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86B1 -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86B1
KR101645986B1 KR1020150185624A KR20150185624A KR101645986B1 KR 101645986 B1 KR101645986 B1 KR 101645986B1 KR 1020150185624 A KR1020150185624 A KR 1020150185624A KR 20150185624 A KR20150185624 A KR 20150185624A KR 101645986 B1 KR101645986 B1 KR 10164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pulling
flagpole
pull str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to KR102015018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pole including an automatic hois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hoisting a flag only when the flag need to be hoisted and automatically hoisting the flag only when it is not raining or in a national holiday or a ceremony day. The flagpole has a drawing line of a ring shape, which is to lift the flag on one side of the flagpole. The automatic hoisting device hoists or lowers the flag by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ing line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flagpole. The automatic hoisting device includes: a motor having a pulley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drawing line; and a control unit hoisting or lowering the flag by controll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ey by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motor in a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hoisting control program in which a hoisting time and a lowering time are set in accordance with a seas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hoists and lowers the flag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to correspond to the hoisting time and the lowering time.

Description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깃발 게양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깃발의 게양이 필요한 시점에만 깃발을 자동으로 게양할 수 있게 한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lifting b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base having an automatic lifting base for automatically lifting a flag only when a flag lifting is required.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국경일이나 행사일 또는 비가 오지 않을 때만 자동으로 깃발을 게양할 수 있게 한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ing platform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that allows hoisting of flags automatically only on holidays, days of the event, or in the absence of rain.

깃발은 소정 집단이 자신을 표현하거나 소정 행사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국가를 표현하는 국기나, 관청, 체육협회, 각종 사회단체 등을 표현하는 고유의 깃발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A flag is used as a means for expressing a certain group or expressing a certain event, and a flag expressing a national flag, a government office, a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etc. are widely used.

깃발은 상부에 깃봉이 설치된 게양대에 깃발을 고정시켜 게양된다.The flag is hoisted by fixing the flag on a hoist frame with a ferrule at the top.

이러한 깃발은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단체나 국가를 표현하고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단체나 국가의 관공서의 경우,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게양대를 설치하여 깃발을 게양하고 있으며, 이러한 게양대와 관련하여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se flags ar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and informing a specific group or country. In the case of a government or a government office of the relevant group, various flags are installed in order to express themselves, and flags are hoisted.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게양대와 관련된 기술로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There are a variety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hoist zon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4.

특허문헌 1은 게양대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게양대의 외주변에 끼워진 승강 부재와; 승강부재의 상하 단부 외측면에 부착된 베어링과; 승강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게양대 내부에 제공된 벨트와: 벨트의 상부와 접촉 지지하도록 게양대 내부의 상측부에 설치된 롤러와; 벨트의 하부와 접촉 지지하도록 게양대 내부의 하측부에 설치된 와인더와; 승강부재는 벨트와 연결되도록 게양대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게양대의 한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에 삽입되게 한 것이고,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lev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vating member which is fitt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a hoisting platform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long a hoisting platform; A bearing attached to upper and lower end outer surfaces of the elevating member; A belt provided inside the lifting bas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lifting member; a roll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inside the lifting base so as to be contacted with the top of the belt; A winder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inside the hoist frame so as to be contact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The elev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f the lifting platfor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elt.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notc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특허문헌 2는 태극기가 기대와 회전기대에 매어있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항상 펼쳐진 상태로 있으며, 태극기의 모서리 3점만 묶이므로 바람이 불면 펄럭이는 모습을 분수 있으며, 회전기대가 고정기대를 돌며 풍향의 영향으로 360도 회전하여도 게양대에 감기지 않고, 태극기가 바람으로 펄럭이는 움직임의 방향 상태를 보고 현재의 풍향을 알 수 있게 한 것이고,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the Taegeukgi is tied to the expectation and the rotation expectation, and is always unfolde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wind. Since only three corners of the Taegeukgi are tied together, a flap is formed when the wind is blown. The wind direction of the Taegeukgi fluttering winds can be seen by looking at the current wind direction,

특허문헌 3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한 몸통에, 앞면에는 기(국기)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으로써 2개의 덮개를 좌우로 설치하며, 뒷면에는 건물의 벽에 나사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구멍을 구비하고, 하단 부에는 깃대기어와 덮개기어뭉치 및 모터가 내장되고 깃대가 돌출 연결되어 있는 기어실이 부착조립 되어있는 자동 게양대에 관한 것이며, In Patent Document 3, two lid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s a space where a flag (flag) can be stored on the body using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and on the rear surface, screw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levation platform having a hole and a gear chamber in which a flagpole gear, a lid gear bundle and a motor are built in, and a flagpole is projectingly connected,

특허문헌 4는 좌, 우 분리 형성된 프레임의 상, 하부에 덮개를 끼움 결합하여 일측 결합부분에 수직가이드 공을 형성하는 깃발케이스를 형성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끝단을 덮개에 형성된 결합홈에 지지되도록 한 고정축과, 고정축을 감싸고 상부나 하부 가장자리 부분에 래칫을 형성하는 중공회전축과, 고정축의 외면과 중공회전축의 내면에 일측면을 각각 고정하는 태엽으로 구성한 롤러바를 깃발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장착하며, 깃발은 측면 끝단에 두 개 이상의 고리를 장착하면서 반대 측은 중공회전축의 외면에 감기도록 장착하고,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하고 전, 후진 작동시 스프링에 탄발지지되면서 래칫과 결합 또는 비결합하는 멈춤핀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래칫과 대응하는 깃발케이스에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국기 또는 상호 등을 나타내는 깃발을 외부로 게양하고 우천시에는 깃발이 비나 눈 등에 젖지 않도록 내부에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flap case in which a cover is fitt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frame formed by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vertical guide hole at one joint portion and a flap cas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oller bar formed by wi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rotary shaft to form a ratchet, and a roller bar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rotary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flag case The flags are mounted on the side end with two or more rings, while the opposite side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rotary shaft. The flags are mounted on a case and a case with a spring inside. And a locking device made up of a detent pin that is engaged with or unmated with a ratchet The flags indicating flag or mutual name are usually hoisted to the outside, and in the case of rainy weather, flags can be kept inside so that they are not wetted by rain or snow.

이러한 종래의 깃발 게양대와 관련된 기술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부는 깃발이 항상 펄럭이게 하는 작용을 하고, 일부는 자동으로 깃발을 게양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is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flags hoists has various functions, and some have the advantage that the flags always act as flaps, and some allow the flags to be automatically hoisted.

그러나 종래의 게양대는 깃발을 게양하고자 하는 시간이나 상황을 일일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깃발의 게양에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hoist has a problem in lifting the flag because the user has to manually manipulate the time or circumstances for raising the flag.

또한, 특히 깃대가 높은 게양대의 경우, 깃발을 높은 깃대의 꼭대기에 게양하기 위해 견인줄을 구비하고 있고, 이 견인줄에 깃발을 매달은 후, 당겨 깃발을 깃대 끝의 깃봉 밑에 게양한다. Also, especially in the case of flagpoles with high flagpoles, the flagpoles are provided with towrings to hoist the flags to the top of the high flagpoles, and after pulling the flag on these towpats, pull the flag to hoist the flagpost under the flagpole end.

이렇게 견인줄을 구비한 게양대의 경우, 바람이 세게 불면 깃발과 견인줄이 바람에 날려 깃대와 부딪히고, 이렇게 깃대에 부딪히는 견인줄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충격에 의해 깃대와 견인줄이 쉽게 노후되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hoist with such a tow line, when the wind blows hard, the flag and the tow line are blown by the wind and strike against the flagpole. In addition to this, noise is generated by the pullpipe that strikes the flagpole, and the flagpole and pullpost are easily aged .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03045호1. Korean Patent No. 10-0303045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0150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80150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9975호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09975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775호4. Korean Patent No. 10-105677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게양 및 하기 시각을 입력하여 설정하면 이에 따라 자동으로 깃발의 게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hoist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lifting a flag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hoisting speed and a desired time, .

특히, 국경일이나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일에 자동으로 게양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상 상황에 따라 깃발의 게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 platform equipped with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hoisting a flag on a national holiday or a specific day set by a user, and automatically lifting a flag according to a weather situation.

또한, 깃대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견인줄가이드를 설치하여 깃발을 깃봉으로 끌어올리는 견인줄이 안치되게 함에 따라 견인줄을 보호함을 물론, 견인줄이 바람에 날려 깃대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tow line gu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gp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tect the towp line by pulling the flagpole pulling up the flagpole to the flagpole, as well as an automatic hoist that prevents the pullpost line from being blown against the flagpipe And a lifting base having a base.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깃대의 일측에 깃발을 승강시키기 위한 고리형상의 견인줄을 구비한 게양대로, 상기 깃대의 하단 일즉에는 상기 견인줄을 자동으로 견인하여 깃발을 게양하거나 하기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하되, 상기 자동게양기는, 상기 견인줄의 중간에 접하도록 설치된 풀리를 구비한 모터와; 전원공급수단에서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풀리의 회전방향을 조절함에 의해 깃발이 게양 또는 하기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계절에 따른 게양 및 하기 시각이 설정된 게양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게양시각 및 하기 시각에 맞추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깃발을 게양 및 하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ist fram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ing rope having an annular pull string for raising and lowering a flag on one side of the hoist frame. The hoist rope is automatically pulled at a lower end of the hoist frame, Wherein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comprises: a motor having a pulle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tow line;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to the motor so as to raise or lower the flag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ey,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time and the following time to lift the flag.

상기 제어수단의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깃대의 높이에 맞추어 게양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컴퓨터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기상청의 기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깃발을 게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on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heigh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lagpo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allow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puter, and the elevation control program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To be able to selectively hoist the flag.

또한 상기 게양대에는 솔라셀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수단과,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장치를 포함하는 발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isting station includes a power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olar power generating means including a solar cell and a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rotary vane.

상기 솔라셀은 깃대의 외주면에 감겨 설치되고, 회전날개는 다수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외형이 깃봉의 형상을 이루게 하여 깃봉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and the rotary vane may have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arrang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lap so as to serve as a flap.

또한, 상기 깃대의 일측에는 견인줄가이드를 더 설치하되, 상기 견인줄가이드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견인줄이 안치되는 견인줄가이드홈과, 상기 견인줄가이드홈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견인줄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 깃발고정고리에 깃발을 고정시켜 견인줄을 승강시킴에 따라 깃발고정고리가 개구부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깃발이 게양되고, 상기 견인줄이 견인줄가이드홈에 안치됨에 따라 견인줄이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ull string guid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g pole, and the pull string guide has a pull string guide groove formed in an elongated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pull string, and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And the flag is fixed to the flag fixing ring protruding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towing line is lifted and lowered. As the flag fixing ring moves up and down along the opening, the flag is hoisted. As the towing line is placed in the pulling- It is preferable to prevent flying.

상기 견인줄에는 견인줄이 원활하게 견인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견인줄을 기지하고, 상기 깃발고정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의 적어도 일측은 승강롤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견인줄가이드홈의 승강롤러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롤러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승강롤러가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함에 의해 견인줄이 원활하게 승강되게 할 수 있다. Wherein the pull string is provided with a pull string so that the pull string can be smoothly moved along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and a fixing pipe in which the flag fixing ring is integrally formed is further provided, at least one side of the fixing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A roller guide groove is vertical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guide groove opposed to the elevating roller so that the elevating roller is smoothly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pulling line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상기 깃대 상단의 견인줄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줄관통홀이 형성되고, 줄관통홀과 인접되게 견인줄가이드롤러가 더 설치되어 견인줄의 상단을 지지함에 의해 견인줄이 원활하게 승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i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pposed to the pull string at the upper end of the flag pole and a pull line guide roller is further provided adjacent to the line through hole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pull string so that the pull string is smoothly lif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게양일에 자동으로 깃발의 게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에 따라 깃발의 게양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wherein the flag can be hoisted automatically on a hoisting day set by the us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aise the flag.

또한 기상청의 기상정보에 따라 깃발의 게양 및 하기가 이루어질 수 있어 깃발을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lags can be hoisted and made to protect flags from snow or rain.

또한, 깃발을 견인하는 견인줄이 견인줄가이드에 형성된 견인줄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바람에 의해 깃발이 날려도 견인줄이 가이드홈의 내부에 안치됨상태가 되어 견인줄이 깃대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인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눈이나 비 또는 햇빛에 의해 노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ull string for pulling the flag is installed inside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formed in the pull string guide, the pull string can be placed inside the guide groove even if the flag is blown by the wind, so that the pull string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flag pole ,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nd the tow lin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aging due to snow, rain or sunl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상단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상단부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를 구성하는 태양광발전장치용 솔라셀이 설치된 깃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를 구성하는 풍력발전용 회전날개 겸용 깃봉의 일예의 사시도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hoist fram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hoist fram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art of a hoist fram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end portion of a lift platform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xample of the upper end of a hoist fram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lagpole in which a solar cell for a photovoltaic device constituting a lift platform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rotating rod featuring a rotating blade for wind power generation constituting a lifting base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게양일이나 게양 조건에 맞추어 자동으로 깃발을 게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raise the flag according to the hoisting day or the hoisting condition set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게양대에 구비된 자동게양기(10)는 사용자가 설정한 게양 조건에 따라 깃발을 게양(揭揚)하거나 하기(下旗)함에 따라 깃발의 게양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줄(100)의 중간에 접하도록 설치된 풀리(11p)를 구비한 모터(11)와; 전원공급수단(13)에서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풀리의 회전방향을 조절함에 의해 깃발이 게양 또는 하기시키는 제어수단(12)을 포함한다.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provided on the hois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aise the flag according to the hoisting conditions set by the user by lifting or lowering the flag, A motor 11 having a pulley 11p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pull string 100; And a control means (12)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13) to the motor so as to raise or lower the flag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ey.

상기 자동게양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깃대(300)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어 견인줄(100)을 당기는 방향에 따라 깃발이 승강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모터(11)의 구동에 의해 풀리(11p)가 회전함에 따라 견인줄(100)이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lagpole 300 to raise and lower the flag according to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pulling string 100, As the pulley 11p rotates, the pull string 100 moves.

이렇게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어수단(1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제어수단(12)은 통상의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수단에는 깃발의 게양을 제어하기 위한 게양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ntrol means 12 is provided as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control means 12 can be a normal computer, and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with a hoist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lifting of the flag .

상기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깃발을 게양 또는 하기하는 시각이나 날짜를 설정하여 해당 시각이나 날짜에 깃발을 게양 또는 하기하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hoist control program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so as to raise or lower the flag at the time or date by setting the time or date for lifting the flag.

즉, 상기 제어수단(12)은 계절에 따른 게양 및 하기 시각이 설정된 게양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게양시각 및 하기 시각에 맞추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깃발을 게양 및 하기한다. That is, the control means (12) has a hoist control program with a hoisting time and a time set according to the season,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hoisting time and the following time to hoist the flag.

이러한 제어수단(12)의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깃대의 높이에 맞추어 게양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제어수단은 깃대의 상하단에 깃발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깃발이 감지되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깃대는 설치할 때 그 높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깃대의 길이에 맞추어 최대 구동시간을 설정함에 의해 깃발의 게양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The elevation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means 12 preferably includes a heigh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hoisting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lagpole. The height control means may include a flag sensor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gpole to stop the motor when the flag is detected.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flagpole is usually set when the flagpole is installed, By setting the driving time, the height of the flag can be limited.

물론, 깃발을 조기 게양할 경우에도 깃봉과 깃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견인줄이 당겨지는 거리를 설정함에 의해 조기 게양도 이루어질 수 있다. Of course, early hoisting can also be achieved by setting the pulling distanc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errule and the flag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flag is raised early.

또한 바람직하게는 게양일자나 시간 이외에도 일기에 따라 깃발을 게양하거나 게양하지 않을 수 있다. Preferably, the flag may not be hoisted or hoisted according to a diary other than the hoisting date or time.

즉, 비가 오는 경우에는 깃발을 게양하지 않는 것이 통례이고,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12)은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컴퓨터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기상청의 기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깃발을 게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n the case of rain, it is common not to raise the flag. To this end, the control means 12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puter can be performed. Optionall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hoist the flag.

물론, 습도센서 등을 설치하여 감지된 습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게양된 깃발을 하기 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Of course, if a humidity sensor or the like is installed and the sensed humidity beco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driving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so that a flagged hoist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3)를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driven by a power supply, and includes power supply means (13)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이러한 전원공급수단(13)는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게양대의 특성상 태양광이나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태양이나 바람을 이용한 발전수단을 더 설치하여 자체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such a power supply means 13 can use a commercial power source,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ar power generator or a wind power generato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elf power source Do.

즉, 상기 게양대에는 솔라셀(14s)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수단과, 회전날개(14w)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장치를 포함하는 발전장치(1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power generation device 14 inclu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means including the solar cell 14s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including the rotary vane 14w.

이러한 태양광발전수단과 풍력발전수단을 통상의 발전수단을 이용한 것으로 그 구성이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uch a solar power generating means and a wind power generating means are made of ordinary power generating means, and the constitution is the sam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태양광발전수단을 구성하는 솔라셀(14s)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깃대의 외주면에 감겨 설치되고, 회전날개(14w)는 다수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외형이 깃봉의 형상을 이루게 하여 깃봉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the solar cell 14s constituting the solar power generating means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and the rotary vane 14w has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arranged, So as to serve as a rod.

상기 솔라셀(14s)은 상기한 바와 같이 깃대(300)의 외주면에 감아 설치하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의 견인줄가이드를 제외한 부분에 감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14s is preferab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300 and wound around a portion except for the tow line guid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회전날개(14w)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깃봉을 제작하되 외주면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회전하게 하거나, 중앙을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설치하되 표면의 형상이 깃봉의 형상을 이루게 만들어 깃봉의 역할과 회전날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the rotary vane 14w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it by wind or by radi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vanes about the center thereof, It is desirable to make the shape of the ferrule so that the role of the ferrule and the role of the rotor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견인줄(100)에 의해 깃발이 게양되고, 바람이 불 경우 이 견인줄이 깃대와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gs are hoisted by the pull string 100, and when the wind is blown, the pull string collides with the flag pole to generate nois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게양대는 견인줄이 깃대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인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눈이나 비 또는 햇빛에 의해 노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isting r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ow rope from colliding with the flagpole, thereby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and also preventing the tow rop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aging due to snow, rain or sunlight have.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통상의 깃대(300)의 일측에 견인줄가이드(20)를 구비하고 있다. That is, the lift platform having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ll string guide 20 on one side of a conventional flagpole 300.

상기 견인줄가이드(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깃대(300) 일측의 견인줄(100)이 설치되는 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견인줄가이드홈(20w)이 형성되며, 이 견인줄가이드홈(20w)에 견인줄이 안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pull cord guide 20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ull string 100 on the side of the flag pole 3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S. 3 to 5, A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pull string is placed in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이에 따라 견인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햇빛이나 눈 또는 비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노후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tow lin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ow line can not be directly contacted with sunlight, snow, or rain, thereby delaying the deterioration.

상기 견인줄(100)에는 깃발(200)을 매달기 위한 깃발고정고리(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깃발고정고리(3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줄가이드(20)의 견인줄가이드홈(20w)의 측벽이 개방되어 개구부(20o)가 형성되어 있다. The pull string 100 is provided with a flag fixing ring 30 for hanging the flag 200.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 of the pull string guide 20 20w are opened to form an opening 20o.

또한, 상기 견인줄에 고정되는 깃발고정고리(30)를 보다 안정적으로 견인줄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관(30r)을 설치하였다. In addition, a fixing pipe 30r is provided for fixing the flag fixing ring 30 fixed to the towing line more stably to the towing line.

즉, 상기 깃발고정고리(30)는 견인줄(100)에 고정되는 원통형 고정관(30r)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단부가 상기 개구부(20o)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That is, the flag fixing ring 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ylindrical fixing pipe 30r fixed to the pulling string 100, and the end of the flag fixing ring 3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0o.

상기 견인줄가이드(20)는 깃대(300)의 형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통상의 깃대(300)는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렇게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만들어질 경우,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며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파이프를 결합하여 만들어, 무게 중심이 아래에 있게 한다. The tow line guide 20 may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lagpole 300. That is, although a typical flagpole 300 is different depending on its length, it is formed by connecting one or more pipes. When the pipe is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a pipe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upper end is combined, The center of gravity is at the bottom.

즉, 상기 깃대(300)는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되, 각 파이프는 하광상협(上鑛下峽)의 형태를 갖는 테이퍼형 파이프도 만들어진다.That is, the flagpole 300 is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and each of the pipes is also made into a tapered pipe having a shape of a lower roof.

이렇게 깃대가 상단을 향하며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만들어질 경우, 외부에 턱이 생기고, 이 턱이 생기는 부분에서도 견인줄이 견인줄가이드홈(20w)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견인줄가이드홈(20w)의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롤러가이드홈(20r)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30r)에 승강롤러(40)를 설치하여 승강롤러가 롤러가이드홈(20r)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견인줄을 잡아주어 견인줄이 견인줄가이드홈(20w)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견인줄이 원활하게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when the pipe is made by connecting a pi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a tuck is form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pulling line can be moved smoothly without leaving the pulling string guide groove 20w A roller guide groove 20r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to guide the roller guide groove 20r and an elevating roller 40 is provided on the fixing pipe 30r, So that the pull string can be moved up and down smoothly while the pull string is not separated from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상기 승강롤러(40)가 장착된 고정관(30r)은 견인줄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관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핀을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견인줄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ipe 30r on which the elevating roller 40 is mounte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ns as required so that the pulling line can be smoothly conveyed and may be fixed to the pulling line by a method of inserting the fixing pin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fixing pip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견인줄이 원활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견인줄의 중간을 지지하는 견인줄가이드롤러(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lift platform provided with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ull line guide roller 50 for supporting the middle of the pull line so that the pull line can reciprocate smoothly.

상기 견인줄가이드롤러(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깃대(300) 상단의 깃봉 밑에 설치되고, 견인줄(100)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tow line guide roller 50 is installed under the ferrule at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300 and supports the tow line 100 so that the tow line 100 can be smoothly mov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의 경우, 상기 견인줄가이드롤러(50)를 중심으로 견인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견인줄가이드홈을 두 개 형성하여, 고리형상으로 감긴 견인줄의 양측을 모두 견인줄가이드홈의 내부에 안치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나의 견인줄가이드(20)에 두 개의 견인줄가이드홈(20w)을 형성할 경우, 견인줄가이드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ifting platform having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ulling-line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pulling rods around the pulling-line guide rollers 50 are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pulling- It can be placed inside. However, when two pull line guide grooves 20w are formed in one pull line guide 20, the structure of the pull line guides can be complicated.

이에 따라 견인줄가이드롤러(50)를 중심으로 일측의 견인줄은 깃대(300)의 안쪽을 통과하게 하고, 타측은 상기 견인줄가이드홈(20w)을 통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 string on one side of the pull string guide roller 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lag 300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이에 따라 상기 견인줄가이드롤러(50)를 경유하는 견인줄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깃대(300)의 일측에 줄관통홀(300h)을 형성하고, 이 줄관통홀(300h)과 인접되고 상기 견인줄가이드롤러(50)를 설치하여 견인줄이 깃대의 내부와 견인줄가이드홈(20w) 내부에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A through-hole 300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agpole 300 so that the pulling string passing through the pulling-line guide roller 50 can pass therethrough, and the pulling- (50) is provided so that the pull string is moved inside the flagpole and in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전술한 바와 같이, 깃발(200)을 견인줄(1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깃발고정고리(30)를 견인줄에 고정시켜야 하고, 이 깃발고정고리(30)는 깃발의 상하단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x the flag 200 to the pull string 100, the flag fixing hook 30 must be fixed to the pull string. The flag fixing hook 30 has two hooks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gs Should be installed.

이러한 깃발고정고리(30)를 견인줄에 고정시키는 고정관(30r)은 깃발고정고리(30)가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의 짧은 길이를 갖는 두 개의 고정관(30r)을 깃발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관(30r)은 깃발의 높이(폭)에 따라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관체의 일측에 고정나사를 조일 수 있게 하여 고정나사를 풀고 위치를 조정한 후 조임에 의해 두 고정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ixing pipe 30r for fixing the flag fixing ring 30 to the towing line is constructed by disposing two fixing pipes 30r having a short length enough to form the flag fixing ring 30 so as to be spaced apart by the height of the flag desirable. Of course, the fixing pipe 30r can be fixed to one side of the tube so that the position fixed according to the height (width) of the flag can be adjusted, the fixing screw is loosened, the position is adjusted, You can control the dista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는 하기된 깃발이 보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11)와 제어수단(12)을 포함하는 전장품으로 구성된 자동게양기(10)를 보호하기 위해 수납함(1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ist with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not only for storing flags but also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composed of electr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motor 11 and the control means 12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box 16 for protection.

상기 수납함(1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계양기(10)가 설치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는 통체의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는 깃발이 보관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상부면에는 깃발출입구(16o)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torage box 16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sufficient for the automatic weighing machine 10 to be installed therein. The storage box 16 has an empty space in which a flag can be stored, A flag entry / exit port 16o is formed.

이렇게 수납함을 설치함에 따라 하기된 깃발이 수납함의 내부에 바관되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By installing such a storage box, the following flags can be folded inside the storage box and protected from snow or rain.

하기된 깃발이 안전하게 수납함에 보관 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하기된 깃발이 수납함에 형성된 깃발출입구(16o)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flag to be safely stored in the storage box, the flags described below must be able to be moved to a position outside the flags entrance 16o formed in the housing.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줄가이드(20)의 하단을 수납함의 안쪽으로 굽혀 깃발보관가이드부(21)를 형성하여 하기된 깃발이 수납함의 안쪽으로 당겨지게 하였다.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3, the lower end of the pull cord guide 20 is bent inwardly of the housing box to form a flag storage guide part 21 so that the flags are pulled inward of the housing.

즉, 모터를 구동시켜 깃발을 하기할 때 견인줄이 당겨지면, 깃발고정고리가 상기 깃발보관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깃발은 수납함 상부의 깃발출입구를 벗어난 가려진 부분으로 이동되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towing line is pulled when the flag is driven by driving the motor, the flag fixing ring moves along the flag storage guide portion 21, so that the flag is moved to the obscured portion which is out of the flag entry / It can be protected from rain or r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게양기(10)는 사용자가 원할 때 수동으로 전환하여 게양 또는 하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manually switch and lift the hoistway when desired.

이를 위해 수동작동스위치(15)를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수동작동스위치(15)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게양 및 하기를 할 수 있도록 제어수단의 제어를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15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manual operation switch 15 may be provided to manual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o switc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so that the manually operated switch 15 can be manually lifted and ope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ngeover switch 15s is provided.

즉, 전환스위치(15s)에는 자동 모두와 수동 모두가 설정되어 자동모드로 스위칭되면 제어수단에 기 설정된 제어방법에 의해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어 깃발이 게양 및 하기되고, That is, when both the automatic switch and the manual switch are set in the changeover switch 15s and the automatic mode is switched, the control of the mo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thod predetermined by the control means,

수동 모두로 스위칭 되면 상기 수동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킴에 의해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When all the switches are manually switched on,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controlled by activating the manual operation switch.

10: 자동게양기
11: 모터 11p: 풀리
12: 제어수단 12m: 통신모듈
13: 전원공급수단
14: 발전수단 14s: 태양광발전수단
14w: 풍력발전수단
15: 수동작동스위치 15s: 전환스위치
16: 수납함 16o: 깃발출입구
20: 견인줄가이드
21: 깃발보관가이드부
20w: 견인줄가이드홈
20r: 롤러가이드홈
20o: 개구부
30: 깃발고정고리
30r: 고정관
40: 승강롤러
50: 견인줄가이드롤러
100: 견인줄 200: 깃발 300: 깃대 300h: 줄관통홀
10: Automatic hoist
11: motor 11p: pulley
12: control means 12m: communication module
13: Power supply means
14: power generating means 14s: solar power generating means
14w: Wind power generator
15: Manual operation switch 15s: Changeover switch
16: Storage box 16o: Flag entrance
20: tow guide
21: Flag keeping guide section
20w: Tow guide guide groove
20r: Roller guide groove
20o: opening
30: Flag retainer
30r: fixed pipe
40: lifting roller
50: pull rod guide roller
100: pull string 200: flag 300: flag pole 300h: through hole

Claims (9)

깃대(300)의 일측에 깃발(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고리형상의 견인줄(100)을 구비한 게양대로, 상기 깃대의 하단 일즉에는 상기 견인줄을 자동으로 견인하여 깃발을 게양하거나 하기하는 자동게양기(10)를 구비하되,
상기 자동게양기(10)는,
상기 견인줄의 중간에 접하도록 설치된 풀리(11p)를 구비한 모터(11)와;
전원공급수단(13)에서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풀리의 회전방향을 조절함에 의해 깃발이 게양 또는 하기시키는 제어수단(1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12)은 계절에 따른 게양 및 하기 시각이 설정된 게양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게양시각 및 하기 시각에 맞추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깃발을 게양 및 하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게양대에는 깃대의 외주면에 감겨 설치된 솔라셀(14s)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수단과,
다수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외형이 깃봉의 형상을 이루어 깃봉으로 사용되는 회전날개(14w)를 포함하는 풍력발전장치를 포함하는 발전장치(14)를 구비하며,
상기 깃대(300)의 일측에는 견인줄가이드(20)를 더 설치하되, 상기 견인줄가이드(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견인줄이 안치되는 견인줄가이드홈(20w)과, 상기 견인줄가이드홈(20w)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20o)를 구비하며, 견인줄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 깃발고정고리(30)에 깃발을 고정시켜 견인줄을 승강시킴에 따라 깃발고정고리가 개구부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깃발이 게양되고, 상기 견인줄(100)이 견인줄가이드홈에 안치됨에 따라 견인줄이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줄의 상단을 지지함에 의해 견인줄이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상기 깃대(300) 상단의 견인줄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줄관통홀(300h)이 형성되고, 줄관통홀과 인접되게 견인줄가이드롤러(40)가 더 설치되어, 견인줄이 깃대의 내부와 견인줄가이드(10)의 견인줄가이드홈(10w)을 통과하여도록 설치되어, 견인줄이 견인줄가이드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하였으며,
상기 깃대(300)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11)와 제어수단(12)을 포함하는 전장품으로 구성된 자동게양기(10)를 보호하고, 상부면에는 깃발출입구(16o)가 형성된 수납함(16)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견인줄가이드(20)의 하단을 수납함의 안쪽으로 굽혀 깃발보관가이드부(21)를 형성하여 하기된 깃발이 수납함의 안쪽으로 당겨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A hoisting machine having an annular pull string 100 for lifting and lowering a flag 200 at one side of a flagpole 300 and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for pulling the pulling string automa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10)
The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A motor 11 having a pulley 11p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tow line;
And a control means (12)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13) to the motor so as to raise or lower the flag b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ley,
The control means (12) is provided with a raising control program with a raising time and a raising time according to the season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raising time and the following time to hoist the flag,
The solar power generation means including a solar cell (14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gpole,
And a power generator (14) including a wind power generator (14w) having a plurality of vanes arranged in a radial pattern and having an outer shape in the form of a rod-like bar and used as a ferrule,
A pull cord guide 20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ag pole 300. The pull cord guide 20 includes a pull string guide groove 20w having a long upper and lower pull string, As the flag is fixed to the flag fixing ring 30 fixed to the pull string and protruded through the opening to raise and lower the pull string, the flag fixing hook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opening As the flag is hoisted and the pull string 100 is placed in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the pull string is prevented from being blown by the wind,
A through-hole 300h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300 opposite to the pulling string so that the pulling string can be smoothly lifted b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string, and the pulling- So that the pulling line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lagpole and the pulling-rod guide groove 10w of the pulling-line guide 10 so that the pulling line does not deviate from the pulling-line guide,
An automatic hoisting machine 10 comprising an electric component including the motor 11 and the control means 12 is prot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gpole 300 and a storage box 16 having a flag entry / Further,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pull cord guide (20) is bent inside the housing box to form a flag storage guide part (21) so that the flags are pulled into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2)의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깃대의 높이에 맞추어 게양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on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means (12) is provided with eleva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levation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flag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2)은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컴퓨터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게양제어프로그램은 기상청의 기상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깃발을 게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12)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puter, and the elevation control program selectively hoists the flag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weather s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에는 견인줄이 원활하게 견인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견인줄을 기지하고, 상기 깃발고정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관(30r)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 string is provided with a pull string so that the pull string can be smoothly moved along the pull string guide groove, and a fixed pipe (30r) in which the flag fixing hook is integrally formed is further provid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30r)의 적어도 일측은 승강롤러(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견인줄가이드홈(20w)의 승강롤러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롤러가이드홈(20r)이 형성되어 승강롤러가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함에 의해 견인줄이 원활하게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게양기를 구비한 게양대.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side of the fixing pipe 30r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40. A roller guide groove 20r is vertical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pulling line guide groove 20w opposed to the lifting roller 20r, So that the towing line can be smoothly moved up and down.

삭제delete
KR1020150185624A 2015-12-24 2015-12-24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KR101645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24A KR101645986B1 (en) 2015-12-24 2015-12-24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24A KR101645986B1 (en) 2015-12-24 2015-12-24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986B1 true KR101645986B1 (en) 2016-08-09

Family

ID=5671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24A KR101645986B1 (en) 2015-12-24 2015-12-24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042B1 (en) * 2018-02-19 2019-06-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hoisting flag, flag hoisting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KR102628458B1 (en) 2023-04-25 2024-01-23 황교철 A flag hoisting device in which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flags is hoiste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85A (en) * 1998-11-02 2000-06-05 강영준 National flag hoist rotated by wind
JP2000298444A (en) * 1999-04-14 2000-10-24 Nishishiba Electric Co Ltd Flag hoisting device
KR20020080150A (en) 2001-04-11 2002-10-23 진랑규 turning
KR20040009975A (en) 2002-07-26 2004-01-31 이춘흥 Automatic hoisting platform with electric device
KR101056775B1 (en) 2009-04-13 2011-08-12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Flag pole
KR20130066456A (en) * 2011-12-12 2013-06-20 이선일 Flag hoist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85A (en) * 1998-11-02 2000-06-05 강영준 National flag hoist rotated by wind
KR100303045B1 (en) 1998-11-02 2001-09-24 강영준 Improved flagpoles
JP2000298444A (en) * 1999-04-14 2000-10-24 Nishishiba Electric Co Ltd Flag hoisting device
KR20020080150A (en) 2001-04-11 2002-10-23 진랑규 turning
KR20040009975A (en) 2002-07-26 2004-01-31 이춘흥 Automatic hoisting platform with electric device
KR101056775B1 (en) 2009-04-13 2011-08-12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Flag pole
KR20130066456A (en) * 2011-12-12 2013-06-20 이선일 Flag hois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042B1 (en) * 2018-02-19 2019-06-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hoisting flag, flag hoisting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KR102628458B1 (en) 2023-04-25 2024-01-23 황교철 A flag hoisting device in which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flags is hois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396B2 (en) Method for assembling/dismounting components of a wind power plant
KR101645986B1 (en)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KR101716094B1 (en) Flagpole
KR20130033628A (en) Pole of elevating type
CN106150923A (en) A kind of adjustable wind-driven generator of traffic altitude
CN201301586Y (en) Intelligent manual and electric dual full-wind driven flag post
KR101033695B1 (en) Flag hoisting unit
KR101496226B1 (en) Gondola for blade of wind generator
KR101055452B1 (en) Flag hoisting device
KR102379657B1 (en) Apparatus for rasing flag
KR20160142423A (en) Ship with improved pedestal for supporting gangway
CN105645290A (en) Arrangement to hoist wind turbine component
KR20200057303A (en) Structure for support pole of variable camera
CN106703500A (en) Multi - functional automatic flag - raising device
KR20220082744A (en) Energy self-reliant smart flag hoisting device
KR20190011149A (en) The Flag Pole Of The Rotating Type
WO2013050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storage and enhancment
KR20140124507A (en) the auto flag hoisting pole of the roll type
KR20160037385A (en) the auto flag hoisting pole of the rope roll type
KR101702926B1 (en) flag hoist
KR101805045B1 (en) Apparatus of putting up a vertical placard on the wall of building
KR20220076878A (en) Parasol having pocket section
KR101782427B1 (en) Method for hoisting flag
CN108843034B (en) Umbrella for building
CN215287800U (en) Building engineering material lif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