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196B1 - Flag hoist system - Google Patents
Flag hois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3196B1 KR102223196B1 KR1020190082606A KR20190082606A KR102223196B1 KR 102223196 B1 KR102223196 B1 KR 102223196B1 KR 1020190082606 A KR1020190082606 A KR 1020190082606A KR 20190082606 A KR20190082606 A KR 20190082606A KR 102223196 B1 KR102223196 B1 KR 102223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hoisting
- wireless data
- hoisting rod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 게양시스템에 따르면, 가로등 기둥의 상부 소정 높이에서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장착된 제1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제1모터와 제2모터; 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제1박스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방향으로 각운동되면서 기를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하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제1게양봉; 내측단부가 상기 제2박스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제2게양봉; 상기 제2게양봉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게양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게양봉에 감기거나 펼쳐지고, 일측면에 특정한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 상기 가로등 기둥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발전부재;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 원격제어장치;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 및 제2박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제어하여 기를 게양하거나, 상기 제2모터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게양봉에 고정된 기와 다른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여 게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device hoi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are installed inside a first box fixed and mounted by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a lamppost and drive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dge of the flag is fixed and the inner e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x, the first motor is angular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thereby hoisting the flag parallel to the ground or lifting it upwards. Hoisting; A second hoisting rod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while the inner end thereof is fitt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x; A display uni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hoisting rod, winding or unfolding the second hoisting rod as the second hoisting rod rotates, and displaying a specific digital device on one side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first box mounted on the lamppost to measure ambient illuminance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A power generation member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energy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while installed on a bracket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s computer, an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for displaying digital devices on the display unit. Remote control device; I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ox and the second box mounted on the lamppost, and receives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street lamp,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a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wireless data to the next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a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that controls driv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 streetlight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lighting state of a streetlight according to a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an illuminance sensor, and a streetlight driving unit A control device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m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isting rod by controlling the first motor to hoist a flag, or by controlling the second motor and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unted by displaying a digital device different from that fixed to th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 게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 등은 제1게양봉에 게양하고,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는 디지털 기로 게양할 수 있는 기 게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hoi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national flag symbolizing a national flag or a local government flag symbolizing a local government on a pole of a street lamp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adside. It relates to a flag hoisting system that can be hoisted on a beekeeper and used for various events such as athletic meets and festivals that must be replaced from time to time with digital flags.
일반적으로,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는 국경일 등 각종 기념일에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각 가정이나 관공서 및 도로변의 가로등 기둥에 게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각종 지방단체기나 각종 행사나 축제 등에 사용되는 각종 깃발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도로변에 게양되거나 축제나 행사장 주변으로 향하는 도로변 또는 행사장 주변에 설치되어 축제나 행사분위기를 고취시키는데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national flag, which symbolizes the country, is allowed to be mounted on lampposts in each home, government office, and roadside to inspire patriotism on various anniversaries such as national holidays. Various flags used for events and festivals are also hoisted on the roads of local governments, or installed on the roads or around the event venues, and are appropriately used to inspire the atmosphere of festivals or events.
한편, 이와 같은 국기를 게양하기 위하여 일반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베란다의 난간 바깥쪽에 국기 제1게양봉을 꽂을 수 있는 끼움봉이 마련되어 있고, 일반 도로변의 가로등 기둥에도 또한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축제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한 깃발이 걸려 있는 제1게양봉을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끼움봉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국경일 등 각종 기념일이나 축제 등의 행사시에는 상기 끼움봉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깃발이 걸려 있는 제1게양봉의 하단을 끼우는 방식으로 게양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such as general apartments, in order to hoist the national flag, a fitting rod is provided outside the railing of the veranda to insert the first flag, and also on the street lamps along the general roads, national flags, local flags, or various festivals. B. A number of fitting rods are protruding so that the first hoisting rod with a flag hanging to commemorate the event is protruding, so in the event of various anniversaries or festivals, such as national holidays, It was hoisted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isting rod on which the flags used for various events were hung.
그러나, 최근 국경일 등에 아파트 등 일반 가정에서 국기를 게양하는 빈도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고, 가로등의 기둥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또는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깃발을 게양하는 경우에 차량에 국기나 지방단체기 등을 싣고 다니면서 작업자가 깃발이 걸려 있는 제1게양봉을 일일이 끼움봉에 꽂아 게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시간적,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frequency of hoisting national flags in general homes such as apartments on recent national holidays is decreasing, and when the flag or local organization flag or flag used for various events is mounted on a street lamp post, the national flag or local organization flag is displayed on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very cumbersome, as well as time and economical disadvantages, because the operator must hoist the first hoisting rod with the flag on it one by one while carrying a back.
한편, 가로등의 점등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이 극심하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of electric energy is extreme becaus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used when the street light is turned on.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오랜 동안 연구한 결과, 도로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가로등의 기둥에 기 게양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의 게양과 하강이 원격제어에 의하여 릴레이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의 게양 및 가로등의 점등에 사용되는 전기에너지가 외부로부터의 공급없이 가로등 마다 자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개발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for a long time, as a result of installing the flag hoisting device on the poles of each streetlight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road, and at the same time, the hoisting and lowering of the flag can be performed in a relay method by remote control. On the other hand, a new flag hoisting system was developed so that the electric energy used for raising flags and lighting the streetlights can be supplied to each streetlight by itself without supplying from the outsid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aste of electrical energy.
한편,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행사가 바뀔 때마다 기를 회수하고 재 게양해야 하는 작업이 여전히 남아 있는 바, 기의 회수 없이 행사에 맞춰진 기를 게양할 수 있는 방법은 꾸준히 요구되어 오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various events take place, there is still a work to collect and re-hoist the flag whenever the event changes.Therefore, a method of hoisting the flag tailored to the event without collecting the flag has been constantly requir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를 제1게양봉을 통해 게양하고,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작업인원 없이 다양한 종류의 기를 디지털 기로 게양할 수 있고, 디지털 기를 게양하지 않는 시간에는 영상 등을 통해 광고, 홍보 등을 할 수 있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는 기 게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ional flag symbolizing the country or a local government flag symbolizing a local government on a pole of a street lamp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side. By hoisting through the first hoisting rod and displaying various types of flags and images used in various events such as athletic meets and festivals through the display unit, various types of flags can be hoisted with digital flags without workers, and digital flags It is to provide a flag hoisting system tha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ime and economy because advertisements and public rela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video during the off hou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의 점등 및 기 게양에 소요되는 전력을 외부로부터의 공급없이 가로등 마다 자체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 게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flag hoisting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waste of electric energy by allowing the power required for lighting and hoisting a street light to be self-supplied to each street light without supplying from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 게양시스템에 따르면, 가로등 기둥의 상부 소정 높이에서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장착된 제1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제1모터와 제2모터; 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제1박스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방향으로 각운동되면서 기를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하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제1게양봉; 내측단부가 상기 제2박스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제2게양봉; 상기 제2게양봉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게양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게양봉에 감기거나 펼쳐지고, 일측면에 특정한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 상기 가로등 기둥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발전부재;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 원격제어장치;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 및 제2박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제어하여 기를 게양하거나, 상기 제2모터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게양봉에 고정된 기와 다른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여 게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machine hoi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x fixed and mounted by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treet lamp post, and drives forward/revers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to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dge of the flag is fixed and the inner e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x, the first motor is angular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thereby hoisting the flag parallel to the ground or lifting it upwards. Hoisting; A second hoisting rod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while the inner end thereof is fitt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x; A display uni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hoisting rod, winding or unfolding the second hoisting rod as the second hoisting rod rotates, and displaying a specific digital device on one side; An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first box mounted on the lamppost to measure ambient illuminance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A power generation member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energy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while installed on a bracket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s computer, an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for displaying digital devices on the display unit. Remote control device; I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ox and the second box mounted on the lamppost, and receives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street lamp,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a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wireless data to the next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a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that controls driv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 streetlight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lighting state of a streetlight according to a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an illuminance sensor, and a streetlight driving unit A control device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m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isting rod by controlling the first motor to hoist a flag, or by controlling the second motor and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unted by displaying a digital device different from that fixed to the devic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이상의 패널이 접히도록 각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상기 제2게양봉의 정회전시 펼쳐지고, 역회전시 감겨져 보관되고, 상기 2이상의 패널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되어, 하나의 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the edge of each panel is coupled so that the two or more panels are folded, it is unfolded when the second hoisting rod is rotated forward and is wound and stored when the second hoisting rod is rotated, and the two or more panels are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ireless data, and one giga is displayed.
또한, 상기 제2게양봉은, 다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이상의 패널이 접히도록 각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되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어느 하나의 패널 모서리가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패널 반대 모서리에 또 다른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2이상의 패널이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을 감싸며 감기고,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에 각각 감겨진 패널의 외측면에 감겨 겹쳐지는 또 다른 패널은, 이미 감겨진 패널의 상하폭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hoisting rod is formed in a polygonal column, and the display unit is coupled to the edge of each panel so that two or more panels are folded, and any one panel edge at the edge between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isting rod Is coupled, and the edge of another panel is coupled to the opposite edge of any one panel, so that two or more panels wrap around the side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d ar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woun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isting rod, respectively. Another panel that is wound and overlapp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op and bottom width that is larger than the top and bottom width of the already wound panel.
또한, 상기 제2게양봉의 양단에 제2게양봉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어 제2게양봉에 감겨진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고 저면에 제2게양봉과 감겨진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도록 오목한 내입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내입홈을 덮어 감겨진 디스플레이부의 하부를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커버와 덮개의 힌지결합부분에 구비되어 덮개가 상부를 향하여 내입홈의 개방부분이 폐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hoisting rod is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d the second hoisting rod is convex upward to protect the display unit wound on the second hoisting rod from the outside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and the second hoisting rod at the bottom. And a cover having a concave inner recess to locate the wound display unit, a cover hinge-coupled to one end of the cover to protect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wound by covering the inner recess, and a cover provided at the hinged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cover 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unit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inner groove toward the upper part.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로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나 지방자치단체를 상징하는 지방자치단체기를 제1게양봉을 통해 게양하고, 체육대회나 축제 등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작업인원 없이 다양한 종류의 기를 디지털 기로 게양할 수 있고, 디지털 기를 게양하지 않는 시간에는 영상 등을 통해 광고, 홍보 등을 할 수 있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national flag symbolizing the national flag or a local government flag symbolizing a local government is hoisted on a pole of a street lamp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side through the first hoisting rod, and an athletic meet or a festival By displaying various types of flags and images used in various events such as through the display unit, various types of flags can be mounted on digital flags without workers. Because it can be done,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terms of time and economy.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 게양시스템이 설치되는 가로등의 기둥에 자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부재 설치되어 풍력 및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켜 축전하였다가 기 게양을 위한 제1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시 자체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power generation member is installed to supply its own power to the pole of the streetlight on which the device hoisting system is installed. Since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by itself when driving and lighting a street light,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of electric energy can be drastical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1박스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2박스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2게양봉 작동상태를 나타내되, A는 디스플레이부가 감겨진 상태이고, B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발전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box portion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second box portion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hoisting rod operating state of th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wound, and B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unfolde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member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 게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1박스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2박스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제2게양봉 작동상태를 나타내되, A는 디스플레이부가 감겨진 상태이고, B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의 발전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box portion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second box portion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hoisting rod operating state of th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wound, and B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unfolde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ower generation member of the machine hoi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10)에서는 도로변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세워지는 각 가로등 기둥(12)의 상부 소정 높이에 별도의 브래킷(14)에 의하여 제1박스(16) 및 제2박스(60)가 고정·장착되며, 제1박스(16)와 제2박스(60)의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제1모터(18)와 제2모터(61)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된다.1 to 4, in the machine hoisting
본 발명에서 제1박스(16)의 내측으로는 별도로 마련되는 제1게양봉(20)이 가이드판(2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각운동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제1박스(16)는 게양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게양봉(20)도 게양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게양봉(20)은 게양하고자 하는 기(24)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길이를 갖는데, 제1박스(16)의 내부로 끼워지는 제1게양봉(20)의 내측단부의 양측으로는 회전축(26)이 돌설되어 가이드판(22)에 끼워지고, 회전축(26)의 일측단에는 제1모터(18)의 축기어(18a)와 맞물려 회동되는 기어(26a)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또, 회전축(26)의 앞쪽에 해당되는 제1게양봉(20)의 내측단 일측 또는 양측면에는 가이드핀(28)이 돌설되고, 가이드핀(28)과 마주하는 쪽에 해당되는 가이드판(22)상에는 제1게양봉(20)의 상하방향 각운동이 일정 각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원호형의 가이드공(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제2게양봉(62)은 내측단부가 제2박스(60)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제2모터(6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된다. The
이때, 제2박스(60)는 게양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그에 따라 제2게양봉(62) 및 디스플레이부(63)도 게양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디스플레이부(63)는 제2게양봉(62)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게양봉(62)이 회전함에 따라 제2게양봉(62)에 감기거나 펼쳐지고, 일측면에 특정한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한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63)는, 2이상의 패널(64)이 접히도록 각 패널(64)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제2게양봉(62)의 정회전시 펼쳐지고, 역회전시 감겨져 보관된다. In addition, the
2이상의 패널(64)에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되어, 하나의 기가 디스플레이된다. Two o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3)가 3개의 패널(64)로 이루어진 경우, 제2게양봉(62)에 제1패널(64)의 일단이 결합되고, 제1패널(64)의 타단에 제2패널(64)의 일단이 결합되고, 제2패널(64)의 타단에 제3패널(64)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기는 3등분되어 상부는 제1패널(64)에, 중간부는 제2패널(64)에, 하부는 제3패널(64)에 각각 디스플레이되어, 3개의 패널(64)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63)가 펼쳐지면 하나의 기가 디스플레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여기서, 패널(64)과 패널(64)이 결합되는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패널(64)과 패널(64)의 마주하는 측면이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63)가 제2게양봉(62)에 감겨지면서 부착된 자성부재는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패널(64)이 제2게양봉(62)으로부터 펼쳐지면서 상하에 위치하는 패널(64)의 자성부재는 서로 부착되어 패널(64)들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63)를 이루게된다. Here, a magne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한편, 제2게양봉(62)은, 다각기둥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isting
디스플레이부(63)는, 2이상의 패널(64)이 접히도록 각 패널(64)의 모서리가 결합되되 제2게양봉(62)의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어느 하나의 패널(64) 모서리가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패널(64) 반대 모서리에 또 다른 패널(64)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2이상의 패널(64)이 제2게양봉(62)의 측면을 감싸며 감기게 된다. 또한, 제2게양봉(62)이 회전되어 패널(64)들이 펼쳐지면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In the
제2게양봉(62)의 측면에 각각 감겨진 패널(64)의 외측면에 감겨 겹쳐지는 또 다른 패널(64)은, 이미 감겨진 패널(64)의 상하폭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갖는다. Another
예를 들어, 제2게양봉(62)이 4각기둥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63)가 제1패널(64) 내지 제8패널(64)로 이루어지되 제1패널(64)의 일단 모서리는 제2게양봉(62)의 어느 한 모서리에 힌지결합되고, 제2패널(64)의 타단 모서리는 제2패널(64)의 일단 모서리에 힌지결합되고, 제3패널(64) 내지 제8패널(64)은 제1패널(64)과 제2패널(64)의 결합과 같이 모서리가 서로 힌지결합된다. For example, the
이때, 제2게양봉(62)의 측면 폭을 d이라 하고, 패널(64)의 두께를 t라고 가정하면, 제1패널(64) 내지 제3패널(64)의 폭은 d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4패널(64)의 폭은 제5패널(64)이 제1패널(64)의 외측면에 마주하도록 감기기 때문에 d+t로 형성된다. 또한, 제5패널(64)의 폭은 제6패널(64)이 제2패널(64)의 외측면에 마주하도록 감기기 때문에 d+t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6패널(64)의 폭은 제7패널(64)이 제3패널(64)의 외측면에 마주하도록 감기기 때문에 d+2t로 형성된다. 또한, 제7패널(64)의 폭은 제8패널(64)이 제4패널(64)의 외측면에 마주하도록 감기기 때문에 d+2t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제8패널(64)의 폭은 추가되는 추가패널(64)이 제5패널(64)의 외측면에 마주하도록 감길 수 있도록 d+3t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assuming that the side width of the
즉, 제1내널 내지 제3패널(64)은 d, 제4패널(64)과 제5패널(64)은 d+t, 제6패널(64)과 제7패널(64)은 d+2t, 제8패널(64)은 d+3t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d+t for the first internal to
따라서, 제2게양봉(62)의 측면에 각각 감겨진 패널(64)의 외측면에 감겨 겹쳐지는 또 다른 패널(64)은, 이미 감겨진 패널(64)의 상하폭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nother
더불어, 본 발명은 제2게양봉(62)의 양단에는 제2게양봉(6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어 제2게양봉(62)에 감겨진 디스플레이부(6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er having a
또한, 커버는 감겨진 디스플레이부(63)의 상부와 측면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고 저면에 제2게양봉(62)과 감겨진 디스플레이부(63)가 위치하도록 오목한 내입홈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over is convex upward so as to protect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또한, 보호부는, 커버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내입홈을 덮어 감겨진 디스플레이부(63)의 하부를 보호하는 덮개와, 커버와 덮개의 힌지결합부분에 구비되어 덮개가 상부를 향하여 내입홈의 개방부분이 폐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unit is hinged to one end of the cover, and is provided at the hinged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cover to protect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제2게양봉(62)이 정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63)의 패널(64)들이 펼쳐지면서 내입홈을 폐쇄한 덮개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고, 패널(64)의 무게에 의해 덮개가 회전되어 내입홈이 개방되는 동시에 패널(64)들은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제2게양봉(62)이 역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63)의 패널(64)들이 모두 감겨지면 덮개의 회동을 방해하는 패널(64)이 없어지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덮개는 개방된 내입홈을 폐쇄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3)가 펼쳐지고 감겨짐에 따라, 덮개는 내입홈을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63)가 감겨진 상태에서 내입홈을 덮개가 폐쇄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Accordingly, the
또한, 제1박스(16)와 제2박스(60)의 외측에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32)가 설치되고, 가로등 기둥(12)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또 다른 브래킷(14')상에는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별도의 발전부재(34)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on the outside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 기(24)의 게양이 원격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원격제어장치(Remote controller)가 마련되는데, 원격제어장치에는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제1모터(18)와 제2모터(61) 및 디스플레이부(63)의 구동·제어에 필요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in order to allow the
이때,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는, 위성을 통한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may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through a satellite.
또한, 관리자의 컴퓨터는, 구청이나 시청 등 일정한 장소에 기 구비된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컴퓨터로 명령이 이루어지면,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약 200m 반경에 구비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로 무선데이터가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s computer is already provided in a certain place such as a ward office or a city hall. In addition, when a command is issued to the computer by the administrator, the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ts the wireless data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provided in a radius of about 200m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또한, 원격제어장치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리모컨일 수 있으며, 무선리모컨에는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제1모터(18)와 제2모터(61) 및 디스플레이부(63)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는 버튼과 버턴의 입력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 wireless remote control held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drives the
또, 각각의 가로등 기둥(12)에 장착된 제1박스(16)와 제2박스(60)의 내측에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모터(18)와 제2모터(61)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46)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제어장치에는 상기한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설치된다. The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 device or a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neighboring
또, 제어장치에는 상기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제1모터(18)와 제2모터(61)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가 설치되며, 조도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motor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state of the
또, 제어장치(46)에는 상기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32)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서 발전부재(34)는 솔라셀모듈(36)과 풍력발전기(38) 및 축전지(40)로 이루어지는데, 솔라셀모듈(36)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고정판(36a)이 형성된 지주(42)의 외주면에 감겨져 장착되어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다수개의 솔라셀(36b)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풍력발전기(38)는 솔라셀모듈(36)이 설치된 지주(4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기가 불순하여 태양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도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풍력발전기(38)에서는 솔라셀모듈(36)이 구비된 지주(42)의 상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상방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8a)가 세워져 설치되고, 지지대(38a)의 상단에는 별도의 덮개판(38b)이 받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in the
또, 지주(42)의 상부면과 덮개판(38b)의 마주하는 면의 중심부에는 샤프트(38c)가 임의로 회전되게 끼워져 설치되고, 샤프트(38c)의 외측 둘레면에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38d)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샤프트(38c)의 아랫부분에 해당되는 지주(42)의 내부에는 제너레이터(44)가 설치되는데, 제너레이터(44)는 샤프트(38c)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극(多極)자석형 회전자(44a)와, 회전자(44a)의 둘레에 해당되는 지주(42)의 내부에서 별도의 하우징내에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자(44a)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자 코일(44b)로 이루어진다. A
제너레이터(44)는 풍력에 의하여 샤프트(38c) 및 회전날개(38d)가 회전될 때, 샤프트(38c) 하단에 설치된 회전자(44a)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44b)에서 전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한편, 상기한 축전지(40)는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가 설치된 지주(4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모듈(36) 및 풍력발전기(38)에 의하여 변환·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정격전압으로 축전(蓄電)함과 동시에 제1모터(18) 및 가로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각각의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에는 각각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 원격제어신호가 어느 하나의 제어장치로 송신되면, 해당 제어장치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인접한 다른 제어장치로 재송신하는 방식에 의하여 기 게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로등의 기둥(12)에 설치된 기(24)를 게양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가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를 조작하여 기 게양 및 하강 시간이나, 국경일이나 축제기간 등을 감안한 게양날짜 또는 게양기간 등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는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을 통하여 송출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in the case of wanting to hoist the
원격제어장치으로부터 송출된 무선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가로등 기둥(12)에 설치된 제어장치상(46)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데이터값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동작에 따른 모터구동부의 작용에 의하여 제1모터(18)가 정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모터(18)의 축기어(18a)와 기어(26a)로 결합된 제1게양봉(20)의 회전축(26)이 회전되면서 제1게양봉(20)이 아랫쪽으로 회동되어 제1게양봉(20)에 매달린 기(24)가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된다.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on the
이때, 제1게양봉(20)의 각운동은 가이드판(22)상의 가이드공(30)에 끼워진 가이드핀(28)의 안내작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ngular movement of the
이 같은 방식에 따라 기(24)의 게양에 필요한 데이터값은 다시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된 후 이웃하는 다음의 가로등 기둥에 설치된 제어장치상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후 위에서 기술한 방식에 의하여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기를 순차적으로 게양하게 되며, 게양된 기(24)를 들어 올릴 때에는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method, the data value required for hoisting the
한편, 디스플레이부(63)에 이미 제1게양봉에 게양된 기(24) 이외에 또 다른 기를 게양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가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를 조작하여 디지털 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하는 시간과 기간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디지털 기 데이터와,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원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nother flag other than the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가로등 기둥(12)에 설치된 제어장시(46)상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른 마이컴의 제어동작에 따른 모터구동부의 작용에 의하여 제2모터(61)가 정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2게양봉(62)에 감겨진 다수의 패널(64)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63)가 하나의 평면을 이루어지도록 펼쳐진다. 이렇게 펼쳐진 디스플레이부(63)에는 디지털 기 데이터에 의해 디지털 기가 디스플레이된다.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on the
이 같은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무선데이터는 다시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된 후 이웃하는 다음의 가로등 기둥에 설치된 제어장치상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후 위에서 기술한 방식에 의하여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63)를 펼치고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한다.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wireless data necessary for the display is transmitted again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constituting the control device, and after being received by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on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next neighboring lamppost,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e unit, the
그리고, 디스플레이부(63)는 반대의 순서로 제2게양봉(62)에 감겨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의 원격제어신호로는 RF신호, 바이너리 CDMA신호, 초음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선신호가 적용될 수 있다.As the remote control signal, any one radio signal selected from an RF signal, a binary CDMA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may be applied.
한편, 야간에 가로등을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박스(16)와 제2박스(60)의 외측에 설치된 조도센서(32)에서 출력된 신호값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값 보다 낮아 주변이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은 가로등구동부를 제어하여 가로등이 점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ighting a street light at night, the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10)에서는 제1모터(18)와 제2모터(61)의 구동과 디스플레이부(63)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에 소요되는 전력이 각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발전부재(34)에 의하여 자체 공급되는데, 햇빛이 지주(42)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장착된 솔라셀모듈(36)상의 솔라셀(36b)에 조사되면, 각각의 솔라셀(36b)에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직접 전환시키게 된다.In the
또, 바람이 불면 지주(42)의 상부에 설치된 풍력발전부재(34)상의 회전날개(38d) 및 샤프트(38c)가 고속으로 회전되고, 샤프트(38c)가 회전되면 그 하단에 설치된 제너레이터(44)상의 회전자(44a)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44b)에서 전류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wind blows, the
이와 같이 솔라셀모듈(36)과 풍력발전기(38)상의 제너레이터(44)로부터 얻어진 전기에너지는 전선을 통하여 지주(42)의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40)에 축전된 후 기 게양시의 제1모터(18)와 제2모터(61)의 구동과 디스플레이부(63)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시 소요되는 전력으로 공급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energy obtain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10)은, 가로등 기둥(12)의 양쪽에 각각 기(24)가 게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63)를 통해서 제1게양봉에 게양된 기와 다른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함으로떠, 동시에 기와 디지털 기를 게양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displaying a digital flag different from the tile mounted on the first hoisting rod through the
그리고, 종래에 기(24)를 하나씩 게양할 수 있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2의 기(24)를 동시 또는 각각 게양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63)를 이용하여 수시로 다른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기(24)를 바꿔야 하는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어,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And, if conventionally it was possible to hoist the
본 발명에 따른 기 게양시스템(10)은, 조명부(50), 풍속감지센서(52), 진동모터(54)를 더 포함한다.The
조명부(50)는, 제어장치(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게양봉(20)과 제2게양봉(62)의 끝단에 설치된다.The
그리고 조명부(50)는, 기(24)를 향하여 빛이 비춰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LED모듈로 이루어져 빛을 발산한다.And the
특히, 조명부(50)는 기(24)와 디스플레이부(63)를 향하여 빛을 직접적으로 비추기 때문에 야간에도 기(24)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여기(24)서 제어장치(46)는, 조도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조도값을 미리 설정된 조도기준값과 비교하여 조도값이 설정된 조도기준값보다 낮으면 조명부(50)의 LED모듈에서 빛이 발산되게 점등시킨다. 또한, 조도값이 미리 설정된 조도기준값보다 높으면 조명부(50)의 LED모듈에서 빛이 발산되지 않게 소등시킨다.Here, the
즉, 가로등과 조명부(50)는 일체로 점소등된다.That is, the street light and the
풍속감지센서(52)는, 제어장치(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박스(16) 또는 제2박스(60)에 설치되고 주변의 풍속을 측정한다.The
진동모터(54)는, 제어장치(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게양봉(2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팬(56)은, 제어장치(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게양봉(2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바람을 발생시킨다.The
여기(24)서, 제어장치(46)는, 풍속감지센서(52)로부터 출력되는 풍속값을 미리 설정된 풍속기준값과 비교하여 풍속값이 설정된 풍속기준값보다 낮으면 진동모터(54) 또는 팬(5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시킨다.Here, the
또한, 제어장치(46)는, 풍속값이 미리 설정된 풍속기준값보다 높으면 진동모터(54)과 팬(56)의 구동을 중지시킨다.Further, the
즉, 진동모터(54)와 팬(56)은, 제1게양봉(20)에 게양된 기(24)가 항상 펄럭이게 하기(24) 위한 것으로, 기(24)가 인위적으로 펄럭이게 되어 기(24) 게양에 따른 연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ar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16 : 제1박스 18 : 제1모터
20 : 제1게양봉 22 : 가이드판
24 : 기 26 : 회전축
28 : 가이드핀 30 : 가이드공
32 : 조도센서 34 : 발전부재
36 : 솔라셀모듈 38 : 풍력발전기
40 : 축전지 44 : 제너레이터
46 : 제어장치 50 : 조명부
52 : 풍속감지센서 54 : 진동모터
56 : 팬 60 : 제2박스
61 : 제2모터 62 : 제2게양봉
63 : 디스플레이부 64 : 패널16: first box 18: first motor
20: first hoisting rod 22: guide plate
24: base 26: rotating shaft
28: guide pin 30: guide ball
32: illuminance sensor 34: power generation member
36: cell module 38: wind power generator
40: storage battery 44: generator
46: control device 50: lighting unit
52: wind speed sensor 54: vibration motor
56: fan 60: second box
61: second motor 62: second hoisting rod
63: display unit 64: panel
Claims (4)
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제1박스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방향으로 각운동되면서 기를 지면과 평행하게 게양하거나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제1게양봉;
내측단부가 상기 제2박스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제2게양봉;
상기 제2게양봉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게양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게양봉에 감기거나 펼쳐지고, 일측면에 특정한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센서;
상기 가로등 기둥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브래킷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생성시키는 발전부재;
관리자의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가로등의 기둥에 설치된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지털 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무선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가 구비된 원격제어장치;
상기 가로등 기둥에 장착된 제1박스 및 제2박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 및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웃하는 다음의 제어장치로 무선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제1모터와 제2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모터구동부, 조도센서 및 가로등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를 제어하여 기를 게양하거나, 상기 제2모터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게양봉에 고정된 기와 다른 디지털기를 디스플레이하여 게양할 수 있고,
상기 제2게양봉의 양단에 제2게양봉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어 제2게양봉에 감겨진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고 저면에 제2게양봉과 감겨진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도록 오목한 내입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내입홈을 덮어 감겨진 디스플레이부의 하부를 보호하는 덮개 및 상기 커버와 덮개의 힌지결합부분에 구비되어 덮개가 상부를 향하여 내입홈의 개방부분이 폐쇄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기 게양시스템.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box and the second box fixed and mounted by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lamppost and drive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direction of a curren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dge of the flag is fixed and the inner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x, it is angul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thereby hoisting the flag parallel to the ground or lifting it upward. Hoisting;
A second hoisting rod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while the inner end thereof is fitt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x;
A display uni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hoisting rod, winding or unfolding the second hoisting rod as the second hoisting rod rotates, and displaying a specific digital device on one side;
An illuminanc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first box mounted on the lamppost to measure ambient illuminance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A power generation member for converting and generating wind energy and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while installed on a bracket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ppos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street lamp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s computer, an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for displaying digital devices on the display unit. Remote control device;
It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ox and the second box mounted on the lamppost, and receives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nd the lighting state of the streetlight, A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receiving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a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wireless data to the next neighboring control device, and a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A motor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stat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streetlight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lighting state of the streetlight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e motor driving unit,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streetlight driving unit Including; a control device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m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in a state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motor may be controlled to hoist the flag, or the second motor and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nd hoist a digital device different from the tile fixed to the first hoisting rod,
The second hoisting rod is convex upward so as to protect the display unit wound on the second hoisting rod from the outside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with the second hoisting rod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d wound with the second hoisting rod on the bottom surface.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oncave inner recess to locate the display portion, a cover hinged to one end of the cover to protec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wound by covering the inner recess, and a cover provided at the hinged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cover so that the cover is at the top A machine hois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unit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open portion of the inner inlet groove is closed.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이상의 패널이 접히도록 각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상기 제2게양봉의 정회전시 펼쳐지고, 역회전시 감겨져 보관되고,
상기 2이상의 패널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르게 디스플레이되어, 하나의 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the edge of each panel is coupled so that the two or more panels are folded, the second hoisting rod is unfolded when rotated forward, and is wound and stored when rotated in reverse,
The two or more panels ar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wireless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one giga is displayed.
상기 제2게양봉은, 다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2이상의 패널이 접히도록 각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되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어느 하나의 패널 모서리가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패널 반대 모서리에 또 다른 패널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2이상의 패널이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을 감싸며 감기고,
상기 제2게양봉의 측면에 각각 감겨진 패널의 외측면에 감겨 겹쳐지는 또 다른 패널은, 이미 감겨진 패널의 상하폭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게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oisting rod is formed of a polygonal column,
In the display unit, an edge of each panel is coupled so that two or more panels are folded, one panel edge is coupled to an edge between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d another panel edge is coupled to the edge opposite to the one panel. The corners are combined so that at least two panels wrap around the side of the second hoisting rod and are wound,
Another panel, which is wound and overlap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woun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isting rod, respectively, has a vertical width great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reviously wound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606A KR102223196B1 (en) | 2019-07-09 | 2019-07-09 | Flag hois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606A KR102223196B1 (en) | 2019-07-09 | 2019-07-09 | Flag hois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683A KR20210006683A (en) | 2021-01-19 |
KR102223196B1 true KR102223196B1 (en) | 2021-03-03 |
Family
ID=7423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606A KR102223196B1 (en) | 2019-07-09 | 2019-07-09 | Flag hois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319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751B1 (en) | 2013-07-25 | 2014-09-02 | 이선일 | Apparatus for hoist flag |
KR101513832B1 (en) * | 2014-02-14 | 2015-04-20 | 이선일 | Flag hois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080B1 (en) | 2005-12-20 | 2007-05-02 | 진광복 | An apparatus for raising flag |
KR20090078572A (en) * | 2008-01-15 | 2009-07-20 | 주식회사 케이티 | Multimedia banner advertising device |
KR20110090714A (en) | 2010-02-02 | 2011-08-10 | 김원기 | Solar motor automatic Taegeuk flag pole rod. |
KR20110105462A (en) | 2010-03-19 | 2011-09-27 | 주식회사 협성엠티 | An automatic flag hoisting equipment |
KR102398162B1 (en) * | 2015-02-10 | 2022-05-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Rollable display device |
-
2019
- 2019-07-09 KR KR1020190082606A patent/KR1022231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6751B1 (en) | 2013-07-25 | 2014-09-02 | 이선일 | Apparatus for hoist flag |
KR101513832B1 (en) * | 2014-02-14 | 2015-04-20 | 이선일 | Flag hois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683A (en) | 2021-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3014B1 (en) | Hybrid streetlight | |
KR100740352B1 (en) | Solar street light | |
US7342322B2 (en) | Energy supply apparatus for a location having one or more consumers with said location being remote from power mains | |
KR101369269B1 (en) | Revolving Type Bulletin Apparatus Providing Information | |
KR101026693B1 (en) | a roadlamp | |
KR20130027212A (en) | Lighting device of road | |
KR20200102691A (en) | Folding type solar power generator | |
KR102076366B1 (en) | High efficiency solar street light | |
KR101513832B1 (en) | Flag hoist system | |
KR101301734B1 (en) | Flag hoist system | |
KR102223196B1 (en) | Flag hoist system | |
JP2012132381A (en) | Private power generator | |
CN213542312U (en) | Solar energy hierarchical control landscape lamp for city brightening | |
CN211119088U (en) | Multifunctional solar street lamp | |
CN204477896U (en) | Multifunctional solar energy streetlight | |
CN110454726A (en) | A kind of wisdom bar station | |
CN212618035U (en) | Multi-functional wisdom street lamp | |
CN205579492U (en) | Electronic lamp is adjusted to remote control formula direction | |
EP2175189A1 (en) | Apparatus for public illumination for streets and integrated structure | |
CN210921201U (en) | All-round adjustable solar street lamp | |
KR20220166090A (en) | IoT connected solar panel structure with angle modulation and stacking storage | |
CN208061636U (en) | A kind of audio-visual displaying device of new media | |
CN207097243U (en) | A kind of chargeable intelligent transportation identity device | |
CN112555741A (en) | Solar lawn lamp | |
CN220016799U (en) | Smart city lamp post LED display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