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741A -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의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의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741A
KR20130069741A KR1020137004686A KR20137004686A KR20130069741A KR 20130069741 A KR20130069741 A KR 20130069741A KR 1020137004686 A KR1020137004686 A KR 1020137004686A KR 20137004686 A KR20137004686 A KR 20137004686A KR 20130069741 A KR20130069741 A KR 20130069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unit
power level
power
wireless communications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0697B1 (ko
Inventor
존 에이. 포레스터
폴 구키안
린 루
레자 사하디
아밋 마하잔
왈리드 엠. 햄디
프란시스 엠. 가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송신기들이 서로 아주 근접하게 위치될 때 제 1 송신기(302)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전력 레벨들은 송신기들 모두의 결합된 전력이 규제적인 라디오 주파수(RF) 안전 요건들을 준수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306)의 전력 레벨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대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은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양상들에서,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 및 송신기들이 활성인 시간 기간은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의 송신기들의 시간 평균화된 전력이 RF 노출 한도 아래로 떨어지도록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의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WIRELESS SYSTEM}
본 특허 출원은 2010년 7월 26일자로 출원된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of a Multi-Transmitter Communications Device"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1/367,767호 및 2011년 3월 1일자로 출원된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of a Multi-Transmitter Communications Device"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1/448,11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미국 가출원들 둘 다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 인용에 의해 명백하게 포함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송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 널리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가능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채널에서의 조건들이 변화함에 따라, 특정 자원들을 활성화시키고 다른 것들을 활성화해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몇몇 자원들에 동시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다양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송신기들이 동시에 동작하게 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 레벨들은, 적용가능한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의 준수(compliance)를 위해서 참조될 수 있는 원하는 누적 송신 전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한다.
또한, 무선 통신들의 방법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1)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특정 양상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특정 양상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한다.
특정 양상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고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그리고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임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임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위에서 기술된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설명의 더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 중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이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에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들이 본 개시의 특정한 전형적인 양상들만을 도시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2개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각각 2-송신기 및 3-송신기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룩업 테이블의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멀티-송신기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2개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 내의 송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멀티-송신기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2개의 송신기들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적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준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셀 전화들,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들, 랩탑들 등)은 일반적으로 규제적인(regulatory) 라디오 주파수(RF) 안전 요건들을 준수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시장(market)에 진입할 수 있기 전에 특정 가이드라인들 내에서 동작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인체 가까이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들의 전자기파들이 생성하는 SAR(Specific Absorption Rate)을 결정하기 위해서 평가된다. SAR은 손실 매질(lossy media)에서의 질량 단위당 전자기 에너지 흡수의 시간-레이트이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수식(1)
여기서, E(r)는 포인트 r에서의 외인성 전계(exogenous electric field)이고, rms는 평균 평방근(root mean square)을 나타내는 반면,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는 각각 대응하는 균등한 전기 전도성 및 질량 밀도이다. 일반적으로, SAR 테스팅은 단일 송신기 또는 다수의 송신기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로부터 인체로 흡수되는 에너지의 양을 평가한다. 교번(alternate) 요건 하에, 20 센티미터 초과의 거리를 두고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최대 허용가능한 노출(MPE: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계산 또는 측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특히, 동시 송신기들이 공통 안테나를 공유하는 구성들의 경우 뿐만 아니라, 송신기들이 공동-위치된 안테나들(예를 들어, 서로 아주 근접해 있는 별개의 독립 안테나들)을 가지는 구성들에서, SAR 요건의 준수는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기들이 동시에 송신하게 하거나 또는 인체 가까이에서 또는 인체 내부에서 동작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과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동-위치된"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아주 근접해 있는"을 의미하며, 서로 아주 근접해 있는 별개의 디바이스들 또는 동일한 디바이스 인클로저(enclosure) 내의 송신기들 또는 안테나들에 적용된다. 이것은 SAR 테스팅을 받는 모바일 전화들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그러할(true) 수 있지만, 또한 고-전력 송신기들, 이를테면, 안테나 측에서 다른 송신기들과 공동-위치된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기지국에 대해서도 관심사(concern)일 수 있다.
모든 송신기들이 동시에 송신하며 송신기들의 최대 허용가능한 송신기 전력으로 동작하면서도,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RF 노출 요건들을 준수하여야 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이 동시 송신기 구성에서의 규제적인 한도의 준수를 달성하게 설정되도록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기지국(240), 셀(104), 사용자 장비(106)(이를테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108)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가 오직 하나의 셀(1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104)에서의 통신 커버리지는 기지국(2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24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6, 108)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은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기지국(240)과 통신할 수 있다. FL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의 통신 링크이다. RL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이다. 기지국(240)은, 예를 들어,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다른 셀들 내의 기지국들(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상호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240)은 다른 셀들 내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셀(104)은 이웃 내의 수 블록들만을 또는 시골 환경에서는 수 평방 마일을 커버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섹터들(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추가적인 셀들을 포함함으로써,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큰 지리적 영역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106)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또는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라우터, 개인용 컴퓨터, 서버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AT),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또는 단말 디바이스라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6, 108)은 모바일 전화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적합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106)가 다른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무선 디바이스(108) 또는 다른 셀 내의 무선 디바이스(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 및 이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6)는 무선 링크를 통해 기지국(240)과 처음 통신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6)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2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240)은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른 무선 디바이스, 이를테면, 무선 디바이스(108)에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6)는 복수의 공동-위치된 송신기들을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걸쳐 복수의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는 4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106, 210, 220, 230) 및 기지국(24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6, 210, 220, 230)과 기지국(24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106, 210, 220, 230)은,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들, PDA들, 음악 플레이어들, 비디오 플레이어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들, 텔레비전들, 전자 게임 시스템들, 디지털 카메라들, 비디오 캠코더들, 시계들, 리모컨들, 헤드셋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6)는 디바이스(106) 상에 공동-위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을 통해 디바이스들(210, 220, 230, 240) 각각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06)는 다양한 통신 채널들을 통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210, 22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채널들은 당해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울트라-광대역(UWB: Ultra-Wide Band) 채널들, Bluetooth 채널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 채널들(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 IEEE 802.11n), IR(infrared) 채널들, ZigBee(IEEE 802.15) 채널들, 또는 다양한 다른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채널은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368 표준을 따르는 UWB 채널일 수 있다. 다른 채널들 역시 가능한 것으로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는 물리적 영역, 이를테면, 집, 사무실, 또는 빌딩들의 그룹을 커버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IEEE 802.11 표준(예를 들어, IEEE 802.11g),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들을 위한 표준들과 같은 표준들을 사용할 수 있다. WLAN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간에 직접 통신하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는 예를 들어, 수 미터의 영역에 걸치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를 포함할 수 있다. WPAN은 적외선, Bluetooth, WiMedia 기반 UWB 표준(예를 들어, ECMA-368), 및 ZigBee 표준들,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들을 위한 표준들과 같은 표준들을 사용할 수 있다. WPAN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간에 직접 통신하는 피어-투-피어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6)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이를테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에 걸쳐 전송되는 메시지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6)의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중요도들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의 양상들이 도 1을 참조할 수 있지만, 당업자는 다음의 양상들이 다른 통신 표준들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양상들은 UMTS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가능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200)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및 OFDM 시스템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타입의 통신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예를 들어, 단일 디바이스 또는 다수의 이웃 디바이스들 상에서) 송신기들이 그들이 서로 아주 근접해 있음을 의미하는 "공동-위치" 될 때 제 1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전력 레벨들은 예를 들어, 모든 송신기들의 결합된 전력이 규제적인 라디오 주파수 (RF) 안전 요건들을 준수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을 이용하는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들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값들 또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은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주파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대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은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전력 레벨 및 송신기들이 활성인 시간 듀레이션은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의 송신기들의 시간 평균화된 전력이 RF 노출 한도 아래로 떨어지도록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송신기들의 우선순위가 먼저 결정될 수 있고,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은 더 높은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2개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 내의 송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양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6)는 모바일 디바이스(106) 상에 공동-위치된 2개의 안테나들(304, 308)을 포함한다. 안테나(304)는 제 1 송신 모듈(302)과 연관된다. 안테나(308)는 제 2 송신 모듈(306)과 연관된다. 이러한 송신 모듈들은 각각의 안테나들을 통해 통신 신호들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302)은 안테나(304)가 이용될 수 있는, 음성 통신들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송신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송신 모듈(306)은 안테나(308)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오직 2개의 송신기들만이 여기에 도시되지만, 당업자는 임의의 수의 송신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것이다. 또한, 송신기들은 안테나 측에서의 다른 송신기들과 공동-위치된 기지국과 같이 서로 아주 근접해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미도시) 또는 단일 디바이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송신 전력 레벨들은 "전력 룩업 테이블"(310)을 사용하여 규제적인 요건들과 일치하도록 안테나들(304, 308) 각각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전력 룩업 테이블은 도 4a 및 도 4b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저장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의 우선순위 송신기 및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 둘 다의 전력 레벨들은 이들의 누적 SAR이 규제적인 요건들 내에서 유지되도록 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 양상들에서, 전력은 제 1 송신기에 대하여 먼저 세팅되고, 이후 제 1 송신기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나머지 송신기들에 대한 대응하는 전력 레벨이 세팅되어, 이들의 결합된 SAR 효과는 규제적인 한도들 내에 있다. 이러한 양상들에서, 제 1 송신기의 전력 레벨과 다른 송신기들에 대한 전력 레벨들 사이의 관계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 룩업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송신 모듈들(302, 306)은 이들의 각각의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송신 모듈(306)은 룩업 테이블(310)을 사용하여 제 1 모듈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고정된 값만큼 안테나(308)의 최대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이한 송신기-주파수 결합들을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룩업 테이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전력 룩업 테이블(310)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제공한다. 도 4a에서의 룩업 테이블은 2개의 열들 및 4개의 행들을 포함한다.
테이블의 헤더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4a의 테이블은 송신기들이 동일한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식 또는 고정식) 상에 공동-위치될 때, 또는 송신기들이 별개의 이웃 디바이스들 상에 서로 아주 근접하게 배치될 때, 제 1 송신기(예를 들어, 850 MHz)의 값들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예를 들어, 700 MHz) 상에 부과된 최대 전력 감소를 도시한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제 1 송신기의 전력에 대하여 몇몇 임계 값들이 정의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다른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2 데시벨 밀리와트(dBm)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가 제 1 송신기(302)에 의해 생성될 때, 6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다.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20 dBm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이고 22 dBm 미만인 경우, 4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다.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18 dB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이고 20 dB 미만인 경우, 2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18 dBm 미만인 경우, 제 2 송신기에 백오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송신기 및 제 2 송신기의 결합된 효과들은 규제적인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의 테이블은 700 MHz 송신기와 공동-위치된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예를 들어, 850 MHz)와 2.4 GHz WLAN 송신기 사이의 예시적인 전력 관계들을 도시한다. 도 4a와 유사하게,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에 대한 송신 전력 값들은 제 2 송신기 및 제 3 송신기 각각에 대하여 부과되는 백오프들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와 같이, 제 2 송신기 및 제 3 송신기 상에 부과되는 백오프들은 제 1 송신기에 대하여 감소된 값들에 의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테이블 4b는 제 1 송신기가 22 dBm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의 전력을 사용할 때, 6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고, 3 dB 백오프가 제 3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20 dB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이고 22 dB 미만인 경우, 4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고, 3 dB 백오프가 제 3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다.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18 dB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이고 20 dB 미만인 경우, 2 dB 백오프가 제 2 송신기 상에 부과될 수 있고, 제 3 송신기는 변화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송신기가 18 dB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 2 송신기 및 제 3 송신기는 변화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제시되는 값들은 단순한 예들이고, 이 값들은 임의의 고정된 또는 가변 값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상이한 주파수들 하에서 동작 중인 임의의 수의 송신기들(예를 들어, 둘 또는 셋 이상)은 단일 디바이스 또는 다수의 이웃 디바이스들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테이블 4a 및 테이블 4b에서의 값들은 2-단계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각각의 송신기 전력 레벨에 대한 "스케일링 인자(scaling factor)"가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송신기들은 내림차순의 상대적인 우선순위의 레벨들로 순서화된다. 제 2 단계에서, 이러한 "스케일링 인자들"은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값에 기초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백오프 크기 엔트리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의 각각의 가능한 범위(도 4a 및 도 4b의 열 1)에 대하여, 각각의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에 대한 엔트리들은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의 가능한 전력 범위 및 스케일링 인자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각각의 행들).
주어진 지점 r에서의 N 개의 송신기들의 누적 흡수율 효과(SAR (r) Total )는 다음과 같이 기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수식(2)
최대 송신 전력에서의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의 송신기 t에 대하여 측정된 SAR은 SAR t (r)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스케일링 인자
Figure pct00005
는 0과 1 사이의 수일 수 있는 송신기 t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스케일링 인자를 나타낼 수 있다. 수식 (2)는 각각의 송신기가 주어진 송신기 결합에 대하여 타겟 SAR 값을 달성하도록 어떻게 스케일링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타겟 SAR 값 SAR (r) Total 은 SAR 한도 마이너스 원하는 마진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멀티-송신기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500)을 도시한다.
502에서, 디바이스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한다. 504에서, 디바이스는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고, 여기서 제 1 송신기 유닛 및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한다. 일부 양상들에 대하여, 송신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는 임계치(예를 들어, 20 센티미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506에서, 디바이스는 전력 레벨 및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송신기 유닛 및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고, 여기서 제 1 송신기 유닛 및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디바이스는 위의 동작들을 반복함으로써 나머지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을 계속 조정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송신 시스템은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는 대신에) 전력 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 값만큼 공동-위치된 동시의 또는 거의-동시의 송신기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조정 알고리즘은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 규제적인 RF 노출 한도,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및/또는 각각의 송신기에 대한 측정된 SAR 값들을 고려할 수 있다.
SAR 요건들이 평균 송신 전력과 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할 수 있으므로, 알고리즘은 제 1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에 대한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모든 송신기들(예를 들어, N개)로부터의 SAR 기여(contribution)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케일링 인자들(예를 들어, 각각의 송신기 유닛에 대한 인자)은 결합된 SAR이 규제적인 한도와 연관된 타겟 값과 동일하도록 계산될 수 있다. 송신기들의 각각의 주파수 결합에 대하여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송신기들 각각의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600)를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안테나 1(6221), ..., 안테나 M(622M))에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송신기 유닛들(예를 들어, TX 유닛 1(6021), ..., TX 유닛 N(602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 유닛들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송신기(예를 들어, 최고 우선순위를 가짐)의 송신 전력을 식별하는 TX 전력 식별 컴포넌트(6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에 대한 송신 전력을 선택하거나 또는 모든 TX 유닛들의 송신 전력들의 결합이 규제적인 한도들 미만이도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는 TX 전력 결정 컴포넌트(6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8)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예를 들어, 6101, ..., 610L)을 저장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들은 제 1 송신기들 및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들을 결정하는 TX 전력 결정 알고리즘(612)에 대한 코드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 유닛들의 송신을 위해서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한 듀티 사이클 결정 컴포넌트(614)를 포함할 수 있다.
TX 전력 조정 컴포넌트(616)는 송신 유닛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듀티 사이클 조정 컴포넌트(618)는 TX 유닛들(예를 들어, 6022) 각각에 의해 송신들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X 유닛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620)는 TX 유닛들 각각에 의해 송신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624)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신호들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6) 내의 송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되는 송신 시스템과 유사한데, 전력 감소 알고리즘(702)을 사용하여 전력 조정이 수행될 수 있는 차이점을 가진다. 전력 감소 알고리즘은 다음의 파라미터들: 규제적인 RF 노출 한도,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및 송신기들 각각에 대한 측정된 SAR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하여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을 기반으로 각각의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에 대한 전력 감소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기에 대한 결과적인 RF 노출 값과 평균 전력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가 존재하므로, RF 노출 평가를 위한 임계 파라미터는 평균 전력일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디바이스 상의 공동-위치된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 및 듀티 사이클(예를 들어, 각각의 송신기가 활성이거나 또는 턴 오프되는 시간 듀레이션)은 규제적인 RF 노출 한도의 준수를 달성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송신기들 각각의 최대 송신기 전력 및 듀티 사이클은, 각각의 개별 송신기의 유효 평균 전력을 변경하고 디바이스의 총 RF 노출 레벨을 조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가 설계될 때, 베이스라인 RF 노출 결과들을 설정하기 위해서 RF 안전 준수에 대한 디바이스의 성능이 프로파일링된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디바이스의 베이스라인 RF 노출을 사용하여, 송신기의 최대 송신 전력 및/또는 듀티 사이클은 디바이스의 전체 RF 노출 성능을 감소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최대 송신 전력은 각각의 송신기로부터의 SAR 기여를 감소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송신기의 듀티 사이클은 각각의 송신기로부터의 기여를 낮추기 위해서 감소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RF 노출은 피크 값으로서 보고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송신기 파라미터들은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시간 평균화된 SAR이 SAR 한도 미만이도록, (각각의 레귤레이터(regulator)에 의해 허용되는 경우) 송신 동안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단 기간의 시간 동안 SAR 한도보다 높은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지만, 송신기의 평균 전력이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SAR 한도보다 낮도록 나머지 시간 동안 더 낮은 전력 값들로 송신한다(또는 오프된다). 제 1 송신기, 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이 정의된 기간의 시간 동안 자신들의 송신 전력 값들을 조정하기 위해서 시간 평균화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접속 동안 각각의 송신기의 송신된 전력의 실시간(live) 지식에 의해, 디바이스는 모든 송신기들에 대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분석하며, 각각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따라서, 최대 송신 전력은 요구되는 RF 노출 한도의 준수를 유지하면서 최적의 접속 성능을 제공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송신기 성능을 어떻게 변경할 지에 대한 결정 프로세스는 디바이스 설계, 무선 접속들에 대한 요건들, 및 SAR에 대한 시간 한도의 적용가능성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CDMA2000 및 UMTS와 같은 기술들은 시간 듀플렉스 특징을 고유하게 가진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듀티 사이클을 변화시키는 것은 송신기가 얼마 동안 활성인 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특정 구현 또는 표준 변화를 요구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은 MPE 및 SAR 둘 다에 대한 준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최대 송신 전력 및 송신기 듀티 사이클들이 SAR 준수를 달성하도록 조정되는 예시적인 구현이 뒤따른다. 일정 기간의 시간 "T" 동안의 평균 SAR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기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Figure pct00007
은 최대 송신기 전력에서의 송신기 n에 대한 송신 전력 스케일링 인자 대 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8
는 송신기 n에 대한 송신 전력 듀티 사이클 스케일링 인자 대 시간을 나타내며, SAR Target 은 규제적인 노출 한도 및 마진에 기초하는 원하는 SAR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멀티-송신기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800)을 도시한다.
80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80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 제 1 송신기 유닛 및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제 1 송신기 유닛 및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한다. 또한, 송신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는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도 9는 2개의 송신기들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적인 SAR 준수를 도시한다. 테이블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 SAR들은 1.6 mW/g의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한도를 준수하지만, 결합된 SAR 값(예를 들어, 총 SAR 합(902))은 SAR 한도를 초과한다. 테이블은, 하나의 송신기의 듀티 사이클을 25%의 인자만큼 감소시키고 송신기들 중 하나를 4.8 dBm만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두 송신기들 모두에 대한 송신 전력 및 듀티 사이클들을 감소시키는 것의 조합에 의해, SAR 준수가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디바이스 상의 송신기들은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들의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시간 도메인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 전에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우선순위들을 세팅함으로써, 특정 송신기들에는 디바이스 내의 다른 송신기들보다 송신기들의 전력 수요들의 더 많은 유연성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송신기들은 디바이스 내의 다른 송신기들에 비해 최고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더 낮은 우선순위 송신기들에 대한 전력 레벨을 결정할 때 우선순위 송신기의 전력 레벨이 사용될 수 있다.
여전히 충분한 최종 사용자 경험 및 적절한 동작가능한 작동을 유지하면서 규제적인 준수를 달성하기 위해서 송신기 출력 전력 또는 듀티 사이클이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는데 추가적인 결정 수행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설명되는 테이블에서, 제 1 850 MHz 송신기가 700 Mhz 송신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고 결정되었으며, 700 Mhz 송신기에는 차례로 2.4 GHz WLAN 송신기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졌다. 이러한 결정은 룩업 테이블에서의 전력 레벨 제한들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송신기들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는 시스템에서 하드코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양상들에서, 우선순위는 사용 중에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공동-위치된 동시 송신기들을 가지는 UE는 복수의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송신기들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우선순위, 이용가능한 안테나들, MIMO, 주파수 대역들, 송신기들, 데이터 우선순위들, 네트워크의 로드, RF 조건들(예를 들어, 수신 품질, 주파수 대역, 등), 이용가능한 기술들, 데이터 접속의 비용(예를 들어, WWAN 대 무료 WLAN 또는 WPAN, USB 접속), 등에 기초하여 자신의 송신기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최고 우선순위 송신기들에 최대 가능한 전력을 할당하는 동안 일부 송신기들의 성능을 제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송신기가 현재 사용되는 서비스의 타입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6)가 셀룰러 전화인 경우, 음성 통신 서비스들에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액세스, 또는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상이한 음성 서비스들은 추가적으로 상이하게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들의 "홈" 네트워크 외부로(다른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 로밍할 때, 초과 요금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송신기에는 더 낮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또한, 비상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에는 서비스들의 이전의 관계와 상관없이 임의의 다른 서비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내의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1000)을 도시한다. 100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100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상기 개시의 대부분이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송신기 유닛들이 단일 디바이스 상에 위치된다고 가정하지만, 송신 유닛들은 또한 서로 아주 근접해 있는 별개의 디바이스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송신기 유닛들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작은 지연을 가지고 동작을 시작하거나 또는 종료함). 또한, 제안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 유닛들의 전력 레벨이 제 1 송신기 유닛의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이 도면들에 도시되는 수단+기능 블록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전력 레벨을 식별할 수 있는 회로 또는 디바이스, 이를테면, TX 전력 식별 컴포넌트(604)일 수 있다.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전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회로 또는 디바이스, 이를테면, TX 전력 결정 컴포넌트(606)일 수 있다.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회로 또는 디바이스, 이를테면, TX 전력 조정 컴포넌트(616)일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듀티 사이클을 선택할 수 있는 회로 또는 디바이스, 이를테면, 듀티 사이클 결정 컴포넌트(614)일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되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Figure pct00009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적용가능한 기지국 및/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시키거나 또는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들의 방법들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1)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2)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또한,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1)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그리고 (2)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적응되는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방법들 및 장치는 이러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준수를 (예를 들어,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보장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 이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36)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값들 또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은,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데이터 우선순위들,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들, 네트워크의 로드, 라디오 주파수 조건들, 이용가능한 기술들 및 데이터 접속의 비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상이한 장치들 상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둘 또는 셋 이상의 송신기 유닛들의 둘 또는 셋 이상의 송신 전력 레벨들이 조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규제적인(regulatory)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및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과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시간 기간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평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의 평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및 전력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선택된 활성 시간 기간 및 선택된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상이한 장치들 상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고,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6.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값들 또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전력 조정 값들은,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데이터 우선순위들,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들, 네트워크의 로드, 라디오 주파수 조건들, 이용가능한 기술들 및 데이터 접속의 비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상이한 장치들 상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둘 또는 셋 이상의 송신기 유닛들의 둘 또는 셋 이상의 송신 전력 레벨들이 조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규제적인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및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과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시간 기간을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평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의 평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및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선택된 활성 시간 기간 및 선택된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상이한 장치들 상에 위치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하고,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송신기 유닛의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은,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및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2.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은,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3.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명령들은,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34.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상기 전력 레벨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룩업 테이블들로부터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전력 식별자를 선택하고 ―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함 ― ; 그리고
    상기 전력 레벨 및 상기 전력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의 송신 전력 레벨들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5.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 2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총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고,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 및 상기 제 2 송신기 유닛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6.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제 1 전력 레벨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활성 시간 기간 또는 제 2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의해 사용되는 평균 전력은, 라디오 주파수(RF) 노출 한도, 상기 RF 노출 한도에 대한 타겟 마진 또는 상기 제 1 송신기 유닛에 대한 측정된 SAR(specific absorption limit)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허용가능한 전력 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인,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KR1020137004686A 2010-07-26 2011-07-26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의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0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776710P 2010-07-26 2010-07-26
US61/367,767 2010-07-26
US201161448110P 2011-03-01 2011-03-01
US61/448,110 2011-03-01
US13/190,228 US20120021707A1 (en) 2010-07-26 2011-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US13/190,228 2011-07-25
PCT/US2011/045368 WO2012018625A1 (en) 2010-07-26 2011-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wireles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741A true KR20130069741A (ko) 2013-06-26
KR101540697B1 KR101540697B1 (ko) 2015-07-30

Family

ID=4549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686A KR101540697B1 (ko) 2010-07-26 2011-07-26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의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021707A1 (ko)
EP (1) EP2599355A1 (ko)
JP (1) JP5752793B2 (ko)
KR (1) KR101540697B1 (ko)
CN (1) CN103026764B (ko)
WO (1) WO2012018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815B1 (en) 2004-04-02 2014-02-18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94436B2 (en) 2004-04-02 2022-07-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8542763B2 (en) 2004-04-02 2013-09-24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10200094B2 (en) 2004-04-02 2019-02-05 Rearden, Llc Interference management, handoff,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DIDO) communication systems
US10749582B2 (en) 2004-04-02 2020-08-18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transmissions in distributed wireless systems via user clustering
US9312929B2 (en) 2004-04-02 2016-04-12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to compensate for Doppler effects in multi-user (MU) multiple antenna systems (MAS)
US10277290B2 (en) 2004-04-02 2019-04-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xploit areas of coherence in wireless systems
US10886979B2 (en) 2004-04-02 2021-01-05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DIDO multicarrier systems
US10425134B2 (en) 2004-04-02 2019-09-24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10985811B2 (en) 2004-04-02 2021-04-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451275B2 (en) 2004-04-02 2022-09-20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87133B2 (en) * 2004-04-02 2019-01-22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and antenna grouping in a distributed-input-distributed-output (DIDO) network
US11309943B2 (en) 2004-04-02 2022-04-19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s for planned evolution and obsolescence of multiuser spectrum
US9685997B2 (en) 2007-08-20 2017-06-2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spatial diversity in distributed-input distributed-output wireless systems
US20120021707A1 (en)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US9026059B2 (en) * 2011-02-17 2015-05-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daptive maximum power limiting using capacitive sensing in a wireless device
CN103748803B (zh) * 2011-08-23 2018-08-28 谷歌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多种模式的移动设备向基站发射信号的方法
JP2013143575A (ja) * 2012-01-06 2013-07-22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制御方法
WO2013176658A1 (en) * 2012-05-23 2013-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ing a duty cycle of wireless transmissions
JP5881543B2 (ja) * 2012-06-25 2016-03-0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64169A1 (en) * 2012-09-05 2014-03-06 Qualcomm Incorporated Duty cycled transmissions
US9107168B2 (en) * 2012-09-19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eemptive battery voltage management in multi-SIM mobile devices
US9197166B2 (en) 2012-09-26 2015-11-24 Apple Inc. Increasing power amplifier linearity to facilitate in-device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101710960B1 (ko) * 2012-09-26 2017-02-28 애플 인크. 무선 통신 기술들 간의 디바이스 내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전력 변조
US1118991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radioheads
US10194346B2 (en) 2012-11-26 2019-01-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US11190947B2 (en) 2014-04-16 2021-11-30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spectrum usag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11050468B2 (en) 2014-04-16 2021-06-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20140213192A1 (en) * 2013-01-31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ecific absorption rate reduction
US9031607B1 (en) * 2013-02-28 2015-05-1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tilizing signal powers associated with multiple channels of a mobile device to facilitate network selection
US9497541B2 (en) * 2013-02-28 2016-11-15 Gn Resound A/S Audio system for audio streaming and associated method
US9538284B2 (en) 2013-02-28 2017-01-03 Gn Resound A/S Audio system for audio streaming and associated method
US10164698B2 (en) 2013-03-12 2018-12-25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ploiting inter-cell multiplexing gain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via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technology
RU2767777C2 (ru) 2013-03-15 2022-03-21 Риарден, Ллк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калибров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инципа взаимности каналов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распределенным входом - распределенным выходом
US9300342B2 (en) * 2013-04-18 2016-03-29 Apple Inc. Wireless device with dynamically adjusted maximum transmit powers
US9871544B2 (en) 2013-05-29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ecific absorption rate mitigation
US10893488B2 (en) 2013-06-14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o frequency (RF) power back-off optimization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compliance
JP2015008608A (ja) * 2013-06-25 2015-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CN103401572B (zh) * 2013-08-06 2015-04-22 成都博高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通信模块及其发射功率的方法
GB2531224B (en) * 2013-08-08 2020-02-12 Procter & Gamble Sensor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ensor gates
CN104640187B (zh) * 2013-11-07 2019-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射功率控制方法及装置
WO2015073024A1 (en) * 2013-11-15 2015-05-2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transmit power adaptation for wireless platform
US10044095B2 (en) 2014-01-10 2018-08-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ting structure with integrated proximity sensing
US9813997B2 (en) 2014-01-10 2017-1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enna coupling for sensing and dynamic transmission
US9563316B2 (en) 2014-01-10 2017-02-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ofrequency-wave-transparent capacitive sensor pad
KR102194839B1 (ko) * 2014-04-1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290162B2 (en) 2014-04-16 2022-03-29 Rearde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in actively used spectrum
US9781687B2 (en) * 2014-05-20 2017-10-03 Apple Inc. Controlling radio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980232B2 (en) * 2014-05-30 2018-05-22 Apple Inc. Traffic shaping to mitigate brownout conditions
US9791490B2 (en) 2014-06-09 2017-10-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coupler for tapping antenna signals
US9769769B2 (en) 2014-06-30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proximity using antenna feedback
US9785174B2 (en) 2014-10-03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ack-off
US9871545B2 (en) 2014-12-05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specific absorption rate adjustment
US9781683B2 (en) 2014-12-16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transmit power limits using a combined specific absorption measurement for multiple transmitters
US9882398B2 (en) * 2015-01-05 2018-01-30 Ossia Inc. Techniques for reducing human exposure to wireless energy in wireless power delivery environments
US9560601B2 (en) * 2015-03-06 2017-01-31 Apple Inc. Radio frequency system power back off systems and methods
JP6633071B2 (ja) * 2015-05-29 2020-01-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380541B1 (en) * 2015-06-02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specific absorption rate distribution to maximize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EP3911038B1 (en) * 2015-09-29 2023-09-20 Honor Devic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US10013038B2 (en) 2016-01-05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antenna power control for multi-context device
CN105657656B (zh) * 2016-01-06 2019-04-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功率调整方法及用户设备
WO2017163583A1 (ja) * 2016-03-22 2017-09-28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034297B2 (en) * 2016-04-20 2018-07-24 Rakuram Ghandi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xposure of human to radio frequency radiation
EP3264619B1 (en) * 2016-07-01 2019-09-04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collocated transceivers
US10251137B2 (en) 2016-07-15 2019-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level based on remaining power level in immediately preceding time period
US11368926B2 (en) * 2016-12-12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power limit and corresponding constraint
US10461406B2 (en) 2017-01-23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op antenna with integrated proximity sensing
US10337886B2 (en) 2017-01-23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tive proximity sensor with adaptive electric field control
US10224974B2 (en) 2017-03-31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independent SAR mitigation
US11412462B2 (en) * 2017-04-14 2022-08-09 Intel Corporation Enhanced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465059B1 (ko) * 2017-10-19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324014B2 (en) * 2017-12-22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Exposure detect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WO2019173590A1 (en) * 2018-03-08 2019-09-12 Supply, Inc.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power delivery
US11412523B2 (en) 2018-04-06 2022-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transmitter out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ased on regulatory RF exposure limits
EP4007383B1 (en) * 2018-05-11 2023-12-27 Apple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specific absorption rate of radio energy transmission
CN110493871B (zh) * 2018-05-14 2020-12-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降低sar值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US10652833B2 (en) * 2018-07-05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Evaluating radio frequency (RF) exposure in real time
BR112021005623A2 (pt) * 2018-09-25 2021-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e dispositivo terminal
US10939387B2 (en) * 2018-09-28 2021-03-02 Apple Inc. Granular adjustment of antenna power in multi-radio systems
CN109889214B (zh) * 2019-02-25 2021-10-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降低sar值的方法及移动终端
US11601897B2 (en) * 2019-05-31 2023-03-07 Apple Inc. Dynamic adjust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CN112448732B (zh) * 2019-09-02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设备的射频暴露控制方法、装置及无线设备
EP3796009B1 (en) * 2019-09-18 2024-03-06 Rohde & Schwarz GmbH & Co. KG Sar measurement for a combined 5g and lte rf device
KR20210056128A (ko) * 2019-11-08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안테나 선택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30007598A1 (en) * 2019-12-20 2023-0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mit power of wireless communication
US11664841B2 (en) * 2020-07-15 2023-05-30 Qualcomm Incorporated Reductions in transmit power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s of radio frequency exposure in multi-transmitter scenarios
US20220116949A1 (en) * 2020-10-08 2022-04-14 Qualcomm Incorporated Allocation of transmit power in compliance with rf exposure requirements
WO2022221435A1 (en) 2021-04-14 2022-10-20 Supply,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networking
WO2022251774A1 (en) * 2021-05-26 2022-12-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caling a transmit power limit
US11595072B2 (en) * 2021-07-09 2023-02-2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exposure control with wireless links
CN114040490A (zh) * 2021-10-25 2022-02-11 荣耀终端有限公司 多发射机场景下确定发射机的最大发射功率的方法和产品
EP4181586A1 (en) * 2021-11-16 2023-05-17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of transmit power control for multiple transceivers in a single device or in a multiple device scenario
WO2024076150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Sar에 기반하여 백 오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275A (en) * 1993-12-17 1996-06-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Averaged RF exposure control
US6778612B1 (en) * 2000-08-18 2004-08-17 Lucent Technologies Inc. Space-time processing for wireless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US7610027B2 (en) * 2002-06-05 2009-10-27 Mesh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specification absorption rate at a wireless node
US7072679B2 (en) * 2002-06-28 2006-07-04 Harris Corporation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disabling
US7606590B2 (en) * 2004-04-07 2009-10-20 Atc Technologies, Llc Satellite/hands-free interlock systems and/or companion devices for radioterminals and related methods
US7447516B2 (en) * 2004-06-09 2008-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enhanced uplink service
KR100696208B1 (ko) * 2004-12-08 2007-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송신기 및 수신기
US20070111681A1 (en) * 2005-11-14 2007-05-17 Alberth William P Jr Transmit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35154A1 (en) * 2005-12-14 2007-06-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tter power using antenna loading on a multi-antenna system
US8693950B2 (en) * 2006-03-23 2014-04-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device
US20090093219A1 (en) * 2006-04-28 2009-04-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69888B2 (ja) 2006-11-29 2012-02-0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
US20090047998A1 (en)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levels for a mobile station having transmit diversity
US8731595B2 (en) * 2009-05-14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for a moblie device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n multiple air interfaces
EP2403302B1 (en) * 2010-06-29 2017-01-04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ignals simultaneously using at least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nd method thereof
US20120021707A1 (en)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9355A1 (en) 2013-06-05
US20180070320A1 (en) 2018-03-08
US10595282B2 (en) 2020-03-17
JP5752793B2 (ja) 2015-07-22
KR101540697B1 (ko) 2015-07-30
CN103026764B (zh) 2016-05-25
CN103026764A (zh) 2013-04-03
JP2013537755A (ja) 2013-10-03
WO2012018625A1 (en) 2012-02-09
US20120021707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2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US99927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transmission level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190222326A1 (en) Scheduling for power amplifier characterization
EP3132643B1 (en) Channel selection scanning in shared spectrum
EP28336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for two networks in a communication device
US8588696B2 (en) Adaptive cellular power control
EP2707972B1 (en) Data driven adaptive receive chain diversity processing
TW201828746A (zh) 報告功率限制和對應的約束
CN111480301A (zh) 毫米波系统中的照射量检测
US11310751B2 (en)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assisted uplink traffic grant allocation
US9832779B2 (en) Managing interference between collocated radios
US20100220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verage for ul transmission over e-dch in idle mode and cell_fach state
WO2017034735A1 (en) Real-time specific absorption rate implementation in wireless devices
JP2005529561A (ja) 無線アドホック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ポータブル・デバイス用のデューティ・サイクル限度を有するmacプロトコル及びこれを使用する方法
US1032133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antenna beamforming settings
EP246417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adjustment method thereof
TW201004397A (en) Dynamic coverage adjust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EP239445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646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collocated transceivers
EP3335509B1 (en) Method used in radio node, radio nod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10321340A1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haring a Total Power Budget Between at Least Two Transmitters
US9723570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27797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wer transmission level for a communica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Bhattarai et al. Co-existence of NB-IoT and radar in shared spectrum: An experimental study
US2019027416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