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456A - Flag hoist system - Google Patents

Flag hoi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456A
KR20130066456A KR1020110133280A KR20110133280A KR20130066456A KR 20130066456 A KR20130066456 A KR 20130066456A KR 1020110133280 A KR1020110133280 A KR 1020110133280A KR 20110133280 A KR20110133280 A KR 20110133280A KR 20130066456 A KR20130066456 A KR 20130066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motor
wireless data
flag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1734B1 (en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이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일 filed Critical 이선일
Priority to KR102011013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734B1/en
Publication of KR20130066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 flag raising system is provided to simplify the work of flag raising by enabling various kinds of flags to be raised simply and sequentially. CONSTITUTION: A box(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lamp post by a bracket. A motor(18) is installed in the box and forward/backward driven depending on the applied direction of a current. A flag pole(20) fixes the upper edge of a flag, and displays the flag in parallel with the ground or raise the flag upwards while performing angular motion in the up/down direc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 illumination sensor(32)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x, measures the illumination of a surrounding area and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area. A power generation component(34) is installed on the bracket and generates power by converting wind power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remote control device(46)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data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installed on the lamp post while being connected to an administrator computer.

Description

기 게양시스템{FLAG HOIST SYSTEM}Fleet hoisting system {FLAG HOIST SYSTEM}

본 발명은 기(旗) 게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 또는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旗)가 기게양봉의 각운동(角運動)에 의하여 간편하게 게양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할 때마다 원격제어에 따른 릴레이(Relay)방식에 의하여 기(旗)가 순차적으로 자동 게양될 수 있도록 하고, 가로등의 점등 및 기 게양에 소요되는 전력이 외부 공급없이 가로등 마다 자체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기 게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hoi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local autonomy or physical education symbolizing a national flag or a local government on a pillar of a street lamp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roadside. Various types of flags used for various events such as competitions and festivals can be easily hoisted by the angular movement of the gige beekeeping, and the relay method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whenever necessary. It is related to a mechanical hoisting system that enables the automatic hoisting of iii) sequentially and th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lighting and hoisting of street lamps is supplied by each street lamp without external supply to greatly reduce the waste of electrical energy.

일반적으로,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는 국경일 등 각종 기념일에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각 가정이나 관공서 및 도로변의 가로등 기둥에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각종 지방단체기나 각종 행사나 축제 등에 사용되는 각종 깃발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도로변에 게양되거나 축제나 행사장 주변으로 향하는 도로변 또는 행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축제나 행사분위기를 고취시키는데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national flag, which symbolizes the country, can be hoisted on the street lamp poles of each home, government office, and road in order to promote patriotism on various holidays such as national holidays. Various flags used for events and festivals are also used to raise the atmosphere of festivals and events by being installed on the side of local governments or near roads or venues that are directed to festivals or venues.

한편, 이와 같은 국기를 게양하기 위하여 일반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베란다의 난간 바깥쪽에 국기 게양봉을 꽂을 수 있는 끼움봉이 마련되어 있고, 일반 도로변의 가로등 기둥에도 또한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축제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한 깃발이 걸려 있는 게양봉을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끼움봉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국경일 등 각종 기념일이나 축제 등의 행사시에는 상기 끼움봉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깃발이 걸려 있는 게양봉의 하단을 끼우는 방식으로 게양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oist such a flag, apartment houses such as general apartments are equipped with a fitting rod for inserting a flag hoisting rod on the outside of the balustrade of the veranda. A number of fitting rods are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hanging rods with flags hanging to commemorate the event can be used.It can be used for flags, local groups or various occasions during various occasions such as national holidays or festivals. The flag is hanging by hanging the bottom of the hanging bar.

그러나, 최근 국경일 등에 아파트 등 일반 가정에서 국기를 게양하는 빈도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고, 가로등의 기둥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깃발을 게양하는 경우에 차량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등을 싣고 다니면서 작업자가 깃발이 걸려 있는 게양봉을 일일이 끼움봉에 꽂아 게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시간적,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Recently, however, the frequency of flying the flag in general households, such as apartments, has been decreasing.In the case of flying a flag, a local group, or a flag used for various events on a pole of a street lamp, a flag or a local group is placed on a vehicle. While carrying a back, the worker has to lift the crab stick hanging on the flag, so that the work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ime and economy.

한편, 가로등의 점등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이 극심하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used when the street lamp is turned 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ic energy is extreme.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오랜 동안 연구한 결과, 도로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가로등의 기둥에 기 게양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旗)의 게양과 하강이 원격제어에 의하여 릴레이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의 게양 및 가로등의 점등에 사용되는 전기에너지가 외부로부터의 공급없이 가로등 마다 자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개발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have studied for a long time, relaying the hoisting and lowering of the machine by remote control at the same time to install the hoisting device on the poles of each street lamp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road On the other hand, the new energy hoisting system is designed so that the electric energy used for the hoisting of the machine and the lighting of the street lamps can be supplied by each street lamp without supplying it from the outside. Develop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변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 또는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旗)가 게양봉의 각운동(角運動)에 의하여 간편하게 게양되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of which is a local government or physical education symbolizes the national flag or national autonomy symbolizes the country on the poles of street lamp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adside It is to provide a new machine hoisting system that allows various kinds of machines used for various events such as competitions and festivals to be easily hoisted by the angular movement of the hoisting ro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할 때마다 원격제어에 따른 릴레이(Relay)방식에 의하여 각 가로등에 설치된 기(旗)를 순차적으로 자동 게양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machine hoisting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hoist machines installed in each street light by a relay method according to remote control whenever necessa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의 점등 및 기 게양에 소요되는 전력을 외부로부터의 공급없이 가로등 마다 자체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hoisting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aste of electric energy by allowing the streetlights to supply their own power for lighting and hoisting the streetlight without supplying it from the outsi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旗) 게양시스템은 도로변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가로등 기둥의 상부 소정 높이에서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장착된 박스(Box)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모터와; 기(旗)의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박스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방향으로 각(角)운동되면서 기를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하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게양봉과; 상기 각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박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照度)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가로등 기둥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발전(發電)부재와;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각각의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박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양봉과 연결된 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게양봉과 연결된 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xisting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box fixed and mounted by a bracket at an upper predetermined height of a lamppost, which is erected along a roadside. A motor which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direction; The upper edge of the machine is fixed, and while the inner end is fitted into the box and coupled, the motor is driven in parallel with the ground or lifted upward while being angularly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Crab bees; An illumination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boxes mounted on the lampposts to measure ambient light intensity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ambient brightness; A power generation member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while being installed on a bracket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A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motor installed at a pillar of a street lamp while being connected to a manager computer; It is provided inside the boxes mounted on the respective lampposts, and receives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hoisting rod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lamp, while the remote controller or neighbor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a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to a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driving a motor connected to a hoisting rod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 motor driver controlling a state and a street lamp driver controlling a lighting state of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 motor drive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lamp lamp are electrically set in advance. Article composed of microcomputers that control them according to the program And a device.

본 발명에서 상기 발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고정판이 형성된 지주의 외주면에 감겨져 장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다수개의 솔라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솔라셀 모듈(Solarcell Module:22)과; 상기 지주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솔라셀모듈 및 풍력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 및 풍력발전기에 의하여 변환·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정격전압으로 축전(蓄電)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 및 가로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ng member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olar cell module (Solarcell)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olar cells to convert sunlight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in a state that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fixed plate at the bottom Module: 22); A wind power genera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while being rotated by wind power; It is installed inside the pilla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electric energy converted and generated by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is stored at a rated volt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battery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본 발명에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솔라셀모듈이 구비된 지주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받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덮개판과; 상기 지주의 상부면과 덮개판의 마주하는 면의 중심부에 임의로 회전되게 끼워져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극(多極)자석형 회전자와,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의 저면에서 회전자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자 코일로 이루어지며, 풍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샤프트 하단에 설치된 회전자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a plurality of support is installed vertically up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A cover plate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 shaft that is arbitrarily rotated and installed in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n opposing surface of the cov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rotated by wind power in a state of being fixed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t consists of a multi-pole magnet ro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and a stator coil disposed inside a separate housing and installed to surround the rotor at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the rotation of the shaft by wind power The genera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urrent in the stator coils according to the magnetic flux change of the r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haft.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제어장치에는 각각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리모트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원격제어신호가 어느 하나의 제어장치로 송신되면, 해당 제어장치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인접한 다른 제어장치로 재송신하는 방식에 의하여 기 게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y one of the RF signal, binary CDMA signal, ultrasonic signal selected from among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y one control device W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has a feature configured to perform the hoisting sequentially by the method of retransmit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nother adjac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로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 또는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旗)를 간편하게 순차적으로 게양할 수 있어 기 게양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효과가 있으며, 그 결과 작업인원을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적, 경제적으로 크게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of flags used in various events such as a national flag or a national sports competition or a festival symbolizing a country on a pole of a street lamp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roadside Easily sequential hoisting (旗) can be effective in the hoisting operation is very easy, and as a result there is a large advantage in terms of time and economic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use the workforce.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 게양시스템이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자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부재 설치되어 풍력 및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켜 축전하였다가 기 게양을 위한 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시 자체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power generation member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pole of a street lamp in which a hoisting system is installed. Since it is configured to supply itself when the street lamp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waste of electrical energ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전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er generation member applied to th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旗) 게양시스템(10)에서는 도로변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세워지는 각 가로등 기둥(12)의 상부 소정 높이에 별도의 브래킷(14)에 의하여 박스(Box:16)가 고정·장착되며, 상기 박스(16)의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모터(18)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1 to 4, in the existing ho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separate bracket 14 at the upper predetermined height of each lamppost 12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oadside. The box (Box: 16) is fixed and mounted, and the inside of the box (16) is configured such that a motor (18)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current.

본 발명에서 상기 박스(16)의 내측으로는 별도로 마련되는 게양봉(20)이 가이드판(2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각(角)운동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of the box 16 is provided so that the hoisting rod 2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angular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guide plate (22).

상기 게양봉(20)은 게양하고자 하는 기(24)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길이를 갖는데, 상기 박스(16)의 내부로 끼워지는 게양봉(20)의 내측단부의 양측으로는 회전축(26)이 돌설되어 가이드판(22)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26)의 일측단에는 상기 모터(18)의 축기어(18a)와 맞물려 회동되는 기어(26a)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hoisting rod 20 has a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oup 24 to be hoisted, and the rotating shaft 26 on both sides of the inner end of the hoisting rod 20 fitted into the box 16. This protrusion is fitted to the guide plate 22, and the gear 26a which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shaft gear 18a of the motor 18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ry shaft 26.

또, 상기 회전축(26)의 앞쪽에 해당되는 게양봉(20)의 내측단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가이드핀(28)이 돌설되고, 상기 가이드핀(28)과 마주하는 쪽에 해당되는 가이드판(22)상에는 게양봉(20)의 상하방향 각운동이 일정 각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원호형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pin 28 protrudes from one side or both sides of an inner end of the hoisting rod 20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rotation shaft 26, and a guide plate 22 corresponding to the side facing the guide pin 28. On the upper and lower angular movement of the hoisting rod 20 is configured to form an arc-shaped guide hole 30 to be made in a certain angle range.

또한, 상기 박스(16)의 외측에는 주변의 조도(照度)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32)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등 기둥(12)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또 다른 브래킷(14')상에는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별도의 발전(發電)부재(34)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box 16 is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32 that measures the ambient illumination and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and is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12. On the other bracket 14 ', a separate power generation member 34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 기(旗:24)의 게양이 원격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원격제어장치(Remote controller)가 마련되는데, 상기 원격제어장치에는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모터(18)의 구동·제어에 필요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in order to allow the hoisting of the machine (24) to be made by a remote control,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s computer.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require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18 provided on the pillar 12 is provided.

또, 상기 각각의 가로등 기둥(12)에 장착된 박스(16)의 내측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양봉(20)과 연결된 모터(18)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46)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ox 16 mounted to each of the lamppost 12 receives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drive the motor 18 connected to the hoisting rod 20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lamp Separate control device 46 is installed to control the.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한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설치된다. The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pillar 12 of the neighboring street lamp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to the next neighboring control device. .

또,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게양봉(20)과 연결된 모터(18)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조도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motor driv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18 connected to the hoisting rod 20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nd outputs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32 The streetlight driv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street lamp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또, 상기 제어장치(46)에는 상기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32)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46 is configured to install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m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in the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he motor driver, the illumination sensor 32 and the street lamp driv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전부재(34)는 솔라셀모듈(36)과 풍력발전기(38) 및 축전지(4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솔라셀모듈(36)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고정판(36a)이 형성된 지주(42)의 외주면에 감겨져 장착되어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다수개의 솔라셀(36b)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member 34 is composed of a solar cell module 36, a wind power generator 38 and a storage battery 40, the solar cell module 36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plate (below) 36a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olar cells 36b wound and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ed support 42 to convert sunlight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또, 상기 풍력발전기(38)는 솔라셀모듈(36)이 설치된 상기 지주(4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기가 불순하여 태양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도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ind generator 3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42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36 is installed to generate electric energy while being rotated by wind power. Even if the electric energy is to be obtained.

이를 위하여 상기 풍력발전기(38)에서는 솔라셀모듈(36)이 구비된 지주(42)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상방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8a)가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8a)의 상단에는 별도의 덮개판(38b)이 받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in the wind generator 38, a plurality of supports 38a are installed upright from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42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36, and ar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38a. The separate cover plate 38b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upported state.

또, 상기 지주(42)의 상부면과 덮개판(38b)의 마주하는 면의 중심부에는 샤프트(38c)가 임의로 회전되게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38c)의 외측 둘레면에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38d)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aft 38c is arbitrarily rot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42 and the facing surface of the cover plate 38b,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38c is rotated by wind power.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38d are configured to be fixed and installed.

상기 샤프트(38c)의 아랫부분에 해당되는 지주(42)의 내부에는 제너레이터(44)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너레이터(44)는 샤프트(38c)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극(多極)자석형 회전자(44a)와, 상기 회전자(44a)의 둘레에 해당되는 지주(42)의 내부에서 별도의 하우징내에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자(44a)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자 코일(44b)로 이루어진다.A generator 44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42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38c, and the generator 44 is a multipole magnet ro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38c. 44a and a stator coil 44b installed to surround the rotor 44a in a state of being wound in a separate housing inside the support 42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44a.

상기 제너레이터(44)는 풍력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38c) 및 회전날개(38d)가 회전될 때, 샤프트(38c) 하단에 설치된 회전자(44a)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44b)에서 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shaft 38c and the rotor blade 38d are rotated by the wind, the generator 44 has a stator coil 44b according to the magnetic flux change of the rotor 44a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38c. To generate current.

한편, 상기한 축전지(40)는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가 설치된 지주(4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에 의하여 변환·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정격전압으로 축전(蓄電)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18) 및 가로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battery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odule 36 and the wind generator 38 in a state i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36 and the wind generator 38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42).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module 36 and the wind generator 38 is stored at a rated voltag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8 and the street lamp to supply power. Don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에는 각각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원격제어신호가 어느 하나의 제어장치로 송신되면, 해당 제어장치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인접한 다른 제어장치로 재송신하는 방식에 의하여 기 게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on each of the poles 12 of the street lamps is provided with a radio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selected from the RF signal, binary CDMA signal, ultrasonic signal, respectively, remote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to one of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hoisting sequentially by the method of retransmit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nother adjacent control devic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기(24)를 게양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가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를 조작하여 기 게양 및 하강 시간이나, 국경일이나 축제기간 등을 감안한 게양날짜 또는 게양기간 등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상기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는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을 통하여 송출된다.1 to 4, if the user wants to hoist the device 24 installed in the pillar 12 of the street lamp, the administrator operates the computer constitu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hoisting and falling time, national holidays or festival period Entering data required for hoisting of the hoisting date or hoisting period register 24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nd pressing the enter key, the data required for hoisting of the machine 24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stituting a remote control device. .

상기 원격제어장치으로부터 송출된 무선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가로등 기둥(12)에 설치된 제어장치상(46)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값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동작에 따른 모터구동부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18)가 정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되며, 이에 따라 모터(18)의 축기어(18a)와 기어(26a)로 결합된 게양봉(20)의 회전축(26)이 회전되면서 게양봉(20)이 아랫쪽으로 회동되어 게양봉(20)에 매달린 기(24)가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된다.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n the control device 46 installed on any one lamppost 12, the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value By the action of the motor 18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rotating the shaft 26 of the hoisting rod 20 coupled to the shaft gear 18a and the gear 26a of the motor 18 While the hoisting rod 20 is rotated downward, the group 24 suspended on the hoisting rod 20 is hoist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이 때, 상기 게양봉(20)의 각(角)운동은 가이드판(22)상의 가이드공(30)에 끼워진 가이드핀(28)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ngular movement of the hoisting rod 20 is made stable by the guide action of the guide pin 28 fitted into the guide hole 30 on the guide plate 22.

이 같은 방식에 따라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값은 다시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된 후 이웃하는 다음의 가로등 기둥에 설치된 제어장치상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후 위에서 기술한 방식에 의하여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기를 순차적으로 게양하게 되며, 게양된 기(24)를 들어 올릴 때에는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method, the data value necessary for the hoisting of the machine 24 is agai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and then received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n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neighboring lamppost.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e unit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hoist the group sequentially, when lifting the hoisted group 24 is made in the reverse order.

상기의 원격제어신호로는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가 적용될 수 있다. As the remote control signal, any one of a radio signal selected from an RF signal, a binary CDMA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may be applied.

한편, 야간에 가로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 박스(16)의 외측에 설치된 조도센서(32)에서 출력된 신호값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값 보다 낮아 주변이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은 가로등구동부를 제어하여 가로등이 점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32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x 16 is darker than the preset data value when the street light is turned on at night,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streetlight driver. To turn on the streetlight.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10)에서는 모터(18)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에 소요되는 전력이 각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발전부재(34)에 의하여 자체 공급되는데, 햇빛이 지주(42)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장착된 솔라셀모듈(36)상의 솔라셀(36b)에 조사되면, 각각의 솔라셀(36b)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직접 전환시키게 된다.In the electric hoist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motor 18 and lighting the street lamps is supplied by the power generation member 34 installed in the pillars of the street lamps, and the sunlight is generated by the prop 42. When the solar cell 36b on the solar cell module 36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rradiated, each solar cell 36b directly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또, 바람이 불면 상기 지주(42)의 상부에 설치된 풍력발전부재(34)상의 회전날개(38d) 및 샤프트(38c)가 고속으로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38c)가 회전되면 그 하단에 설치된 제너레이터(44)상의 회전자(44a)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44b)에서 전류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 blows, the rotor blade 38d and the shaft 38c on the wind power generator member 3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42 are rotated at high speed, and when the shaft 38c is rotated, the genera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electric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tator coil 44b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magnetic flux of the rotor 44a on the 44.

이와 같이 상기 솔라셀모듈(36)과 풍력발전기(38)상의 제너레이터(44)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는 전선을 통하여 지주(42)의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40)에 축전된 후 기 게양시의 모터(18)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시 소요되는 전력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energy obtained from the generator 44 on the solar cell module 36 and the wind generator 38 is stored in the battery 40 installed in the support 42 through the electric wire, and then the motor at the time of hoisting ( 18) is supplied as the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d lighting of the street light.

16 : 박스 18 : 모터
20 : 게양봉 22 : 가이드판
24 : 기(旗) 26 : 회전축
28 : 가이드핀 30 : 가이드공
32 : 조도센서 34 : 발전(發電)부재
36 : 솔라셀모듈 38 : 풍력발전기
40 : 축전지 44 : 제너레이터(Generator).
16: box 18: motor
20: hoisting rod 22: guide plate
24: flag 26: axis of rotation
28: guide pin 30: guide ball
32: Ambient light sensor 34: Power generating member
36: solar cell module 38: wind power generator
40: storage battery 44: generator.

Claims (4)

가로등 기둥의 상부 소정 높이에서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장착된 박스(Box)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모터와;
기(旗)의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박스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방향으로 각(角)운동되면서 기를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하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게양봉과;
상기 각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박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照度)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가로등 기둥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발전(發電)부재와;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각각의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박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양봉과 연결된 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게양봉과 연결된 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A motor installed in a box fixed and mounted by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amppost and drive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current is applied;
The upper edge of the machine is fixed, and while the inner end is fitted into the box and coupled, the motor is driven in parallel with the ground or lifted upward while being angularly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Crab bees;
An illumination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boxes mounted on the lampposts to measure ambient light intensity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ambient brightness;
A power generation member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while being installed on a bracket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A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motor installed at a pillar of a street lamp while being connected to a manager computer;
It is provided inside the boxes mounted on the respective lampposts, and receives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hoisting rod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lamp, while the remote controller or neighbor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a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to a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driving a motor connected to a hoisting rod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 motor driver controlling a state and a street lamp driver controlling a lighting state of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 motor drive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lamp lamp are electrically set in advance. Article composed of microcomputers that control them according to the program Group hoisting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고정판이 형성된 지주의 외주면에 감겨져 장착된 상태에서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다수개의 솔라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솔라셀 모듈과;
상기 지주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솔라셀모듈 및 풍력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 및 풍력발전기에 의하여 변환·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정격전압으로 축전(蓄電)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 및 가로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generation member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olar cell module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olar cells for converting the sunlight directly into electrical energy in a state that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is formed fixed plate;
A wind power genera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while being rotated by wind power;
It is installed inside the pilla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the electric energy converted and generated by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wind power generator is stored at a rated voltage, An electric hoisting system comprising a storage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and supplying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솔라셀모듈이 구비된 지주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받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덮개판과;
상기 지주의 상부면과 덮개판의 마주하는 면의 중심부에 임의로 회전되게 끼워져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극(多極)자석형 회전자와,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판의 저면에서 회전자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자 코일로 이루어지며, 풍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 및 회전날개의 회전시 샤프트 하단에 설치된 회전자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 power generato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vertically installed from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A cover plate fixed in a state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 shaft that is arbitrarily rotated and installed in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n opposing surface of the cov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rotated by wind power in a state of being fixed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t consists of a multi-pole magnet ro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and a stator coil disposed inside a separate housing and installed to surround the rotor at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the shaft and rotation by wind power And a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urrent in the stator coils according to a change in magnetic flux of the ro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haft during rotation of the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어장치에는 각각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원격제어신호가 어느 하나의 제어장치로 송신되면, 해당 제어장치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인접한 다른 제어장치로 재송신하는 방식에 의하여 기 게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sig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y one of the RF signal, binary CDMA signal, ultrasonic signal selec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transmit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any one control device, respectively. If the control device, the hoi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ing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by the method of retransmit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another adjacent control device.
KR1020110133280A 2011-12-12 2011-12-12 Flag hoist system KR101301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80A KR101301734B1 (en) 2011-12-12 2011-12-12 Flag hoi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80A KR101301734B1 (en) 2011-12-12 2011-12-12 Flag hois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56A true KR20130066456A (en) 2013-06-20
KR101301734B1 KR101301734B1 (en) 2013-08-28

Family

ID=4886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280A KR101301734B1 (en) 2011-12-12 2011-12-12 Flag hoi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73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92B1 (en) * 2013-07-25 2014-12-01 이선일 Apparatus for hoist flag
KR101489841B1 (en) * 2013-12-24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Flag hoist apparatus
KR101645986B1 (en) * 2015-12-24 2016-08-09 주식회사 천일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814A (en) * 2018-10-08 2019-01-25 杨相宜 A kind of hand-held automatic lifting fla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80B1 (en) * 2005-12-20 2007-05-02 진광복 An apparatus for raising flag
KR20110090714A (en) * 2010-02-02 2011-08-10 김원기 Solar motor automatic Taegeuk flag pole rod.
KR20110105462A (en)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협성엠티 An automatic flag hoisting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92B1 (en) * 2013-07-25 2014-12-01 이선일 Apparatus for hoist flag
KR101489841B1 (en) * 2013-12-24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Flag hoist apparatus
KR101645986B1 (en) * 2015-12-24 2016-08-09 주식회사 천일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734B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734B1 (en) Flag hoist system
KR20130027212A (en) Lighting device of road
CN203703799U (en) Streetlamp lighting system based on computer remote control
KR101513832B1 (en) Flag hoist system
CN107202296A (en) A kind of rotary solar street light
CN207717076U (en) The device for monitoring inclination of electric power line pole tower
CN202382160U (en) Novel multifunctional street lamp
CN205535532U (en) Intelligent street lamp
CN208418514U (en) A kind of solar street light
CN112879855A (en) Automatic follow spot street lamp
CN209911573U (en) Moving object detection device for urban intelligent street lamp
CN204477896U (en) Multifunctional solar energy streetlight
CN201218459Y (en) Natural energy road lamp
KR101467693B1 (en) Apparatus for hoist flag
KR101263447B1 (en) Sign device for showing road information installed solar-panel
KR102223196B1 (en) Flag hoist system
CN213019385U (en) Solar street lamp capable of being remotely controlled
CN211176647U (en) Automatic garden lamp for municipal works of clean lamp shade
KR101436750B1 (en) Apparatus for hoist flag
CN106524064A (en) Shaft type solar street lamp following device
CN110397882A (en) A kind of intelligent type energy saving LED light
CN205640694U (en) Use street lamp of electricity -saving lamp illumination
CN215259526U (en) New forms of energy LED street lamp that town and country road was with having basic station fixed knot structure
CN205480695U (en) Intelligent illumination view lamp pole
CN210536795U (en) Wind-solar hybrid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