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646A -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646A
KR20130073646A KR1020110141608A KR20110141608A KR20130073646A KR 20130073646 A KR20130073646 A KR 20130073646A KR 1020110141608 A KR1020110141608 A KR 1020110141608A KR 20110141608 A KR20110141608 A KR 20110141608A KR 20130073646 A KR20130073646 A KR 2013007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terminal
load
circuit breaker
lead wir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604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4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으로 상부 및 측면을 압착한다고 하더라도, 부하측 단자와 리드 와이어와의 접촉면이 연결 홈의 형상에 맞게 리드 와이어가 압착되어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에 있어서,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핑거에 그 일단이 결합된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만곡홈을 포함하는 연결홈; 상기 만곡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홈의 형상과 대응되어 그 배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LOAD-SIDE TERMINAL FOR AIR CIRCUIT BREAKER AND MOVABLE CONTACTOR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은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공정을 제거한 프레스 공정만으로도 부하측 단자와 리드 와이어와의 공극을 제거할 수 있고, 전면이 접촉함으로써 기계적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통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구동의 신뢰도까지 높일 수 있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로써, 차단부가 절연물로 절연되어 조립된 차단기는 통상 사용 상태의 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하도록 한다.
선로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기의 차단부에는 고정접촉자와 가동 접촉자가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고정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접촉시켜 전류를 통전시키되,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가동 접촉자를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시켜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계통 및 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차단부를 조작하는 방식에 따라, 공기조작방식, 유압조작방식, 스프링조작방식으로 구분되는데, 공기조작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큰 조작력을 얻을 수 있지만, 압축공기의 조작이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조작장치의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온도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유압조작방식은 초정밀 가공되어 기밀성을 유지해야하는 유압실린더, 펌프, 유압축적장치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고,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오일 누유현상에 의해 차단기의 동작시간 및 가동 접촉자의 속도에 편차가 발생하여 차단 성능이 저하되므로, 신뢰성 높은 전류 차단을 수행할 수 없다.
스프링조작방식은 차단 및 투입 에너지원으로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이며, 공기조작방식과 유압조작방식에 비해 유지 및 조작장치의 관리가 용이하고,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응답시간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조작방식과 유압조작방식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고정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를 분리시켜 전류를 차단시킬 때, 발생된 아크는 신속히 소호, 즉 제거해야 가동 접촉자의 가동접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소호 방식에 따라 공기를 불어서 아크를 소호하는 기중차단기(ACB: Air Circuit Breaker) 및 가스를 불어서 아크를 소호하는 가스차단기(GCB: Gas Circuit Breaker) 등이 있다.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氣中遮斷器)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아크를 끄는 전기개폐장치로써, 교류전압 1000V 이하 및 직류전압 3000V 이하의 전로에 사용하고, 회로의 개폐나 단락사고에 의한 단락전류 등에서 전로를 보존하기 위한 차단기이다.
전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고정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두고 이들을 밀착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선로의 어디에선가 고장으로 인해 큰 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신속히 가동부를 고정부에서 분리해서 전류를 끊어야 하는데, 이때 반드시 아크가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아크를 끄는 것이 가장 문제가 되기 때문에, 양 접촉자를 공기 속에 놓고 접촉자를 분리시키는 한편 압축공기로 아크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중차단기의 개략적인 구성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고정접점을 가지고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동접점을 가지고 고정접촉자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링크기구 등을 갖는 기구유닛과, 과전류 및 사고전류 등을 검출하는 검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동 접촉자는 인입된 전류가 부하기기로 인출되도록 고정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가동접점이 형성된 다수의 핑거와, 핑거의 단부 일단에 결합되는 리드 와이어(Lead Wire)를 포함하는데, 리드 와이어는 한 쌍이 한 조가 되고 함께 스크류되어 그 타단이 부하측 단자에 연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리드 와이어(130)의 타단이 부하측 단자(100)에 연결됨에 있어 깊이방향으로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연결홈(110)에 측면 방향에서 끼워 맞춤식으로 압입 결합됨으로써, 전류에 의한 인장력을 고려하여 부하측 단자(100)의 상단(120)과 리드 와이어(130)가 용접으로 최종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가동 접촉자는 리드 와이어(130)가 부하측 단자(100)의 상단(120)에 용접 결합됨에 따라, 용접열에 의해 인접한 부분이 열화되어 그 일부가 절단될 수 있고, 통전 성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을 제거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71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하측 단자(200)의 연결홈(210)은 그 내경이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되고, 반대로 상단(220)의 폭은 내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단(220)과 연결홈(210)의 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아래 위가 바뀐 형상으로(Upside Down)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드 와이어(230)의 일단이 가동 접촉자의 핑거에 연결되고, 리드 와이어(230)의 타단이 연결홈(210)의 깊이방향으로 프레스 가공인 압착됨으로써, 그 내경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소성 변형된 후, 그 상단(220)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부하측 단자(200)에 리드 와이어(23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으로 상부 및 측면에서 압착을 한다고 하더라도, 부하측 단자와 리드 와이어와의 접촉면은 연결홈의 형상에 맞게 리드 와이어가 압착되지 못하므로 공극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공극이 발생함에 따라 리드 와이어와 부하측 단자의 접촉면이 완전하지 못해 전류의 통전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817117호
본 출원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으로 상부 및 측면을 압착한다고 하더라도, 부하측 단자와 리드 와이어와의 접촉면이 연결 홈의 형상에 맞게 리드 와이어가 압착되어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공극을 제거함으로써 리드 와이어와 부하측 단자의 접촉면이 완전해지고, 전류의 통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에 리드 와이어가 고정되어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만으로도 기계적인 고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전류의 통전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공정을 줄여 단가를 낮추면서도 가동 접촉자의 전류 통전성 및 리드 와이어 고정 신뢰도은 더 높일 수 있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실시예들 중에서,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에 있어서,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핑거에 그 일단이 결합된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만곡홈을 포함하는 연결홈; 상기 만곡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홈의 형상과 대응되어 그 배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상단부의 중심부를 깊이 방향으로『V』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착용 금형에 의해 압착 및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만곡홈은 상기 리드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만곡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리드 와이어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실시예들 중에서, 기중 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고정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가동 접점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핑거; 상기 각 핑거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연결홈이 복수로 형성된 부하측 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측 단자는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만곡홈을 포함하는 연결홈; 상기 만곡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홈의 형상과 대응되어 그 배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를 이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①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으로 상부 및 측면을 압착한다고 하더라도, 부하측 단자와 리드 와이어와의 접촉면이 연결 홈의 형상에 맞게 리드 와이어가 압착되어 공극이 발생하지 않고, ② 공극을 제거함으로써 리드 와이어와 부하측 단자의 접촉면이 완전해지고, 전류의 통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 접촉자의 구동시에 리드 와이어가 고정되어 결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③ 용접 공정을 제거하고, 프레스 가공만으로도 기계적인 고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전류의 통전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공정을 줄여 단가를 낮추면서도 가동 접촉자의 전류 통전성 및 리드 와이어 고정 신뢰도은 더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을 채용하는 제조사의 신뢰도까지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와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측 단자의 제조 공정과 공극을 비교한 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가동 접촉자(1)는 부하측 단자(10), 핑거(30), 리드 와이어(50), 하우징(70), 측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중차단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지, 전류가 인입되도록 로드측 단자와 연결되며 고정접점을 가지고 케이지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접촉자, 고정 접점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가동 접점을 가지고 고정 접촉자에 대해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1), 가동 접촉자(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링크 기구를 가지는 기구 유닛, 과전류 및 사고 전류 등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지의 내부에는 복수의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1)가 상호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배치되고,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에서 형성되는 아크가 소호(Arc Extinguishing, 消弧)되는 복수의 소호실이 상호 분리되게 형성되며, 각 소호실은 접점의 접촉 및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가 배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며, 각 소호실의 내부에는 아크를 유도 및 냉각시켜 아크가 소호될 수 있도록 금속 부재로 형성된 복수의 그리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층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동 접촉자(1)는 고정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류가 인입되는 고정 접촉자의 로드측 단자와 연결되고 그 단부에 리드 와이어(50)가 결합되어 회동하는 복수의 핑거(30), 핑거(30)를 구획하여 각각 수납하도록 격벽이 형성된 절연성의 하우징(70), 하우징(7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90), 핑거(30)와 연결되는 부하측 단자(10), 부하측 단자(10)가 결합되고 측판(90)에 연결되어 하우징(70)이 일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핑거(30)는 일측에 소정 깊이로 음형진 한 쌍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가동 접점이 결합되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일단이 발생된 아크를 그리드로 안내하도록 절곡 형성된 절곡부, 몸체의 타단이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리드 와이어(50)의 압착 형성된 일단과 용접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리드 와이어(50)의 타단도 압착되고 한 쌍이 한 조가 되어 부하측 단자(10)에 배치되어 압착 결합되는데, 부하측 단자(10)는 상부 및 측면의 프레스 공정만으로도 리드 와이어(50)가 부하측 단자(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기계적인 방어벽을 형성하면서도, 리드 와이어(50)와 부하측 단자(10)의 접촉면을 극대화시키도록 공극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통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번 부호 50이 부하측 단자(10)를 가리키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부하측 단자(10) 자체가 아닌, 연결홈(11) 내에 삽입된 리드 와이어(50)를 가리키는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하측 단자(10)는 연결홈(11), 상단부(12), 리드 와이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결홈(11)의 내경은 일정 길이부터 상단부(12)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부하측 단자(10)의 리드 와이어(13)가 가동 접촉자(1)의 운동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막아 기계적인 견고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상단부(12)는 만곡부(12a)를 포함하는데, 만곡부(12a)는 상기 리드 와이어(13)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단부(12)의 양측방향으로 상단부(12)가 형성되도록, 상단부(12)의 중심 부분에『V』 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요(凹)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중심부가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12)의 양측방향으로 상단부(12)가 형성되어 연결홈(11)의 상부측 입구를 일정 부분 막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으로든 변경 및 변형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상단부(12)를『V』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압착용 금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단부(12)의 중간을 소성 변형하도록 하면서, 측면 및 상부에서 압착하여 본 출원에 따른 부하측 단자(10)가 제조되고, 부하측 단자(10)의 상단부(12)는『V』홈 형상으로 하부 및 좌우로 소성 변형되는 것이므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한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든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13)의 상단이 연결홈(11)의 깊이 방향으로 압착, 즉 프레스 가공되어 그 내경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소성 변형된 후, 그 타단이 가로 방향으로 압착되어 부하측 단자(10)에 리드 와이어(13)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곡홈(11a)은『V』형상의 돌기를 압착용 금형의 깊이 방향 압착으로 인해 만곡부(12a)가 형성되면서 대응되도록 만곡부(12a)의 배면에 형성된 일정 각도를 가지는 연결홈(11)의 한 부분으로써, 이러한 만곡홈(11a)에 의해 리드 와이어(13)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기계적인 고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의 리드 와이어(50)와 도 4의 리드 와이어(13)은 동일한 구성이나, 도면 부호만 다른 것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와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측 단자의 제조 공정과 공극을 비교한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부하측 단자와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측 단자의 공극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즉,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부하측 단자는 연결홈 자체를 사다리꼴로 형성시키고,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압착하여 프레스 가공을 하여 그 내경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소성 변형한 후, 측면도 함께 또는 그 후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리드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견고히 안착되도록 한다.
(b)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부하측 단자는 연결홈 자체의 변형은 없고,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압착하는 압착용 금형을『V』형상의 돌기를 형성시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압착을 시켜 만곡부를 형성시킨 후, 측면도 함께 또는 그 후에 프레스 가공을 하며, 이를 비교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a)의 공극과 (b)의 공극을 비교해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가동 접촉자는 연결홈의 상부측은 공극이 없으나, 그 하부로 갈수록 공극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출원에 따른 가동 접촉자는 연결홈의 상부측과 하부측 모두 공극이 0%, 즉 전혀 발생되지 않아 완전한 접촉면을 제공함으로써, 전류의 통전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인 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의 기중차단기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고 전류가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면, 가동 접촉자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상호 분리되도록 회동됨과 동시에 접점간의 분리시 아크가 발생되므로, 발생된 아크는 그리드로 유도되어 냉각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 영역을 통해 배기됨으로써 소호된다.
여기서, 가동 접촉자가 회동할 시에 강한 인장력이 발생되는데, 리드 와이어와 부하측 단자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으면 쉽게 그 결합상태가 이탈되지만, 용접 공정으르 제거했으므로 리드 와이어와 부하측 단자의 결합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용접열에 의한 리드 와이어의 열화 및 그 일부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공극을 0%로 줄임으로써 연결홈 전체에 걸쳐 리드 와이어가 100% 압착되어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류의 통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성능 향상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가동 접촉자
10: 부하측 단자 11: 연결홈
11a: 만곡홈 12: 상단부
12a: 만곡부 13: 리드와이어
30: 핑거 50: 리드 와이어
70: 하우징 90: 측판

Claims (7)

  1.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에 있어서,
    기중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핑거에 그 일단이 결합된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만곡홈을 포함하는 연결홈;
    상기 만곡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홈의 형상과 대응되어 그 배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상단부의 중심부를 깊이 방향으로『V』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착용 금형에 의해 압착 및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홈은
    상기 리드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만곡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리드 와이어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4. 기중 차단기용 가동 접촉자의 고정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가동 접점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핑거;
    상기 각 핑거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리드 와이어;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연결홈이 복수로 형성된 부하측 단자;
    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단자는
    상기 리드 와이어의 타단이 견고히 압입 결합되도록 내경의 상단측 일정 길이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만곡홈을 포함하는 연결홈;
    상기 만곡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홈의 형상과 대응되어 그 배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상단부의 중심부를 깊이 방향으로『V』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착용 금형에 의해 압착 및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홈은
    상기 리드 와이어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만곡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리드 와이어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KR1020110141608A 2011-12-23 2011-12-23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KR10170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08A KR101702604B1 (ko) 2011-12-23 2011-12-23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608A KR101702604B1 (ko) 2011-12-23 2011-12-23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46A true KR20130073646A (ko) 2013-07-03
KR101702604B1 KR101702604B1 (ko) 2017-02-06

Family

ID=4898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08A KR101702604B1 (ko) 2011-12-23 2011-12-23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117B1 (ko) 2006-10-17 2008-03-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가동접촉자
JP2011124135A (ja) * 2009-12-11 2011-06-2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圧着金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117B1 (ko) 2006-10-17 2008-03-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가동접촉자
EP1914768A1 (en) * 2006-10-17 2008-04-23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air circuit breaker and connection method for flexible wire thereof
JP2011124135A (ja) * 2009-12-11 2011-06-2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圧着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604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766B1 (en) Movable contactor of circuit breaker and fabrication method for finger thereof
US8772665B2 (en) Circuit breaker with arc extinguishing mechanism
US20160322185A1 (en) Double-contact switch with vacuum switching chambers
RU2502148C2 (ru) Контактный узел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рерывателя
KR100817117B1 (ko) 기중차단기의 가동접촉자
EP2485229B1 (en) Flexible shunt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893335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acuum interrupter and vacuum breaker having the same
CN111952111B (zh) 一种双断口快速真空灭弧室
KR20130073646A (ko) 기중차단기용 부하측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가동 접촉자
KR100911968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CN216250541U (zh) 一种真空灭弧室触头结构
CN107622908B (zh) 一种可动双回路触头结构及真空灭弧室
US20150034598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eccentricity of movable contact in vaccum circuit breaker
CN210006659U (zh) 一种电气化铁道固体绝缘双断口隔离开关
CN203103210U (zh) 真空灭弧室及使用该灭弧室的真空断路器
CN1622250A (zh) 断路器
CN102237230B (zh) 用于监控电路的双断路保护开关
KR101704989B1 (ko)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JP2009081081A (ja) 真空開閉装置
US9761400B2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CN220253163U (zh) 一种带有触头罩的断路器
CN219759508U (zh) 一种静触头结构
CN216957942U (zh) 一种框架断路器的触头系统
CN215266071U (zh) 一种用于真空断路器的动端软连接结构
CN208315491U (zh) 一种热磁式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