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773A -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773A
KR20130066773A KR1020110133424A KR20110133424A KR20130066773A KR 20130066773 A KR20130066773 A KR 20130066773A KR 1020110133424 A KR1020110133424 A KR 1020110133424A KR 20110133424 A KR20110133424 A KR 20110133424A KR 20130066773 A KR20130066773 A KR 2013006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amphor
ethyl feru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성봉
김동명
윤평
김용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773A/ko
Publication of KR2013006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인 에칠페룰레이트 (Ethyl Ferulate) 및 다른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에 대한 뛰어난 부스팅 효과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내고, 화장료로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끈적임이나 번들거임과 같은 사용감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A Comprising Ehtyl Ferulate}
본 발명은 에칠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70-290 nm 영역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나타내는 에칠페롤레이트를 다른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부스팅 효과(Boosting Effect)에 의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으로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뛰어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이 피부에 과도하게 조사되면 홍반 형성, 멜라닌 생성촉진을 통한 기미 잡티의 발생의 원인이 되며 장기적으로는 주름의 증가, 피부의 처짐 및 이완 등과 같은 피부노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태양에서 발산되는 400 nm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광선으로 장파자외선(UV-A; 320-400 nm), 중파자외선(UV-B; 280-320 nm), 단파자외선(UV-C; 200-280 nm)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피부에 광생물학적 반응을 일으켜 일광화상, 색소침착, 광노화, 피부암 등을 유발하며 파장에 따라 다양한 피부손상을 유발한다.
단파자외선(UV-C, 200-280 nm)은 살균작용 및 세포사멸을 일으키나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피부에 도달하기 어렵고 중파자외선(UV-B, 280-320 nm)은 표피 기저층과 진피 상부까지 도달하여 피부각화를 지속시키고 홍반, 수포 등의 일광화상과 색소 침착을 유발하며 세포막손상, 피부암을 유발한다. 특히 장파자외선(UV-A, 320-400 nm)은 진피까지 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색소침착과 지연홍반, 광독성, 광알레르기반응, 유리기(Free radical)생성으로 인한 만성적 광노화, 진피의 탄력섬유와 교원섬유를 변성시켜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 피부위축 현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물질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산란 및 반사시켜 피부 침투를 방지하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화학적인 흡수작용에 의해 자외선의 피부 침투를 막는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들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차단효과가 광범위하고 피부 부작용이 적으나 많이 사용하면 뻑뻑한 사용감과 불투명하여 백화현상에 의해 미용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반면 대부분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효과는 뛰어나나 좁은 범위의 특정 파장에서만 흡수 파장대를 갖고 있어 광범위하게 자외선을 차단하지는 못하여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유기,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과량 배합하여 사용하게 되어 끈적거리거나 번들거리는 것과 같은 사용감의 문제를 일으키거나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혼성 복합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제조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원하는 입자의 크기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과 함께 제조비용도 매우 높아 쉽게 산업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와 같이 광범위하게 자외선을 차단하면서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에 의한 그리시(greasy)한 사용감, 그리고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많은 사용을 통한 뻑뻑한 후감 등은 현대인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연구인들은 이러한 후감 조절 및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으로 다음의 방법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① 자외선 차단 부스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 감소
② 어떤 특정 물질에 캡슐레이션(encapsulation) 혹은 복합체를 형성한 표면 개질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의 도입을 통해 제품의 사용감에 미치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이고 또한 표면 개질 등을 통해 후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꾀하고 있지만 자외선 차단제가 갖는 특유의 사용감을 감추기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화합물 중 UV-B와 UV-A 영역에서 동시에 흡수 파장대를 가지면서 흡수 효과가 좋아 번들거림과 같은 사용감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에칠페룰레이트 (Ethyl Ferulate)와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에 대한 뛰어난 부스팅 효과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내면서, 사용감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칠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화합물 중 UV-B와 UV-A 영역에서 동시에 흡수 파장대를 가지면서 흡수 효과가 좋아 번들거림과 같은 사용감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에칠페룰레이트 (Ethyl Ferulate)와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에 대한 뛰어난 부스팅 효과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내면서, 사용감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에칠페룰레이트’는 Chemical/IUPAC 네임이 에칠 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2-프로페노에이트( Ethyl 3-(4-Hydroxy-3-Methoxyphenyl)-2-Propenoate)이고, 구조식은 HOC6H3(OCH3)CH=CHCO2C2H5이며, 분자식은 C12H14O4 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CAS no. 4046-02-0).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통상적으로 세포를 손상시키는 라디칼을 상쇄시키고, 자외선 손상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에칠페룰레이트의 가장 바람직한 양이 1.0-5 중량%인 이유는 에칠페룰레이트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차단 부스팅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270-290 nm 영역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290 nm 영역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나타내고, 325-340 nm 부근인 UV-A 영역에서도 상당한 크기의 자외선 흡수 파장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270-290 nm 영역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나타내고, 또한 325-340 nm 부근인 UV-A 영역에서도 상당한 크기의 자외선 흡수 파장대를 나타내는 에칠페룰레이트의 특성에 의해 다른 흡수파장대(304-317 nm)를 나타내는 UV-B 차단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후술하는 부스팅 효과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부스팅 효과’는 특정 요소의 추가에 의해 기존 요소가 가지고 있는 효과에 대해 더하기 효과 내지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요소에서 표현되는 효과가 기존 요소가 가지고 있는 효과에 직렬적으로 부가되어 나타나거나, 더하기 효과 이상의 예측 가능하지 않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칠페룰레이트 이외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최소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멘틸안쓰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salicylate), 트리에탄올아민살리실레이트(triethanolamine salicylate), 시녹세이트(cinoxate), 옥시벤존(oxybenzo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파라디메칠안식향산아밀(p-dimethylbenzoic acidamyl), 디에탄올아민파라메톡시신나메아트(diethanolamine p-methoxycinnamate),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nzoic acid),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ethyldihydroxypropyl PABA), 옥틸디메칠파바(octyldimetyl PABA),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2-phenylbenzimidazole-5-sulph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4-메칠벤질리덴캄파(4-methylbenzylidene camphor), 3-벤질리덴캄포(3-benzylidenecamphor), 캄포벤즈알코늄 (camphorbenzalkonium), 설포벤질리덴캄포(sulphobenzylidene camphor) 및 설포메칠벤질리덴캄포(sulphomethylbenzylidene campho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최소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와 부스팅 효과(Boosting Effect)를 나타내며, 상기 부스팅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에칠페룰레이트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칠페룰레이트를 포함하며, 다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a) SPF 지수 : 30.00-70.00 ; 및
(b) UV-A/UV-B 비율 : 0.550-0.700.
본 명세서에서, 상기 SPF 지수 등을 나타내는 에칠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에칠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되므로,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유효성분인 에칠페룰레이트 (Ethyl Ferulate) 및 다른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에 대한 뛰어난 부스팅 효과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내는 장점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을 화장료로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끈적임이나 번들거임과 같은 사용감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칠페룰레이트 및 기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최대 흡수파장 등을 나타낸다.
도 2는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3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에칠페룰레이트는 독일의 GFN (Herstellung von Naturextrakten GmbH)회사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산화철(원료 5)를 평량하여 아토마이저(HEUNG-BO INDUSTRY CO.LTD)로 2회 분쇄하였다. 이후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유상성분(사이클로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페롤레이트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네이트)에 수상성분(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 이산화티탄, 징크옥사이드, 산화철 및 탈크)을 서서히 넣으면서 애지믹서(AGI MIXER : 마쓰시다전기공업 주식회사(Matsushita Electric Industial Co. Ltd), SER No 515, 일본)를 이용하여 교반, 혼합한 이후 유화(미쯔보사 LR-1)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화물을 부향하여 본 발명의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원 료 명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 1,3-BG 5.0 5.0 5.0 5.0 5.0
3. 이산화티탄 7.0 7.0 7.0 7.0 7.0
4. 징크옥사이드 2.0 2.0 2.0 2.0 2.0
5. 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6. 탈크 1.0 1.0 1.0 1.0 1.0
7. 사이클로 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8.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3.0 3.0 3.0 3.0 3.0
9.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5.0 5.0 5.0
10.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11. 에칠페룰레이트 - 1.0 2.0 3.0 3.0
12.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네이트 - - - - 1.0
13. 향 0.1 0.1 0.1 0.1 0.1
실험예 1 :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상기 비교예 1, 실시예 1, 2, 3 및 4의 인 비트로 자외선차단지수(SPF)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를 2 ㎛/cm2의 수준으로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도포, 15분 건조 후 SPF290 분석기(Analyer, Optometrics, USA)로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평균한 값으로 하였다.UV-B 영역에서의 자외선차단 효과 대비 UV-A 영역에서의 자외선차단 효과의 비율(하기 표 2 참조) 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자외선 차단지수는(SPF) 실시예 3 및 실시예 4가 우수하였다(도 2, 3, 4, 5 및 6 참조).
비교예 및 실시예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
시험항목 비교예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SPF지수 24.18 32.51 42.73 59.65 66.33
UV-A/UV-B 비율* 0.543 0.568 0.562 0.597 0.694
UV-B 영역에서의 자외선차단 효과 대비 UV-A 영역에서의 자외선차단 효과의 비율
검토
상기 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배합하여 혼용하였을 때 자외선 B 차단효과와 자외선 A 차단 효과에 대한 우수한 부스팅 효과를 갖는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임을 알 수 있다. SPF와 PFA에 대하여 부스팅 효과를 갖는 것은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가 다른 UV-B 차단제의 흡수파장대(304-317 nm)와 다른 영역(285 nm 부근)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가짐과 동시에 특이하게 UV-A 영역에서도 상당한 크기의 자외선 흡수 파장대(335 nm 부근)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도 1 참조).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에칠페룰레이트 (Ethyl Ferulate)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에 대한 뛰어난 부스팅 효과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자외선 차단 능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에칠페룰레이트(Ethyl Ferulate)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270-290 nm 영역에서 최대흡수 파장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칠페룰레이트 이외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최소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디옥시벤존(dioxybenzone),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멘틸안쓰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salicylate), 트리에탄올아민살리실레이트(triethanolamine salicylate), 시녹세이트(cinoxate), 옥시벤존(oxybenzo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파라디메칠안식향산아밀(p-dimethylbenzoic acidamyl), 디에탄올아민파라메톡시신나메아트(diethanolamine p-methoxycinnamate),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methoxycinnamate),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minobenzoic acid),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ethyldihydroxypropyl PABA), 옥틸디메칠파바(octyldimetyl PABA),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2-phenylbenzimidazole-5-sulphonic acid),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드로메트리졸(drometrizol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3-(4-메칠벤질리텐)-캄파(3-(4-methylbenzylidene)-camphor), 4-메칠벤질리덴캄파(4-methylbenzylidene camphor), 3-벤질리덴캄포(3-benzylidenecamphor), 캄포벤즈알코늄 (camphorbenzalkonium), 설포벤질리덴캄포(sulphobenzylidene camphor) 및 설포메칠벤질리덴캄포(sulphomethylbenzylidene campho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칠페룰레이트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최소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와 부스팅 효과(Boosting Effect)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에칠페룰레이트를 포함하며, 다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SPF 지수 : 30.00-70.00 ; 및
    (b) UV-A/UV-B 비율 : 0.550-0.700
KR1020110133424A 2011-12-13 2011-12-13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6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24A KR20130066773A (ko) 2011-12-13 2011-12-13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24A KR20130066773A (ko) 2011-12-13 2011-12-13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773A true KR20130066773A (ko) 2013-06-21

Family

ID=4886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424A KR20130066773A (ko) 2011-12-13 2011-12-13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77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922A1 (ko) * 2017-02-24 2018-08-30 한국콜마주식회사 에틸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조성물
KR20180098104A (ko) * 2017-02-24 2018-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에틸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조성물
KR20200010956A (ko)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에탄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9476B1 (ko) * 2021-08-30 2022-04-25 김준석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기 합성물
KR20220106285A (ko) 2021-01-22 2022-07-29 이호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CN115003389A (zh) * 2020-01-30 2022-09-02 阿迈瑞斯公司 金属氧化防晒制剂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922A1 (ko) * 2017-02-24 2018-08-30 한국콜마주식회사 에틸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조성물
KR20180098104A (ko) * 2017-02-24 2018-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에틸 페룰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조성물
CN110381936A (zh) * 2017-02-24 2019-10-25 韩国科玛株式会社 包含阿魏酸乙酯作为有效成分的过敏缓解用组合物
KR20200010956A (ko)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에탄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03389A (zh) * 2020-01-30 2022-09-02 阿迈瑞斯公司 金属氧化防晒制剂
KR20220106285A (ko) 2021-01-22 2022-07-29 이호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KR20230096938A (ko) 2021-01-22 2023-06-30 이호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KR102389476B1 (ko) * 2021-08-30 2022-04-25 김준석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기 합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5748B1 (en) Sunscreen composition
EP2068817B1 (en)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sunscreen active compounds
US20040009197A1 (en) Use of resveratrol as sunscreen
EP2654688B1 (en) A high spf sunscreen composition
KR20130066773A (ko) 에칠페롤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627306B1 (en) A sunscreen composition
US7144570B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6659653A (zh) 优化形成维生素d的防晒配制剂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040241112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A2495966A1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303940B2 (en) Photostabilization of octyl triazone
CN105120831B (zh) 包含脂肪酸和非离子线性聚合物的防晒组合物
KR102012798B1 (ko) 자외선 유도된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는 상승작용 조성물, 제형 및 방법
KR20180099232A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2188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9129B1 (ko)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9755B1 (ko) 자외선 c(uvc) 차단용 조성물
EP2431021A1 (en) Sunscreen composition
KR20240079033A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ouillot et al. Formulating a Day Cream with SPF: A Case Study
KR20190070119A (ko) 피토스핑고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