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000A - Camera lens assembly - Google Patents

Camera lens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000A
KR20130071000A KR1020110138288A KR20110138288A KR20130071000A KR 20130071000 A KR20130071000 A KR 20130071000A KR 1020110138288 A KR1020110138288 A KR 1020110138288A KR 20110138288 A KR20110138288 A KR 20110138288A KR 20130071000 A KR20130071000 A KR 2013007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il
carrier
frame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1420B1 (en
Inventor
이영섭
김상조
허성구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1013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20B1/en
Publication of KR2013007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PURPOSE: A camera lens assembly is provided to improve performance by adding a hand-shaking correcting function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simplifying a structure. CONSTITUTION: A camera lens assembly(10) comprises a carrier(102), a magnet unit, and a coil section(104). The carrier includes at least one lens, and first coils(125) are arrang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rrier. The magne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133) respectively facing one of the first coil and surrounds the carrier. The coi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ils(143) respectively facing one of the magnetic bodies and surrounds the magnet unit. The carrier is horizontally move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y electromechanical power between the first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and advances and retract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with the magnet unit by the electromechanical power between the second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AMERA LENS ASSEMBLY}Camera Lens Assembly {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 등 소형화된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 focusing and image stabilization of a camera lens assembly mounted on a miniaturized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차 콤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시장을 점차 잠식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등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제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촬영 시 피사체의 촬영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초점 흐트러짐을 보정하는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고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탑재되어 왔지만, 점차 보급형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도 탑재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amera manufacturing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compact and lightweight camera lens assemblies are gradually invading the compact digital camera market. As the mounting of a camera lens assembly o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common, efforts are now being made to improve camer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n auto focusing function for correcting a focal blur caused by a subject's shooting distance when capturing an image has been installed in a camera lens assembly of an expens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s gradually installed in a camera lens assembly of an entry-level terminal. It is a trend.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는 렌즈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렌즈의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로서 코일과 자성체를 이용한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다.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제어 회로는 렌즈의 이동 위치를 선정하고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코일과 자성체 사이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시키게 된다. The auto focus adjustment func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lens located in front of the image sensor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lens is provided with a voice coil motor using a coil and a magnetic material. When the subject is to be photographed, the control circuit selects a moving position of the lens, applies power to the coil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nd uses the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coil and the magnetic material to move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카메라 성능 향상을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다. 손떨림 보정 기능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이용하여 촬영 동작에서 사용자의 손떨림 등으로 인한 카메라 렌즈 조립체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이미지 센서나 렌즈 조립체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촬영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improving camera performance is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uses a gyro sensor to detect the shak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due to the user's hand shake during the shoot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or the lens assembly. .

손떨림 보정 기능은,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서로 수직하는 두 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렌즈 조립체나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켜 구현된다. 이때, 렌즈 조립체나 이미지 센서의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로는 보이스코일 모터나 선형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손떨림 등으로 인한 흔들림 방향의 역방향으로 렌즈 조립체나 이미지 센서 조립체를 구동하여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상하게 된다.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implemented by driving the lens assembly or the image sensor in two ax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In this case, a voice coil motor or a linear motor may be used as a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lens assembly or the image sensor. By using the driving device, the lens assembly or the image sensor assembly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haking direction due to the shaking,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shaking of the image due to the shaking.

이러한 손떨림 보정 기능은 이미지 센서의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촬영 기능을 가지는 기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Such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are essentially provided to a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s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sensor is advanced.

그러나 종래의 손떨림 보정 방식에서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화된 기기에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mage stabilization metho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miniaturization enough to be mounted in a miniaturized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하면서도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while having an auto focusing function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소형화에 용이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assembl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y to miniaturization while equipped with an auto focusing function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조절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소형화되어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기 적합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assembly that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automatic focusing function and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while being miniaturized and suitable for mounting on a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외주면에 제1 코일들이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상기 제1 코일들 중 하나와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자성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를 둘러싸는 자성체부; 및 상기 자성체들 중 하나와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제2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부를 둘러싸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 코일들과 자성체들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2 코일들과 자성체들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와 함께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lens, the first coils ar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magnetic body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facing each one of the first coils and surrounding the carrier; And a plurality of second coils each facing one of the magnetic bodies, the coil portion surrounding the magnetic body portion, wherein the carrier is form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Disclosed is a camera lens assembly which moves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together with the magnetic por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이때, 상기 자성체들은 각각 단면 2극 착자 자성체임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bodies are cross-sectional bipolar magnetized magnetic bodies, respectively.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자성체들과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요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상기 자성체와 제2 코일의 일부분만 서로 마주보게 설치할 수 있다. The camera lens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yokes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and the second coils, and a portion of the yoke may be opened to install only a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coil facing each other. have.

상기 제1 코일, 자성체 및 제2 코일은 각각 상기 캐리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 쌍씩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coil, the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coil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pair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rrier, respectively.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자성체부는 상기 캐리어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자성체 프레임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코일 프레임을 구비하며, The camera lens assembly may include a magnetic frame arranged to surround the carri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coil unit may include a coil frame disposed to surround the magnetic frame.

상기 자성체들은 각각 상기 자성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 2극 착자 자성체이고, 상기 제2 코일들은 상기 코일 프레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ic bodies are cross-sectional bipolar magnetized magnetic bodies installed on the magnetic frame, and the second coils are installed on the coil frame.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캐리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캐리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the camera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magnetic frame and the carrier, an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elastic body guid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rier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rame.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is cut off, the elastic body returns the carrier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과 캐리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gnetic frame and the carrier,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의 외주면에서 상기 자성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수단; 및 상기 코일 프레임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가이드 수단이 서로 맞물려 상기 자성체 프레임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것을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lens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first guide mean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ic frame; And second guide mean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ils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fram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a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guide the magnetic fram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is is preferred.

상기 카메라 렌즈 조립체는 상기 코일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들과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요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상기 자성체와 제2 코일의 일부분만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The camera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 yoke installed in the coil frame and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and the second coils, and a portion of the yoke is opened to be paired with each other. Only can b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카메라 렌즈 조립체는 상기 코일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는 하우징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및 자성체부가 상기 하우징 프레임과 커버 부재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The camera lens assembly includes a housing frame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unit;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frame, wherein the coil part is fixed to the housing frame, and the carrier and the magnetic body part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housing frame and the cover member.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조립체는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개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amera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opening formed in the cover member, and the opening opens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와 같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자성체를 단면 2극 착자 자성체로 대체하고, 추가의 코일을 설치하여 보이스코일 모터의 단면 2극 착자 자성체와 함께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1종의 코일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추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1종의 코일이 추가되기는 하나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한 보이스코일 모터 구조가 이미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손떨림 보정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camera lens assembly replaces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voice coil motor for performing the auto focusing operation with a single-sided two-pole magnetized magnet, and installs an additional coil together with the single-sided two-pole magnetized magnet of the voice coil motor. The driving force for the camera shake correction is generated. Therefore, image stabilization can be implemented in a camera lens assembly that performs auto focus by simply adding one coil. Therefore, the addition of image stabilization improves performance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thu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s. In addition, since one coil is added but the voice coil motor structure for auto focusing is already mounted, the camera shake assembly can be added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ac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자성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자동 초점 동작을 위한 안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gnetic body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ide structure for an auto focus oper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1;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ure 1 assembled;
7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캐리어(102), 자성체부(103), 코일부(104)를 구비하며, 자성체(133)들을 포함하는 상기 자성체부(10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캐리어(102)와 코일부(104) 각각에 배치된 코일(125, 143)들이 상기 자성체(133)들과 함께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 초점 조절 동작과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1, 4, and 5,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102, a magnetic body 103, a coil unit 104, The coils 125 and 143 disposed on the carrier 102 and the coil unit 104 with the magnetic body 103 including the magnetic bodies 133 therebetween generate a driving force together with the magnetic bodies 133. By doing so, the auto focusing operation and the camera shake correction operation are performed.

상기 캐리어(102), 자성체부(103), 코일부(104)를 수용하여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하우징 프레임(101a)과 커버 부재(101b)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may include a housing frame 101a and a cover member 101b to accommodate the carrier 102, the magnetic body 103, and the coil 104 in a modular form. have.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은 상기 코일부(104) 등의 하부면을 감싸면서, 관통홀(111)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의 아래쪽에서 도시되지 않은 이미지 센서가 상기 관통홀(111)에 정렬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111) 상에는 적외선 필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04)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이 상기 코일부(104)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결속 부재(113)들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부(104)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코일부(104)의 외측면 일부분만 감싸게 설치된다. The housing frame 101a surrounds a lower surface of the coil part 104 or the like and includes a through hole 111. An image sensor not shown below the housing frame 101a may be installed to be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111, and an infrared filter may be disposed on the through hole 111. The coil unit 104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frame 101a, in which the housing frame 101a may be configur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unit 104,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the binding members 113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only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unit 104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unit 104.

상기 커버 부재(101b)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과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102), 자성체부(103), 코일부(104)를 완전히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101b)는 상기 결속 부재(113)들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부재(101b)에는 측면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개구부(117)와 촬영용 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촬영용 개구(115)는 상기 관통홀(111)과 정렬되어 촬영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117)는 별도의 덮개(101c)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01b is coupled to the housing frame 101a to completely receive the carrier 102, the magnetic body 103, and the coil 104. In this case, the cover member 101b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is joined to the binding members 113. The cover member 101b has an opening 117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an imaging opening 115. The photographing opening 115 is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 111 to provide a photographing path. The opening 117 may be closed by a separate cover 101c.

상기 캐리어(10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23)를 수용한 원통형 실린더 형상의 경통 부재(121)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사양에 따라 복수의 렌즈(123)들이 상기 캐리어(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02)의 외주면,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경통 부재(12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코일(125)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코일(125)은 상기 자성체부(103)에 설치되는 자성체(133)와 함께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렌즈(123)의 광축(O)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캐리어(10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carrier 102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12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ccommodating at least one lens 123.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a plurality of lenses 123 may be installed in the carrier 102. At least one first coil 125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rier 102, more specificall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member 121, wherein the first coil 125 is installed on the magnetic body part 103.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together with the magnetic body 133 to move the carrier 102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direction of the lens 123.

상기 자성체부(103)는 상기 자성체(133)를 설치하기 위한 자성체 프레임(131)을 구비한다.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은 상기 캐리어(102)를 둘러싸는 실린더 형상이며, 상기 자성체(133)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에 설치되면서 그 일면은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내측으로, 타면은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이 상기 캐리어(102)를 둘러싸게 배치되므로, 상기 자성체(133)는 상기 제1 코일(125)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코일(125)과 자성체(133)는 각각 두 쌍씩 상기 캐리어(10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magnetic body part 103 includes a magnetic body frame 131 for installing the magnetic body 133. The magnetic frame 131 has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carrier 102, the magnetic body 133 is installed in the magnetic frame 131, one side thereof is inside the magnetic frame 131, and the other side is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gnetic frame 131. Since the magnetic frame 131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arrier 102, the magnetic body 13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125. Preferably, the first coil 125 and the magnetic body 13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rrier 102, respectively, in pairs.

상기 제1 코일(125)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코일(125)들과 자성체(133)들 사이에는 각각 전자기력이 발생되는데, 이는 상기 캐리어(102)를 상기 자성체부(103)에 대하여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수평 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102)가 상기 자성체부(103)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작은 손떨림 등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상하게 된다. As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125, an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coils 125 and the magnetic bodies 133, which transmits the carrier 102 to the magnetic body 103.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with respect to. As such, the movement of the carrier 102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portion 103 compensates for the shaking of the image caused by the shaking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hand.

상기 캐리어(102)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1 코일(125)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캐리어(10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102)와 자성체부(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51)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체(151)는 상기 캐리어(102)와 자성체부(103),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경통 부재(121)와 자성체 프레임(1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공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151)들은 판 스프링을 일정한 패턴으로 가공하여 제작된 것이며, 상기 광축(O)에 수직하는 방향에서 상기 자성체부(103)에 대하여 상기 캐리어(102)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코일(125)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체(151)들의 탄성력은 상기 캐리어(10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The carrier 102 and the magnetic body 103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rier 102 and to return the carrier 102 to its initial position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125 is cut off. At least one elastic body 151 is provided therebetween.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dy 151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rrier 102 and the magnetic body 103, more specifically, the barrel member 121 and the magnetic frame 131, respectively. To illustrate. The elastic bodies 151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plate spring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rier 102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body portion 10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In addition,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125 is cut of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ies 151 returns the carrier 102 to its initial position.

상기 코일부(104)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코일 프레임(141)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 프레임(141) 상에 제2 코일(143)들이 배치된다. 상기 코일 프레임(141)은 상기 하우징 프레임(101a)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코일(143)들은 각각 상기 자성체(133)들 중 하나와 대면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코일(14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코일(143)과 상기 자성체(133)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상기 자성체부(103)와 함께 상기 캐리어(102)를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시키게 된다. The coil unit 104 includes a coil frame 141 disposed to surround the magnetic frame 131, and second coils 143 are disposed on the coil frame 141. The coil frame 141 is fixed to the housing frame 101a and the second coils 143 are disposed to face one of the magnetic bodies 133, respective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143,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coil 143 and the magnetic bodies 133 may cause the carrier 102 to move along with the magnetic body 103. O)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direction.

상기 자성체부(103)의 진퇴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수단들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수단들은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 수단(135), 상기 코일 프레임(141)에 제공되는 제2 가이드 수단(147)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103,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guide means. As shown in FIG. 3, the guide means includes a first guide means 135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ic frame 131 and a second guide means 147 provided on the coil frame 141.

상기 제1 가이드 수단(135)은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들로서, 상기 자성체(133)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측벽에는 각각 가이드 슬릿(135a)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수단(147)은 상기 코일 프레임(141)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로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가이드 레일(147a)들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135a)들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 슬릿(135a)들은 상기 광축(O)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47a)과 맞물려 상기 광축(O)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 궁극적으로는 상기 자성체부(103)와 함께 캐리어(102)를 안내하게 된다. The first guide means 135 are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ic frame 131,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133, and guide slits 135a are formed on the sidewalls, respectively. The second guide means 147 is a guide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frame 141, and guide rails 147a are formed at both edges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slits 135a. The guide slits 135a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and engage with the guide rail 147a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ultimately the magnetic part 103. Guide the carrier 102 together.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수단(147)의 하단에는 스토퍼(147b)가 제공되어,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하단과 간섭되어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상단은 상기 커버 부재(101b)와 간섭되어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자성체 프레임(1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된 완충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스토퍼(147b)나 커버 부재(101b)와 간섭되는 순간 발생되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 stopper 147b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means 147 to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of the magnetic frame 131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magnetic frame 131 can move downwar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magnetic frame 131 interferes with the cover member 101b to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magnetic frame 131 can move upward. A buffer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gnetic frame 131 to mitigate noise and impact generated at the moment of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147b or the cover member 101b. This is preferred.

상기 자성체(133)는 상기 제1, 제2 코일(125, 143) 각각과 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단면 2극 착자 자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133)는 양면에서 각각 N극과 S극이 배치되어 있으며, 일면의 N극은 타면의 S극과 쌍을 이룸과 동시에 일면의 S극은 타면의 N극과 쌍을 이루는 것이다. The magnetic body 133 is preferably made of a cross-section bipolar magnetized magnetic material in order to be combin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ils 125 and 143 to generate a driving for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magnetic body 133 has N poles and S poles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N pole of one side is paired with the S pole of the other side and the S pole of one side thereof is It is paired with N pole of other surface.

상기와 같은 자성체(133)를 상기 제1, 제2 코일(125, 143)들 각각과 조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되, 전기장 및 자기장을 일정 영역 내에서 집중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요크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magnetic lens 133 is combin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ils 125 and 143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and to concentrate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to improve efficiency,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may have yokes.

예를 들어, 상기 제2 코일(143)과 상기 자성체(133)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145)는 상기 제1 코일(125)과 자성체(133)의 효율을 향상시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요크(145)는 상기 코일 프레임(141)의 내측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2 코일(143)과 자성체(133)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요크(145)는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제2 코일(143)의 일부분과 상기 자성체(133)의 일부분을 서로 마주보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코일(143)과 자성체(133) 사이에 상기 요크(145)를 배치하여 상기 제1 코일(125)과 자성체(133) 사이의 효율을 향상시키되, 상기 제2 코일(143)과 자성체(133) 사이에서도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크(145)의 일부분은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요크(145)는 쌍을 이루는 상기 제2 코일(143)과 자성체(133)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For example, the yoke 145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143 and the magnetic body 133 may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irst coil 125 and the magnetic body 133. The yoke 145 is mounted inside the coil frame 141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143 and the magnetic body 133. In this case, the yoke 145 may be partially opened to face a portion of the second coil 143 and a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133. That is, the yoke 14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143 and the magnetic body 133 to improve the efficiency between the first coil 125 and the magnetic body 133, but the second coil 143 A part of the yoke 145 is opened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even between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magnetic material 133. The yoke 145 is disposed between the paired second coil 143 and the magnetic body 133, respectively.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코일 프레임(141)의 외측면에도 추가의 요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성체(133)와 제2 코일(143) 사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by providing an additional yo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frame 141, the efficiency between the magnetic body 133 and the second coil 143 may be improved.

도 6과 도 7은 조립된 상태의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에서, 손떨림 보정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요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02)는 상기 광축(O)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수평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광축(O)에 수직하는 평면이라 함은 도 7의 지면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 코일(125)과 자성체(133)들을 두 쌍씩 등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캐리어(102)가 서로 수직하는 X 방향과 Y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캐리어(102)는 상기 광축(O)에 수직인 평면에서 X 방향으로 또는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두 쌍의 상기 제1 코일(125)들 모두에 동시에 각각의 전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캐리어(102)를 X 또는 Y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코일(125)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손떨림 등으로 인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흔들림 방향과 정도에 따라 상기 캐리어(102)를 이동시켜 손떨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6 and 7 illustrate main component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the camera shake correction operation in the assembled camera lens assembly 100. As mentioned above, the carrier 102 is moved horizontal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where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means the surface of FIG. 7. In this case, by arranging the first coil 125 and the magnetic body 133 by two pairs at equal intervals, the carrier 102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at least one of the X and Y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In other words, the carrier 102 is movable in the X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and each power signal simultaneously to both pairs of the first coils 125. May be applied to move the carrier 102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X or Y direction. Accordingly, by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125, the carrier 102 is moved according to the shaking direction and the degree of the shak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100 due to the shaking of the hand, thereby performing the shake correction operation.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도 설치되는 보이스코일 모터를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에서, 본 발명은 자성체를 단면 2극 착자 자성체로 대체하고 1종의 코일을 추가함으로써, 손떨림 보정 장치까지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절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구현하면서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소형화가 용이하여 휴대용 단말기 등에 장착하여, 자동 초점 조절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using the voice coil motor which is also installed in the general camera lens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ven the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by replacing the magnetic body with a single-sided bipolar magnet and adding one kind of co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camera lens assembly while implementing both auto focusing and image stabilization.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assembly can be miniaturized while being easily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thereby providing both an auto focusing function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1a: 하우징 프레임
101b: 커버 부재 102: 캐리어
103: 자성체부 104: 코일부
151: 탄성체
100: camera lens assembly 101a: housing frame
101b: cover member 102: carrier
103: magnetic body portion 104: coil portion
151: elastomer

Claims (1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외주면에 제1 코일들이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
상기 제1 코일들 중 하나와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자성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를 둘러싸는 자성체부; 및
상기 자성체들 중 하나와 각각 대면하는 다수의 제2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부를 둘러싸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 코일들과 자성체들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2 코일들과 자성체들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와 함께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In the camera lens assembly,
A carrier including at least one lens and having first coil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agnetic body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facing each one of the first coils and surrounding the carrier; And
A plurality of second coils each facing one of the magnetic bodies, the coil portion surrounding the magnetic portion,
The carrier is horizontally mov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by an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and together with the magnetic part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coils and the magnetic bodies. A camera lens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들은 각각 단면 2극 착자 자성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camera lens assembly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magnetic bodies is a single-sided bipolar magn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들과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요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상기 자성체와 제2 코일의 일부분만 서로 마주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yokes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and the second coils,
A portion of the yoke is opened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coil, which are paired with each other, face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자성체 및 제2 코일은 각각 상기 캐리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 쌍씩 등간격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camera lens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il, the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coil are each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rr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부는 상기 캐리어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자성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을 둘러싸게 배치되는 코일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자성체들은 각각 상기 자성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 2극 착자 자성체이고, 상기 제2 코일들은 상기 코일 프레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magnetic body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body part includes a magnetic frame arranged to surround the carri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coil part includes a coil frame disposed to surround the magnetic frame.
Each of the magnetic bodies is a single-sided bipolar magnetized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magnetic frame, and the second coils are installed on the coil fram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프레임과 상기 캐리어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캐리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1 코일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캐리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magnetic frame and the carrier,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elastic body guid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rier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rame,
And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coil is cut off, the elastic body returns the carrier to an initial posi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성체 프레임과 캐리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camera lens assembly of claim 6, wherein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gnetic frame and the carrier, respective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프레임의 외주면에서 상기 자성체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수단; 및
상기 코일 프레임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가이드 수단이 서로 맞물려 상기 자성체 프레임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것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First guide means form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gnetic frame; And
A second guide mean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ils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ans engage with each other to guide the magnetic fram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들과 상기 제2 코일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요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상기 자성체와 제2 코일의 일부분만 서로 마주보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yoke installed in the coil frame and interposed between the magnetic bodies and the second coils, respectively.
A portion of the yoke is opened, the camera lens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por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coil that is paired with each other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는 하우징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하우징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및 자성체부가 상기 하우징 프레임과 커버 부재 사이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housing frame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frame,
The coil unit is fixed to the housing frame, the camera lens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and the magnetic body is received between the housing frame and the cover memb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렌즈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0,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formed in the cover member,
And the opening opens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KR1020110138288A 2011-12-20 2011-12-20 Camera lens assembly KR101281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288A KR101281420B1 (en) 2011-12-20 2011-12-20 Camera lens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288A KR101281420B1 (en) 2011-12-20 2011-12-20 Camera lens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000A true KR20130071000A (en) 2013-06-28
KR101281420B1 KR101281420B1 (en) 2013-07-05

Family

ID=48865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288A KR101281420B1 (en) 2011-12-20 2011-12-20 Camera lens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20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236A (en) * 2015-09-25 2015-10-19 자화전자(주) Camera lens module
KR20160000728A (en)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00729A (en)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driving lens
KR20160009389A (en) * 2014-07-16 2016-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015885A (en) * 2014-08-01 2016-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120578A (en) 2015-04-08 2016-10-18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US9578242B2 (en) 2014-04-11 2017-02-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618770B2 (en)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WO2017196023A1 (en) * 2016-05-10 2017-11-16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US9883098B2 (en) 2016-03-09 2018-01-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983380B2 (en) 2014-01-22 2018-05-29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WO2018216915A1 (en) * 2017-05-22 2018-11-29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device
KR20200118391A (en) * 2014-04-11 2020-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CN113759489A (en) * 2014-03-05 2021-12-07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0573B2 (en) * 2008-04-30 2013-02-0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on function
KR101085645B1 (en)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on hand vibratio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3380B2 (en) 2014-01-22 2018-05-29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CN113759489B (en) * 2014-03-05 2024-04-26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759489A (en) * 2014-03-05 2021-12-07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18391A (en) * 2014-04-11 2020-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947132B2 (en) 2014-04-11 2024-04-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578242B2 (en) 2014-04-11 2017-02-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618770B2 (en)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US11209663B2 (en) 2014-04-11 2021-1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848126B2 (en) 2014-04-11 2017-12-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0444530B2 (en) 2014-04-11 2019-10-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9921458B2 (en) 2014-05-30 2018-03-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10082135A (en) * 2014-06-25 2021-07-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00728A (en)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88672A (en) * 2014-06-25 2022-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00729A (en) * 2014-06-25 2016-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driving lens
KR20160009389A (en) * 2014-07-16 2016-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015885A (en) * 2014-08-01 2016-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120578A (en) 2015-04-08 2016-10-18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KR20150117236A (en) * 2015-09-25 2015-10-19 자화전자(주) Camera lens module
US9883098B2 (en) 2016-03-09 2018-01-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US9942462B2 (en) 2016-03-09 2018-04-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US9930223B2 (en) 2016-03-09 2018-03-2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US9900495B2 (en) 2016-05-10 2018-02-20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WO2017196023A1 (en) * 2016-05-10 2017-11-16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WO2018216915A1 (en) * 2017-05-22 2018-11-29 자화전자 주식회사 Camer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420B1 (en)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20B1 (en) Camera lens assembly
KR102400516B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7219706B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KR102430087B1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US8208032B2 (en)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camera having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CN104793439B (en) Jitter correction device and mobile phone with camera
KR102255295B1 (en) Camera module
KR101041473B1 (en) Camera lens assembly
KR101019682B1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with Improved Stable Focusing
US8009373B2 (en) Lens actuator
CN109477998B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70023884A (en) Lens Holder Drive Devic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KR20180024145A (en) Camera module
JP2009282090A (en) Lens driving device
US8643964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out permanent magnet
KR20060084130A (en) Small camera device for communication machine
KR101246178B1 (en) Camera lens assembly
KR20100062657A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KR20100006629A (en) Auto-focusing lens assembly for mobile device of magnet-moving type
KR20100124135A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KR101643615B1 (en) Optical system
KR20180009969A (en) Camera apparatus with sliding shutter
KR101200080B1 (en) Camera lens assembly
KR20110010016A (en) Camera module
KR20140089780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