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899A - 일회용 쑥뜸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쑥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899A
KR20130063899A KR1020110130518A KR20110130518A KR20130063899A KR 20130063899 A KR20130063899 A KR 20130063899A KR 1020110130518 A KR1020110130518 A KR 1020110130518A KR 20110130518 A KR20110130518 A KR 20110130518A KR 20130063899 A KR20130063899 A KR 2013006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able
heat
moxibus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207B1 (ko
Inventor
안미옥
Original Assignee
안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미옥 filed Critical 안미옥
Priority to KR102011013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인체에 쑥뜸을 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쑥봉과, 쑥봉을 수용하는 관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환상형의 접착판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쑥봉이 일정 높이로 하우징 내에 수용되게 하고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열기완충 고정부를 포함하여 피시술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쑥뜸 장치{One-time wormwood moxi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쑥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기로 환부(患部)를 훈증함과 아울러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환부에 조사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한방에서는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나 오래된 여러 가지 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쑥의 약리작용을 이용한 민간요법들 중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은 쑥뜸 요법이다.
쑥을 이용한 쑥뜸 요법은 전통적인 한방요법의 하나로서, 쑥봉을 경혈에 올려놓고, 불을 붙여 태워서 나오는 쑥의 열로 경혈을 작용시켜 기와 혈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인체의 차갑고 나쁜 기운을 없애주는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서 민간요법으로 두루 애용되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자연요법이다.
또한, 훈증 요법은 쑥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쑥의 연기와 열을 쪼이도록 하여 중요 혈에 작용하고, 혈행 이상에서 오는 각종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연요법이다.
쑥뜸 요법은 상기와 같은 탁월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인체의 피부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발생하는 화상 및 이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부에 직접 쑥을 올려놓지 않고 간접적으로 쑥뜸을 할 수 있도록 한 간접 쑥뜸기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간접 쑥뜸기들은 쑥열의 온도를 조절할 수가 없어서 효과적으로 쑥뜸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훈증 요법 역시 일정한 위치에 쑥을 놓고 불을 붙여서 그 연기와 열을 쪼이는 방법이므로 온도를 조절할 수 없어 화상 및 이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완충시켜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쑥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봉을 연소시키는 초기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환부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환부에 작용하도록 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쑥뜸 장치는 쑥봉과, 상기 쑥봉을 수용하는 관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환상형의 접착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쑥봉이 일정 높이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 재질의 열기완충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쑥봉은 상면이 호형으로 돌출되고, 상면 중앙에는 반구형의 점화부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부는 착화제로 형성된다.
상기 쑥봉은 저면에 원추형의 안내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쑥봉은 상기 안내 홈의 상부에서 상기 쑥봉의 상면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점화부를 형성하는 착화제와, 상기 안내 홈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착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홈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착화제는 1 줄 또는 2줄 이상 복수 개의 줄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에 물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갠 후 상기 하우징 내의 접착시키고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으로 성형하고 초벌구이한 후 상기 하우징 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한다.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종이 재질의 고정부와, 원적외선이 발생가능한 흙에 물 및 접착제를 혼합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면 및 저면에 도포되는 열기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흙은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접착제는 유근피, 옥수수 전분, 찹쌀가루 및 감자전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의 하부에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떨어짐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쑥뜸 장치는 흙 재질의 열기완충 고정부를 하우징 내에 고정하여 쑥봉을 하우징 내에 수용함으로써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열기완충 고정부에 의해 완충되어 피시술자가 화상을 입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쑥봉의 저면에 안내 홈을 형성하여 안내 홈의 내면부터 연소되게 함으로써 쑥봉을 점화하는 초기부터 효과적으로 훈증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쑥봉이다. 상기 쑥봉(1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상면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면 중앙에 반구형의 점화부(10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예를 들면, 원추형의 안내홈(104)이 형성된다.
부호 110은 열기를 완충시키면서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열기완충 고정부이다.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는 예를 들면, 가열될 경우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하부로 내려가도록 하는 관통구멍(112)이 형성된다.
부호 120은 관통형의 하우징이다. 상기 하우징(120)은 예를 들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단에는 통기공(12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쑥봉(100) 및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수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20) 내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20)에 수용되는 상기 쑥봉(100)은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상부에 고정된다.
부호 130은 환상형의 접착판이다. 상기 접착판(130)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20)이 고정되고, 상기 접착판(130)의 하부면에는 접착제(132)가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132)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120) 내에 관통구멍(112)을 가지는 열기완충 고정부(11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고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을 물과, 유근피, 옥수수 전분, 찹쌀가루 또는 감자전분 등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갠 후 하우징(120) 내의 접착시키고, 관통구멍(112)을 형성하여 열기완충 고정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수분이 함유된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으로 관통구멍(112)을 구비하는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형상을 성형하고, 초벌구이한 후 상기 하우징(120) 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열기완충 고정부(110)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20)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 내에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고정되면, 상기 하우징(120) 내의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상부에 쑥봉(10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저면에 접착제(132)가 부착된 접착판(130)을 고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회용 쑥뜸장치로 쑥뜸 시술을 할 경우에 쑥뜸 시술할 환부에 접착판(130)의 접착제(132)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쑥봉(100)의 상부로 돌출된 점화부(102)에 불을 붙일 경우에 쑥봉(100)이 연소되기 시작한다.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 연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연기는 일부가 상부로 올라가며, 나머지 일부는 하부로 내려가 안내홈(104) 및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관통구멍(112)을 통해 환부를 훈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쑥봉(100)이 안내홈(104)의 상부까지 연소되면, 쑥봉(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의 대부분이 안내홈(104) 및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관통구멍(112)을 통해 하부로 내려가 환부를 훈증하게 되고, 환부를 훈증한 연기는 통기공(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120) 내측에 일정 높이로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 재질의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상부에 상기 쑥봉(100)이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에 의해 완충되므로 사용자의 환부에는 대략 48ㅀ∼55ㅀ의 온도를 가지는 열기가 자극하게 되게 되어서 사용자의 혈을 적절하게 자극하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에 화상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가열되어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원적외선이 환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환부의 피하심층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미세 혈관을 확장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신진대사를 강화하며, 조직재생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쑥봉(100)의 상면 중앙부에 착화제(106)를 부착하여 점화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쑥봉(100)의 상면 중앙부에 착화제(106)를 부착하여 점화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쑥뜸 시술을 할 경우에 쑥봉(100)에 간단히 불을 붙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쑥봉(100)의 상단에 안내홈(104)와 관통되는 관통구멍(108)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108)의 상부에 반구형으로 돌출되게 착화제(106)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108) 및 상기 안내홈(104)의 내벽면에 착화제(106a)를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쑥뜸 시술을 할 경우에 쑥뜸 시술할 환부에 접착판(130)의 접착제(132)를 이용하여 쑥뜸 장치를 부착하고, 쑥봉(100)의 상부로 돌출된 점화부인 착화제(106)에 불을 붙인다.
그러면, 착화제(106)가 연소되고, 착화제(106a)가 함께 연소되면서 쑥봉(100)을 연소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쑥봉(100)은 안내 홈(104)의 내면과 관통구멍(108)부터 연소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착화제(108)가 상기 관통구멍(108) 및 상기 안내 홈(104)의 내면 전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착화제(106a)가 상기 관통구멍(108) 및 상기 안내 홈(104)의 내면 전체에 부착될 경우에 쑥봉(100)이 너무 빨리 연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구멍(108) 및 상기 안내 홈(104)의 내면에 1줄 또는 2줄 이상 복수 개의 줄로 상기 착화제(106a)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 연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연기는 대부분이 하부로 내려가 안내홈(104) 및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관통구멍(112)을 통해 환부를 훈증하게 되고, 환부를 훈증한 연기는 통기공(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쑥봉(100)이 착화제(106, 106a)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08) 및 상기 안내 홈(104)의 내측부터 연소되므로 불을 붙이자마자 바로 훈증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앙에 관통구멍(202)이 형성된 종이 재질의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의 상부에 부착되고, 중앙에 관통구멍(212)이 형성되며,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으로 이루어진 열기완충부(210)와, 상기 고정부(200)의 하부에 부착되고, 중앙에 관통구멍(222)이 형성되며,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으로 이루어진 열기완충부(220)로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먼저 관통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는 종이 재질의 고정부(200)를 하우징(120) 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등의 흙을 물과, 유근피, 옥수수 전분, 찹쌀가루 또는 감자전분 등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갠 후 상기 고정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도포하여 관통구멍(212)(222)이 구비된 열기완충부(210)(220)를 형성하고, 열기완충 고정부(100)의 상부에 쑥봉(100)을 수용한다.
여기서, 고정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관통구멍(212)(222)이 구비된 열기완충부(210)(220)를 형성한 후 상부에 쑥봉(100)을 수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고정부(200)의 상부에 관통구멍(212)이 구비된 열기완충부(210)를 형성한 후 상부에 쑥봉(100)을 수용하고, 고정부(200)의 하부에 관통구멍(222)이 구비된 열기완충부(2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200)로서 종이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망(철망)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우징(100)의 하부에, 저면에 접착제(132)가 부착된 접착판(130)을 고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종이 재질의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흙 재질의 열기완충부(210)(220)를 도포하므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쑥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하부에, 관통구멍(302)을 구비하는 떨어짐 방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열기완충 고정부(110)와 하우징(120)이 분리될 경우에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떨어짐 방지부(300)가 방지하게 된다.
즉, 흙 재질로 이루어지는 열기완충 고정부(110)는 쑥봉(100)이 연소될 경우에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부피가 줄어들어 하우징(120)과 분리되고, 하부로 떨어져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열기완충 고정부(110)의 하부에 종이 재질의 떨어짐 방지부(3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열기완충 고정부(110)가 하우징(120)과 분리되어도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떨어짐 방지부(300)는 상기 쑥봉(100)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도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무염료의 종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쑥봉 102 : 점화부
104 : 안내 홈 106, 106a : 착화제
108, 112, 202, 212, 222 : 관통구멍 110 : 열기완충 고정부
120 : 하우징 122 : 통기공
130 : 접착판 132 : 접착제
200 : 고정부 210, 220 : 열기완충부
300 : 떨어짐 방지부

Claims (14)

  1. 쑥봉;
    상기 쑥봉을 수용하는 관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환상형의 접착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쑥봉이 일정 높이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쑥봉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완충시킴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 재질의 열기완충 고정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봉은;
    상면이 호형으로 돌출되고, 상면 중앙에는 반구형의 점화부가 형성된, 일회용 쑥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착화제로 형성된, 일회용 쑥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봉은;
    저면에 원추형의 안내 홈이 형성되는, 일회용 쑥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의 상부에서 상기 쑥봉의 상면과 관통하는 관통구멍;
    상기 관통구멍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점화부를 형성하는 착화제; 및
    상기 안내 홈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착화제;를 포함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 및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착화제는;
    1 줄 또는 2줄 이상 복수 개의 줄로 형성되어 부착된 일회용 쑥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쑥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일회용 쑥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원적외선이 발생가능한 흙에 물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갠 후 상기 하우징 내의 접착되고,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일회용 쑥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원적외선이 발생가능한 흙으로 성형되고 초벌구이한 후 상기 하우징 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일회용 쑥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종이 재질의 고정부;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흙에 물 및 접착제를 혼합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면 및 저면에 도포되는 열기완충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흙은;
    백토, 옹기토, 황토 및 점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일회용 쑥뜸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유근피, 옥수수 전분, 찹쌀가루 및 감자전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일회용 쑥뜸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의 하부에 상기 열기완충 고정부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떨어짐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쑥뜸 장치.
KR1020110130518A 2011-12-07 2011-12-07 일회용 쑥뜸 장치 KR10137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18A KR101371207B1 (ko) 2011-12-07 2011-12-07 일회용 쑥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18A KR101371207B1 (ko) 2011-12-07 2011-12-07 일회용 쑥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899A true KR20130063899A (ko) 2013-06-17
KR101371207B1 KR101371207B1 (ko) 2014-03-10

Family

ID=4886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18A KR101371207B1 (ko) 2011-12-07 2011-12-07 일회용 쑥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504A (zh) * 2018-07-11 2018-11-27 厦门福慧元健康管理有限公司 艾条及艾灸器
CN113397964A (zh) * 2021-07-16 2021-09-17 李慧慧 一种中医艾灸理疗用安全防护艾灸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16B1 (ko) * 1996-05-18 1999-11-01 김진섭 쑥뜸기
KR100326556B1 (ko) * 1999-07-26 2002-03-12 김진섭 뜸용 쑥의 제조방법
KR200329967Y1 (ko) * 2003-07-10 2003-10-17 김세철 건강쑥뜸기
KR20100043683A (ko) * 2008-10-20 2010-04-29 송성호 쑥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504A (zh) * 2018-07-11 2018-11-27 厦门福慧元健康管理有限公司 艾条及艾灸器
CN113397964A (zh) * 2021-07-16 2021-09-17 李慧慧 一种中医艾灸理疗用安全防护艾灸器
CN113397964B (zh) * 2021-07-16 2022-03-18 李慧慧 一种中医艾灸理疗用安全防护艾灸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07B1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CN206482845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砭石艾灸器
KR101371207B1 (ko) 일회용 쑥뜸 장치
KR200440662Y1 (ko) 뜸기
CN208405350U (zh) 一种艾电透灸理疗装置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100915291B1 (ko) 쑥뜸기
JP2955707B1 (ja) 蓬すえ機
CN211024061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温灸器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CN101669875B (zh) 艾灸器
KR20100006225U (ko) 훈증기
CN201055462Y (zh) 一种砭灸治疗仪
KR200442968Y1 (ko) 쑥 봉을 장착한 원통형 쑥뜸기
CN205849783U (zh) 砭灸养生床
KR100494716B1 (ko) 쑥찜기
JP3157635U (ja) 温灸器
KR200275491Y1 (ko) 뜸, 온열, 침 및 부항 치료를 위한 다목적 한방치료보조기구
KR200315880Y1 (ko) 좌욕 훈증기
KR20140129889A (ko) 황토찜질팩
CN213284355U (zh) 一种新型针灸器
KR20160112747A (ko) 신축고무줄이 스토퍼에 결착된 공중 연소 온구기
CN201755314U (zh) 汉灸艾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