | 2024-10-02 | 포인트임플란트 주식회사 | 전이영역을 구비한 어버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980B1 (ko) | 2013-08-26 | 2014-07-09 | 주식회사 디오 |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
KR102002218B1 (ko) | 2017-08-18 | 2019-10-21 | 박용덕 | 임플란트 조립체 |
KR102143449B1 (ko) * | 2018-12-28 | 2020-08-1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치과용 어버트먼트 스크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2794B1 (ko) * | 2000-04-19 | 2007-01-23 |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
-
2011
- 2011-12-23 KR KR1020110141727A patent/KR101298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26580B2 (en) | 2015-01-21 | 2019-10-01 | Kwang Seob Kim | Implant unit |
KR101660183B1 (ko) * | 2015-10-29 | 2016-09-26 | 김광섭 | 임플란트 유닛 |
KR20200142279A (ko)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00142280A (ko)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30012263A (ko) | 2021-07-15 | 2023-01-26 | (주)포인트닉스 | 체결 스크류에 의한 체결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40001621U (ko) | 2023-03-22 | 2024-10-02 | 포인트임플란트 주식회사 | 전이영역을 구비한 어버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8246B1 (ko) | 201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8246B1 (ko) |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 |
US20200345464A1 (en) | Secondary part, set, dental implant, gingiva former, impression part,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mplant | |
KR101633259B1 (ko) |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 |
KR200467684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173758B1 (ko) |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 |
CN111110376A (zh) | 非粘合式螺纹型种植体 | |
EP4079257A1 (en) |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 |
US20050136379A1 (en) | Multi-part abutment and transfer cap for use with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with non-circular, beveled implant/abutment interface | |
KR102304199B1 (ko) |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 |
JP2012501217A (ja) |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 |
KR20030089602A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 |
JPH0457344B2 (ko) | ||
KR101537233B1 (ko) | 두 줄 나사산 방식의 고정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 |
EP3040047A1 (en) |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 |
KR20190082725A (ko) | 힐링 어버트먼트 | |
KR10130741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80136718A (ko) | 힐링 어버트먼트 | |
JP5749911B2 (ja) | 歯科用インプラント | |
KR10121067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20170060539A (ko) |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체결스크류 | |
KR200392189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JP7471102B2 (ja) | アバットメント締結用ネジ、及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 | |
KR101630445B1 (ko)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
KR101058996B1 (ko) | 오메가 임플란트 | |
KR101435551B1 (ko) |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