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945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945A
KR20130071945A KR1020110139447A KR20110139447A KR20130071945A KR 20130071945 A KR20130071945 A KR 20130071945A KR 1020110139447 A KR1020110139447 A KR 1020110139447A KR 20110139447 A KR20110139447 A KR 20110139447A KR 20130071945 A KR20130071945 A KR 20130071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cabinet
groov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209B1 (ko
Inventor
조홍준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209B1/ko
Priority to US13/334,481 priority patent/US8936330B2/en
Priority to CN201180064615.5A priority patent/CN103328712B/zh
Priority to AU2011345513A priority patent/AU2011345513B2/en
Priority to BR112013015343A priority patent/BR112013015343A2/pt
Priority to PCT/KR2011/010017 priority patent/WO2012087055A2/ko
Priority to EP11851691.3A priority patent/EP2657394B1/en
Priority to JP2013546025A priority patent/JP5671156B2/ja
Priority to RU2013134352/12A priority patent/RU2534874C1/ru
Priority to PCT/KR2012/001393 priority patent/WO2012115467A2/en
Priority to JP2013552472A priority patent/JP5731676B2/ja
Priority to EP12749317.9A priority patent/EP2678469B1/en
Priority to RU2013143156/12A priority patent/RU2553042C1/ru
Priority to BR112013017082-4A priority patent/BR112013017082B1/pt
Priority to AU2012221984A priority patent/AU2012221984B2/en
Priority to CN201280005004.8A priority patent/CN103608510B/zh
Priority to US13/404,187 priority patent/US20120217851A1/en
Publication of KR2013007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45A/ko
Priority to US14/318,284 priority patent/US92553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세탁장치는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부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고, 세탁물이 수용부에서 인출할 때 세탁물을 지지하는 선반으로써 기능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세탁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물을 세탁하고 건조시키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종래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세탁장치는 도어가 구비된 방식에 따라 탑로딩 방식(top loading type)의 세탁장치와 프론트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의 세탁장치로 구분되는데 탑로딩 방식은 도어가 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형태이고 프론트로딩은 도어가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형태를 말한다.
즉 탑로딩 타입의 세탁장치는 수용부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프론트로딩 타입의 세탁장치는 수용부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 세탁장치 중 프론트로딩 타입의 세탁장치는 도어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프론트로딩 타입의 세탁장치의 경우 도어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세탁물을 수용부에 투입하거나 수용부에서 인출할 때 사용자는 허리를 숙여 작업하여야만 했고, 이는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세탁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투입구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부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부에서 인출될 때 세탁물을 지지하는 선반으로써 기능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제1힌지, 상기 제1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구비되는 제1조절판,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판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착탈부가 구비된 제2힌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조절판은 상기 제1착탈부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조절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홈, 상기 제1조절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홈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이 착탈되는 제2축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축 착탈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축 수용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축 수용바디는 상기 제2축이 착탈되는 제2축 수용홈, 상기 제2축을 상기 제2축 수용홈으로 안내하는 제2축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되 상기 제1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축,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에 착탈 가능한 제3축 착탈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착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판, 상기 제1축을 통해 상기 캐비닛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이 구비된 캐비닛 고정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연결판, 상기 제3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부 연결판에 구비된 제4축, 상기 도어를 상기 제4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 고정판이 구비된 도어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수용부,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시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는 제1도어 회전축, 일단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도어홀더,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된 제1도어힌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투입구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부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부에서 인출될 때 세탁물을 지지하는 선반으로써 기능하는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도어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된 도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된 제1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제3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제2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2힌지에 구비되는 캐비닛 착탈부의 구조의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어에 구비된 비틀림 스프링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제2힌지의 제2축이 착탈되는 제2축 착탈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에 구비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6의 실시예에 구비된 인너도어 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인너도어 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세탁장치(100, 2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도 1참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두 개의 도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도 16참고).
이하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하나의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 뒤 두 개의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되 투입구(11)를 구비한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저장 및 처리(세탁, 건조 등)가 가능한 수용부(2), 상기 투입구(11)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3)를 포함한다.
세탁장치(100)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라면 상기 수용부(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만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세탁장치(100)가 세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수용부(2)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도어(3)는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힌지(5, 6)에 의해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힌지(6, 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3)는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들이 고정되는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에 결합하는 커버(3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제1핸들(311)과 제2핸들(31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핸들(311)은 상기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절곡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핸들(315)은 상기 도어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핸들(311)은 도어(3)를 후술할 제1힌지(6)와 제2힌지(7)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고, 제2핸들(315)은 도어(3)를 후술할 제1힌지(6)와 제3힌지(5)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이 된다.
한편 도어(3)에는 캐비닛의 투입구(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관통홀(33),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수용부(2)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3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33)은 상기 프레임(21)에 구비되는 프레임 관통홀과 커버(32)를 관통하는 커버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판(34)은 상기 커버 관통홀에 구비되는 커버 투명판과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는 프레임 투명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에는 도어를 캐비닛(1)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잠금부는 프레임(31)과 캐비닛(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41), 프레임(31)과 캐비닛(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수용홈(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도 2(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의 도어와 캐비닛의 결합을 도시하고 있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축(51, 도 4 및 도 5참고)이 구비된 제3힌지(5),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축(71, 도 6참고)이 구비된 제2힌지(7), 상기 제2축(71)에 나란한 제1축(615, 도 3참고)과 제3축(51)에 나란한 제4축(635, 도 3참고)이 구비된 제1힌지(6)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6)와 제2힌지(7)는 캐비닛(1)의 바닥면과 평행한 회전축(H, 도 1 (c)의 개방형태)을 도어(3)에 제공하고, 제1힌지(6)와 제3힌지(5)는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V, 도 1 (b)의 개방형태)을 도어(3)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6)의 제1축(615, 도 3참고)과 상기 제2힌지(7)의 제2축(71, 도 6참고)은 동일한 축(H)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6)의 제4축(635, 도 3참고)과 제3힌지(5)의 제3축(51, 도 4 및 도 5참고)은 동일한 축(V)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힌지(7)와 제3힌지(5)는 상기 도어(3)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그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제1힌지(6)에 대해 설명한다.
제1힌지(6)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부(61)와 도어(2)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고정부(63)는 캐비닛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축(615)를 통해 상기 캐비닛 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캐비닛 고정부(61)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판(611), 도어 고정부(63)가 결합되며 제1축(615)를 통해 캐비닛 고정판(6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6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고정부(63)는 상기 회전판(613)에 고정되는 고정부 연결판(631), 고정부 연결판(631)에 고정되고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4축(635), 도어(3)에 결합되고 상기 제4축(635)을 통해 고정부 연결판(63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고정판(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축(635)은 축고정리브(637)에 의해 고정부 연결판(63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축고정리브(6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절곡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힌지(5)는 제4축(635)의 중심을 지나고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축(V) 상에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제3축(51, 제4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캐비닛에 고정되는 제3축), 상기 제3축(51)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3)에 구비되는 제3축 착탈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축 착탈부(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에 구비되는 하우징(531),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51)이 수용되는 제3축 수용홈(532), 일단은 상기 하우징(531)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3축 수용홈(532)에 위치하는 고정바디(533), 하우징(53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바디(533)를 탄성지지하는 고정바디 탄성지지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축(51)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는(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절삭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축 수용홈(532)은 상기 제3축(51)의 절삭면(511) 사이의 거리에 상당한 폭을 가지는 절삭면 수용홈(5321)과, 절삭면(511)을 연결하는 연결면(513)의 곡률반경(r)과 동일한 크기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홈(53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형홈(5323)은 상기 절삭면 수용홈(5321)에 연결되어 구비되는데 원형홈(5323)의 지름은 절삭면(511)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의 결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3)가 제3축(51)과 제4축(635)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어(3)가 제1힌지의 제1축(615)과 제2힌지의 제2축(71)을 통해 회전할 경우 제3축의 절삭면(511)은 절삭면 수용홈(5321)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3축 착탈부(53)는 제3축(51)과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3)가 제3축(51)과 제2힌지의 제4축(635)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3축의 연결면(513)이 원형홈(5323)에 접촉하게 되고, 원형홈(5323)의 지름(2r)은 절삭면 수용홈(5321)의 폭(w)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제3축(51)이 제3축 수용홈(532)에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축 수용홈(532)에는 제3축 착탈부(53)와 제3축(51)의 결합 시 제3축(51)을 절삭면 수용홈(5321)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4는 제1경사면(5381)과 제2경사면(5383)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533)는 원형홈(5323)에 수용된 제3축(5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531) 내부에 위치한 고정바디 탄성지지부(53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디(533)는 제3축(51)이 절삭면 수용홈(5321)으로 삽입되면 하우징(531) 내부로 이동하고, 제3축(51)이 원형홈(5323)에 삽입되면 절삭면 수용홈(5321)에 노출되어 제3축(51)이 원형홈(5323)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상술한 제3힌지(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힌지(5) 역시 캐비닛(1)에 고정되는 제3축(51), 도어(3)에 구비되어 제3축에 착탈 가능한 제3축 착탈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3축 착탈부(53)는 도어(3)에 고정되는 하우징(531),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축 수용바디(535), 상기 제3축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수용바디 탄성지지부(537)을 포함한다.
상기 제3축 수용바디(535)는 제3축(51)이 수용되는 제3축 수용홈(R1), 상기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의 결합 시 제3축(51)을 제3축 수용홈(R1)으로 안내하는 제3축 가이더(53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축 수용홈(R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351)와 제3축 가이더(53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3축 가이더(5353)의 길이는 돌기(535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바디 탄성지지부(537)는 하우징(531) 내부에 구비되어 제3축 수용바디(535)에 접촉하는 피스톤(5371), 상기 피스톤(5371)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3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축 수용바디(535)에는 회전 시 피스톤(5371)과 하우징(531)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경사면(53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의 결합 또는 분리 시 제3축 수용바디(535)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디경사면(5355)은 제3축 수용바디(535)의 회전 시 바디경사면(5355)이 하우징(51)과 접촉하는 경우 또는 바디경사면(5355)이 피스톤(5371)과 접촉하는 경우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의 결합 및 분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도어(3)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힌지(6)와 제3힌지(5)는 도어(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에 구비된 커버(32)는 제3축 착탈부(5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어의 중심(G)을 지나는 직선(D)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1고정부(321), 제1힌지(6)의 도어 고정부(6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어의 중심(G)을 지나는 직선(D)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2고정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은 제3힌지(5)의 제3축(51)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고정부(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제3축 고정부(17, 도 1 (b)참고), 제1힌지(6)의 캐비닛 고정판(611)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고정부(323, 도 2참고)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의 고정판 체결부(19, 도 1 (b)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축(51)과 제3축 착탈부(53)는 제1힌지의 제1축(61)과 나란하되 상기 제3축(51)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K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 연결판(631), 제4축(635) 및 상기 도어 고정판(633)은 제1축(615)과 나란하고 상기 제4축(635)의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K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힌지(6)와 제3힌지(5)는 캐비닛의 우측(도 2의 형태) 또는 캐비닛(1)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제1힌지(6)와 제3힌지(5)를 캐비닛(1)의 좌측에 구비시킬 경우 제1힌지(6)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 연결판(631)을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회전판(613)에 고정시킨 뒤 캐비닛 고정판(611)을 캐비닛(1)의 좌측에 구비된 고정판 체결부(19, 도 1 (b)참고)에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도 2를 기준으로 제1힌지(6)와 제3힌지(5)를 캐비닛(1)의 좌측에 구비시킬 경우 제3힌지(5)는 도 4의 제3축(51)이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캐비닛(1)의 좌측에 위치한 제3축 고정부(17, 도 1 (b)참고)에 결합하고, 도 4의 제3축 착탈부(53)는 상부와 하부가 바뀌도록 회전시켜 도 2의 커버(32) 좌측에 구비된 제1고정부(321)에 결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커버(32)에는 제3힌지(5)가 결합되지 않은 제1고정부(3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커버(3211, 도 2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100)에 구비되는 제2힌지(7)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제2힌지(7)는 제1힌지(6)와 더불어 도어(3)가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한 축(H, 도 2참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힌지(7)는 도어의 프레임(31)에 구비되되 제1힌지(6)에 구비된 제1축(615)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제2축(71), 상기 제2축(71)을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캐비닛 착탈부(73, 74)를 포함한다.
상기 제2힌지(7)는 도어(3)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6은 두 개의 제2힌지(7)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 착탈부는 제2축(71)에 구비되는 연결축(73),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73)이 수용되는 축수용부(7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73)은 상기 제2축(71)의 외주면에서 캐비닛(1)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3)의 커버(32)를 관통하여 커버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축수용부(74)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수용부 바디(741), 상기 수용부 바디(741)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73)이 수용되는 수용홈(74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가 제4축(635)과 제3축(51)의 중심을 지나는 축(V)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2축(71)은 캐비닛(1)으로부터 분리되지만 도어(3)가 축 V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연결축(73)이 수용홈(743)에 삽입되어 캐비닛(1)에 고정된다.
연결축(73)과 축수용부(74)를 통해 제2축(71)이 캐비닛(1)에 고정되면 도어(3)는 제1힌지의 제1축(615)과 제2힌지의 제2축(71)의 중심을 지나는 축(H, 도 2참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힌지의 제3축(51)이 제3축 착탈부(53)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힌지(7)는 도어(3)가 축 H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할 때 도어(3)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투입구(11)를 폐쇄시킬 때 도어(3)를 닫는데 필요한 힘을 줄여주는 도어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탄성지지부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72)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72)이 도어 탄성지지부로 구비될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72)은 상기 도어(3)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제2축(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3)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3)에는 프레임(31)에 고정되는 스프링홀더(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힌지(7)는 상기 도어(3)가 제1힌지의 제1축(615)과 제2힌지의 제2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축 H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도어(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제1각도조절부(75)와 제2각도조절부(76) 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제1각도조절부(75)와 제2각도조절부(76)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각조조절부(75)는 제2축(71)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제1조절판(751), 상기 제1조절판(751)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3)가 축 H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도어(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착탈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판(751)에는 제1착탈부(753)와 결합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부는 제1조절판(751)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홈 또는 상기 제1조절판(7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가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착탈부(753)는 다수의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고, 체결부가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경우 제1착탈부(753)는 다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체결부가 다수의 홈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는 제1조절판(751)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홈(7511)과 제2홈(7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홈(7512)은 제1홈(7511)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7은 제1홈(7511)과 제2홈(7512)이 30도 각도(제1각도의 일례)로 이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착탈부(753)는 제1조절판(75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1바디(7531), 일단은 도어(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디(753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바디(7531)를 탄성지지하는 제1바디 탄성지지부(7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탄성지지부(7533)는 도어(3)의 회전 시(축 H를 기준으로 회전) 제1바디(7531)가 도어와 함께 이동하더라도 제1바디(7531)가 제1조절판(751)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3)가 투입구(11)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도 1 (a)참고) 제1바디(7531)는 제1홈(7511)에 수용되므로 제1핸들(311, 도 1 (c)참고)을 통해 외력이 입력되지 않는 한 상기 제1바디(7531)는 제1힌지의 제1축(615)과 제2힌지의 제2축(71)을 기준으로 도어(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8 (a)참고).
또한 제1핸들(311)을 통해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3)가 투입구(11)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제1바디(7531)가 제2홈(7512)에 삽입되면 도어(3)는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 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b) 참고).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100)에 구비된 도어(3)는 상기 제1각도조절부(5)를 통해 도어(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2힌지(7)에 구비되는 비틀림 스프링(72)은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제1바디(7531)를 제1홈(7511)으로부터 3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범위(제2각도의 일례) 내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비틀림 스프링은 도어의 회전각이 제2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
이는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8 (c) 참고).
한편 상기 비틀림 스프링(72)은 일단은 도어(3)에 구비된 스프링 홀더(3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조절판(751)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홀(75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100)에 구비된 도어(3)는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제1각도조절부에 의함), 또는 3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60도 등, 비틀림 스프링에 의함), 또는 80도 이상의 각도(제3각도의 일례)로 개방될 수 있다.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 또는 60도 개방된 상태에서 세탁물을 도어(3)에 놓으면 세탁물은 수용부(2)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의 투입 시 허리를 구부려 작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80도 이상 개방시키면 도어(3)는 선반으로써 기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탁물을 수용부(2)에서 인출할 때 세탁물을 도어(3)에 임시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도 8 (d) 참고).
한편 도어(3)를 선반으로 활용할 경우(제2축(71)을 기준으로 도어(3)가 80도 이상 회전된 경우) 상기 제2힌지(7)와 제1힌지(6)에는 세탁물의 무게에 의한 외력이 집중될 것이다.
따라서 제1힌지(6)와 제2힌지(7)의 파손방지를 위해 캐비닛(1)에는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도어지지부(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어(3)에는 상기 도어지지부(13)가 수용되는 지지부수용홈(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5참고).
이 경우 상기 도어지지부(13)는 도어(3)가 제2축(71)을 기준으로 80도 이상 회전한 때 도어(3)의 커버(32)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5 (b) 참고).
나아가 상기 제2힌지(7)에는 제2각도조절부(76)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각도조절부(76)는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도어(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다.
즉 상술한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제2힌지(7)의 제1각도조절부(75)에 구비된 제1조절판(751)과 제1착탈부(753)를 통해 도어(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지만 외력(세탁물의 무게 등)이 도어에 작용되면 도어(3)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못할 위험이 있다.
상기 제2각도조절부(76)는 상술한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71)에 구비되는 제2조절판(761), 상기 도어(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절판(761)에 접촉하는 제2착탈부(7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착탈부(763)는 도어(3)에 구비되되 상기 제2조절판(76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바디(7631), 일단은 상기 도어(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바디(7631)에 고정되는 제2바디 탄성지지부(7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조절판(761)의 외주면에는 제1각도조절부(75)의 제2홈(7512)에 제1착탈부(753)의 제1바디(7531)가 결합된 때 상기 제2바디(7631)에 결합하는 스토퍼(761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제1각도의 일례) 회전하면 제1바디(7531)는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7512)에 삽입되고, 제2바디(7631)는 스토퍼(7611)에 접촉하여 도어(3)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30도의 열림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3)는 비틀림 스프링(72)의 탄성력에 의해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60도(제2각도의 일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3)가 도어의 자중과 비틀림 스프링(72)의 탄성력 평형점을 지나면(도어가 제2축을 기준으로 60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도어(3)는 제2축(71)을 기준으로 80도 이상(제3각도의 일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도어(3)가 60도(30도 초과 90도 미만인 도어 회전각의 대표값) 또는 80도 이상으로 개방되기 위해 도어(3)에는 제2바디(7631)와 스토퍼(7611)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리프터(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5)는 도 9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터(35)는 도어(3)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부(351), 레버회전축(3531)을 통해 도어(3)의 커버(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부(351)에 접촉하는 레버(353), 일단은 상기 레버(3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조절판 고정부(763)의 제2바디(7631)에 고정되는 와이어(3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351)는 도어(3)에 구비된 제1핸들(311, 도 1 (c) 참고)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제1각도의 일례) 회전된 도어(3)를 60도(제2각도의 일례) 또는 80도 이상의 각도(제3각도의 일례)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핸들(311) 내부에 위치한 가압부(351)와 와이어(533)를 통해 제2바디(7631)와 스토퍼(7611)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가압부(351)를 눌러주면 레버(353)는 레버회전축(3531)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레버(353)가 레버회전축(353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레버(353)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는 제2바디(7631)를 스토퍼(7611)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힌지(7)에 구비되는 캐비닛 착탈부(73, 74)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캐비닛 착탈부(73, 74)는 도어(3)가 제1힌지의 제1축(615)과 제2힌지의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일정 각도까지 회전하는 동안 비틀림 스프링(72)에 의한 저항력을 받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특징으로 본 특징은 작은 힘으로도 제2힌지의 제2축(71)을 기준으로 도어(3)를 30도(또는 30도 내지 40도)회전시킬 수 있어 수용부(2)로 의류를 투입할 때 매우 용이할 것이다.
도 11 (a)에 도시된 캐비닛 착탈부(73, 74)는 축수용부(74)에 구비된 수용홈(734)과 연결축(73) 사이에 갭(g)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연결축(73)의 두께(t)는 수용홈(734)의 높이(h)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축의 두께(t)와 수용홈의 높이(h)는 도어(3)가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제1각도의 일례) 회전한 때 연결축(73)과 수용홈(734)이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축(73)과 수용홈(734)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734)에는 수용홈 돌기(743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축(73)에는 상기 수용홈 돌기(7431)에 결합되는 연결축 돌기(73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3)는 30도 각도 범위 내에서는 비틀림 스프링(72)의 간섭없이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이상의 각도에서는 비틀림 스프링(72)의 간섭을 받아 천천히 개방된다.
제1축(615)과 제2축(72)을 기준으로 도어(3)가 3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할 때 비틀림 스프링(72)의 간섭을 받으면서 개방되도록 한 것은 도어의 자중에 의해 제1힌지(6)와 제2힌지(7)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비틀림 스프링(72)의 고정구조를 통해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2힌지(7)의 제2축(71)에는 비틀림 스프링(72)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홀(7513)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 고정홀(7513)의 내주면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7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홀돌기(751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스프링 고정홀(7513)의 지름은 비틀림 스프링(72)의 지름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3)가 제1축(615)과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72)은 일단이 도어(3)에 구비된 스프링홀더(313)에 결합되어 있어 도어(3)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스프링 고정홀(7513)에 삽입된 비틀림 스프링(72)의 타단은 홀돌기(7515)와 접촉할 때까지 스프링 고정홀(751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홀돌기(7515)의 위치를 도어(3)가 제2축(71)을 기준으로 30도 회전한 때 홀돌기(7515)가 비틀림 스프링(72)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제2축(72)에 별도의 스프링 고정홀(7513)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도 12의 스프링 고정홀(7513)은 제1조절판(751)과 제2조절판(761)에 각각 구비되거나 제1조절판과 제2조절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72)을 통해 도어(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상술한 구조에서는 도어(3)의 회전 시 제2축(71)이 원래 설정된 위치를 이탈할 위험이 존재한다.
즉 비틀림 스프링(72)의 일단은 스프링 홀더(313)를 통해 도어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제2축(7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가 제2축(7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72)에 의한 외력이 제2축(71)에 작용하여 제2축(71)이 원래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3)에는 상기 제2축(71)을 지지하는 제2축 지지리브(36), 일단은 상기 도어(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축 지지리브(36)에 고정되는 리브 탄성지지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도어(3)가 제3축(51)과 제4축(63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힌지의 제2축(71)을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2축 착탈부(1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축 착탈부(15)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케이스(151), 상기 케이스(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축(71)이 착탈되는 제2축 수용바디(15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도어(3)의 커버(32)에는 상기 제2축 수용바디(153)가 도어(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수용바디 관통홀(32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축 수용바디(15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71)이 수용되는 제2축 수용홈(R2), 상기 제2축 수용홈(R1)으로 제2축(71)을 안내하는 제2축 가이더(15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축 수용홈(R2)은 제2축 수용바디(15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돌기(1531)와 제2축 가이더(15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축 가이더(1533)의 길이가 돌기(153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축 착탈부(15)가 구비된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제2힌지의 캐비닛 착탈부(73, 74)에 더해 제2축(71)을 보다 안정적으로 캐비닛(1)에 결합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가 구비된 세탁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되 투입구(11)가 구비된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투입구(11)로 유입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수용부(2), 상기 투입구(11)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두 개의 도어(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세탁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세탁장치(200)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라면 수용부(2)가 드럼만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200)라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를 더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3)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너도어(38, 제1도어), 상기 인너도어(3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우터도어(39, 제2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인너도어(38)와 아우터도어(39)는 도 16과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구(11)를 개방하는 도어(3)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아우터도어(39)는 인너도어(38)에 구비된 아우터도어 힌지(9, 제2도어 힌지)에 의해 캐비닛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인너도어(38)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인너도어 힌지(8, 제1도어 힌지)를 통해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도어(38)는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도어 프레임(381, 제1도어 프레임), 인너도어 프레임(381)에 고정되는 인너도어 커버(383, 제1도어 커버), 캐비닛(1)의 투입구(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관통홀(385, 구분을 위해 인너도어 관통홀이라 함)을 포함한다.
상기 인너도어 프레임(381)은 후술할 인너도어 힌지(8)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데 상부면에는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인너도어 핸들(387, 제1도어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너도어 관통홀(385)은 인너도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프레임 관통홀(3851)과 인너도어 커버에 구비되는 커버 관통홀(38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39)는 아우터도어 힌지(9)를 통해 인너도어 프레임(38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아우터도어 프레임(391, 제2도어 프레임), 상기 투입구(11)와 대응하도록 상기 아우터도어 프레임(39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아우터도어 관통홀(393, 제2도어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도어 관통홀(393)에는 세탁장치(20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수용부(2)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395)이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도어 프레임(391)에는 아우터도어(39)의 개폐를 위한 아우터도어 핸들(397, 제2도어 핸들)이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도어 핸들(397)은 아우터도어 프레임(39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에 구비되는 아우터도어 핸들(397)과 인너도어 핸들(387)의 위치는 서로 구분된다.
즉 인너도어 핸들(387)은 인너도어 프레임(381)에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되고, 아우터도어 핸들(397)은 아우터도어 프레임(391)에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투입구(11)를 개방할 때 인너도어와 아우터도어의 혼동없이 원하는 도어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인너도어 핸들(387)은 인너도어 프레임(381)에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아우터도어 핸들(397)은 아우터도어 프레임(391)에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인너도어(38)를 캐비닛(1)에 고정시키는 인너도어 잠금부(47, 제1도어 잠금부), 아우터도어(39)를 인너도어(38)에 고정시키는 아우터도어 잠금부(미도시, 제2도어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도어 잠금부(47)는 캐비닛(1) 또는 인너도어(38)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471), 캐비닛(1)과 인너도어(38)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수용홈(4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잠금부(미도시)는 인너도어(38)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아우터도어(39)를 인너도어 프레임(381)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아우터도어 힌지(9)는 아우터도어(39)에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인너도어 힌지(8, 제1도어 힌지)는 캐비닛(1)의 바닥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형성하여 인너도어(38)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너도어 힌지(8)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도어(38)에 구비되는 인너도어 회전축(81, 제1도어 회전축), 일단은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너도어 회전축(81)에 고정되는 도어홀더(83)를 포함한다.
도어홀더(83)의 일단은 캐비닛(1)에 고정되어 있고, 도어홀더(83)의 타단은 인너도어 회전축(8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너도어(38)는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너도어 힌지(8)는 사용자가 인너도어(38)를 열 때 인너도어(38)가 서서히 회전하게 하고, 사용자가 인너도어(38)를 닫을 때 작은 힘으로 인너도어(38)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탄성지지부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8은 도어 탄성지지부가 비틀림 스프링(82)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82)은 인너도어 회전축(8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인너도어(38)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어홀더(83)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홀더(83)에는 비틀림 스프링(82)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홀(835)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인너도어 힌지(8)는 인너도어(38)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84, 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인너도어 회전축(81)에 구비되는 조절판(84),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판(84)에 결합하는 착탈부(85)로 구비될 수 있는데 조절판(84)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홀더(83)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홀더(83)의 외주면이 볼록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착탈부(85)는 인너도어(38)의 회전 시 조절판(84)에 구비된 다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후자의 경우 상기 착탈부(85)는 인너도어의 회전 시 다수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전자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8의 경우 상기 조절판(84)은 도어홀더(83)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홈(841)과 제2홈(843)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홈(841)은 인너도어(38)가 투입구(11)를 폐쇄한 경우 착탈부(85)와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홈(843)은 제1홈(841)과 30도 각도(제1각도의 일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홈(843)이 제1홈(841)으로부터 30도 각도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은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30도 각도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므로 제1홈(841)과 제2홈(843)의 이격 각도는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착탈부(85, 홀더고정부)는 인너도어(38) 내부에 위치하여 제1홈(841) 또는 제2홈(843)에 삽입되는 착탈부바디(851), 일단은 인너도어(38)에 고정되고 타단은 착탈부바디(851)에 고정되어 착탈부바디(851)를 탄성지지하는 바디 탄성지지부(8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고하여 조절판(84)과 착탈부(85)가 인너도어(38)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인너도어(38)가 투입구(1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착탈부바디(851)는 제1홈(841)에 삽입되어 인너도어(38)가 외력없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인너도어 핸들(387)을 통해 사용자가 인너도어(38)에 외력을 입력하면 인너도어(38)는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바디 탄성지지부(853)에 의해 인너도어(38)에 고정된 착탈부바디(851)는 인너도어(38)의 회전 시 인너도어와 함께 이동하므로 조절판(84)의 제1홈(841)에서 제2홈(843)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2홈(843)에 착탈부바디(851)가 삽입되면 인너도어(38)는 인너도어 회전축(81)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제1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홈(841)이 제2홈(843)과 30도 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면 상기 인너도어(38)는 제2홈(843)과 착탈부바디(851)에 의해 인너도어 회전축(81)을 기준으로 30도 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19 (a) 참고).
나아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82)은 인너도어(38)의 회전 시 인너도어에 제공하는 탄성력(인너도어에 제공하는 장력(tension))이 착탈부바디(851)가 제1홈(841)에서 30도 초과 80도 미만(제2각도의 일례)인 지점에서 도어(3)의 자중과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기준으로 3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도 19 (b) 참고).
또한 상기 도어홀더(83)는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80도 이상(제3각도의 일례) 회전한 때 인너도어(38)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80도 이상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도 19 (c) 참고).
다만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80도 이상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효과는 비틀림 스프링(82)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82)의 직경을 인너도어 회전축(81)보다 크게 구비시키되 인너도어(38)가 인너도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80도 이상 회전된 때 비틀림 스프링(82)의 내주면 지름이 인너도어 회전축(81)의 지름과 동일해지도록 한다면 도어홀더(83)의 형상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너도어 힌지(8, 제1도어 힌지)는 인너도어 회전축(81)이 인너도어 프레임(38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커버(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인너도어 힌지(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너도어 힌지(8)는 각도조절부에 구비된 조절판(84)의 구조가 도 18의 조절판과 구별된다.
도 18에 도시된 조절판은 도어홀더(83)에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홀더(83)의 두께가 얇으면 착탈부(85)에 충분한 체결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착탈부(85)가 조절판(84)으로부터 충분한 체결력을 전달받지 못하면 인너도어(38)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인너도어 힌지(8)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너도어 힌지(8)는 조절판(84)이 도어홀더(83)와 분리되어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18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8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너도어 힌지(8)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너도어 힌지(8)의 조절판(84)은 도어홀더(83)의 두께(t1)보다 더 두꺼운 두께(t2)를 가지되 인너도어 힌지(81)에 고정되는 조절판바디(845), 상기 조절판바디(845)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홈(846), 상기 제1홈과 소정각도(제1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홈(847)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조절판바디(845)는 제1홈(846)과 제2홈(847)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만이 도어홀더(83)의 두께(t1)보다 더 두껍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조절판바디(835)에는 비틀림 스프링(82)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홀(84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틀림 스프링(82)은 도어홀더(83)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홀(835)과 조절판바디(845)에 구비된 스프링 고정홀(84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인너도어 회전축(8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87)는 인너도어(38)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홈(846)이나 제2홈(847)에 삽입되는 착탈부바디(871), 일단은 인너도어(38)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착탈부바디(871)에 고정되는 바디 탄성지지부(8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너도어 힌지(8)의 작동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19의 실시예와 대동소이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도면에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6의 세탁장치(200) 역시 도 15에 도시된 도어지지부 및 지지부수용홈을 포함하여 인너도어가 80도 이상(제3각도의 일례) 회전한 때 도어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200: 세탁장치 1: 캐비닛 1: 투입구
13: 도어지지부 15: 제2축 착탈부 151: 케이스
153: 제2축 수용바디 1533: 제2축 가이더 17: 제3축 고정부
19: 고정판 체결부 2: 수용부 3: 도어
31: 프레임 311: 제1핸들 313: 스프링홀더
315: 제2핸들 32: 커버 321: 제1고정부
323: 제2고정부 325: 지지부 수용홈 33: 관통홀
34: 투명판 35: 리프터 36: 제2축지지리브
37: 리브 탄성지지부 38: 인너도어
381: 인너도어 프레임 383: 인너도어 커버
385: 인너도어 관통홀 387: 인너도어 핸들 39: 아우터도어
391: 아우터도어 프레임 393: 아우터도어 관통홀 395: 투명판
397: 아우터도어 핸들 41, 43: 잠금부 5: 제3힌지
51: 제3축 511: 절삭면 513: 연결면
53: 제3축 착탈부 531: 하우징 532: 제3축 수용홈
5321: 절삭면 수용홈 5323: 원형홈 533: 고정바디
534: 고정바디 탄성지지부 535: 제3축 수용바디
537: 수용바디 탄성지지부 538: 경사면 6: 제1힌지
61: 캐비닛 고정부 611: 캐비닛 고정판 613: 회전판
615: 제1축 63: 도어 고정부 631: 고정부연결판
633: 도어 고정판 635: 제4축 637: 축고정리브
7: 제2힌지 71: 제2축 72: 비틀림스프링
73: 연결축 731: 연결축 돌기 74: 축수용부
741: 수용부 바디 743: 수용홈 7431: 수용홈 돌기
75: 제1각도조절부 751: 제1조절판 7511: 제1홈
7512: 제2홈 7513: 스프링 고정홀 7515: 홀돌기
753: 제1착탈부 7531: 제1바디
7533: 제1바디 탄성지지부 76: 제2각도조절부 761: 제2조절판
7611: 스토퍼 763: 제2착탈부 7631: 제2바디
7633: 제2바디 탄성지지부 8: 인너도어 힌지
81: 인너도어 회전축 82: 비틀림 스프링 83: 도어홀더
84: 조절판 841, 846: 제1홈 843, 847: 제2홈
85, 87: 착탈부 851, 871: 착탈부 바디
853, 873: 바디 탄성지지부 86: 힌지커버
9: 아우터도어 힌지

Claims (23)

  1.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1축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제1힌지;
    상기 제1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제1축과 함께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구비되는 제1조절판,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판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착탈부가 구비된 제2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판은 상기 제1착탈부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조절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홈, 상기 제1조절판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홈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축에 구비되는 제2조절판;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조절판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착탈부;
    상기 제2조절판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제1착탈부가 상기 제2홈에 삽입된 때 상기 스토퍼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도어에 탄성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착탈부를 상기 스토퍼로부터 분리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1축과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을 기준으로 90도 이내의 각도로 정의되는 제1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도어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정의되는 제2각도에서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2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정의되는 제3각도만큼 회전한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도어지지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이 착탈되는 제2축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축 착탈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축 수용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축 수용바디는 상기 제2축이 착탈되는 제2축 수용홈, 상기 제2축을 상기 제2축 수용홈으로 안내하는 제2축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되 상기 제1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축,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에 착탈 가능한 제3축 착탈부가 구비된 제3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축을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캐비닛 착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 고정판, 상기 제1축을 통해 상기 캐비닛 고정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이 구비된 캐비닛 고정부;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연결판, 상기 제3축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고정부 연결판에 구비된 제4축, 상기 도어를 상기 제4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도어 고정판이 구비된 도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와 상기 제3힌지는 상기 캐비닛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의 마주보는 양단 중 어느 쪽에도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 착탈부는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이 수용되는 제3축 수용홈;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3축 수용홈에 위치하는 고정바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바디를 탄성지지하는 고정바디 탄성지지부;
    상기 제3축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제3축이 상기 제3축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 착탈부는
    외관을 형성하되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제3축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3축 수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3축 수용바디는
    상기 제3축이 수용되는 제3축 수용홈, 상기 제3축을 상기 제3축 수용홈으로 안내하는 제3축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착탈부는
    상기 제2축에서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연결축;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는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용부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수용부바디, 상기 수용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높이는 상기 연결축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끝단이 절곡되어 구비되는 연결축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때 상기 연결축 돌기와 결합하는 수용홈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2축이 삽입되도록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축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축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홀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홀에는 상기 도어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때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을 지지하는 제2축 지지리브;
    상기 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축 지지리브를 탄성지지하는 리브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로 유입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수용부;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 시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는 제1도어 회전축, 일단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도어홀더,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된 제1도어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도어의 회전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도어홀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홈;
    상기 도어홀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홈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홈;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도어홀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을 기준으로 90도 이내의 각도로 정의되는 제1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정의되는 제2각도에서 상기 제1도어를 고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도어 회전축에 구비되는 조절판바디, 상기 조절판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홈, 상기 조절판바디의 외주며에 구비되되 상기 제1홈과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홈이 구비된 조절판;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도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조절판바디 두께는 상기 도어홀더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도어홀더와 상기 조절판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어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을 기준으로 90도 이내의 각도로 정의되는 제1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정의되는 제2각도에서 상기 제1도어를 고정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10139447A 2010-12-23 2011-12-21 세탁장치 KR10182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47A KR101821209B1 (ko) 2011-12-21 2011-12-21 세탁장치
US13/334,481 US8936330B2 (en) 2010-12-23 2011-12-22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1345513A AU2011345513B2 (en) 2010-12-23 2011-12-23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BR112013015343A BR112013015343A2 (pt) 2010-12-23 2011-12-23 aparato para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PCT/KR2011/010017 WO2012087055A2 (ko) 2010-12-23 2011-12-23 의류처리장치
EP11851691.3A EP2657394B1 (en) 2010-12-23 2011-1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3546025A JP5671156B2 (ja) 2010-12-23 2011-12-23 衣類処理装置
RU2013134352/12A RU2534874C1 (ru) 2010-12-23 2011-12-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01180064615.5A CN103328712B (zh) 2010-12-23 2011-12-23 衣物处理装置
JP2013552472A JP5731676B2 (ja) 2011-02-24 2012-02-23 衣類処理装置
PCT/KR2012/001393 WO2012115467A2 (en) 2011-02-24 2012-02-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2749317.9A EP2678469B1 (en) 2011-02-24 2012-02-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013143156/12A RU2553042C1 (ru) 2011-02-24 2012-02-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BR112013017082-4A BR112013017082B1 (pt) 2011-02-24 2012-02-23 aparelh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AU2012221984A AU2012221984B2 (en) 2011-02-24 2012-02-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280005004.8A CN103608510B (zh) 2011-02-24 2012-02-23 衣物处理设备
US13/404,187 US20120217851A1 (en) 2011-02-24 2012-02-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318,284 US9255357B2 (en) 2011-02-24 2014-06-2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447A KR101821209B1 (ko) 2011-12-21 2011-12-21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45A true KR20130071945A (ko) 2013-07-01
KR101821209B1 KR101821209B1 (ko) 2018-01-23

Family

ID=4898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447A KR101821209B1 (ko) 2010-12-23 2011-12-21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2389A (zh) * 2018-07-27 2018-11-20 乔坤 一种衣类处理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2389A (zh) * 2018-07-27 2018-11-20 乔坤 一种衣类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209B1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156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JP5731676B2 (ja) 衣類処理装置
JP549213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319022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US10316449B2 (en) Washing machine
JP2015006436A (ja) 衣類処理装置
US979063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18443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276852B1 (ko) 2축힌지
KR20130071945A (ko) 세탁장치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710474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8462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1469A (ko) 의류처리장치
JP5731035B2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2007230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7184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