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454A -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 Google Patents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454A
KR20130073454A KR1020110141302A KR20110141302A KR20130073454A KR 20130073454 A KR20130073454 A KR 20130073454A KR 1020110141302 A KR1020110141302 A KR 1020110141302A KR 20110141302 A KR20110141302 A KR 20110141302A KR 20130073454 A KR20130073454 A KR 2013007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owing
cargo hold
power lin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주
김주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454A/ko
Publication of KR2013007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58Adaptations of hooks for towing; Towing-hook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창과 추진동력선을 분리한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창과 상기 화물창을 견인하는 추진동력선을 분리하여 견인장치로 연결하되, 상기 화물창의 선수부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추진동력선 갑판 상에 설치하되 상기 견인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Tug boat의 도움없이 접안/이안이 가능하여 선박의 접안/이안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화물 하역/선적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게 하고, 또한 화물 무 적재 상태의 운항을 최소화하여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Eco-friendly separable multipurpose vessel}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창과 추진동력선을 분리한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진동력선이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화물창을 견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의 접안/이안 및 화물의 하역/선적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물 무 적재 상태의 운항을 최소화하여 운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미에 설치된 추진 장치인 프로펠러(propeller)의 회전에 의하여 해상에서 추진력을 얻어 진행하게 되는 데, 이때 프로펠러는 선박 주위의 물을 뒤쪽으로 가속시켜 선박에 추진력을 부가함으로써 선박을 전진시켜 항해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은 다양한 화물을 적재한 후 장시간의 운항을 통해 화물을 운송하게 되므로, 최대의 화물을 최적 조건하에서 최소 비용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운항 효율의 향상이나, 시간 , 비용 등을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화물을 운반하는 종래의 화물선은 선체 내부에 화물창을 설치하고 상기 화물창에 화물을 적재한 후 운항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물선은 하나의 선체에 추진동력부와 화물창이 함께 구비되는 특성상 선체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Tug boat의 도움없이는 접안/이안이 곤란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선박의 접안/이안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화물의 하역/선적 시간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항을 하는 경우 운항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추진동력선과 화물창을 분리하여 화물창을 견인장치로 견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Tug boat의 도움없이 접안/이안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의 접안/이안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하고, 둘째, 화물 하역/선적 시간의 단축은 물론 화물 무 적재 상태의 운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창과 상기 화물창을 견인하는 추진동력선을 분리하여 견인장치로 연결하되,
상기 화물창의 선수부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추진동력선 갑판 상에 설치하되 상기 견인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추진동력선의 갑판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면에 안착되는 베드플레이트, 및 상기 베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견인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베드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일정 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견인핀에는 상기 견인부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탑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추진동력선이 별도의 화물창을 견인할 수 있어 선박의 접안/이안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선박의 접안/이안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화물 하역/선적 시간의 단축은 물론 화물 무 적재 상태의 운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물 운항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구비된 견인장치의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에 구비된 견인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은 화물(300)이 적재되는 화물창(200)과 화물창(200)을 견인하는 추진동력선(100)을 분리한 후, 추진동력선(100)과 화물창(200)을 견인장치(80)로 연결한다.
따라서 추진동력선(100)이 화물창(200)을 견인한 상태로 운항하게 되는 것이다.
화물창(200)은 다양한 화물(300)을 적재시킬 수 있는 선박으로서, 엔진이 구비된 추진동력부가 설치되지 않으며, 선체 내부에는 화물(300)을 적재시킬 수 있는 화물적재부가 설치된다.
화물창(200)의 화물적재부는 종래의 통상적인 자체 추진 화물선에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와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화물창(200)의 선체는 일반적인 선박의 선체와 마찬가지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 선체로 구성되며, 화물(200)의 선적이나 하역 또는 운항에 필요한 일반적인 장치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화물창(200)의 선수부에는 일정 길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견인부(250)가 구비된다.
견인부(25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추진동력선(100)에 설치된 견인장치(8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선단에는 일정 직경의 연결공(260)이 관통 형성된다.
견인부(2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견인에 필요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화물창(300)의 형태나 구조 또는 규모 등에 따라 견인장치(80)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추진동력선(100)은 화물적재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체 엔진과 추진 장치에 의해 해상 운항만 가능한 통상적인 선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선미에 설치되는 견인장치(80)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화물창(200)을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견인장치(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과 베드플레이트(20) 및 견인핀(5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추진동력선(100)의 선미 갑판(120) 상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일정 두께의 원판이나 사각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안착홈(17)이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7)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베드플레이트(20)의 하측부가 삽입 설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은 중앙부에 견인핀(5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5)이 관통 형성되며, 이때 결합공(15)의 내주면에는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드플레이트(20)는 중앙부에 삽입공(25)이 관통 형성된 일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의 안착홈(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베드플레이트(20)는 회동되는 견인부(250)의 선단 하측면에 면접촉되어 견인부(25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안착홈(17)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착홈(17)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마찰 저항이 상대적으로 적은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견인핀(50)은 견인부(250)의 연결공(260)을 관통하여 하단이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공(15)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머리부(51)와 몸체부(52)로 구성된 머리붙이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부(52)는 일정 직경의 환봉으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공(15)에 볼트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견인핀(50)의 머리부(51) 하측면에는 탑플레이트(60)가 구비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60)는 화물창(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견인부(250)의 선단부 상측면이 접촉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베드플레이트(20)와 마찬가지로 마찰 저항이 상대적으로 적은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견인핀(50)은 탑플레이트(60) 하측면과 베드플레이트(20) 상측면과의 간격이 화물창(200)의 견인부(250)의 두께보다 더 크게 이격되도록 하여 견인부(250)의 상,하 이동을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진동력선(100)과 화물창(200)의 연결은 먼저 추진동력선(100)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0)의 안착홈(17)에 베드플레이트(20)를 삽입시킨 후, 추진동력선(100)을 이동시켜 베드플레이트(20) 상부에 화물창(200)의 견인부(250)가 위치하도록 견인부(250)를 정렬시킨다.
상기와 같이 베드플레이트(20)의 삽입공(25)과 견인부(250)의 연결공(260)이 정렬된 상태에서 견인핀(50)을 견인부(250)의 상방에서 연결공(260)과 베드플레이트(20)의 삽입공(25)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견인핀(50)의 몸체부(52)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공(15)에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물창(200)이 견인장치(80)에 의해 추진동력선(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추진동력선(100)으로 화물창(200)을 견인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창(200)을 별도로 분리한 후, 추진동력선(100)이 견인장치(80)를 이용하여 화물창(200)을 간편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Tug boat의 도움없이도 접안/이안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선박의 접안/이안 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화물의 하역/선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물창(200)을 추진동력선(100)으로부터 분리하고, 추진동력선(100)만을 운항시킬 수 있어 화물 무 적재 상태의 운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프레임 15 : 결합공
17 : 안착홈 20 : 베드플레이트
25 : 삽입공 50 : 견인핀
51 : 머리부 52 : 몸체부
60 : 탑플레이트 80 : 견인장치
100 : 추진동력선 120 : 갑판
200 : 화물창 250 : 견인부
260 : 연결공 300 : 화물

Claims (4)

  1.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창과 상기 화물창을 견인하는 추진동력선을 분리하여 견인장치로 연결하되,
    상기 화물창의 선수부에는 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견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추진동력선 갑판 상에 설치하되, 상기 견인부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견인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추진동력선의 갑판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면에 안착되는 베드플레이트; 및
    상기 베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견인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베드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일정 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4. 상기 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핀에는 상기 견인부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탑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KR1020110141302A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KR20130073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02A KR20130073454A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302A KR20130073454A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454A true KR20130073454A (ko) 2013-07-03

Family

ID=4898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302A KR20130073454A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34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30A (ko) * 2018-06-07 2019-1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공급용 부유체
CN111204412A (zh) * 2020-01-09 2020-05-29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五研究院) 一种工作艇的携带结构及收放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30A (ko) * 2018-06-07 2019-1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공급용 부유체
CN111204412A (zh) * 2020-01-09 2020-05-29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五研究院) 一种工作艇的携带结构及收放方法
CN111204412B (zh) * 2020-01-09 2024-03-26 广州船舶及海洋工程设计研究院(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六〇五研究院) 一种工作艇的携带结构及收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9546A (en) Motor boat propelled pontoon boat
US10479451B2 (en) Retractable anchor fixtures
US34929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cean push-towing
US8844459B2 (en)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FI122506B (fi) Proomujärjestelmä, hinaajayksikkö, proomuyksikkö ja menetelmä proomu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US20140246842A1 (en) Level Launch and Retrieval Positioning System
US9623937B2 (en) Multi-use configurable watercraft
SG173942A1 (en) Marine structure having azimuth propulsion devices
US8573146B2 (en) Self-propelled watercraft
KR20130073454A (ko) 친환경 분리형 다목적 운반선
US4947779A (en) Watercraft tow bar
US10597121B2 (en) Support structure
US3557741A (en) Construction of ships
US20180334000A1 (en) Amphibious boats
CN106005269B (zh) 一种船舶
US8156884B2 (en) Vessel mooring systems and methods
US10214270B1 (en) Personal watercraft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US3698349A (en) Seagoing tug and barge construction
CN202186488U (zh) 一种用于锚作拖船的拖缆限位器
US3720967A (en) Boat trailer
CN212332884U (zh) 一种用于海浪动力拖挂船的拖挂装置
NL1012591C2 (nl) Sleepboot.
RU2779970C1 (ru) Судоподъем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нутренних водных путей
CN220181043U (zh) 趸船系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813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