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109A -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109A
KR20130067109A KR1020110133956A KR20110133956A KR20130067109A KR 20130067109 A KR20130067109 A KR 20130067109A KR 1020110133956 A KR1020110133956 A KR 1020110133956A KR 20110133956 A KR20110133956 A KR 20110133956A KR 20130067109 A KR20130067109 A KR 2013006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transparent
dial
transpar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307B1 (ko
Inventor
박성덕
박은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눈금부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다이얼 표시부와, 다이얼 표시부가 투과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다이얼 표시부 전방에 위치되며, 다이얼 표시부와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창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DISPLY UNIT OF CLUSTER PAN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좌석 전방에 위치한 센터 훼이서 패널(Center Facia Panel)에는 차량 내부의 공조상태를 조절하고 라디오 또는 오디오를 작동 및 조작할 수 있는 히터 컨트롤 패널과 차량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계기판에는 차량의 운전정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가 문자나 도형 형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계기판은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조명장치에 의하여 조명된다.
일반적으로 계기판은 운전자를 향하는 일측부가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회로가 형성된 인쇄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표시부에는 눈금부가 형성된 패널과, 눈금부를 가리키는 지침을 가지는 포인터가 구비되어, 포인터의 회전 각도에 따라 눈금부상의 지정 눈금을 지정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rpm, km/h 단위) 등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5671호(2001.3.19. 등록, 고안의 명칭 : 차량용 계기판 어셈블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다양한 운전정보를 다수의 표시부를 통해 중첩된 결과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는, 눈금부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다이얼 표시부와, 상기 다이얼 표시부가 투과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다이얼 표시부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다이얼 표시부와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창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창 표시부는, 상기 다이얼 표시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부가 고정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링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복수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에 접촉되고, 전방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까지 연장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접촉되는 제1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본체부상에 U형 슬릿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접촉되는 전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간 접촉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후면에 접촉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직선형 접촉면을 가지는 제3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립부 또는 상기 제3조립부가 접촉되는 둘레면 일부가 직선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이얼 표시부에 표시된 운전정보가, 투명창 표시부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투과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다른 운전정보와 함께 중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 표시부와 투명창 표시부간의 전, 후방 이격거리(원근)에 의해, 운전자가 다이얼 표시부의 표시 정보와, 투명창 표시부의 표시 정보를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표시부의 정보 표시 위치와 투명창 표시부의 정보 표시 위치를 일부 중첩되게 형성하면, 표시 정보간 중첩에 의한 새로운 방식과 형태(색상, 디자인)로 운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투명창 표시부에 의해, 다이얼 표시부 중 눈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운전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무효공간상에도 운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서로 독립적인 위치에 복수의 표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와 서포터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다이얼 표시부 전방에 투명창 표시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서로 독립적인 위치에 복수의 표시부를 형성하던 기존에 비해 보다 단순화된 구조로 동일한 정보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정보 표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다이얼 표시부에 의한 정보 표시 상태와, 투명창 표시부에 의한 정보 표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투명창 표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투명창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차량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운전석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차량의 운전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차량의 본넷(Bonnet)측을 후방으로 두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정보 표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다이얼 표시부에 의한 정보 표시 상태와, 투명창 표시부에 의한 정보 표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투명창 표시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의 투명창 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10)는, 다이얼 표시부(20)와 투명창 표시부(30)를 포함한다.
다이얼 표시부(20)는 눈금부(21)가 형성된 패널과, 눈금부(21)를 가리키는 지침을 가지는 포인터(22)를 구비하여, 전면에 윈도우(50)가 결합된 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된다.
다이얼 표시부(20)는 포인터(22)의 회전 각도에 따라 눈금부(21)상의 지정 눈금을 지정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rpm, km/h 단위) 등의 운전정보를 표시한다.
포인터(22)는 패널 전방에 위치되는 지침과, 패널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여 지침과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몸체부를 회전시키면서 눈금부(21)상의 지정 눈금을 가리키게 된다.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 구동장치를 제어하면서 지침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조와 작동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창 표시부(30)는 다이얼 표시부(20)가 투과되는 투명 디스플레이(31)를 구비하여 다이얼 표시부(20) 전방에 위치되며, 다이얼 표시부(20)와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후방의 물체가 투과되어 보이는 투명한 상태로도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패널형 장치로, 투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TOLED,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플렉시블 피씨비(Flexible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전기적 연결소자를 포함하는 피씨비연결부(34)에 의해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연결되어 전자적으로 제어되면서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
투명 디스플레이(31)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1737호(2011.08.29. 등록, 발명의 명칭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투명 전광판)를 포함한 다수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지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 표시부(20) 전방에 투명창 표시부(30)를 형성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표시부(20)에 표시된 운전정보가, 투명창 표시부(30)의 투명 디스플레이(31)를 투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얼 표시부(20)에 표시된 운전정보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31)에 표시된 다른 운전정보와 함께 중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를 기준으로 하여 다이얼 표시부(20)의 표시 정보는 후방에 위치되고, 투명창 표시부(30)의 표시 정보는 전방에 위치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표시 정보를 인식함에 있어서, 원근감에 의해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투명창 표시부(30)에 의해, 다이얼 표시부(20) 중 눈금부(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운전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무효공간상에도 운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이얼 표시부(20)의 정보 표시 위치와, 투명창 표시부(30)의 정보 표시 위치를 일부 중첩(운전자의 시선 기준)되게 형성하면, 표시 정보간 중첩에 의한 새로운 방식과 형태(색상, 디자인)로 운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표시부(20)의 표시 정보를 노란색, 투명창 표시부(30)의 표시 정보를 파란색으로 표시하면, 운전자는 다이얼 표시부(20)와 투명창 표시부(30)의 정보 표시 위치가 중첩되는 일부를 녹색으로 인식하게 된다.
도 1, 2, 5, 6을 참조하면, 투명창 표시부(30)는, 다이얼 표시부(20)와 투명 디스플레이(31) 사이에 설치되어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11)를 지지, 고정하는 서포터(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35)는, 본체부(36), 제1조립부(37), 제2조립부(38), 제3조립부(39)를 포함하며, 고무재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본체부(36)는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11)에 대응되는 링형상을 가진다.
제1조립부(37)는 복수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부(36)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위치, 방향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면(312)에 접촉된다.
여기서, 둘레면(312)은 둘레부(311)의 종방향(상, 하, 좌, 우측 방향) 최외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조립부(37)는 3개가 상호 120°에 해당되는 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3개소, 3방향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11)를 접촉, 지지한다.
제1조립부(37) 각각은 투명 디스플레이(31) 전방까지 연장된 전방부(371)가 투명 디스플레이(31)의 중앙부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37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31)의 전면에 접촉된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조립부(37)에 둘레면(312)이 접촉되어 종방향 이동이 구속됨과 동시에, 전방부(371)와 본체부(36) 사이에 위치되어 서포터(35) 외측으로의 횡방향(전, 후방) 이탈이 방지된다.
제2조립부(38)는 본체부(36)상에 U형 슬릿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투명 디스플레이(31)와 접촉되는 전면에 돌기(381)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조립부(37) 사이에 투명 디스플레이(31)가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381)는 투명 디스플레이(31)의 후면에 접촉하게 된다.
서포터(35)가 탄성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31)의 후면이 본체부(36)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조립부(38)의 단부는 본체부(36)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381)의 돌출 정도에 대응되는 만큼 후방으로 밀려난다(탄성 변형).
상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31)의 후면이 본체부(36)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조립부(38)는 돌기(381)에 의해 투명 디스플레이(31) 후면에 탄성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제1조립부(37)의 전방부(371)와 본체부(36)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제2조립부(38)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써, 서포터(35)와의 유격, 차량 운행 시 진동에 의한 횡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11) 중 일부는 원호형상을 가지며(이하 원호부(32)라 한다), 제3조립부(39)와 접촉되는 일부는 직선형상을 가진다(이하 직선부(33)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11)는 원호부(32)와 직선부(33)가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제3조립부(39)는 투명 디스플레이(31) 중 직선부(33)의 둘레면(312)에 대응되는 직선형 접촉면을 가지고, 복수의 제1조립부(37) 사이에서 본체부(36)에 연결된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직선부(33)와 제3조립부(39)의 직선형 접촉면간 접촉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만 서포터(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31)와 제3조립부(39)간 직선형 접촉구조에 의해, 차량 운행 시 진동 등에 의해 원형의 투명 디스플레이(31)가 임의로 회전되어 투명창 표시부(30)의 표시 정보가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조립부(37)에도 직선형 접촉면을 형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31)상에도 제1조립부(37)에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부(33)를 형성하면, 제1조립부(37)에 의해서도 투명 디스플레이(31)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터(35)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다이알 표시부(20) 둘레에서 케이스(40)에 고정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33)가 제3조립부(39)에 대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부(37), 제3조립부(39) 사이에 끼워지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서포터(3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31)와 서포터(35)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투명창 표시부(30)를 다이얼 표시부(20) 전방에 종방향 이동, 횡방향 이동 및 회전이 방지되게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20 : 다이얼 표시부
21 : 눈금부 22 : 포인터
30 : 투명창 표시부 31 : 투명 디스플레이
32 : 원호부 33 : 직선부
34 : 피씨비연결부 35 : 서포터
36 : 본체부 37 : 제1조립부
38 : 제2조립부 39 : 제3조립부
40 : 케이스 50 : 윈도우
311 : 둘레부 312 : 둘레면
371 : 전방부 381 : 돌기

Claims (6)

  1. 눈금부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다이얼 표시부; 및
    상기 다이얼 표시부가 투과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다이얼 표시부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다이얼 표시부와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창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표시부는,
    상기 다이얼 표시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부가 고정되는 서포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링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복수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에 접촉되고, 전방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까지 연장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접촉되는 제1조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본체부상에 U형 슬릿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접촉되는 전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간 접촉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후면에 접촉되는 제2조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직선형 접촉면을 가지는 제3조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조립부 또는 상기 제3조립부가 접촉되는 둘레부 일부가 직선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KR1020110133956A 2011-12-13 2011-12-13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KR10133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56A KR101337307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56A KR101337307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109A true KR20130067109A (ko) 2013-06-21
KR101337307B1 KR101337307B1 (ko) 2013-12-05

Family

ID=4886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956A KR101337307B1 (ko) 2011-12-13 2011-12-13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9944A4 (en) 2019-07-15 2023-07-26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670B2 (ja) * 1995-11-28 2001-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表示装置
JPH11170890A (ja) * 1997-12-16 1999-06-29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KR101061737B1 (ko) 2008-12-22 2011-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투명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307B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14931A (ja) 指針計器
JP2012091777A (ja) 照明部を有する自動車用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スイッチ
WO2005112061A1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JP4569395B2 (ja) 表示装置
CN102792243A (zh) 带有由光导背光照明的旋转开关的控制设备
US9109927B2 (en) Pointer-type meter
US20160059698A1 (en) Display unit for a vehicle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JP2004148911A (ja) ステアリング内表示装置
JP4275564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8501577A (ja) ディスプレイを差し込むためのハウジングを備える計器パネルおよび計器パネル用のディスプレイ
KR101337307B1 (ko)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JP4787102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244937B2 (ja) 表示装置
JP5458687B2 (ja) 車載用スイッチ
WO2013179587A1 (ja) スイッチ構造
US20170108944A1 (en) Light conductor device
US20140144369A1 (en)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assembly with a mechanical pointer
JP4497065B2 (ja) 切替スイッチ
CN210721192U (zh) 一种仪表盘亮度控制开关
JP2019020282A (ja) 計器装置
JP2014508068A (ja) ダッシュボードおよびダッシュボード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2016060400A (ja) ヒーター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操作部レイアウト構造
JP4622778B2 (ja) 車両用計器の配線基板構造
JP4259187B2 (ja) 車両用指針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