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647A -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647A
KR20130071647A KR1020110138975A KR20110138975A KR20130071647A KR 20130071647 A KR20130071647 A KR 20130071647A KR 1020110138975 A KR1020110138975 A KR 1020110138975A KR 20110138975 A KR20110138975 A KR 20110138975A KR 20130071647 A KR20130071647 A KR 2013007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gion
circuit board
protru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884B1 (ko
Inventor
윤찬민
Original Assignee
윤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찬민 filed Critical 윤찬민
Priority to KR102011013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8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높이가 변화되게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는,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POWERED BY BATTERY}
본 발명은 전원 공급원으로서 전지가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 마우스, 미니 카세트, 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장치에는 전지가 전원 공급을 위해 사용된다. 전지는 1회만 사용 가능한 1차 전지와, 충전하여 재사용 가능한 2차 전지가 있다.
이러한 전지는 위 전자장치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전지를 수용부에 삽입하는 것은 어려움이 없으나, 교체나 충전을 위해 빼내는 것은 쉽지 않다. 이는 전지와 수용부 사이의 틈새가 손가락을 집어넣기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좁은 틈새를 통해 전지를 빼려고 하다 보니, 손톱이 손상되거나 다른 도구를 찾아야 하는 불편이 따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으며 또한 손가락에 편한 방식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전지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높이가 변화되게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는, 전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은, 상기 양 측벽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은, 제1 영역; 및 상기 양 측벽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 다음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의 표면과 상기 제2 영역의 표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돌기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바닥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바닥의 중심에서 벗어난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회로기판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에 의하면, 다른 도구를 이용하지 않으며 또한 손가락에 편한 방식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전지를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리모컨(100)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a)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리모컨(100)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인 리모컨(100)은, 회로기판(110)과, 하우징(120)과, 전지 수용부(130)와, 신호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10)은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판에는 각종 전자 소자가 실장되고, 이들은 동박과 같은 도전성 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 소자들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하우징(120)은 회로기판(11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20)은 두 개의 커버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120)의 배면을 보인 것이고, 하우징(120)의 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을 통해 회로기판(110)에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키패드나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수용부(130)는 하우징(120)의 배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전지 수용부(130)는 전지(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전지 수용부(130)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지(B)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B)는 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신호 출력부(140)는 하우징(12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신호 출력부(140)는 회로기판(110)의 제어를 받아, 제어 신호로서 적외선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TV나 라디오 등 각종 전자기기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면, 회로기판(110)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에 의해, 회로기판(110)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신호 출력부(140)에 전달한다. 신호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적외선을 출력하여, TV 등의 상대물의 조절 가능한 요소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은 전지(B)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명이 다한 전지(B)는 교체되어야 한다. 이때, 전지(B)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전지 수용부(130)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수용부(130)는 측벽(131)과, 바닥(133)을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다.
측벽(131)은 바닥(133)의 양측 단부에서 바닥(133)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131) 각각에는 (+) 단자(121)와, (-) 단자(122)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B)가 전지 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각 단자(121,122)는 전지(B)의 양 단자와 각각 접속된다.
바닥(133)은 양 측벽(131) 사이에 위치하며, 높이가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133)이 좌측 측벽(131)에서 우측 측벽(131)을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지(B)의 우측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전지(B)의 우측이 바닥(133)의 낮은 부분과 접촉되도록 하강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좌측 부분은 상승하면서 대략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하는 형태가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회전하면서 위로 올라온 전지(B)의 좌측 부분을 잡고서, 전지(B)를 전지 수용부(130)에서 꺼내면 된다.
결과적으로, 전지(B)와 측벽(131)로 손톱을 집어넣거나 도구를 집어넣는 등의 어려움이나 불편 없이, 전지(B)의 일 부분을 눌러주어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온 부분을 잡아 전지(B)를 편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바닥(133')은 높이가 변화되는 다른 방식으로서, 제1 영역(134)과, 제1 영역(134)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영역(1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134)은 바닥(133')의 좌측을 차지하고, 제2 영역(135)은 바닥(133')의 우측을 차지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좌측은 제1 영역(134)에 의해 지지되고, 전지(B)의 우측은 제2 영역(135)의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영역(134)에 비하여 제2 영역(135)의 높이는 낮으나, 제1 영역(134)과 제2 영역(135)의 표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영역(134)과 제2 영역(135)은 연결부(13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6)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6)는 또한 각진 형태에서 벗어나 라운드 처리된 부분(136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지 수용부(130')에서 전지(B)를 꺼내기 위하여, 전지(B)위 우측 부분에 하방으로 힘(F)을 가할 수 있다. 그 힘(F)에 의해, 전지(B)는 연결부(136)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로, 전지(B)의 좌측이 전지 수용부(130') 위로 솟아오르게 되어, 사용자는 전지(B)의 솟아오른 부분을 잡고서 전지(B)를 꺼낼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36)에 라운드 처리된 부분(136a)을 형성한다면, 전지(B)가 힘(F)을 받는 중에 연결부(136)에 의해 전지(B)에 미세하게라도 이루어질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바닥(133")은 제1 영역으로서의 지지 돌기(134')와, 제2 영역으로서의 평탄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135')는 바닥(133")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지지 돌기(134')는 평탄부(135')의 중앙부에서 돌출하여 전지(B)를 지지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중앙부는 지지 돌기(134')에 의해 지지되나, 전지(B)의 나머지 대부분은 평탄부(135')의 상측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지(B)를 꺼낼 때, 전지(B)의 좌측이던 우측이던 구애받지 않고 해당 부분을 누르면 된다. 전지(B)의 우측을 누르면, 도 3에서와 같은 상황이 재현될 것이다. 전지(B)의 좌측에 힘(F)을 가하면, 지지 돌기(134')가 전지(B)의 회전의 중심이 되면서, 전지(B)의 우측이 회전 방향(S)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우측이 전지 수용부(130") 위로 솟아오르게 되고, 사용자는 솟아오른 부분을 잡아서 전지(B)를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돌기(134')는 전지(B)의 중심(C)[바닥(133"의 중심이기도 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 돌기(134')는 전지(B)가 전극단자(121 및 122)에 접속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전지(B)의 양측 중 어느 쪽이 눌려도 다른 쪽이 똑같은 정도로 솟아오를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와 달리, 지지 돌기(134')는 전지(B)의 중심(C)에서 벗어나서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지(B)는 지지 돌기(134')와 가까운 측에 힘을 받으면, 다른 측이 앞서의 경우보다 더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일 변형예에 따른 전지 수용부(130a)에 전지(B)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수용부(130a)의 바닥(133a)은 2개의 돌기(137 및 138)와, 평탄부(135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돌기(137 및 138)는 평탄부(135a)에 비해 높은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이 되고, 평탄부(135a)는 상기 제2 영역이 된다.
2개의 돌기(137 및 138)는 제1 돌기(137)와 제2 돌기(138)로 구분되고, 제1 돌기(137)와 제2 돌기(138)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돌기(137)와 제2 돌기(138)는 평탄부(135a)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137)와 제2 돌기(138)는 바닥(133a)의 중심(C)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지(B)의 우측에 하방으로 힘(F1)이 가해지면, 전지(B)는 제2 돌기(138)를 지지점으로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좌측이 전지 수용부(130a) 위로 솟아오르게 된다.
이와 달리, 전지(B)의 좌측에 하방으로 힘(F2)이 가해지면, 전지(B)는 제1 돌기(137)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 방향(R2)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전지(B)의 우측이 전지 수용부(130a) 위로 솟아오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지(B)의 좌측이던 우측이던 어느 쪽을 눌러서도 전지(B)를 쉽게 뺄 수 있다. 또한, 전지(B)의 회전시 지지점이 되는 제1 돌기(137) 또는 제2 돌기(138)가 전지(B)의 중심(C)에서 벗어나 있다면, 전지(B)의 회전에 의해 솟아오르는 부분의 회전 각도가 커져서, 솟아오른 부분을 잡기가 더 수월해질 것이다.
나아가, 2개의 돌기(137 및 138)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지(B)가 단자들(121 및 122)에 접속된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리모컨 110: 회로기판
120: 하우징 121,122: 전극 단자
130,130',130",130a: 전지 수용 131: 측벽
133,133',133",133a: 바닥 134,134',134a: 제1 영역
134,135',135a: 제2 영역 136: 연결부
136a: 라운드부 137: 제1 돌기
138: 제2 돌기 140: 신호 출력부

Claims (11)

  1.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높이가 변화되게 형성되는 바닥을 가지는, 전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상기 양 측벽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제1 영역; 및
    상기 양 측벽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영역 다음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표면과 상기 제2 영역의 표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 처리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바닥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간격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바닥의 중심에서 벗어난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회로기판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KR1020110138975A 2011-12-21 2011-12-21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KR10143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75A KR101433884B1 (ko) 2011-12-21 2011-12-21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975A KR101433884B1 (ko) 2011-12-21 2011-12-21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47A true KR20130071647A (ko) 2013-07-01
KR101433884B1 KR101433884B1 (ko) 2014-08-29

Family

ID=4898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975A KR101433884B1 (ko) 2011-12-21 2011-12-21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8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89B1 (ko) * 1998-07-11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고유배터리팩또는일반배터리를사용할수있는휴대형컴퓨터
JP4536334B2 (ja) 2003-04-09 2010-09-01 日本碍子株式会社 電池カバー及び該電池カバーを用いた電池収納ケース
JP2010062107A (ja) 2008-09-08 2010-03-18 Panasonic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884B1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703B2 (en) Multipurpose adaptor with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TWI235516B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onic devices
US5157318A (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JP5813135B2 (ja) 移動充電器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JP2006326765A (ja) 電動工具
CN107492920B (zh) 一种通用移动电源
TWM377786U (en) Ac and dc dual input charger
US11264818B2 (en)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battery packs
CA2565372A1 (en)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
KR101433884B1 (ko) 전지로 작동되는 전자 장치
DK2945695T3 (en) HANDLED DEVICE FOR ELECTRICALLY DRIVED SKIN TREATMENT
WO2013016946A1 (zh) 可无线充电的电池模组及其充电结构
WO2016185359A1 (en) Portable power supply apparatus
WO2010009378A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GB2468930A (en) Power supply with a detachable USB hub.
KR20150058808A (ko) 배터리 케이스
KR101118444B1 (ko)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KR200460647Y1 (ko) 다기능성 배터리 충전기
CN105892579A (zh) 多功能键盘及显示装置
EP1331705A1 (en) Receptacle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CN214674401U (zh) 一种多功能储能电源
CN219145056U (zh) 储能电源
CN215299420U (zh) 电池盒及灶具
CN211127159U (zh) 一种用于无线耳机收纳和充电的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