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794B1 -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794B1
KR100672794B1 KR1020027013961A KR20027013961A KR100672794B1 KR 100672794 B1 KR100672794 B1 KR 100672794B1 KR 1020027013961 A KR1020027013961 A KR 1020027013961A KR 20027013961 A KR20027013961 A KR 20027013961A KR 100672794 B1 KR100672794 B1 KR 10067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ost
section
shaped element
receiv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219A (ko
Inventor
아우크툰미카엘
페터스만프레트
하젤훈클라우스
슈피커만후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2701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섹션(28, 26A)에 의해 임플란트(1)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임플란트(1)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 결합 위치에서는 포스트형 요소가 칼라 섹션(26K)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된다. X-선 촬영을 하지 않고서도 임플란트(1)에 대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를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스트형 요소는 그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 요소(32)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로드 요소(32)는 원위 접촉면(36)에 의해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의 바닥 상의 접촉면(37)에 접촉될 수 있도록 조치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dowel-shaped element)로서, 상기 포스트형 요소의 수납 섹션이 임플란트의 적합한 수납 리세스 또는 인공 공동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collar) 섹션이 수납 리세스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그러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를 소위 인상 포스트(impression post)라고 지칭하는데, 그것에 의해 예컨대 턱뼈에 미리 도입된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이 결정되게 된다. 그를 위해, 그 포스트형 요소는 수납 섹션으로서 형성된 그 하부에 의해 수납 리세스로서의 기능을 하는 임플란트의 구멍 속에 삽입되어 그 속에서 예컨대 축 방향 일자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 내부의 나사 포켓 구멍 속에 고정된다. 포스트형 요소의 그러한 결합 위치에서 임플란트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칼라 섹션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유지부를 구비하여 그 칼라 섹션과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사이에 가능한 한 긴밀한 형상 결속이 이뤄지게끔 한다.
인상 트레이(impression tray)의 도움을 빌어서, 인상 포스트와 그에 인접된 치아의 둘레에 있는 공간이 초기에 가소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충전되고, 이것에 의해 치아와 인상 포스트가 음형의 형식으로 본 떠지게(coping) 된다.
인상 트레이는 인상 포스트의 칼라 섹션의 근위(proximal) 단부에 배정된 구역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인상재의 경화 후에 그 인상재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다시 돌려 뺄 수 있게끔 한다. 포스트형 요소를 임플란트에 고정시킨 것을 다시 해제시키면, 인상재 속에 형상 결속식으로 매립된 포스트형 요소가 그 인상재와 함께 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한 공지의 포스트형 요소의 단점은 임플란트에 대한 그 올바른 위치가 삽입시 및 본을 뜨기 전에는 즉각적으로 확인될 수 없는데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올바르게 위치되었을 때에 서로 접하게 되는 인상 포스트와 임플란트의 접촉면 사이에 예컨대 임플란트에 인접된 조직이 끼워 넣어져서 인상 포스트와 임플란트가 서로에 대한 올바른 위치에 도달될 수 없게 될 소지가 다분하다. 그럴 경우에는 인상에 의해 인상 포스트의 잘못된 위치가 고수됨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위치를 잘못 추정하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이 신뢰성이 없음을 방지하기 위해, 인상 포스트를 임플란트 속에 고정시킨 후, 아직 본을 뜨기 전에 X-선 촬영에 의해 인상 포스트의 올바른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한 X-선 촬영은 한편으로 조립시의 시간 소모를 증대시켜 그러한 유형의 임플란트 시스템의 비용을 상승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의 인식에 따라 가능한 한 최소화시켜야 할 방사선의 부담을 환자에게 안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을 뜨는 과정 전에 임플란트에 대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를 X-선 방사선의 도움을 빌리지 않고서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포스트형 요소가 그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 요소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로드 요소가 원위(distal) 접촉면에 의해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의 바닥 상의 접촉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로드 요소를 그에 맞춰진 관통 개구부 속에 도입함으로써,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에 대해 올바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관통 개구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로드 요소는 그 원위 접촉면이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의 바닥 상의 접촉면에 접촉될 때까지 관통 개구부 속에 도입된다. 포스트형 요소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부의 길이는 알려져 있기 때문에, 관통 개구부 속에 수납되는 로드 요소의 길이에 따라 포스트형 요소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즉, 로드 요소가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에 상응하는 것보다 더 깊이 관통 개구부 속에 끼워 넣어지면, 포스트형 요소가 어떠한 상황으로 인해 아직 임플란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추론을 내릴 수 있고, 그에 의해 예컨대 포스트형 요소와 임플란트 사이에 조직이 끼워져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에서는 단지 광학적 또는 기계적 보조 수단만으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포스트형 요소의 위치를 X-선 촬영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음으로써, 비용 및 환자의 방사선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관통 개구부 및 수납 리세스는 서로 동축으로 연장되도록 조치된다.
또한, 로드 요소는 그 원위 단부 섹션에 의해, 수납 리세스의 바닥에 형성된 횡단면의 적합한 포켓형 개구부 속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로드 요소는 "포스트형 요소/임플란트" 결합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상황 여하에 따라서는 성형 과정 중에 임의의 추가적인 고정을 생략할 수도 있게끔 한다.
포켓형 개구부가 그 입구 횡단면의 구역에서 약간 확장될 경우 및/또는 로드 요소의 직경이 그 원위 단부 섹션에서 약간 점감될 경우에는 포스트형 요소의 도입이 용이해진다.
로드 요소의 위치는 포스트형 요소의 근위 단부면이 로드 요소의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파악되게 된다.
또한, 로드 요소는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되고 로드 요소와 임플란트의 접촉면이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 관통 개구부 속에 완전히 삽입되거나 관통 개구부에 있는 개방 횡단면 바로 위에 위치되는 표식을 그 외측 표피면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의 바람직한 매우 바람직한 용도는 그것이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로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폐쇄 캡이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폐쇄 캡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폐쇄 캡이 제거된 후의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Ⅴ-Ⅴ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클립 요소의 맞물림 구역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2부품 인상 포스트가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7에 따른 인상 포스트의 상부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과 유사하지만, 실험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과 유사하지만, 일체형 인상 포스트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와 유사하지만, 실험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로부터, 기본 형태가 대략 원추형이고 그 외측 표피면에 수나사부(2)를 구비한 티타늄제 임플란트(1)를 볼 수 있다. 그러한 임플란트(1)는 둥글게 된 원위 단부(3) 및 대략 환형의 단부면(5)에 의해 형성된 근위 단부(4)를 구비한다. 임플란트(1)는 단부면(5)에 인접된 섹션(6)에서 고광택 연마된 표피면(7)을 구비한 원통형 형태로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나사부 섹션(8)에서는 임플란트(1)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단부면(5)으로부터 출발하여, 임플란트(1)의 종축(9)에 평행하게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는데, 그 수납 리세스(10)는 섹션(6)의 전 길이와 나사부 섹션(8)의 일부분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6)의 구역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나사부 섹션(8)을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점감되어 리세스(10)의 바닥(11)에서는 그 횡단면이 모따기된 정방형(도 5를 참조)을 나타내게 된다. 모따기된 장방형의 횡단면 형태로부터 모따기된 정방형의 횡단면 형태로 전이되는 것은 연속적으로 급격하지 않게 이뤄진다.
도 1로부터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은 종축(9)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한다. 또한, 그 벽(12)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홈(14o, 14u)을 구비하는데, 그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1)에는 대략 원통형의 헤드부(16) 및 그와 동축상으로 배향되어 수납 리세스(10) 속으로 연장되는 결합 핀(17)으로 이뤄진 폐쇄 캡(15)이 삽입된다. 헤드부(16)의 접촉면(18)은 마찰 결속의 형식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면(5)에 접촉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핀(17)은 상부 섹션에서 대략 장방형의 횡단면을 나타내는데, 그 모퉁이 구역은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모따기된 구역에서 결합 핀(17)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사이에 4개의 배기 채널(19a)이 형성되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결합 핀(17)을 수납 리세스(10) 속에 끼워 넣을 때에 조립 과정을 방해하는 압력 형성이 일어남이 없이 공기가 밀어내어져 위쪽으로 반출될 수 있고, 그 공기는 임플란트의 단부면(5)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4개의 배기 홈(19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폐쇄 캡(15)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결합 핀(17)의 외측 표피면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및 단부면(5)과, 접촉면(18)이 마찰 결속에 의해 접하게 된다.
폐쇄 캡(15)은 이식후에 단지 일시적으로만 임플란트(1)에 머무르기 때문에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서만 임플란트(1)와 결합될 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요소(20)가 상부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대신에, 결합 핀(17)이 상응하는 길이로 될 경우에는 하부 홈(14u)에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폐쇄 캡(15)은 임플란트(1)의 제조업자에 의해 이미 임플란트에 삽입되어 있고, 한편으로 턱뼈에 대응 구멍을 만든 후에 도 2에 도시된 슬릿(21)에 맞물리는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임플란트(1)를 돌려 끼우는 역할을 한다. 결합 핀(17)의 횡단면 및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이 장방형으로 됨에 의거하여, 토크가 폐쇄 캡(15)을 경유하여 임플란트(1)에 전달될 수 있다. 이식 후에는 폐쇄 캡(15)이 임플란트(1)에 머물러 다른 한편으로 수납 리세스(10)를 외래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임플란트(1)를 턱뼈에 삽입하고 나서 약 3 내지 6개월 후에 폐쇄 캡(15)을 덮은 점막이 제2 시술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을 정도로 교합이 완료된다. 폐쇄 캡(15)이 제거되는데, 그를 위해 펜치형 공구를 헤드부(16)가 V형 환형 홈(22)에 맞물림으로써 전체의 폐쇄 캡(15)을 가볍게 잡아당김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위 치은 형성자(gingiva former)의 결합 핀(17)이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에 삽입된다. 치은 형성자의 고정 원리는 폐쇄 캡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임플란트(1)에 앵커 고정시키려는 의치를 환자의 구강 밖에서 턱뼈 모형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치의 인상(impression)이 제작된다. 그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 형태의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 속에 삽입된다. 그러한 인상 포스트(23)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하부(24) 및 이 하부(24)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는 상부(25)로 이뤄진다. 상부(25)의 칼라 섹션(26K)은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데, 칼라 섹션(26K) 그 자체는 4개의 직육면체형 본체(27.1 내지 27.4)로 이뤄진다. 가장 아래쪽 본체(27.1)는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단부 섹션(28)을 구비하고, 그 단부 섹션(28)은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와 상보적으로 형성된 리세스(29)에 맞물린다. 하부(24)는 임플란트(1)에서 수납 섹션(26A)과 동일한 길이로 되고, 그 상부 에지가 임플란트(1)의 단부면(5)과 동일한 높이로 종료된다. 리세스(29)는 단부면(5)의 높이에서부터 바로 연장되고, 임플란트(1)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 그 자체보다는 약간 작은 개방 횡단면을 구비한다.
도 7a에 따른 인상 포스트(23)의 상부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방형 수평 단면을 구비한 직육면체형 본체(27.1 내지 27.4)는 교대로 90°만큼 서로 어긋나 있다. 즉, 십자형으로 쌓여져 배치된다.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가장 아래쪽 본체(27.1)는 환형 접촉면(30)에 의해 임플란트(1)의 단부면(5)에 접하는데, 인상 포스트(23)를 임플란트(1)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출 성형 기술로 인상 포스트(23)를 제조한 후에 얇은 환형 접착 링(31)을 접촉면(30)에 부착하는데, 그 환형 접착 링(31)은 본을 뜨고 난 후에 가볍게 잡아당김으로써 임플란트(1)의 단부면(5)으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결합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는 유동성이 있고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에워싸인다. 인상재가 경화된 후에는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구역에서의 형상 결속에 의한 결합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인상 포스트(23)가 더 이상 인상재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오히려, 그 내부에 인상재가 들어있는 인상 트레이가 인상 포스트(23)와 함께 제거되는데, 그 경우에 접착 링(31)의 형태의 접착 결합은 가벼게 잡아당김으로써 해제되게 된다.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와 하부(24) 사이에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결합이 이뤄짐에 의거하여, 상부(25)가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1)로부터 또는 우선적으로 뒤에 남겨진 하부(24)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가능한 이동 방향의 한계는 유선형 표피면이 가상적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면(5)을 넘어 밖으로 확장된다고 할 경우에는 단부 섹션(28) 또는 상보형 리세스(29)의 원추의 표피면에 의해 결정된다. 그와 같이 하부(24)와 상부(25)가 특수하게 결합됨에 의거하여, 임플란트(1)의 종축이 인접된 치아에 비해 적지 않게 경사진 위치를 나타낼 경우에도 상부(25)가 응력을 받는 일 없이, 그리고 인상재에 응력을 가하는 일 없이 구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는 거의 중심에 배치된 일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속에는 그에 맞춰진 로드 요소(32)가 삽입된다. 모든 본체(27.1 내지 27.4)를 통해 연장되는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 섹션(33)에 의해 수납 리세스(29)의 바닥(35)에 형성된 적합한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 섹션에서 그 직경이 약간 점감됨으로써 도입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로드 요소(32)용 관통 개구부도 역시 원통형 본체(27.1)의 단부 섹션(28) 및 하부(24)를 통해 연장된다.
그러한 로드 요소(32)에 의해, 한편으로 인상 포스트(23)의 올바른 위치 설정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이를 위해 본체(27.1)의 접촉면(30)이 임플란트(1)의 단부 섹션(5)에 올바르게 접촉되었을 때에 위쪽 본체(27.4) 최상측의 관통 개구부 속에 삽입되는 표식(32a)이 로드 요소(32)의 근위 단부 섹션에 마련될 경우에 그와 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표식은 전술된 상태에서 관통 개구부 속에 이제 막 들어가게 되도록 붙여질 수도 있다.
로드 요소(32)의 또 다른 장점은 그에 의해 인상 포스트(23')가 보다 더 큰 안정성을 얻는다는 데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을 뜨는 과정에서 예컨대 인상재의 힘 작용에 의해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하부(2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로드 요소(32)의 위치가 올바르게 설정되는 데 결정적인 것은 원위 단부 섹션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35)에 형성된 적합한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맞물리는 것으로, 특히 로드 요소(32)의 원위 접촉면(36)이 포켓형 개구부(34)의 바닥에 있는 접촉면(37)에 접촉되는 형식으로 맞물리는 것이다.
도 8은 그 수납 리세스가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와 일치하는 실험용 임플란트(1L) 속에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최하측 직육면체형 본체(27.4)는 그 접촉면에 의해 실험용 임플란트의 단부면(51)에 접한다. 로드 요소(32)에 의해,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가 없더라도 인상 포스트(23)를 실험용 임플란트(1L) 속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로,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33)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35)에 형성된 구멍(34)에 삽입된다. 그에 의해, 실험용 임플란트(1L)와 인상 포스트(23) 사이의 올바른 결합 위치가 보장되게 된다.
도 9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그 원위 단부에 있는 클립 요소(20)에 의해 임플란트(1)에 있는 환형 홈(1) 속에 고정될 수 있는 선택적 인상 포스트(23')를 나타낸 것이다. 인상 포스트(2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상 포스트(23')가 대략 임플란트(1) 또는 그 수납 리세스(10)의 종축의 방향으로만 제거될 수 있다. 그러한 제거는 클립 결합의 형상 결속력을 극복하도록 가볍게 잡아딩김으로써 이뤄지게 된다.
그러한 인상 포스트(23')도 역시 중심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관통 개구부 속에는 로드 요소(32)의 원위 단부 섹션(36)이 포켓형 개구부(34)의 바닥의 대응 접촉면에 맞닿도록 로드 요소(32)가 도입된다. 그와 같이 하여, 인상의 제작 전에 X-선 촬영을 할 필요가 없이 인상 포스트가 임플란트(1)의 단부면(5)에 올바르게 안착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끝으로, 도 10은 완전히 본을 뜨고 난 후에 인상 포스트(23')가 어떻게 실험용 임플란트(1L) 속에 삽입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경우에도 역시 클립 요소(20) 및 로드 요소(32)에 의한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

Claims (7)

  1. 임플란트(1)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 내에 위치하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로서, 상기 포스트형 요소의 수납 섹션(26A)이 임플란트(1)의 적합한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 섹션(26K)이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것인 포스트형 요소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그 종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 요소(32)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로드 요소(32)는 원위 접촉면(36)에 의해 임플란트(1)에 있는 수납 리세스(10) 바닥 상의 접촉면(37)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부와 수납 리세스(10)는 서로 동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로드 요소(32)는 원위 단부 섹션(33)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에 형성된 횡단면의 적합한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포켓형 개구부(34)가 그 입구 횡단면의 구역에서 약간 확장되거나, 로드 요소(32)가 원위 단부 섹션(33)에서 그 직경이 약간 점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의 근위 단부면은 로드 요소(32)의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드 요소(32)는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1)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되는 경우와 로드 요소(32)와 임플란트(1)의 접촉면(36, 37)이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 관통 개구부 속에 완전히 삽입되거나 관통 개구부의 개방 횡단면 바로 위에 위치되는 표식을 그 외측 표피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치의학적 임플란트(1)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23,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20027013961A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067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331.5 2000-04-19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19A KR20020095219A (ko) 2002-12-20
KR100672794B1 true KR100672794B1 (ko) 2007-01-23

Family

ID=3900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ko) 2000-04-19 2001-04-05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839A2 (en) * 2009-04-21 2010-10-28 Ford Christopher W Dental implan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18B1 (ko)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298246B1 (ko) * 2011-12-23 2013-08-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839A2 (en) * 2009-04-21 2010-10-28 Ford Christopher W Dental implant assembly
WO2010123839A3 (en) * 2009-04-21 2011-03-03 Ford Christopher W Dental impla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19A (ko)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7221B1 (en) Impression cap
JP4875057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トランスファーコーピング
KR100928655B1 (ko)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EP1448112B1 (e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US6540514B1 (en) Method for isolating a dental implant
CA2405090C (en)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US20070259315A1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20060263747A1 (en) Healing cap for dental implants
EP3793474A1 (en) Mid-gingival implant system
JP3671004B2 (ja) 特にインプラントの空間的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柱状エレメント
KR100672794B1 (ko)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JP7305801B2 (ja) 歯科用フィクスチャー施術コネクタ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0672793B1 (ko) 임플란트의 공간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US20210220095A1 (en) Gingiva former, bite support and dental healing system
US20220151739A1 (en) Molding device for a dental implant
KR100672795B1 (ko)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