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49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493A
KR20130066493A KR1020120104114A KR20120104114A KR20130066493A KR 20130066493 A KR20130066493 A KR 20130066493A KR 1020120104114 A KR1020120104114 A KR 1020120104114A KR 20120104114 A KR20120104114 A KR 20120104114A KR 20130066493 A KR20130066493 A KR 2013006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qwp
display panel
light emitting
retard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948B1 (ko
Inventor
전일
박수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948B1/ko
Priority to US13/689,483 priority patent/US9274259B2/en
Priority to CN201210535527.5A priority patent/CN103165649B/zh
Publication of KR2013006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편광시키는 PVA층(Poly-Vinyl Acetate) 및 광을 원편광시키는 QWP층(Quarter Wave Plate)을 포함하고, QWP층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AL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는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OLED)가 각광받고 있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전극 사이의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써,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로 하지 않아 박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3색(R,G,B) 서브 화소로 구성된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각각의 서브 화소는 유기전계 발광 셀과, 상기 유기전계 발광 셀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셀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셀 구동부는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라인과,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과, 공통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공통전원 라인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캐패시터로 구성되어 유지전계 발광 셀의 화소 전극을 구동한다.
유기전계 발광 셀은 셀 구동부와 접속된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 위에 유기층과, 유기층 위에 음극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 발광 셀이 형성된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편광 필름은 빛을 선편광시키는 PVA(poly-Vinyl-Alcohol)층과, 원편광시키는 QWP(Quarter Wave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PVA층 상하에 각각 상부 TAC(Tri-Aetyl Cellulose)층과 하부 TAC층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하부 TAC층의 지연과 QWP의 파장 분산성으로 인해 푸른 빛의 시감으로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발생하여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편광시키는 PVA층(Poly-Vinyl Acetate) 및 광을 원편광시키는 QWP층(Quarter Wave Plate)을 포함하고, QWP층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은 QWP층의 면상 위상차 값을 140㎚ 이하로 설계하고, PVA층의 요오드 분자량을 상기 QWP층의 면상 위상차 값과 비례하게 조절함으로써,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개선하여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QWP의 반사시감 및 반사율과, 본 발명의 QWP의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A층의 요오드 분자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WP층과 PVA층의 설계에 의한 반사시감, 반사율 및 반사 색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에서 자발광층을 AMOLED(Active Matrix OLED)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PMOLED(Positive Matrix OLED), LCD(liquid crystal display deivce)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편광시키는 PVA층(Poly-Vinyl Acetate) 및 광을 원편광시키는 QWP층(Quarter Wave Plate)을 포함하고, QWP층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기초로 다른 실시예들은 얼마든지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광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QWP의 반사시감 및 반사율과, 본 발명의 QWP의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과,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 상에 구비된 편광필름(110)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광을 발생하되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되며, 출력할 데이터의 색 특성에 따라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각 셀들의 광을 조절하는 자발광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크게 자발광 소자와, 상기 자발광 소자의 광 발산 여부 및 밝기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색을 표현하기 위해 컬러필터 층이 자발광 소자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자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 셀들 상에 TSP(Touch Screen Panel)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외부로부터 상기 편광필름(110)을 거쳐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은 매트릭스 셀 구조 형성을 위하여 다수의 금속성 신호 라인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금속성 신호 라인들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에 존재하는 기타 금속성 물질들 또한 상기 금속성 신호 라인들과 같이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110)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00)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의 편광 각도를 원편광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편광필름(110)은 상측으로부터 제1 TAC층(Tri-Acetyl Cellulose, 116)과, 선편광을 위한 PVA층(Poly-Vinyl Acetate, 115)과, 제2 TAC층(114)과, 제1 접착층(113)과, 원편광을 위한 QWP층(Quarter Wave Plate, 112)과, 제2 접착층(111)을 포함한다.
상기 PVA층(115)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 즉 편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런 PVA 층(115)은 PVA의 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와 이색성 염료의 용액에 담가,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를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VA 층(115)은 그 자체가 투과축의 방향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열이나 수분에 의해 수축하거나, 편광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하면에 상술한 제1 TAC 층(116) 및 제2 TAC 층(114)이 배치되어 강도와 수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PVA층(115)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투명지지층, 즉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TAC)를 재질로 하는 제1 및 제2 TAC(116, 114)는 탑-다운 방식, 다운 탑 방식 및 수평합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113)은 상기 제2 TAC(114)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 접착층(113) 하부에 폴리계열의 수지로 이루어진 QWP층(112)이 형성된다.
상기 QWP층(112)은 탑-다운 방식, 다운 탑 방식, 그리고 수평합지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굴절률과 두께를 조절하여 위상값을 조절한다. 이렇게 형성된 QWP층(112)는 PVA층(115)을 지나 선편광된 빛에 대해 λ/4 위상지연차이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원편광된 빛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접착층(111)은 상기 QWP층(112)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110) 상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QWP층(112)은 위상차 필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면상 굴절률 중 x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y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d) 방향의 굴절률을 nz라고 정의할 수 있고, 굴절률의 크기에 따라서 위상차 필름의 특성이 결정되는데, 세 축 방향의 굴절률 중 세 축 방향의 굴절률 모두 상이한 경우를 이축성위상차 필름이라 하며, 이때 이축성 위상차 필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nx≠ny>nz일 때, - 이축성 위상차 필름이라 하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 면상 위상차 값(Rin, in-plane retardation value)의 크기는 Rin>0이다.
[수학식 1]
Rin=d×(nx-ny)
여기서, d는 필름의 두께를 의미한다.
그리고,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 두께 방향 위상차 값(Rth, thickness retardation value)의 크기는 Rth<0이다.
[수학식 2]
Rth=d×(nz-ny)
여기서, d는 필름의 두께를 의미한다.
nx≠nz>ny일 때, + 이축성 위상차 필름이라 하며, 면상 위상차값과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은 상기 수학식 1,2와 동일하며, Rin>0 그리고 Rth<0을 나타낸다.
[수학식 3]
Nz=(nx-nz)/(nx-ny)
본 발명의 QWP층(112)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QWP층(112)은 90㎚ 내지 140㎚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즉, 상기 QWP층(112)의 면상 위상차 값은 550㎚의 그린(green) 파장을 기준으로 90㎚ 내지 140㎚으로 설계된다.
여기서, Nz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굴절률 비율로 정의할 수 있으며, Nz는 1.1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QWP층(112)은 면상 위상차 값을 140㎚ 이하로 설계함으로써,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면상 위상차 값이 141㎚인 일반적인 QWP층과, 면상 위상차 값이 117㎚인 본 발명의 QWP층(도2의 112)의 반사시감과 반사율을 비교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QWP층(도2의 112)의 반사시감 및 반사율이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A층의 요오드 분자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WP층과 PVA층의 설계에 의한 반사시감, 반사율 및 반사 색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QWP층(도2의 112)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을 140㎚ 이하로 설계하는 경우,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향상될 수 있으나, 색감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을 90㎚ 미만로 설계하는 경우, 적색 빛의 시감으로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VA층(도2의 115)은 상기 QWP층(도2의 112)의 설계에 의해 변화되는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개선하기 위해 요오드의 분자량을 증가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VA층(도2의 115)은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를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켜 편광도가 결정된다. 여기서, 요오드 분자의 크기에 따라 흡수 스펙트럼이 상이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PVA층(도2의 115)은 상기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이 변동됨에 따라 요오드 분자크기를 조절하여 단파장대의 빛을 흡수하여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PAV층(도2의 115)은 일반적인 PVA층보다 요오드 분자량이 더 많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PVA층(도2의 115)의 분자량은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에 따라 비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은 최적의 설계로써,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이 130㎚,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비율 Nx는 1.1로 설계되고, PVA층(도2의 115)의 분자량은 상기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에 따라 증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편광필름은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을 140㎚ 이하로 설계하고, PVA층(도2의 115)의 요오드 분자량을 상기 QWP층(도2의 112)의 면상 위상차 값과 비례하게 조절함으로써, 반사시감 및 반사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컬러 시프트(color shift)를 개선하여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써,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구비된 편광필름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0: 편광필름 112: QWP층
116: PVA층

Claims (5)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선편광시키는 PVA층(Poly-Vinyl Acetate); 및
    상기 광을 원편광시키는 QWP층(Quarter Wave Plate)을 포함하고,
    상기 QWP층은 140㎚ 이하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지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WP층은 90㎚ 내지 140㎚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지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WP층은 130㎚의 면상 위상차 값을 가지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굴절률 비율은 1.1인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VA층은 상기 QWP층의 면상 위상차 값에 따라 요오드 분자량이 비례적으로 변경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인 표시장치.
KR1020120104114A 2011-12-12 2012-09-19 표시장치 KR10191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114A KR101916948B1 (ko) 2011-12-12 2012-09-19 표시장치
US13/689,483 US9274259B2 (en) 2011-12-12 2012-11-29 Display device
CN201210535527.5A CN103165649B (zh) 2011-12-12 2012-12-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3276 2011-12-12
KR1020110133276 2011-12-12
KR1020120104114A KR101916948B1 (ko) 2011-12-12 2012-09-19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93A true KR20130066493A (ko) 2013-06-20
KR101916948B1 KR101916948B1 (ko) 2018-11-08

Family

ID=485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114A KR101916948B1 (ko) 2011-12-12 2012-09-1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74259B2 (ko)
KR (1) KR101916948B1 (ko)
CN (1) CN103165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813B1 (ko) * 2016-03-18 2017-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651060B1 (ko) 2016-08-11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4325C2 (de) * 1979-11-02 1984-03-22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Passives elektrooptisches Anzeigeelement
WO1996034514A1 (fr) 1995-04-25 1996-10-31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f d'electroluminescence organique
US5973760A (en) * 1997-08-06 1999-10-26 Rockwell Science Center, Inc. Display apparatus having quarter-wave plate positioned to eliminate conflicts with polarized sunglasses
JP3763401B2 (ja) * 2000-05-31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20077439A (ko) * 2000-12-14 2002-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액정 디스플레이 라미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JP2002303864A (ja) * 2001-04-03 2002-10-18 Nitto Denko Corp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3058069A (ja) * 2001-08-21 2003-02-28 Sharp Corp 自発光型画像表示装置
JP2003195036A (ja) 2001-12-25 2003-07-09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266696A (ja) 2004-03-22 2005-09-29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874200B2 (ja) * 2004-11-22 2007-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補償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JP3972371B2 (ja) * 2005-03-15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位相差補償板、位相差補償器、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WO2007088954A1 (en) * 2006-02-02 2007-08-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TWI406899B (zh) * 2006-09-05 2013-09-01 Tosoh Corp Optical compensation film and phase difference film
US8300188B2 (en) * 2007-01-11 2012-10-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micro-lens arr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276753A (ja) * 2008-04-14 2009-11-26 Sumitomo Chemical Co Ltd 位相差フィルム、楕円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
US8194212B2 (en) * 2009-01-27 2012-06-0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quarter plates and birefringent layers and liquid crystal having substantially vertical alignments in black state
JP5311654B2 (ja) * 2009-05-08 2013-10-09 日東電工株式会社 映像鑑賞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8199A1 (en) 2013-06-13
KR101916948B1 (ko) 2018-11-08
CN103165649B (zh) 2016-12-21
CN103165649A (zh) 2013-06-19
US9274259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0233B1 (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414103B1 (ko) 투명 액정표시소자
US20110164210A1 (en) Display device
US118358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US101805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JP6929586B2 (ja) 反射防止用光学フィルタ及び有機発光装置
EP322928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1708592B1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40159001A1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804500B2 (en) Optical filter for anti-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1814776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37105B2 (e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179493A1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US11204524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3012891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533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11190305A (zh) 液晶显示装置
US11276844B2 (en) Optical filter for preventing reflec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916948B1 (ko) 표시장치
KR20130027915A (ko) 위상차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8225083A (ja) 液晶表示装置
KR10209363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7304B1 (ko) Ips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CN108983509B (zh) 液晶显示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