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035A -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035A
KR20130065035A KR1020110131716A KR20110131716A KR20130065035A KR 20130065035 A KR20130065035 A KR 20130065035A KR 1020110131716 A KR1020110131716 A KR 1020110131716A KR 20110131716 A KR20110131716 A KR 20110131716A KR 20130065035 A KR20130065035 A KR 2013006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lifting rod
ship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473B1 (ko
Inventor
송용석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4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용 아지포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는 선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승강로드 하부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추진모터를 갖춘 추진유닛과, 승강로드의 승강을 위해 선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선체 외부에 노출되는 승강로드를 지지하며 승강로드의 변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Azipod assembly for ship,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여 흘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프로펠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되는데, 프로펠러가 수면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동작할 경우에는 추진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프로펠러의 손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선박은 화물이 없는 경우 밸러스트시스템을 이용해 흘수를 조정함으로써 프로펠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57535호(2006. 05. 12. 공고)는 선박의 밸러스트시스템의 일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밸러스트시스템은 선박이 화물없이 운항하거나 균형이 맞지 않을 때 해수을 끌어들여 밸러스트탱크를 채우거나 밸러스트탱크의 물을 다시 해상에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선박의 흘수와 트림을 적정수준으로 조정한다.
하지만 이처럼 해수를 끌어들이거나 배출시키는 개방형 밸러스트시스템은 선박이 이동하면서 밸러스트수도 함께 이동하는 관계로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가 있다. 밸러스트수 안에는 특정지역의 해양 동식물도 다량 들어있는데, 출항지역에서 채운 밸러스트수가 도착지역 연안에서 버려짐으로 인해 그 지역 토착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각종 미생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선박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는 선박의 건조비용과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57535호(2006. 05. 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에 대해 승강이 가능하여 흘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프로펠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아지포드조립체의 채용을 통해 해상에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지 않는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 하부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추진모터를 갖춘 추진유닛과,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을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선체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승강로드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변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선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나사결합부와 결합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를 지지하며 상기 선체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송나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선체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양단이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와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결합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유닛은 상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방에 상기 프로펠러가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추진모터가 설치된 유선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선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 된 승강부와, 상기 추진유닛의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된 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승강로드의 회전결합부에 결합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아지포드조립체가 설치된 선체와,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복수의 밸러스트탱크를 갖춘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은 상기 복수 밸러스트탱크 간의 밸러스트수 이동을 위한 배관들과 이송펌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는 선체에 대해 승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흘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프로펠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을 싣거나 화물없이 운항하는 모든 상황에서 선박의 안정된 추진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는 추진유닛을 하강시켜 승강로드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에도 지지장치가 승강로드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로드에 걸리는 굽힘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승강로드의 변형이나 승강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를 갖춘 선박은 추진유닛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상에 밸러스트수를 배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가 적용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가 적용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 단면도로, 승강로드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 단면도로, 승강로드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Ⅶ-Ⅶ 선에 따른 도면으로, 추진유닛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가 적용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이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은 선체(10)와, 선체(10)의 추진을 위해 선미 쪽 하부에 설치된 아지포드조립체(100)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아지포드조립체(100)가 선미 쪽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아지포드조립체(100)는 선체(10) 저부의 다른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선체(10)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20)을 구비한다. 여기서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20)은 밸러스트수(해수 등)를 외부로부터 들여 오거나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0)의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밸러스트탱크(21,22,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체(10)의 중앙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 네개의 측면 밸러스트탱크(21)와, 선수 쪽에 배치된 선수 밸러스트탱크(22)와, 선미 쪽에 배치된 선미 밸러스트탱크(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밸러스트시스템(20)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밸러스트탱크 간의 밸러스트수 이동을 위한 배관들과 이송펌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의 양 측면 쪽에 배치된 밸러스트탱크들(21)은 내부의 밸러스트수를 상호 간 이동시킴으로써 선체의 좌우방향 균형을 맞출 수 있고, 선수와 선미 측에 각각 설치된 밸러스트탱크들(22,23)은 역시 내부의 밸러스트 수를 상호 간 이동시킴으로써 선체(10)의 전후방향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처럼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20)은 밸러스트수의 도입이나 배출이 없이도 선체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선박은 밸러스트수를 들여오지 않기 때문에 화물없이 운항할 경우 흘수가 낮아져 아지포드조립체(100)의 프로펠러(122)가 수면 위로 상승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의 선박은 흘수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승강형 아지포드조립체(100)를 채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아지포드조립체(100)를 나타낸다. 아지포드조립체(100)는 선체(10)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로드(110), 승강로드(110) 하부에 결합되는 추진유닛(120), 승강로드(110)의 승강을 위해 선체(10) 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130), 선체(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승강로드(11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40)를 포함한다.
승강로드(110)는 선체(10)를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승강로드(110)는 선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는 승강부(111)와, 추진유닛(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승강부(111)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결합부(112)를 포함한다. 승강로드(110)의 승강부(111)가 관통하는 선체(10)의 관통공(12)에는 해수의 침입을 차단하는 밀봉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부(1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승강로드(11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해수에 잠길 경우 유체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승강부(111)의 단면은 길이가 긴 장축이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선박의 추진 시 해수에 잠기는 경우에도 유체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 이러한 승강부(111)는 승강부의 전후방향(선수에서 선미방향)에 대한 굽힘응력(bending stress)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선체(10) 하부로 연장되는 승강부(111)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그 하부에 장착되는 추진유닛(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람직한 예로써 승강부(111)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를 제시하지만, 승강부(111)의 단면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부(111)의 단면는 원형이나 다각형일 수도 있다.
회전결합부(112)는 추진유닛(1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마련된다. 즉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11)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추진유닛(1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승강로드(110)의 회전결합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선형의 하우징(121), 하우징(121)의 전방(선수 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프로펠러(122), 프로펠러(122)의 구동을 위해 하우징(121) 내에 설치된 추진모터(123), 하우징(121)의 회전을 위해 하우징(121) 내에 설치된 회전장치(124)를 구비한다.
하우징(121)은 승강로드(110)와 연결을 위해 그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단면의 형상이 유선형을 이루는 연결부(121a)를 구비한다. 즉 연결부(121a)가 승강로드(110)의 회전결합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펠러(122)는 하우징(121) 내부에 설치된 추진모터(123)의 축(123a)에 결합됨으로써 추진모터(12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장치(124)는 승강로드(110)의 회전결합부(112) 하단에 결합된 고정기어(124a), 고정기어(124a)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24b), 피니언기어(124b)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24c)를 포함한다. 모터(124c)는 하우징(121)의 연결부(121a)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장치(124)는 모터(124c)에 의해 피니언기어(124b)가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21)이 승강로드(1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진유닛(120)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선박의 추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추진유닛(120)의 하우징(121)이 회전함으로써 추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선체(10) 내부의 승강장치(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0) 내에 위치하는 승강로드(110)의 나사결합부(113)에 결합된 복수의 이송나사(131)와, 복수의 이송나사(131)를 지지하도록 선체(10) 내에 고정된 프레임(132)과, 프레임(132)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각 이송나사(131)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구동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2)은 선체(10) 내부로 진입하는 승강부(111)의 상측 및 복수의 이송나사(1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하단의 플랜지부(132a)가 선체(1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나사(131)는 승강부(111)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승강부(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승강부(111) 상단에 플랜지형태로 마련된 나사결합부(113)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130)는 구동모터(133)의 동작에 의해 이송나사(131)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강로드(1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이송나사(131)와 복수의 구동모터(133)를 채용한 승강장치(130)를 예시하였으나, 승강장치(130)는 이송나사(131)와 모터(133)가 각각 하나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이송나사방식의 승강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승강장치는 승강로드(1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될 것이므로 유압실린더로도 대체할 수 있다.
지지장치(140)는 승강로드(110) 후방의 선체(10) 하부에 전후방향으로(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141)와, 이동부재(14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42)와, 양단이 승강로드(110)의 승강부(111) 하단과 이동부재(14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145)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41)는 선체(10)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3)은 지지부재(145)와 이동부재(1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 하측에 개방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동부재(141)는 이동장치(142)와 연결을 위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암나사부(141a)가 형성된다.
이동장치(142)는 이동부재(14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이동부재(141)의 암나사부(141a)에 결합된 이송나사(143)와, 이송나사(14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4)는 선체(10)의 내측에 방수 가능하게 수용되고, 이송나사(143) 역시 슬라이딩홈(13) 내에 방수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이동장치(142)는 구동모터(144)의 동작에 의해 이송나사(143)가 회전함으로써 이동부재(1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장치(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110)가 상승할 경우 이동부재(141)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재(145)의 상측지지점(145a)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110)가 하강할 경우에는 이동부재(14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재(145)의 상측지지점(145a)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장치(1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1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추진유닛(120)이 동작할 경우 승강로드(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추진유닛(120)에 의한 추진력은 승강로드(110)를 통하여 선체(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승강로드(110)가 선체(10)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추진유닛(120)이 동작하면, 승강로드(110)의 하부에는 화살표 A방향(선수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데, 이 힘은 승강로드(110)의 변형이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승강로드(11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승강로드(110)를 지지하는 선체(10) 부분에 작용하는 모멘트(moment)가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지지부재(145)가 승강로드(110)의 하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현상에도 승강로드(1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45)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이 힘이 이동부재(141)를 통해 선체(10)로 전달되어 추진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지장치(140)는 그 동작이 승강장치(130)의 동작과 연동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승강로드(11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승강로드(110)가 승강하는 상황에서도 지지부재(145)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아지포드조립체를 채용한 선박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선박이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항할 때는 화물의 무게에 의해 흘수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지포드조립체(100)의 승강장치(130)가 승강로드(110)를 상승시켜 추진유닛(12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추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선박이 화물 없이 운항할 때는 흘수가 낮아져 추진유닛(120)의 프로펠러(122)가 수면 위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선박은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20)을 채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밸러스트수를 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흘수의 조절이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지포드조립체(100)의 승강장치(130)가 승강로드(110)를 하강시킴으로써 추진유닛(120)이 수면 아래에 완전히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선박의 안정된 운항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의 선박이 화물 없이 운항할 때는 선박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흘수가 낮아 물과의 마찰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추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밸러스트수의 배출이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선박은 도 4와 같이 승강로드(110)를 하강시킨 경우에도 지지장치(140)의 지지부재(145)가 승강로드(110)를 지지하기 때문에 선박의 추진 시 승강로드(110)에 걸리는 굽힘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승강로드(110)의 변형이나 승강장치(13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10: 선체, 20: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
100: 아지포드조립체, 110: 승강로드,
111: 승강부, 112: 회전결합부,
113: 나사결합부, 120: 추진유닛,
121: 하우징, 122: 프로펠러,
123: 추진모터, 124: 회전장치,
130: 승강장치, 131: 이송나사,
132: 구동모터, 140: 지지장치,
141: 이동부재, 142: 이동장치,
145: 지지부재.

Claims (11)

  1. 선체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 하부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및 이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추진모터를 갖춘 추진유닛과,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을 위해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선체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승강로드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변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선체 내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로드의 나사결합부와 결합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를 지지하며 상기 선체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송나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선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선체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양단이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와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결합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유닛은 상부가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전방에 상기 프로펠러가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추진모터가 설치된 유선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선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 된 승강부와, 상기 추진유닛의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된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승강로드의 회전결합부에 결합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지포드조립체가 설치된 선체와,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복수의 밸러스트탱크를 갖춘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밸러스트시스템은 상기 복수 밸러스트탱크 간의 밸러스트수 이동을 위한 배관들과 이송펌프들을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10131716A 2011-12-09 2011-12-09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2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16A KR101422473B1 (ko) 2011-12-09 2011-12-09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16A KR101422473B1 (ko) 2011-12-09 2011-12-09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35A true KR20130065035A (ko) 2013-06-19
KR101422473B1 KR101422473B1 (ko) 2014-07-23

Family

ID=4886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16A KR101422473B1 (ko) 2011-12-09 2011-12-09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4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252B1 (ko) * 2014-05-14 2014-08-14 (주)미래해양 해빈류 관측 장치
KR101879724B1 (ko) * 2017-06-05 2018-07-1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선박용 추력유지장치
CN113788133A (zh) * 2021-09-24 2021-12-14 武汉理工大学 一种无人养殖船螺旋桨推进装置的浸没深度自主调节方法
CN116142377A (zh) * 2023-04-20 2023-05-23 威海海洋职业学院 一种船舶用的升降装置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860A (ko) 2019-03-19 2020-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위치가변 포드를 구비한 선박
KR20200111861A (ko) 2019-03-19 2020-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좌우위치가변 포드를 구비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388A (ja) * 1994-09-06 1996-05-21 Yamaha Motor Co Ltd 作業船
JP4668162B2 (ja) * 2006-11-24 2011-04-13 運上船舶工業有限会社 格納式スラスター及びスラスター付き船舶
KR101053176B1 (ko) * 2009-07-13 2011-08-01 (주)보고 수중추진장치
JP2011057048A (ja) * 2009-09-09 2011-03-24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タンカーにおける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配置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252B1 (ko) * 2014-05-14 2014-08-14 (주)미래해양 해빈류 관측 장치
KR101879724B1 (ko) * 2017-06-05 2018-07-1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선박용 추력유지장치
CN113788133A (zh) * 2021-09-24 2021-12-14 武汉理工大学 一种无人养殖船螺旋桨推进装置的浸没深度自主调节方法
CN116142377A (zh) * 2023-04-20 2023-05-23 威海海洋职业学院 一种船舶用的升降装置及其方法
CN116142377B (zh) * 2023-04-20 2023-07-07 威海海洋职业学院 一种船舶用的升降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473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473B1 (ko)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1876094A2 (en) Retractable thruster for vessels
EP2786931B1 (en) Thruster system and ship including same
CN105905232A (zh) 一种可收放双体水翼船
JP2010195382A (ja) 上下可動式推進装置を備えた船舶
KR20160000507U (ko) 쌍동선
KR101429611B1 (ko)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선박 및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선박의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방법
CN115743488B (zh) 一种波浪自适应船舶推进装置及使用方法
KR101768976B1 (ko) 프레임이 부력탱크에 매설된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JP2008068796A (ja) 船舶の推進方法及び装置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53740B1 (ko)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200105484A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EP0433296B1 (en) Marine propulsion apparatus
KR101444150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2357748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한 추진모듈을 가진 선박
KR20130055875A (ko) 타면적이 증가되는 선박용 러더
KR101571287B1 (ko) 흘수 조절장치
KR101148066B1 (ko) 아지포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U2007231696B2 (en) Vessel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956597B1 (ko)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KR10148767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