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310A -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310A
KR20130073310A KR1020110141088A KR20110141088A KR20130073310A KR 20130073310 A KR20130073310 A KR 20130073310A KR 1020110141088 A KR1020110141088 A KR 1020110141088A KR 20110141088 A KR20110141088 A KR 20110141088A KR 20130073310 A KR20130073310 A KR 2013007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electric vehicle
base plate
tray
agricultur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4012B1 (en
Inventor
임성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012B1/en
Publication of KR2013007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PURPOSE: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o reduce cost by offering easily replaceable battery pack. CONSTITUTION: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mprises a vehicle frame (100) which has a mounting portion for a battery pack (10); and a side door (200) which is installed at a side of the vehicle frame. The battery pack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under a driver's seat. The side door is op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frame. The side door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mounting portion.

Description

농업용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전기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농업용 전기 차량 등에 설치된 배터리 팩을 운전석 하측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을 횡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여 보다 손쉽게 배터리 팩에 대한 교환과 충전을 실시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pack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or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using electricity as a driving source, is installed in a lower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battery pack can be drawn out or drawn in a transverse direction. By changing the form, it is easier to replace and charge the battery pack.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의 소음 및 배출가스 등의 공해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과 관련하여 잉여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와 관련하여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많은 전장 부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분야는 종래의 12V의 배터리에서 출발하였으나, 자동차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제품의 증가와 고급화로 인한 전력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적은 용량의 배터리로는 이를 충분히 대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electric vehicl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not only solve the pollution problems such as noise and emissions of vehicles, but also effectively use surplus power in relation to energy saving. While research on many electric components such as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related to electric vehicles is active, the battery field for electric vehicles started from the conventional 12V battery, but due to the increase and the high-end electronic products of automobiles A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a small capacity battery cannot replace it sufficiently.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6V의 배터리가 개발되었고, 현재에는 배터리의 용량이 72V 수준까지 발전 되었다. 72V 배터리는 12개의 전지모듈이 집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 또는 방전 중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To solve such a problem, a 36V battery was developed, and the battery capacity has now been developed to 72V. Since the 72V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12 battery modules are assembled, the battery has a characteristic of increasing temperature during charging or discharging.

최근에는 농업용에까지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트랙터와 같은 장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은 일정 시간 사용한 후에 반드시 충전된 새로운 배터리 팩으로 교체하거나 충전을 통해 재사용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Recently, equipment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n electric tractor has been developed even for agricultural use, and a battery pack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has been considered to be replaced with a new battery pack that is necessarily charged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time or reused through charging.

종래의 배터리 팩이 장착된 전기 자동차는 일 예로 골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골프카 등은 충전중인 전기 자동차와 즉시 운행 가능한 전기 자동차를 별도로 대기시킨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한대의 전기 자동차만을 가지고는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battery pack, for example, a golf car mainly used in a golf course is difficult to operate with only one electric vehicle by using a separate electric vehicle that is ready to operate and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operate immediately. Was hugging.

또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 팩을 외부로 인출하기 어려운 레이 아웃을 가지고 있어서 중량체인 배터리 팩을 작업자가 외측으로 인출하기 어려워서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has a layout that is difficult to take out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take out the heavy-chain battery pack to the outside, so a countermeasure wa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7369호 (공개일: 1996년11월19일)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996-0037369 (Published: November 19, 199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 자동차의 측면에서 배터리 팩의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는 농업용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the battery pack is made in terms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농업용 전기 차량의 운전석 시트 하측에 배터리 팩이 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안착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도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vehicle body frame having a seating portion so that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low the driver's seat of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nd a side door installed at a side of the body frame.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측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to an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안착부로의 외부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for opening the outside air flow to the seating portion.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tray located at the seating portion and on which the battery pack is seated.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터리 팩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고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tray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pack and having an extension extending upwardly along left and right lengthwise directions.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개구홀을 더 포함한다.The base plate further includes an opening hole opened along an upper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상측에 설치된 제1 슬라이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The tray may include a first sliding part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It includes a second sliding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설치된 사이드 롤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베이스 롤러를 포함한다.The second sliding part may include side rollers install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a fixing plate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It includes a base roll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상기 트레이는 전방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한다.The tray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incline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front of the tray.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The base plate further includes a stopper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battery pack.

상기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배터리 팩이 안착된 트레이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The tray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tray on which the battery pack is se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농업용 전기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팩의 교체에 따른 차량의 운용성과 효용성이 증대되고, 추가적인 전기 차량을 구입하지 않고서도 배터리 팩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비용 절감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perability and utilit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pack mounted on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the battery pack without purchasing an additional electric vehicle can be reduced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에 배터리 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된 상태의 하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에 배터리 팩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 팩이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 팩이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is installed in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stalled in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s installed in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drawn out in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차량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에 배터리 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pack is installed in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1)은 운전석 시트(2) 하측에 배터리 팩(10)이 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안착부(110)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100)과, 상기 차체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도어(200)를 포함한다.1 to 2,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art 110 such that the battery pack 10 is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driver's seat 2. It includes a vehicle body frame 100 and a side door 20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본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1)은 배터리 팩(10)이 운전석 시트(2)의 상측 또는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차체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배터리 팩(10)을 전기 자동차(1)의 횡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이유는 상기 전기 자동차(1)에 설치된 배터리 팩(10)을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할 때 전기 자동차(1)의 구성품 또는 레이아웃에 따른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여 작업자가 배터리 팩에 대한 외부 인출과 인입을 보다 손쉽게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In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attery pack 10 is not drawn out to the upper or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2 but is drawn out laterally from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body frame 100. Shall be. The reason for drawing out or drawing out the battery pack 1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that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vehicle 1 when drawing out or drawing out the battery pack 10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1 to the outside. Or, to avoid the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layout as much a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easily carry out and withdraw the battery pack.

본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도어(200)는 차체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사이드 도어(200)는 상부 프레임(101)에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터리 팩(10)이 안착되는 안착부(110)를 향해 외기가 용이하게 이동 및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210)이 개구된다. 상기 통공(210)은 사이드 도어(200)의 모든 영역에 개구되거나 부분적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특별히 통공(210)의 형상 및 직경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The side do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The side door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01 via a hing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side doors 200 are easily moved and discharged toward the seating part 110 where the battery pack 10 is seated. Two openings 210 are opened. The through hole 210 may be open or partially open to all regions of the side door 200,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0.

안착부(110)는 배터리 팩(10)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전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운전석 시트(2)의 하측에 각각 지지 프레임(102)이 설치되어 소정의 무게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because the shape of the battery pack 10 is rectangular, and each of the support frames 102 i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driver's seat 2 so as to provide a predetermined shape. Even when weight is applied, breakage of the battery pack 1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300)는 배터리 팩(10)이 상면에 안착 되고 상기 배터리 팩(10)을 하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에 의해 외측으로 배터리 팩(10)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2 to 3, the tray 300 has the battery pack 10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supports the battery pack 10 from the lower side, and the battery pack 10 is moved outwardly by an operator. It enables more convenient and safe movement when withdrawn or withdrawn.

트레이(300)는 배터리 팩(10)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면 좌측과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312)을 가진다. 연장편(312)은 배터리 팩(10)이 트레이(300)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에 의해 상기 트레이(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tray 300 includes a base plate 310 having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attery pack 10, and the base plate 310 extends upwardly alo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upper surface 312. ) The extension piece 312 prevents the battery pack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y 300 by an external shock or shaking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pack 10 is located in the tray 300 to maintain a secure seated state.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배터리 팩(10)의 방열을 위해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개구된 개구홀(313)을 포함한다. 개구홀(313)은 전기 차량이 작동되면서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10)에서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개구되며, 전술한 통공(2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개구홀(313)을 통해 배터리 팩(10)에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 팩(10)과 열교환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구홀(313)을 통해 배출된 고온의 열기가 통공(210)을 통해 안착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base plate 310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holes 313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for dissipating the battery pack 10. The opening hole 313 is opened to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pack 10 that is used as a power source while the electric vehicle is operated,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opening 210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hole ( 313 is supplied to the battery pack 10 and cooling is perform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battery pack 10. In addition,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hole 313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part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300)는 안착부(110)에서의 보다 용이한 이동을 위해 제1,2 슬라이딩부(320,33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전방 상측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슬라이딩부(310)는 통상의 롤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배터리 팩(10)의 하면과 구름 접촉되는 다른 유사 구성으로의 대체도 가능함을 밝혀둔다.2 to 3, the tray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ing parts 320 and 330 for easier movement in the seating part 110. The first sliding part 310 is installed at the front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late 310, respectively. The first sliding part 310 may be used a conventional roller, but it is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other similar configuration in the cloud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0.

제1 슬라이딩부(310)는 배터리 팩(10)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과의 마찰에 의한 이동 불가 상태를 유발하지 않고, 보다 손쉽게 배터리 팩(1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능하게 한다.When the battery pack 10 is withdrawn or withdrawn, the first sliding part 310 does not cause a state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move by fric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nd more easily withdraws the battery pack 10. Or allow entry.

제2 슬라이딩부(330)는 베이스 플레이드(31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10)이 안착된 베이스플레이트(300) 전체를 안착부(11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상기 안착부(110)이 좌,우측 측벽에 대해 제2 슬라이딩부(330)가 구름 접촉되면서 보다 손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second sliding part 330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and moves the entire base plate 300 on which the battery pack 10 is seate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seating part 110. The seating part 110 allows easier movement as the second sliding part 330 contacts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제2 슬라이딩부(330)는 고정 플레이트(331)를 기준으로 좌, 우측에 설치된 사이드 롤러(332)와, 하측에 설치된 베이스 롤러(334)를 포함한다.The second sliding part 330 includes side rollers 332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late 331, and a base roller 334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reof.

고정 플레이트(331)는 사이드 롤러(332)와 베이스 롤러(334)의 안정적인 고정과 작동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소정의 두께와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plate 331 is a plate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for stable fixing and operation of the side roller 332 and the base roller 334 is mad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사이드 롤러(332)는 안착부(110)의 내벽을 향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110)의 내벽과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사이드 롤러(332)는 좌측과 우측 위치에 각각 1개씩 설치되거나, 다수개가 연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The side roller 332 may be horizontally install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seating part 11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ating part 110. The side rollers 332 may be provided one each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r a plurality of the side rollers may be installed in succession, and the number of side rollers 3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베이스 롤러(334)는 고정 플레이트(331)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110)의 바닥면과 구름 접촉된다.The base roller 334 i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331 is installed in a plurality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0.

따라서 작업자가 트레이(300)를 외측으로 인출할 경우에 좌, 우측 위치에서는 사이드 롤러(332)에 의해 상기 트레이(300)의 이동이 가이드 되고, 하측 위치에서는 베이스 롤러(334)에 의해 트레이(30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orker pulls out the tray 300 to the outside, the movement of the tray 300 is guided by the side roller 332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nd the tray 300 by the base roller 334 in the lower position. ) Can be guided stably.

트레이(300)는 전방에 설치된 가이드 판(302)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판(302)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배터리 팩(10)을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상기 가이드 판(302)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 팩(10)이 제1 슬라이딩부(320)의 위치까지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슬라이딩부(320)와의 구름 접촉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후방 위치까지 중량체인 배터리 팩(10)에 대한 이동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ray 300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302 installed at the front. The guide plate 302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nd when the battery pack 10 is to be mov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to the upper side, the guide plate 302 is more inclined. It can be easily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When the battery pack 1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liding part 320, the battery pack 10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310 by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sliding part 320. Movement can be made more easily.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배터리 팩(1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 후단부에 위치한 스토퍼(311)를 포함한다. 스토퍼(311)는 배터리 팩(10)의 단부와 간섭되어 안착부(110)의 외측으로 배터리 팩(10)이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ase plate 310 includes a stopper 311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battery pack 10. The stopper 311 may interfere with the end of the battery pack 10 to allow the battery pack 10 to be positioned in an outward manner of the seating part 110 without being excessively moved.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고, 트레이(300)가 안착부(110)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303)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303)는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배터리 팩(10)이 안착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와 같은 부재에 의해 배터리 팩(10)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4 to 5, the tray 30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fixing member prevents movement after the tray 30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303 is further included. The fixing member 303 is formed in a U-shape and blocks the movement of the battery pack 10 by a member such as a bolt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pack 1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1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전기 차량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ate of use of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배터리 팩(10)의 충전을 위해 농업용 전기 차량(1)을 여분의 배터리 팩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한 후에 배터리 용량이 얼마 남지 않은 배터리 팩(10)을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해 운전석 시트(2)의 일측에 위치한 사이드 도어(200)를 외측으로 오픈시킨다.Referring to FIG. 2 or FIG. 6, the driver moves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1 to a place where a spare battery pack is located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10, and then the battery pack 10 having a low battery capacity remains. ) To the outside to open the side door 2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2 to the outside.

작업자는 배터리 팩(10)의 인출을 위해 차체 프레임(100)의 측면으로 이동한 후에 배터리 팩(1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303)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팩(10)을 손으로 파지하여 외측으로 인출시킨다.After the worker moves to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to withdraw the battery pack 10, the operator releases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303 fixing the battery pack 10, and releases the battery pack 10. Gripping by hand and withdrawing to the outside.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300)는 배터리 팩(10)과 함께 안착부(110)에서 차체 프레임(100)의 횡 방향으로 인출되되, 사이드 롤러(332)는 안착부(11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각각 구름 접촉되고, 베이스 롤러(334)는 안착부(110)의 내측 바닥면과 구름 접촉되면서 중량체인 배터리 팩(10)을 적은 힘을 가지고도 손쉽게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y 300 is withdrawn from the seating unit 110 together with the battery pack 1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and the side roller 332 of the seating unit 110 is disposed. The left and right walls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louds, the base roller 33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10 can be easily withdrawn the battery pack 10 of the heavy body with a small force to the outside. .

작업자는 트레이(300)가 안착부(110)의 외측으로 절반 이상 인출된 후에는 상기 트레이(300)의 외부 인출을 중지한 상태에서 배터리 팩(10)의 교환 또는 충전을 위해 상기 배터리 팩(10)을 트레이(3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긴다.After the tray 300 is drawn out more than half of the seating part 110, the worker stops the external drawing of the tray 300 and replaces or charges the battery pack 10. ) Is pulled outward from the tray 300.

배터리 팩(10)은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될 때 하면이 제1 슬라이딩부(320)에 설치된 롤러와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이동에 마찰이 최소화된 상태로 손쉽게 외측으로 인출된다.When the battery pack 10 is pulled ou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easily pulled out while the roller contact with the roller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part 320 is made to minimize the friction.

작업자는 인출된 배터리 팩(10)에 대한 충전을 실시하거나, 만충전된 다른 배터리 팩(10)을 트레이(300)에 안착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The worker performs charging as described above to charge the withdrawn battery pack 10 or to seat another fully charged battery pack 10 on the tray 300.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충전이 완료된 다른 배터리 팩(10)의 후단부를 가이드 판(302)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에 화살표 방향으로 그대로 밀어넣으면, 제1 슬라이딩부(320)와 배터리 팩(10)의 하면이 서로 간에 구름 접촉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10)은 스토퍼(3110)에 의해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정 위치되면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트레이(3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operator puts the rear end of another battery pack 10 on which charging is comple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302 and pushes 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first sliding part 320 and the battery pack are provided. The lower surface of the (10) can be easily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with a small force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attery pack 10 is fixed to the position shown in the thick solid line by the stopper 3110 It is positioned and stably seated on the tray 300 without being moved any more.

작업자는 배터리 팩(10)이 트레이(300)에 안정적으로 안착 되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트레이(300) 전체를 안착부(11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인출전 위치로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303)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배터리 팩(10)에 대한 교체가 완료된다.The operator once again confirms that the battery pack 10 is stably seated on the tray 300, and moves the entire tray 300 to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part 110 to fix the battery pack 10 in the fixed position before drawing out. Fixing using the member 303 completes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pack 10.

작업자는 오픈된 사이드 도어(200)를 클로즈하고, 운전석 시트(2)에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을 실시하면 된다.The worker may close the open side door 200 and move in the state seated on the driver's seat 2.

배터리 팩(10)이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개구홀(313)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측으로 배출된 후에 사이드 도어(200)의 통공(210)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통공(210)을 통해 배터리 팩(10)에 외기가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while the battery pack 10 operates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10 through the opening hole 313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of the side door 200, or the through hole ( Outside air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battery pack 10 through 210.

또한 배터리 팩(10)이 작동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는 개구홀(313)과 배터리 팩(10)의 외측을 향해 배출된 후에 통공(210)을 통해 안착부(110)의 외측으로 안정적으로 방열될 수 있어 상기 배터리 팩(10)의 작동에 따른 과열 발생도 방지된다.
In addition, the hot heat generated while the battery pack 10 is operated is discharged toward the outside of the opening hole 313 and the battery pack 10, and then stably radiates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part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Overheating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10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운전석 시트
10 : 배터리 팩
100 : 차체 프레임
110 : 안착부
200 : 사이드 도어
210 : 통공
300 : 트레이
312 : 연장편
313 : 개구홀
320, 330 : 제1,2 슬라이딩부
332 : 사이드 롤러
334 : 베이스 롤러
2: driver's seat
10: battery pack
100: body frame
110:
200: side door
210: through-hole
300 tray
312: extension
313: opening hole
320, 330: first and second sliding parts
332: side roller
334: base roller

Claims (11)

농업용 전기 차량의 운전석 시트 하측에 배터리 팩이 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안착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도어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seating portion such that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driver's seat of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And
Agricultural vehicle comprising a side doo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상측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door,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는,
상기 안착부로의 외부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door,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for opening the outside air flow to the seat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vehicle,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tray loc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battery pack is seat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배터리 팩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고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y may include:
And a base plate having a wid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pack, the base plate extending upwardly along left and right lengthwise direction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된 개구홀을 더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e plate comprises:
An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hole opened along an upper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상측에 설치된 제1 슬라이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ray may include:
A first sliding part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second sliding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의 좌, 우측에 설치된 사이드 롤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베이스 롤러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liding part,
Side roller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base roll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전방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ray may include: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es a guide plate installed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fro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 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e plate comprises: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es a stopper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battery pack.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배터리 팩이 안착된 트레이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y may include:
The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se plate and preventing movement of the tray on which the battery pack is seated.
KR1020110141088A 2011-12-23 2011-12-23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KR101324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88A KR101324012B1 (en) 2011-12-23 2011-12-23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88A KR101324012B1 (en) 2011-12-23 2011-12-23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10A true KR20130073310A (en) 2013-07-03
KR101324012B1 KR101324012B1 (en) 2013-10-31

Family

ID=4898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88A KR101324012B1 (en) 2011-12-23 2011-12-23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01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86A (en) 2017-07-05 2019-01-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imulation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190006381A (en) 2017-07-10 2019-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ntrol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200008397A (en) 2018-07-16 2020-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How to determine start-up point of electricity generators for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200127071A (en) 2019-04-30 2020-1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ntrol method of power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013A (en) 2018-10-29 2020-05-08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multi-purpose agriculture electronic vehicle
KR20200048017A (en) 2018-10-29 2020-05-08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Bulbous plant harvesting apparatus for multi-purpose agriculture electron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340B1 (en) * 1995-04-03 1998-12-15 전성원 Battery installing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KR200178098Y1 (en) * 1997-08-21 2000-05-01 정몽규 Battery tray for a solar energy car
KR100345561B1 (en) 2000-03-29 2002-07-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Battery Fixation System
KR100524669B1 (en) 2002-11-26 2005-10-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accommodating battery of forklift tru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86A (en) 2017-07-05 2019-01-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imulation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190006381A (en) 2017-07-10 2019-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ntrol method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200008397A (en) 2018-07-16 2020-01-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How to determine start-up point of electricity generators for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KR20200127071A (en) 2019-04-30 2020-1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ntrol method of power generation of agricultural electric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012B1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012B1 (en)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US8037960B2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ity storage pack on vehicle
US9812685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KR20140136072A (en) Electric vehicles for agriculture
US8668037B2 (en) Saddle-ride-type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DE102013215273B4 (en) Vehicle mounting structures of a battery pack
KR100911559B1 (en) Frame structure for vertical mounting of package
WO2017022394A1 (en) Electric vehicle
DE102013209766A1 (en) VEHICLE MOUNTING CONSTRUCTION FOR BATTERY PACK
CN102307742A (en) Battery receiving device
EP2562020A1 (en) Battery pack vehicle installation structure
CN104340020A (en) A power-driven cold insulation vehicle
JP2017137002A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KR20170004028U (en) Structure Of Battery Pack For Electric Truck
JP2017171022A (en) vehicle
GB2546535A (en) Chassis for electric vehicles
US20130078489A1 (en) Cooling structure for in-vehicle battery
JP2015000593A (en)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KR101330162B1 (en) Battery pack moving tray for electric vehicles
JP2013014276A (en) Battery support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KR102130979B1 (en) Battery replacemen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13014274A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KR101690235B1 (en) Frame structure of the car
CN111971226A (en) Electric vehicle
JP5212150B2 (en) Car storage box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