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313A -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313A
KR20130064313A KR1020110130864A KR20110130864A KR20130064313A KR 20130064313 A KR20130064313 A KR 20130064313A KR 1020110130864 A KR1020110130864 A KR 1020110130864A KR 20110130864 A KR20110130864 A KR 20110130864A KR 20130064313 A KR20130064313 A KR 2013006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bracket
adjust bolt
needle bearing
c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13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313A/ko
Publication of KR2013006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4Ramp or c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구성품을 모듈화하고,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Tilt or Tilt and Telescope Steering Appqratus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구성품을 모듈화하고,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직접 조향 조작을 하는 조향핸들과 이 조향핸들에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어 조향핸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 및 이 조향축을 차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조향컬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 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 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나 혹은 유압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의 조향핸들의 조작력을 보조해 주는 동력실린더 및 이 기어장치나 동력실린더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 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한 피트먼 암, 드래그 암, 너클 암 및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조향컬럼은 주행 중 운전자가 주행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조향휠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기어박스에 전달하는 매개역할을 하며, 궁극적으로 너클암을 거쳐 바퀴를 조향한다. 아울러, 차량 충돌시에는 핸들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조향컬럼이 흡수함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해주는 주요한 기능을 하며, 시동 키 뭉치, 방향지시등 스위치, 와이퍼 스위치 등 각종 장치의 부착이 가능하며, 시동키 작동을 통한 잠금장치의 해제 없이는 차량의 조향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도난 방지 기능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조향컬럼에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보다 편리한 조향핸들의 조작환경을 마련해 주기 위해 조향컬럼이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과, 조향컬럼을 운전자쪽으로 가깝게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또는 하방향으로 멀어지게 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는 내부에 조향축(102)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외측 튜브(110), 외측 튜브(110)에 삽입되는 내측 튜브(120), 내측 튜브(120)와 함께 차체에 고정되며 틸트 힌지(132)가 구비되는 하부 브라켓(130), 외측 튜브(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외측 튜브(110)와 함께 캡슐(142)을 통해서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140), 상부 브라켓(140)에 연결되고 틸트 장홀(152)이 형성된 틸트 브라켓(150), 외측 튜브(110)의 하부에 고정되며 틸트 브라켓(15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측 튜브(110) 및 틸트 브라켓(150)을 지지하는 디스턴스 브라켓(160), 틸트 장홀(152)을 관통하며 캠(170), 레버(175), 니들베어링(176) 그리고 너트(177)와 체결되는 조절 볼트(180),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기어(190) 및 고정기어(19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가동기어(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조절 볼트(180), 캠(170), 레버(175), 니들베어링(176), 너트(177)는 각각 단품으로 입고되어 조립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부품들이 모듈 단위로 입고되더라도 조절 볼트(180)와 너트(177)를 다시 해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역시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그리고 레버(175)의 조임력 조정이 너트(177)의 조임 토크에 의해 조절되므로 레버(175) 조임력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의하면, 디스턴스 브라켓과;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양 측에 배치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체결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니들베어링과;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 상기 캠부재, 상기 조작레버, 상기 니들베어링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 볼트와; 상기 니들베어링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일측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 상기 캠부재, 상기 조작레버, 상기 니들베어링 그리고 상기 너트는 하나의 모듈로 제공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타측 말단은 상기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결합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 의하면,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과 디스턴스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일측에 캠부재, 조작레버, 니들베어링 그리고 너트를 체결하며,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타측을 상기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하여 체결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조립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구성품을 모듈화하고,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조향 컬럼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틸트 조향장치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200)는 디스턴스 브라켓(210), 틸트 브라켓(220), 캠부재(230), 조작레버(240), 니들베어링(250), 어드저스트 볼트(260), 너트(270)를 포함한다.
디스턴스 브라켓(210)은 틸트 브라켓(220) 사이에서 아우터 튜브(201)의 상측에 배치된다. 디스턴스 브라켓(2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아우터 튜브(201)는 조향휠(미도시)에 연결된다.
아우터 튜브(201)에는 이너 튜브(203)가 삽입된다. 아우터 튜브(201)는 디스턴스 브라켓(21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너 튜브(203)는 기어박스(미도시)에 연결된다. 아우터 튜브(201)와 이너 튜브(203)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된다.
아우터 튜브(201)의 일단에는 원통 형상의 부시(미도시)가 장착된다. 부시(미도시)는 아우터 튜브(201)와 이너 튜브(203)를 매개해준다. 이너 튜브(203)는 부시(미도시)를 매개로 아우터 튜브(20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틸트 브라켓(220)은 아우터 튜브(201)의 외부 양측에 배치된다. 틸트 브라켓(220)은 디스턴스 브라켓(210)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부 마운팅 브라켓(190)은 아우터 튜브(201)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캠부재(230)는 고정캠(231)과 작동캠(233)을 포함한다. 고정캠(231)은 조작레버(240) 쪽 틸트 브라켓(22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작동캠(233)은 고정캠(231)과 대향하며 어드저스트 볼트(260)에 끼워져 어드저스트 볼트(260)와 함께 회전되게 장착된다.
조작레버(240)는 캠부재(230)에 인접하게 결합된다. 조작레버(240)는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니들베어링(250)은 조작레버(240)에 인접하게 결합된다.
어드저스트 볼트(260)는 디스턴스 브라켓(210), 틸트 브라켓(220), 캠부재(230), 조작레버(240), 니들베어링(25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단에는 조작레버(240)가 어드저스트 볼트(26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타측 말단은 틸트 브라켓(220)에 리벳팅으로 결합된 리벳(280)이 형성된다. 리벳팅력에 따라 조작레버(240)의 작동력이 결정된다.
너트(270)는 니들베어링(250)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측 말단에 체결된다.
도 2를 참고하여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조립 과정과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어드저스트 볼트(260)를 틸트 브라켓(220)과 디스턴스 브라켓(210)을 관통하여 체결하고,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일측에 캠부재(230), 조작레버(240), 니들베어링(250) 그리고 너트(270)를 체결하며,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타측을 틸트 브라켓(220)에 리벳팅한 리벳(280)을 형성하여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200)를 조립한다. 따라서, 구성품을 모듈화하고, 어드저스트 볼트(260)를 틸트 브라켓(220)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된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200)는 운전자가 조향휠(미도시)을 손으로 잡고서 위로 들어 올려주거나 아래로 밀어주면 이너 튜브(203)가 아우터 튜브(201)에 부시(미도시)를 매개로 끼워진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아우터 튜브(201) 안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어드저스트 볼트(260)는 디스턴스 브라켓(210)의 장공(미도시)에 끼워진 상태로 장공(미도시)을 따라 이동하여 텔레스코픽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운전자가 조작레버(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레버(240)와 일체로 연결된 어드저스트 볼트(260)가 회전되면서 고정캠(231)과 작동캠(233)의 상호작용으로 틸트 브라켓(220)이 안쪽으로 좁혀져서 디스턴스 브라켓(210)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너 튜브(203)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아우터 튜브(201)를 틸트시키거나 혹은 신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레버(2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고정캠(231)과 작동캠(233)의 상호작용으로 디스턴스 브라켓(210)과 틸트 브라켓(220) 사이의 간극이 벌어짐과 더불어 아우터 튜브(201)와 디스턴스 브라켓(210)의 복귀작용으로 디스턴스 브라켓(210)과 틸트 브라켓(220) 사이가 벌어지면서 이들 사이에 형성된 마찰력이 소멸되어 아우터 튜브(201)를 이너 튜브(203)에 대해 틸트 혹은 신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구성품을 모듈화하고,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201 : 아우터 튜브 203 : 이너 튜브
210 : 디스턴스 브라켓 220 : 틸트 브라켓
230 : 캠부재 240 : 조작레버
250 : 니들베어링 260 : 어드저스트 볼트
270 : 너트 280 : 리벳
290 : 상부 마운팅 브라켓

Claims (3)

  1. 디스턴스 브라켓의 양측에 배치되는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의 일측에 체결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에 인접하게 결합되는 니들베어링;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 틸트 브라켓, 캠부재, 조작레버, 니들베어링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 볼트;
    상기 니들베어링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일측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 캠부재, 조작레버, 니들베어링과 상기 너트는 하나의 모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타측 말단은 상기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3. 어드저스트 볼트를 틸트 브라켓과 디스턴스 브라켓을 관통하여 체결하고,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일측에 캠부재, 조작레버, 니들베어링 그리고 너트를 체결하며,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타측을 상기 틸트 브라켓에 리벳팅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10130864A 2011-12-08 2011-12-08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3006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64A KR20130064313A (ko) 2011-12-08 2011-12-08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64A KR20130064313A (ko) 2011-12-08 2011-12-08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13A true KR20130064313A (ko) 2013-06-18

Family

ID=4886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64A KR20130064313A (ko) 2011-12-08 2011-12-08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5968B2 (en) Steering system
EP2535239B1 (en) Steering apparatus
EP2366602B1 (en) Steering apparatus
JP6078018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組立方法
US9283982B2 (en) Steering column
US9533699B2 (en) Steering device
JPH10250601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589488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9010806B2 (en) Steering system
WO2015129454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379613B1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597099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64313A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421339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31399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45132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49281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63139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8758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の組立方法
KR101630123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3788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26341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23889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21581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