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635A -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635A
KR20130073635A KR1020110141596A KR20110141596A KR20130073635A KR 20130073635 A KR20130073635 A KR 20130073635A KR 1020110141596 A KR1020110141596 A KR 1020110141596A KR 20110141596 A KR20110141596 A KR 20110141596A KR 20130073635 A KR20130073635 A KR 2013007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ad
size
pipe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635A/ko
Publication of KR2013007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1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computer simulation, e.g. finite element method [FEM]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관 응력 해석 이전에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하중을 임의로 산출하고, 이 임의의 하중을 기준 하중과 비교함으로써 최소의 작업만으로도 최적의 서포트 크기를 산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및 배관 서포트 멤버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1단계와;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하는 제2단계와; 배관 크기별 표준하중에 따라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임의의 제1하중을 산출하는 제3단계와;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제1하중 및 배관 서포트의 배열에 따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멤버를 임의로 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선정된 배관 서포트의 배관 응력 해석을 결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없으면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하면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상기 배관 서포트의 제2하중을 산출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3단계와 제7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1하중을 재산출하고 상기 배관 서포트 멤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한 후,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서포트의 하중을 계산하기 위한 입력값을 근거로 하여 제1하중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계산된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근거로 하여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2단계와;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산출된 기준의 제2하중을 설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적합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부적합으로 판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DESIGN AND PIPE SUPPORT OF OFFSHORE FIXED PLATFORM AND SHIP}
본 발명은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응력 해석 이전에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하중을 임의로 산출하고, 이 임의의 하중을 기준 하중과 비교함으로써 최소의 작업만으로도 최적의 서포트 크기를 산출할 수 있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입력만을 통해 각종 배관에 적용되는 배관 서포트의 크기를 기준 하중에 적합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이나 선박을 설계하는 분야는 크게 선체 설계와 의장설계(배관, 전기, 철의장 등 선박의 내부 구조에 관한 설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선체설계는 예를 들어 선도 (Lines), 중앙단면도 (Mid Ship Section), 강재배치도, 외판전개도 등 선체구조를 결정하는 기본도면을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선수구조도, 중앙부구조도, 기관실구조도, 선미구조도 등을 완성해 선체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의장설계는 주요 의장설비의 성능과 제원을 결정하고 시스템 체계를 표시하는 다이어그램(Diagram)과 상호배치를 표시하는 배치도(Arrange)를 작성하여 설계하는 방법이다.
주요 의장설계는 선체의장(하역장치, 소화장치, 교통장치, 안전설비, 통풍장치), 기관실의장 (주기관, 추진장치, 보기장치, 배관장치, 교통장치, 통풍장치), 전기의장 (전원장치, 배전장치, 항해장치, 무선장치), 선실의장(거주구 설비, 오락설비) 등이다.
의장 설계 분야 중에서 배관 시스템은 파이핑과 인스트루먼트(배관) 다이어그램(P&ID, Piping & Instrument Diagram)을 필요로 하고, 다양한 형태의 모든 시스템용 와이어링 다이어그램과 커넥션(전기, 전자)다이어그램 작성을 필요로 한다.
한편, 배관의 설치시 배관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서포트를 적용한다. 이러한 서포트의 종류로는 스프링행거(spring hanger, 스웨이스트럿(sway strut), 컨스턴트 행거(constant hanger), 언더행거(under hanger)등 있다.
도 1은 배관과 서포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해양 구조물의 데크를 구성하는 데크 빔(1)을 따라 배관(2)을 설치하며, 배관(2)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트(3)가 적용된다. 서포트(3)은 데크 빔(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배관(2)을 저부에서 매달아 지지하는 형태이다. 서포트(3)는 데크 빔(1)의 구조와 배관(2)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며 대개 다수의 멤버(3a)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서포트(3)는 배관(2)을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장 설계시 해당 배관의 설계와 함께 크기(높이와 폭)의 설계가 뒤따른다. 즉, 서포트(3)는 배관 응력 해석(Piping Stress Analysis)을 통하여, 해당 배관의 하중 값을 산출하여 서포트(3)의 각 멤버의 크기가 결정된다.
해양 구조물과 선박에 적용되는 배관은 물, 가스, 석유 등 다양한 유체의 흐름을 위해 사용되며, 유체의 종류에 따라 배관의 제원(직경, 두께 등)이 달라지고, 동일 유체이더라도 배관의 종류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배관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하중이 달라지고, 따라서, 배관 서포트는 해당 배관의 제원 등에 따라 크기(높이, 폭 등), 간격이 달라진다.
따라서, 배관 설계시 배관의 특성에 따라 배관 서포트의 크기가 적합하도록 설계하며, 대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설계한다. 배관 응력 해석은 해당 배관에 적합한 배관 서포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 장점이 있지만, 오랜 작업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계후 설계파트와 응력해석 파트의 상호 협의 및 조정에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연히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실정이며, 설계배관 수정시 3차원 프로그램과 연계되지 않고 별도로 작업을 수행하고, 허용치를 만족하는 배관 서포트를 선정하므로 과대설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3250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16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응력 해석 이전에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하중을 임의로 산출하고, 이 임의의 하중을 기준 하중과 비교함으로써 최소의 작업만으로도 최적의 서포트 크기를 산출할 수 있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및 배관 서포트 멤버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1단계와;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하는 제2단계와; 배관 크기별 표준하중에 따라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임의의 제1하중을 산출하는 제3단계와;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제1하중 및 배관 서포트의 배열에 따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멤버를 임의로 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선정된 배관 서포트의 배관 응력 해석을 결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없으면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하면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상기 배관 서포트의 제2하중을 산출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3단계와 제7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1하중을 재산출하고 상기 배관 서포트 멤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한 후,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서포트의 하중을 계산하기 위한 입력값을 근거로 하여 제1하중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계산된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근거로 하여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2단계와;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산출된 기준의 제2하중을 설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적합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부적합으로 판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의하면, 모든 배관 서포트를 배관 응력 해석으로 설계하지 않아도 배관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배관 서포트의 크기를 구할 수 있고, 수작업을 최소로 하여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줄임으로써 배관 서포트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해양 구조물의 배관 및 배관 서포트의 설치 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에 따른 시트의 예시도.
<실시예 1>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데이터베이스 구축.
본 실시예는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배관 서포트의 크기(높이, 폭, 간격 등), 멤버 타입(H 빔, 앵글, 관 등), 멤버의 사이즈(길이, 폭, 두께, 직경 등)를 미리 결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S20)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확인.
배관 설계도에는 배관과 배관 서포트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배관 설계도를 보고 배관(배관 크기(직경) 등)은 물론,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를 확인한다.
(S30)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 설정.
배관 크기별 표준하중에 따라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임의의 제1하중을 산출한다. 설계자가 경험칙에 의해 임의로 배관 서포트에 전가되는 하중을 설정하며, 이를 제1하중이라 한다. 제1하중은 배관 정보와 배관 서포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 정보(직경 등), 배관 서포트 정보를 확인한다. 배관 정보로는 배관의 크기, 유체 종류, 유체 양 등이며, 배관 서포트 정보는 배관 서포트의 타입(형상), 배관 서포트 간의 간격 등이다.
설계자는 전술한 정보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산출한다.
설계도에 배관의 수량이 도시되어 있으며,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산출할 때 모든 배관에 대한 하중으로 계산한다.
(S40) 배관 서포트의 멤버 설정.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제1하중 및 배관 서포트의 배열에 따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멤버를 임의로 선정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멤버의 종류(H 빔, 앵글, 관 등), 형태별 멤버의 사이즈(길이, 직경 등)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어느 하나(멤버 타입과 사이즈)를 설정한다.
(S50) 배관 응력 해석 여부 판단.
해양 구조물과 선박 등에는 많은 배관이 설계되며, 이 중 일부는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정확한 하중 계산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은 배관 응력 해석없이도 충분히 배관을 서포팅한다.
따라서, 배관 설계시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한 배관과 그렇지 않은 배관을 구분한다. 이와 같이 배관을 구분하는 것은 배관의 특성을 확인하여 설계자가 직접 구분할 수도 있고, 기준 값을 설정하여 이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S60) 배관 서포트 결정.
상기 (S50) 공정을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배관은 상기 (S20) 공정과 (S40) 공정에 의해 설정된 크기의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멤버의 사이즈로 결정한다.
(S70) 배관 서포트의 제2하중 산출.
상기 (S30) 공정을 통해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제1하중은 배관 응력 해석 등을 통해 얻어진 것이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검증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제2하중을 설정한다.
상기 (S50) 공정을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을 필요로 하는 배관은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배관 서포트의 제2하중을 산출한다. 배관 응력 해석에 의한 제2하중의 산출은 공지의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S80) 제1하중과 제2하중 비교.
상기 (S30) 공정과 (S70) 공정을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1하중을 재산출하고 상기 배관 서포트 멤버를 변경하도록 한다.
설계자가 제1,2하중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휴먼 에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입력만으로 비교치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엑셀에 의한 데이터베이스는 배관 정보를 입력하는 행,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멤버의 사이즈를 입력하는 행, 입력값에 의해 제1하중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1하중을 표시하는 함수식을 갖는 행, 배관 응력 해석에 의한 제2하중을 입력하는 행,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제1하중이 크면 "적합(OK)"으로 표시하고 제1하중이 작으면 "부적합(NO)"으로 표시하는 주석행이 갖추어질 수 있다. 배관 응력 해석이 선택 사항으로 적용되는 경우 배관 해석 응력 기준을 입력하는 행, 배관 정보와 배관 해석 응력 선택 기준을 비교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행이 포함될 수 있다. 배관 해석 응력 기준을 필요로 하는 배관 서포트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주석행에 적합 또는 부적합이 표시되지만, 배관 해석 응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배관 서포트에 대해서는 주석행에 "-"가 표시되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0)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 설정.
본 실시예는 설계자가 경험칙에 의해 임의로 배관 서포트에 전가되는 하중을 설정하며, 이를 제1하중이라 한다. 제1하중은 배관 정보와 배관 서포트 정보를 근거로 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 정보, 배관 서포트 정보를 확인한다. 배관 정보로는 배관의 크기, 유체 종류, 유체 양 등이며, 배관 서포트 정보는 배관 서포트의 타입(형상), 배관 서포트 간의 간격 등이다.
설계자는 전술한 정보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산출한다.
설계도에 배관의 수량이 도시되어 있으며,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산출할 때 모든 배관에 대한 하중으로 계산한다.
(S200) 배관 서포트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기 (S10) 공정을 통해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이 설정되면, 제1하중을 근거로 하여 배관 서포트를 선택한다. 설계자는 제1하중을 근거로 하여 배관 서포트의 크기(높이, 폭, 간격 등), 멤버 타입(H 빔, 앵글, 관 등), 멤버의 사이즈(길이, 폭, 두께, 직경 등)를 결정한다.
엑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전술한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베이스 시트를 제작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트에 배관 번호(배관 특성 정보 등 포함), 배관 서포트 크기, 멤버 타입, 멤버 사이즈, 제1하중을 입력한다.
(S300) 배관 서포트의 기준 하중 선정.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제1하중은 배관 응력 해석 등을 통해 얻어진 것이 아니므로 검증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검증을 위하여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제2하중을 설정한다. 제2하중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트에 함께 입력된다.
(S400) 제1하중 판단.
상기 (S100) 공정과 (S300) 공정을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제1하중이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S200) 공정에서 선정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하중이 제2하중보다 작으면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시트의 일 예시도로서, 제P001호 배관에 대한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1.6)에 대하여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타입 및 멤버 사이즈가 결정되었으며, 제1하중과 제2하중의 비교 결과 제1하중이 제2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주석행에 "OK"로 판정되며, 그러나 제P002호 배관은 제1하중(1.1)이 제2하중(1.2)보다 작기 때문에 "NO"로 판정된다.
관리자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시트만 확인하여도 모든 배관 서포트의 적합과 부적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관 서포트의 발주에서부터 시공까지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3)

  1. 배관 서포트의 타입과 크기 및 배관 서포트 멤버의 크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1단계와;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하는 제2단계와;
    배관 크기별 표준하중에 따라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임의의 제1하중을 산출하는 제3단계와;
    배관 서포트에 재하되는 제1하중 및 배관 서포트의 배열에 따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배관 서포트의 멤버를 임의로 선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선정된 배관 서포트의 배관 응력 해석 여부를 결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없으면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배관 응력 해석이 필요하면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상기 배관 서포트의 제2하중을 산출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3단계와 제7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와 제4단계를 통해 선정한 크기의 배관 서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1하중을 재산출하고 상기 배관 서포트 멤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는 배관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직경 이상의 배관에 적용되는 배관 서포트의 배관 해석 응력을 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3. 배관과 배관 서포트의 설계 도면을 통해 배관의 크기와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타입을 확인한 후,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서포트의 하중을 계산하기 위한 입력값을 근거로 하여 제1하중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계산된 배관 서포트의 제1하중을 근거로 하여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2단계와;
    해당 배관에 대한 배관 응력 해석을 통해 산출된 기준의 제2하중을 설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제3단계를 통해 획득한 제1하중과 제2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크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적합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1하중이 상기 제2하중보다 작으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배관 서포트의 크기와 멤버의 사이즈를 부적합으로 판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KR1020110141596A 2011-12-23 2011-12-23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KR2013007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96A KR20130073635A (ko) 2011-12-23 2011-12-23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96A KR20130073635A (ko) 2011-12-23 2011-12-23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35A true KR20130073635A (ko) 2013-07-03

Family

ID=4898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596A KR20130073635A (ko) 2011-12-23 2011-12-23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36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831A (ko) * 2015-11-23 2017-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서포트 설계를 위한 배관 부하 계산방법
CN112154441A (zh) * 2018-03-28 2020-12-29 西门子股份公司 用于管道支撑设计的系统和方法
KR20220072608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서포트 타입을 최적화하는 설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20082542A (ko) * 2020-12-10 2022-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서포트 타입을 최적화하는 설계 지원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831A (ko) * 2015-11-23 2017-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서포트 설계를 위한 배관 부하 계산방법
CN112154441A (zh) * 2018-03-28 2020-12-29 西门子股份公司 用于管道支撑设计的系统和方法
KR20220072608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서포트 타입을 최적화하는 설계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20082542A (ko) * 2020-12-10 2022-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서포트 타입을 최적화하는 설계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635A (ko)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크기 산출 방법
KR100854660B1 (ko) 선박의 의장설계를 위한 수치 및 물량 계산 프로그램의통합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4615A (ko) 해양 플랫폼과 선박용 배관 서포트 간격 산출 방법
CN113212689A (zh) 基于船舶防火设计的贯穿件布置方法、系统、介质及设备
KR20150024979A (ko) 선박용 배관 서포트의 형상모델링 방법
KR20150025143A (ko) 써포트 제작도면의 뷰 디렉션을 정의하는 방법
CN113815804B (zh) 一种舾装安装顺序智能化设计方法
JP5551202B2 (ja) ダクト用cad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76197B1 (ko) 배관 서포트 설계를 위한 배관 부하 계산방법
Cruces Girón et al.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mooring systems and risers of floating production platforms
KR20220007919A (ko) 배관의 서포트 간격 평가 방법 및 장치
US20160042480A1 (en) Generation of cost estimates for offshore structure designs
KR20180073549A (ko) 연결 엘리먼트의 제조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1995213B (zh) 双曲度板冷加工成型后的检测方法
KR20130082814A (ko) 배관하중 유형별 지지대 선정하는 방법
KR20160113941A (ko) 3차원 모델 기반의 선박 블록 리프팅 안전성 검증 시스템
Sulaiman Predicting Wind Loads on the Topside of a Self-Propelled Wind Turbine Installation Jack-Up Using CFD
JP2015109006A (ja) プラント設計支援システム
KR20240061038A (ko) 표준 배관 서포트 자동 설계 및 검증방법
Kimura Automatic piping arrangement design considering piping supports and curved surfaces of building blocks
Ando et al. Automatic pipe routing to avoid air pocket
JP6716848B2 (ja) 船舶の動揺軽減水槽装置の概略仕様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2018014035A (ja) 足場計画作成装置、足場計画作成方法および足場計画作成プログラム
JP7107781B2 (ja) 設計支援システム
CN114820944B (zh) 一种三维场景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