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014A -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014A
KR20130068014A KR1020110135120A KR20110135120A KR20130068014A KR 20130068014 A KR20130068014 A KR 20130068014A KR 1020110135120 A KR1020110135120 A KR 1020110135120A KR 20110135120 A KR20110135120 A KR 20110135120A KR 20130068014 A KR20130068014 A KR 2013006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dentifiers
connection identifiers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179B1 (ko
Inventor
황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79B1/ko
Priority to PCT/KR2012/010631 priority patent/WO2013089393A1/en
Priority to US13/708,023 priority patent/US9491759B2/en
Publication of KR2013006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스케줄링시 각 접속 식별자(CID)가 차지하는 전송 요청 및 응답에 대한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ONNECTION IDENTIFIERS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접속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 CID)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기와 통신 시스템의 발달로,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든 쉽게 얻거나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의 등장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 인프라가 구축된 경우에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 및 공유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시스템의 복잡도나 시간적인 지연에 의해, 일상 생활 공간에서의 사소하지만 유용한 실시간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통신 인프라가 없는 공간에서 기지국 등의 네트워크 개체를 거치지 않고 단말간에 직접적으로 단말간 통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말간 통신(혹은 단말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D2D)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단말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은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자원을 통해 주변 단말을 발견하고 통신하고 싶은 상대 단말과 통신 접속을 위한 접속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 CID)를 생성한다. 즉, 근거리 내에 단말간 직접 통신을 시도할 수 있는 다수의 단말들이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들 간에 복수의 접속들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접속들이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속은 고유한 접속 식별자(CID)에 의해 식별되며, 해당 CID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접속의 통신이 허용된다.
각 접속은 데이터 전송의 타입에 따라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운반하거나 혹은 적은 양의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즉 단말은 CID를 할당받더라도, 가끔씩 혹은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도 상기 할당된 CID를 가지는 접속은 자신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된 자원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CID)를 효과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CID)의 할당에 의해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CID)를 다중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는 제어기와,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로 제공하는 수신기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스케줄링시 각 접속 식별자(CID)가 차지하는 전송 요청 및 응답에 대한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단말간 통신에서 무선 자원의 낭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식별자들과 트래픽 슬롯의 매핑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식별자의 할당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접속 식별자 할당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접속 식별자 할당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간 직접 통신은 발견(Discovery)(102), 페이징(104,106), 트래픽 교환(108)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발견 단계(102)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은 주변 단말과의 동기를 획득하고, 이후 기 설정된 시점 및 자원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을 발견(discovery)하여, 상기 발견된 주변 단말의 단말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단말 정보는, 일 예로 해당 주변 단말의 식별 정보, 관심 분야(interest) 및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징 단계(104,106)에서 각 단말은 상기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주변 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시도하여, 이후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기 위한 접속 식별자(CID)를 획득한다. 접속 식별자는 각각의 단말간 통신을 위한 논리적 접속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페이징 단계(104,106)에서 할당되는 접속 식별자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기 위한 고유의 자원을 가진다. 페이징 구간 동안, 접속 식별자가 필요한 각각의 단말은 각 접속 식별자의 자원을 청취(listen)하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단말간 통신을 원하는 상대(peer) 단말을 포함한 주변 단말들에게 알린다.
페이징은 숏 페이징(short paging)(104)과 풀 페이징(full paging)(106)으로 이루어진다. 숏 페이징(104)은 미리 정해지는 청취(listening) 구간 동안 각 접속 식별자가 사용되는지 아닌지 검출하고, 상대 단말과의 접속을 위해 사용될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미 생성된 접속을 가지고 있는 각 단말은 자신의 접속에 대응하는 자원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정보(110)를 실어 숏 페이징 동안 주위의 단말들에게로 전송함으로써, 주위의 단말들에게 상기 접속 식별자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린다. 상기 정보를 통해 모든 단말들은 전체 접속 식별자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112)를 인식하고, 이들 중에서 사용될 접속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풀 페이징(106)은 상대 단말과 페이징 메시지를 주고 받음으로써, 상기 선택된 접속 식별자를 상대 단말과의 접속에 사용하도록 할당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페이징을 통해 할당된 접속 식별자들에 대한 정보는 주위의 단말들에게 일 예로 주기적인 숏 페이징 구간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주기적인 정보를 통해 주위의 단말들은 사용되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을 알 수 있다.
발견과 페이징을 통해 할당된 접속 식별자들은 고정적으로 무선 자원을 점유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자원 영역에서는 데이터의 전송이 일어날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 접속의 자원 영역은 불필요하게 낭비될 가능성이 크다.
도 2는 단말간 통신에서 접속 식별자에 대한 자원의 고정 할당으로 인해 야기되는 무선 자원의 낭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래픽 교환이 일어나는 트래픽 구간에서 단말간 통신은 각각 송신 블록과 수신 블록으로 일어진 트래픽 슬롯들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송신 블록과 수신 블록의 각각은 주파수 영역의 서브캐리어 혹은 서브채널과, 시간 영역의 심볼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접속 식별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원 영역을 분할된다. 여기서 CID5에 매핑되는 자원 영역(202)에서는 4개의 트래픽 슬롯 중 3개의 트래픽 슬롯에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났지만, CID2에 매핑되는 자원 영역(204)에서는 4개의 트래픽 슬롯 중 단지 1번의 트래픽 슬롯에서만 데이터 전송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CID2에 매핑되는 자원이 크게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간 통신을 위해 할당 가능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은 복수의 그룹(group)으로 그룹화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자주 일어나는 접속에는 어느 한 그룹의 모든 접속 식별자들을 할당하며, 데이터 전송이 가끔 일어나는 접속에는 어느 한 그룹의 일부 접속 식별자들을 할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간 통신을 위해 접속 식별자들 CID1 ~ CID 64가 사용 가능하며, 각 접속 식별자는 송신 블록 혹은 수신 블록 내에서 주파수 및 심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영역에 매핑된다. 상기 접속 식별자들은 각각 4개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16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된다. 일 예로 그룹 1은 CID 1,17,33,49를 포함하며, 그룹 2는 CID 2,18,34,50을 포함한다.
하나의 동일 그룹에 속하는 접속 식별자들은 서로 다른 레이어들에 대응하며, 상기 레이어들은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들에 할당된다. 따라서 각 그룹은 지정된 레이어 개수만큼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각 접속 식별자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의 자원 영역에 매핑되도록 지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식별자들과 트래픽 슬롯의 매핑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 가능한 접속 식별자들 CID1 ~ CID 64 중 CID 1-16은 첫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1)에 매핑되며, CID 17-32는 두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2)에 매핑되며, CID 33-48은 세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3)에 매핑되며, CID 49-64는 네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4)에 매핑된다. 마찬가지로 CID 1-16은 다섯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5)에 매핑되며, CID 17-32는 여섯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6)에 매핑되며, CID 33-48은 일곱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7)에 매핑되며, CID 49-64는 여덟번째 트래픽 슬롯(Traffic Slot 8)에 매핑된다.
상기와 같이 그룹화된 접속 식별자의 그룹들에 대해, 데이터 전송이 자주 일어나는 접속에는 어느 한 그룹의 모든 접속 식별자들이 할당되며, 데이터 전송이 가끔 일어나는 접속에는 어느 한 그룹의 일부 접속 식별자가 할당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이 자주 일어나는 접속이란 일 예로서 영상 통화, 게임 스트리밍 등과 같이 빈번하게 데이터가 전송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이 덜 빈번하게 일어나는 접속은 일 예로서 상대 단말의 원격 제어, 모니터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접속을 설정할 때, 접속에 대응하는 데이터 특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상기 접속이 데이터 전송이 자주 일어나는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지, 혹은 데이터 접속이 가끔 일어나는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른 2가지의 데이터 타입, 즉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설명하였으나, 시스템 설계자, 운영자,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이상의 데이터 타입이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데이터 타입에 대해 적절한 접속 식별자 개수가 시스템 설계자, 운영자,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속 식별자의 할당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A로부터 단말 E로의 접속(502)은 데이터 전송이 가끔 일어나는 데이터 타입(QoS)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접속(502)에 대해서는 하나의 그룹에 속한 2개의 접속 식별자, 일 예로서 그룹 7에 속한 CID7,39가 할당된다. 단말 B로부터 단말 F로의 접속(504) 및 단말 C로부터 단말 G로의 접속(506)은 모두 데이터 전송이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데이터 타입(QoS)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접속(504,506)에 대해서는 각각 1개의 접속 식별자, 일 예로서 그룹 7에 속한 CID23 및 CID 55가 각각 할당된다. 한편 단말 H로부터 단말 D로의 접속(508)은 데이터 전송이 자주 일어나는 데이터 타입(QoS)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접속(508)에 대해서는 한 그룹의 모든 접속 식별자, 일 예로서 그룹 4의 CID4,20,36,52가 할당된다.
여기서 동일 그룹에 속한 접속 식별자들이 할당된 접속들(502,504,506)은 동일한 트래픽 슬롯 내에서,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에 의해 다중화된다.
도 4의 자원 할당 예를 참조하면, 단말 A는 트래픽 슬롯 1,3 동안 CID7,39에 매핑되는 자원 영역들을 통해 단말 E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가지며, 단말 B와 단말 C는 트래픽 슬롯 2와 4 동안 CID23과 CID55에 매핑되는 자원 영역들을 통해 단말 F와 단말 G에게로 각각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가지다. 또한 단말 D는 트래픽 슬롯 1,2,3,4 동안 CID4,20,36,52에 매핑되는 자원 영역들을 통해 단말 H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는 시스템 설계자 혹은 운영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사 혹은 운영자는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각 단말 내에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하며, 각 단말은 단말간 통신을 수행할 때에 상기 그룹화 정보를 읽어내어 접속 식별자들의 할당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는 각 셀 내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거나, 혹은 상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자신의 셀 내에 위치하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들에게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 정보를 제공한다. 혹은 상위 시스템은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 내에 위치하며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들에게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화 정보를 제공한다.
하기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 즉 송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송신 단말과 상대 단말, 즉 수신 단말 간에 Qo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할당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즉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각각은, 직접 통신을 위한 접속의 생성 및 접속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함으로써 접속 식별자의 할당이 필요함을 검출하고, 이미 알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의 그룹 분류에 따라, 요구되는 QoS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할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접속 식별자 할당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 즉 송신 단말은 과정 602에서, 미리 정해지는 숏 페이징 구간 동안 주변의 단말들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중인 접속 식별자들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수신하여,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자신 및 주변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한다.
과정 604에서 송신 단말은 상기 사용되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을 제외한, 사용되고 있지 않는(즉 미사용) 접속 식별자들 중에서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최종적으로 선택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에 관련된 QoS 정보를,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즉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한다. 수신 단말의 단말 식별자는 일 예로, 탐색(Discovery)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접속 식별자들은, 원하는 QoS에 따라 요구되는 접속 식별자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많도록 결정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QoS 정보 대신, 원하는 QoS에 대해 요구되는 접속 식별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직접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과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원하는 QoS를 알 수 있다.
과정 606에서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 선택된 접속 식별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 정보는 수신 단말이 상기 송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자신의 후보 식별자들 및 상기 QoS 정보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QoS에 따라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접속 식별자들이 수신 단말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택되고, 송신 단말에게로 통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접속 식별자 할당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과정 702에서, 미리 정해지는 숏 페이징 구간 동안 주변의 단말들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중인 접속 식별자들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및 수신하여,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자신 및 주변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한다.
과정 704에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단말간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송신 단말에 의해 결정된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최종적으로 선택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에 관련된 QoS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로서, QoS 정보 대신, 원하는 QoS에 대해 요구되는 접속 식별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직접 수신 단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과정 706에서 수신 단말은 상기 과정 702에서 획득한 사용되고 있는 접속 식별자들을 제외한, 사용되고 있지 않는(즉 미사용) 접속 식별자들 중에서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수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 및 상기 QoS 정보를 근거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직접 통신에 사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송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수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 중 중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단말이 QoS에 대해 요구되는 만큼의 접속 식별자들을 후보 접속 식별자들로 결정하여 송신한 경우,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모두 선택하거나,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후보 접속 식별자들 중 수신 단말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접속 식별자를 선택한다.
과정 708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송신 단말에게로 전송되며, 이후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와 그에 대응하는 자원 영역이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은 제어기(8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신기(802)와 수신기(804), 직접 통신에 관련된 정보와 프로그램 코드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806)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기(800)는 상대 단말에게 직접 통신을 위한 접속의 생성 및 접속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와 후보 접속 식별자 및 QoS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신기(802)를 제어하거나, 또한 상대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기(804)를 제어한다. 송신기(802)는 제어기(800)로부터 요청 신호 및 정보를 제공받아 전송하며, 수신기(804)는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요청 신호 및 정보를 제어기(80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기(800)는 미리 정해지는 숏 페이징 구간 동안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송신기(802)가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송신기(802)는 상기 사용 접속 식별자 정보를 주변의 단말들이 모니터링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상기 요청 신호 및 정보를 송신기(802)를 통해 전달한 경우, 제어기(800)는 수신기(804)를 통해, 상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택 접속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기(800)는 상기 수신한 선택 접속 식별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대 단말과의 단말간 직접 통신의 스케줄링에 사용할 접속 식별자를 결정하고 이를 메모리(806)에 저장한다.
상기 요청 신호 및 정보가 수신기(804)를 통해 수신된 경우, 제어기(800)는 상대 단말의 QoS 정보에 따라,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나타내는 선택 접속 식별자 정보를 송신기(802)를 통해 상대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또한 이를 메모리(806)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접속 식별자들은,
    중복되지 않는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그룹화되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의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복수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 내에서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개수 만큼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6.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접속 식별자들은,
    중복되지 않는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그룹화되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의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복수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 내에서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개수 만큼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식별자의 할당 방법.
  11.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을 결정하는 제어기와,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접속 식별자들은,
    중복되지 않는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그룹화되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의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복수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 내에서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개수 만큼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 한 전체 접속 식별자들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를 선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접속 식별자들 중 상대 단말이 직접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정 개수의 후보 접속 식별자들과, 상기 상대 단말과의 사이에 생성하고자 하는 접속의 데이터 특성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로 제공하는 수신기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에 매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될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접속 식별자들은,
    중복되지 않는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로 그룹화되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트래픽 슬롯의 자원 영역에 매핑되는 복수의 접속 식별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 내에서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개수 만큼의 접속 식별자가 상기 접속에 대해 할당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접속 식별자들의 개수는,
    상기 접속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발생 빈도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10135120A 2011-12-15 2011-12-15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0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20A KR102006179B1 (ko) 2011-12-15 2011-12-15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PCT/KR2012/010631 WO2013089393A1 (en) 2011-12-15 2012-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onnection identifier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3/708,023 US9491759B2 (en) 2011-12-15 2012-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onnection identifier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20A KR102006179B1 (ko) 2011-12-15 2011-12-15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014A true KR20130068014A (ko) 2013-06-25
KR102006179B1 KR102006179B1 (ko) 2019-08-02

Family

ID=4861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120A KR102006179B1 (ko) 2011-12-15 2011-12-15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91759B2 (ko)
KR (1) KR102006179B1 (ko)
WO (1) WO20130893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996B1 (ko) * 2021-08-18 2022-03-11 (주)빅인사이트 브라우저 핑거프린팅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8278B2 (en) * 2012-07-20 2017-05-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521391B (zh) * 2013-03-11 2021-02-09 Lg电子株式会社 接收用于在用户设备之间直接通信的同步信息的方法及其的装置
US9900772B2 (en) * 2013-05-09 2018-02-20 Intel IP Corporation Small data communications
CN111858748B (zh) * 2020-06-09 2023-04-28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数据的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2142A1 (en) * 2008-03-13 2009-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nection identifiers having different priorities at different times
US20100085973A1 (en) * 2008-10-07 2010-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or selecting a connection identifi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7872T2 (de) * 1997-09-19 2008-04-10 Hitachi,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bindungsvermittlung und -steuerung
US7023851B2 (en) * 2000-10-12 2006-04-04 Signafor, Inc. Advanced switching mechanism for providing high-speed communications with high Quality of Service
US7177275B2 (en) * 2002-07-26 2007-02-13 Kenneth Stanwoo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systems that offer multiple classes of service
US8018893B2 (en) * 2003-09-03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US7948944B2 (en) * 2005-09-28 2011-05-24 Neocific,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rrier packet communication with reduced overhead
US7831472B2 (en) * 2006-08-22 2010-11-09 Yufik Yan M Methods and system for search engine revenue maximization in internet advertising
US7911936B2 (en) * 2006-10-30 2011-03-2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reduce overhead in OFDMA based wireless networks
US20090017834A1 (en) * 2007-06-01 200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connection identifier in communication system
US8571554B2 (en) * 2007-07-04 2013-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98983B2 (en) * 2007-07-05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traffic signaling i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8005091B2 (en) * 2007-07-10 2011-08-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hybrid connection identifications (IDs) for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8861418B2 (en) * 2007-07-10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group communications with data re-transmission support
US8718548B2 (en) * 2007-07-10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artitioning of links
US20090135817A1 (en) * 2007-08-24 2009-05-28 Assa Abloy Ab Method for computing the entropic value of a dynamical memory system
US20090168722A1 (en) * 2007-10-08 2009-07-02 Yousuf Saifullah Handover procedure
JP4978428B2 (ja) * 2007-10-31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識別子の割当て方法
KR101376462B1 (ko) * 2007-11-23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EP2274931B1 (en) * 2008-04-04 2012-08-01 Nokia Siemens Networks OY Action times for handover of mobile stations
JP5056661B2 (ja) * 2008-08-07 2012-10-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制御装置
CN102056309A (zh) * 2009-11-02 2011-05-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传输专用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8477642B2 (en) * 2010-04-21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Ranging and distance based spectrum selection in cognitive radio
WO2012150815A2 (ko) * 2011-05-02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장치 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87280B2 (en) * 2011-09-09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WAN assisted contention detection and resolution in peer to peer networks
EP2774284A4 (en) * 2011-11-04 2016-02-10 Intel Corp PROCESS FOR TRANSPORTING TO A GROUP OF DEVICES
WO2013074828A1 (en) * 2011-11-15 2013-05-23 Nicira, Inc. Firewalls in logical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2142A1 (en) * 2008-03-13 2009-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connection identifiers having different priorities at different times
US20100085973A1 (en) * 2008-10-07 2010-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or selecting a connection ident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996B1 (ko) * 2021-08-18 2022-03-11 (주)빅인사이트 브라우저 핑거프린팅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3022307A1 (ko) * 2021-08-18 2023-02-23 (주)빅인사이트 브라우저 핑거프린팅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179B1 (ko) 2019-08-02
US20130156000A1 (en) 2013-06-20
WO2013089393A1 (en) 2013-06-20
US9491759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07334A1 (en) Manage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JP6562127B2 (ja) UE、eNB、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65639B1 (ko) 무선 통신들을 위해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할당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5654691B2 (ja) 共存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取得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装置
KR102013437B1 (ko) 셀룰러 기반 단말간 직접통신의 스케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87656B1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분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180054804A1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6119282A1 (zh) 用于终端直连通信的资源配置方法、系统、终端和基站
CN109548173B (zh) 设备到设备通信方法及装置
CN101237670B (zh) 一种分时共享信道模式下的上行资源分配方法和基站
US93575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30958B (zh) 直通链路的单播连接建立方法、终端及装置
US9155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nection identifier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41831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device-to-device discovery via device grouping
US9848398B2 (en) Scheduling method between terminals for search resource allocation in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KR102006179B1 (ko) 단말간 통신을 위한 접속 식별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4640056B (zh) 一种控制节点选取及分配资源的方法和装置
EP31797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d processing proximity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WO2017181678A1 (zh) 授权频谱的终端化小小区配置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102049047B1 (ko)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CN107852613B (zh) 一种无线局域网通信方法、相关设备及系统
WO2014190925A1 (zh) 通信节点间发现信息资源的处理方法和系统
KR101508940B1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단축주소를 이용하는 멀티캐스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5792220B (zh) 共享频率使用方法和装置
CN110876130B (zh) V2x传输指示方法、装置、存储介质、基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